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 study of existence and uniqueness of the solution of stochastic differential equations

        하지현 창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paper, we show the existence and uniqueness of the solution of the stochastic differential equation under a non-Lipschitz condition and a weakened linear growth condition. By estimating the solution of stochastic differential equations, we show that the approximate solution converges to the accurate solution and measure how fast the approximate solution converges. Moreover, we demonstrate the continuity of the solution by investigating the pth moment of the solution.

      • 대학교양교육 운영주체에 따른 교양교육과정 편성 비교

        하지현 제주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e period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a lot of social and cultural changes have naturally penetrated into our life with people having no time to prepare for them. In addition, as the press often reports on the jobs which would disappear in the future and predicts the big changes in general industries in the future, people get a little unstable rather than expectation for the future. It is the time when even the universities shall make efforts to subjectively prepare for the changes in the future and think about their new roles and responsibilities. It is required because there are a lot of doubts on the role of universities along with the terms “termination of universities” and the rampant unemployment of youth which has not been solved by the existing college education curriculum. Accordingly, this study was designed with the expectation that the general changes in the college education system would be required to solve the college’s new roles and responsibilities in the future and that especially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for college students would be the starting point for the changes in the future. In more details, this study would be made in a way that the organizations of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would be compared depending on the operating institution which is dedicated for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for each university, thereby obtaining the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colleg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developmental operation of the college educational curriculum. For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issues were set. First, what kinds of differences are there between the operation institutions for their colleg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Second, what kinds of differences are there in the organization of colleg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between the operation institutions? Third, what is the implication for the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colleg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For the study, the general 4-year colleges across the nation were grouped into different types depending on their establishment, size, and location. The operating institutions were classified by borrowing the standard model on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for the college students suggested by Korea National Institute for General Education, in which the organizing institutions are classified into ① the entities operating like the independent colleges such as undergraduate college or liberal arts college and ② the middle-level entities such as basic education center and liberal arts education centers. The final universities were selected made as follows: University of Seoul, Kyung Hee University, Daejeon University, Handong Global University whose operating entities are in the independent college level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University, Seoul Women’s University and Jeju National University whose organizing entities are in the middle level. For the analysis of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for 8 universities, in the field of general discussion and individual discussion of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goal of college education, goal setting in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required minimum credits, organizing field, required minimum credits and allocated credits for each field and grade standards were selected as the sub-factors of the research analysis frame for the comparis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re are clear difference in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depending on the organizing entities of the college general education and that there are th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It was found that each university has operated its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depending on the philosophy of establishment, vision and education goal and that the goal of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was consistent with the values and role of general education. However, it was found that as for the setting of the required minimum credits, the number of credits for the universities in the level of independent college take up more proportion in the required total credits for graduation than that for universities in the middle level, thus showing the importance of general education in those universiti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as for the organizing fields in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required and allocated credits, the universities in the level of independent college showed the model which was close to the standard model for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for the college students suggested by Korea National Institute for General Education and they had classified the fields in more detailed and refined way and opened the courses proper for them. Thes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role of the entity dedicated for the college general education shall be strengthened and that each university shall make efforts to improve the colleg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research results would contribute to the universities’ training the human resources in rapid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 to do their social responsibilities and construct the hopeful community along with the actual preparation for the future society.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며 야기되는 수많은 사회적, 문화적 변화들은 우리 가 준비할 새도 없이 자연스럽게 생활 속에서 스며들고 있다. 언론에서는 향후 사라지게 될 직업들이 자주 언급되며 산업사회 전반에 대한 변화를 예고함에 따 라 미래에 대한 부푼 기대감보다는 다소 불안하고 걱정되는 마음으로 변화를 관 조할 뿐이다. 대학 역시 이러한 시대적 변화를 보다 주체적으로 맞이하기 위하여 다양한 변 화의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며 새로운 역할과 책임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때이다. 왜냐하면 더 이상 기존의 대학교육과정으로 해결되지 않는 청년들의 지속적인 실업문제와 ‘대학의 종말’이라는 말과 함께 대학의 역할에 대해 의문을 품는 목 소리가 사회 곳곳에서 터져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의 역할과 책임에 대한 고민으로 시작된 질문에 대학 교육과정 전반에서 종합적인 변화가 필요하고 특히 대학의 교양교육과정이 변화 를 위한 시작점이 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에서 진행되었다. 보다 구체적 으로 본 연구는 각 대학의 대학교양교육전담기구의 운영주체에 따른 교양교육과정 편성비교를 통해 대학교양교육과정의 개선 및 대학교육과정의 발전적인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해 내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질문을 설정하였다. 첫째, 대학교양교육과정의 운영주체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운영주체에 따른 대학교양교육과정의 편성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이를 통해 대학교양교육과정의 개선 및 발전을 위한 시사점은 무엇인가? 위의 연구를 위해 대학의 설립, 규모, 지역에 따라 전국의 4년제 일반대학을 유 형화하고 한국교양기초교육원에서 제시한 대학교양기초교육의 표준모델-교양교 육운영주체의 구분기준에서 ① 학부대학, 교양대학 등 독립단과대학 수준의 운영 과 ② 기초교육원, 교양교육원 등 중간수준의 운영주체를 차용하여 분류하였다. 이에 운영주체가 독립단과대학수준인 서울시립대학교, 경희대학교, 대전대학교, 한동대학교와 중간수준인 서울대학교, 고려대학교, 서울여자대학교, 제주대학교를 최종 선정하였다. 그리고 위 8개 대학의 교양교육과정 편성 분석을 위해 교양교육과정의 총론과 각론의 구성요소에서 대학교육목표, 교양교육과정 목표설정, 최소이수학점, 구성영역, 영역별 최소이수학점 배분이수, 학점기준 등을 연구 분석틀의 하위요소로 구성하여 비교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대학의 교양교육 운영주체에 따른 교양교육과정에는 분명 한 차이가 있었고 교양교육의 발전을 위한 시사점이 존재하고 있음을 밝힐 수 있었다. 각 대학들은 대학의 설립이념, 비전, 교육목표에 따라 교양교육과정을 운 영하고 있었으며 교양교육과정의 목표는 대개 교양교육에서 추구하는 가치와 역 할을 내세우고 있었다. 반면 최소이수학점의 설정은 독립단과대학 수준의 대학이 중간수준의 대학보다 졸업학점대비 교양교육의 학점이 많은 비중을 차지함으로써 대학에서 차지하는 교양교육의 중요도를 가늠해 볼 수 있었다. 또한 교양교육과정 내 구성영역과 이에 대한 최소이수학점 배분이수를 둘 때 독립단과대학 수준의 대학들이 한국교양기 초교육원에서 제시하고 있는 대학교양기초교육의 표준모델에 가까운 모습을 보 였으며 보다 구체적이고 세밀하게 영역에 대한 구분과 이에 적합한 교과목이 개설 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대학교양교육전담기구의 역할 강화와 대학교양교육과 정의 내실화를 위해 각 대학이 노력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예 측할 수 없는 사회 변화 속에서 대학이 성숙한 인재를 육성해냄으로써 사회적 역할을 책임 있게 해내고 이를 통해 미래 사회에 대한 실제적 준비와 함께 희망 적인 사회를 건설해 나가는데 일조하기를 기대해본다.

      • 신체 이미지 관련 광고 노출이 광고의 비의도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20대 남성 소비자의 신체 존중감 중심으로

        하지현 서강대학교 영상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주 내용은 남성들의 외모 관심도 증가에 따른 추세를 반영하여 우리나라 남성들도 광고에 나타난 이상적 신체 이미지에 영향을 받을 것이라 가정하고 남성 소비자를 대상으로 이상화된 신체 이미지 광고가 남성 소비자의 신체 존중감에 미치는 비의도적인 효과(unintended consequences)를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그 결과 남성들도 광고에 나타난 이상적인 신체 이미지에 의해 신체 존중감의 변화를 일으켰고, 신체 존중감 변화 과정 중 모델과 차이를 지각하는데 신체 관심도가 조절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의 마지막에는 본 연구가 가진 한계점이 논의되었으며 앞으로 본 논문과 관련된 연구에 대한 방향이 제시되었다.

      •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학생의 학업지연행동의 관계 : 내면화된 수치심과 반추적 반응양식의 매개효과

        하지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학생의 학업지연행동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반추적 반응양식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시 소재 대학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36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형식의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과 SPSS Macro를 통해 변인 간 관련성과 매개효과 검증에 사용되었다.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를 측정하였으며, 부와 모의 데이터를 구분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학업지연행동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부모의 심리적 통제를 높게 지각할수록 자녀의 내면화된 수치심 수준도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학업지연행동으로 이어졌다. 둘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학업지연행동의 관계에서 반추적 반응양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녀가 부모의 심리적 통제를 높게 보고할수록, 부정적 정서에 대한 반응으로써 반추적 반응양식을 더 빈번하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학업지연행동의 증가와 연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학업지연행동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반추적 반응양식의 이중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자녀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반추적 반응양식을 통해 자녀의 학업지연행동을 예측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학업지연행동에 치료적 개입을 위해 상담 장면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반추적 반응양식이 다루어지는 것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 초등학교 저학년 동물 드로잉 교육 연구 : 로웬펠드 창의적 미술교육사상을 중심으로

        하지현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Humans have long been educated for more valuable lives, and Art Education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broadening humans’ perspectives. Art helps contemporary people living in digital age to have more flexible thoughts. For the future of korean society that welcomes multi-culturalism, we need to cultivate competent people who are capable of expressing themselves clearly and are able to approach matters in various perspectives.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below. In the introduction, I discuss the necessity and objectives of this study in relation to the preceding researches and then bring forward the methods and contents. In Chapter two, in order to recognize the value of drawing education, I look into the concept and necessity of it. Drawing Education helps to expand students’ piecemeal perspectives and is suitable for expressing themselves reflected by modern society. Additionally, drawing education is a place where students can express their unconscious thoughts like scribbles of children in a scribbling stage. Accordingly, Drawing education is a chance for children in their developing stage to reflect on themselves and to attempt new things. Repetitive experiments about drawing can stimulate the potential creativity inside of all children. On the other side, in Korea, drawing education has a tendency to be obsessed with exact reproducing of objects and to aim technical improvement only. Through long experience in children’s art education, I understand two following realities of Korean drawing education today. Firstly, although there have been various researches on drawing education on people and space expression, there has been a lack of researches on animal expression. So, I found a need for animal drawing education that can triggered children’s interests instead of focusing only on observation expression. Secondly, through long-term observation on children’s growth, I discovered that children from when they are seven years old change their perspectives on art. From ages four to seven, children experience creative thinking freely, but from seven and onwards, they tend to lose their confidence in art. Excessive obsession with observation expression but the lack of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below the level of it causes the lack of creativity and the dependency of children. Through such observation, in order to change children’s perception that art is boring and in order to develop children’s creativity, I felt there is a great need for a research about authentic drawing education. In Chapter 3, I developed an understanding that the lowenfeld’s creative art education theory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children and I looked into its background. He believed that different appropriate art education is needed depending on the developmental stage of the child, and requested that art become a close friend to the children. He believed that developing through art was the most influential and the only way to develop potential creativity. In Chapter 4, based on the above mentioned background, I created three types of lesson plans. Firstly, I created lesson plan, straying off learning by rote method, that has students observe animals with a magnifying glass and grow confidence in realistic portrayal. The second lesson plan looks into combining various existing animals into a new animal. Through this exercise, children can learn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mixed colors which permits them to think creatively and to avoid coming up with fixed idea of art work. The third lesson plan relies only on listening to stories of animals and expressing through listening. In particular, we tend to treat art education as purely a visual activity, however, through non-visual activities, we can undergo artistic experience, and different activities such as these can change students’ perceptions of art completely. I used these three education programs to conduct classes at Creation Centre B located in Dogok to children of 7 to 9 years old. In Chapter 5, through children’s works, I was able to observe the change in the attitude of students and extent of their interests in classes before and after the classes and was able to prove the necessity of such drawing classes. This study aims for stimulating the children’s hidden creativity and inner senses of human by using Lowenfeld’s art education theory. The objective of contemporary art education is far from promoting excellent artists. Through art, people 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ety and themselves, and interact with their inner sides. Through art, They express their unconsciousness that they have not recognized, and through this exercise people get to learn how to overcome their difficulties called attempt, fail, breakdown, and overcome by themselves. Pursuant to this, drawing education for children before they reach adolescence is an important element. Persistent research and active interest of society in art education centering children’s creativity should be accompanied. 인간은 오래 전부터 보다 가치 있는 삶을 위해 교육받아 왔으며 미술교육은 인간 시계(視界)를 넓게 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미술은 복잡한 디지털시대를 사는 현대인에게 획일화되지 않은 유연한 사고를 갖도록 유도한다. 특히 다문화와 함께 가는 우리나라의 미래사회를 위하여 대상을 다양한 시각으로 접근하며 확고한 자기표현이 가능한 인재양성에 힘써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서론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을 선행연구와 관련 지어 밝혔으며 그 방법과 내용에 대해 제기하였다. Ⅱ장에서는 드로잉교육의 가치를 알아보기 위하여 개념과 그 필요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드로잉교육은 단편적인 사고를 넓게 확장시키며 현대사회에 반영된 자신의 모습을 표현하기에 적절하다. 또한 이는 난화기 아동들의 낙서와도 같이 자기내면의 무의식을 표현할 수 있는 장이다. 따라서 어린이 성장 단계에 스스로를 수면에 비추어보며 새로운 시도를 체험하는 기회가 된다. 이러한 드로잉을 향한 반복적 실험은 곧 모든 아동이 가지고 있는 잠재된 창의성을 무궁무진하게 자극시킬 수 있다. 한편 우리나라에서의 드로잉교육에 대한 인식은 오직 대상을 똑같이 재현한다는 생각에만 치우쳐 있으며 기술적 향상만을 목적으로 한 경향성을 지닌다. 본 연구가의 오랜 아동미술 경험을 통해 아래 두 가지의 현 드로잉교육 실태를 알 수 있었다. 첫째, 많은 선행연구에 따라 인물과 공간표현에 대한 드로잉교육연구는 여럿 있음에도 불구하고 동물표현에 대한 연구가 미흡함을 깨닫게 되었다. 관찰표현에만 치우치지 않고 어린이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동물 드로잉교육의 필요성을 인지하였다. 둘째, 장기간에 걸친 어린이 성장의 관찰을 통해 대체적으로 7세를 기준점으로 하여 미술에 대한 인식이 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전도식기에 해당하는 4세부터 7세까지는 자유롭게 창의적 사고를 구상하던 어린이들이 7세부터는 미술에 대한 자신감이 하락되는 현상을 찾을 수 있었다. 우리나라 미술교육의 관찰표현 압박과 이에 따라가지 못하는 기술력 부족은 아동의 창의적 사고의 부재와 의존적 인재육성이라는 사태를 초래한다. 이러한 현상의 발견을 통해, 도식기 아동들의 미술에 대한 지루한 인식을 바꾸기 위함과 어린이 창의력을 보다 가치 있는 것으로 성장시키기 위한 드로잉 교육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Ⅲ장에서는 로웬펠드의 어린이 창의성 중심 미술교육사상이 우리나라 현 아동들의 다양한 사고 성장에 기여할 수 있는 이론이라 이해하였고 이의 배경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그는 어린이 성장발달단계에 따라 그 시기에 맞는 미술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보았으며 미술을 어린이의 가장 친근한 벗으로 만들어줄 것을 요구하였다. 미술을 통한 어린이 성장을 가장 영향력 있는 것으로 보았고 잠재된 창의력 성장을 위한 유일한 통로라고 이해한다. Ⅳ장에서는 위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하여 총 세 가지의 교수학습지도안을 창안하였다. 첫째, 암기식의 그리기방법에서 벗어나 직접 동물을 돋보기로 관찰하며 사실적 묘사에 대한 자신감을 성장시킬 수 있는 지도안을 창안하였다. 둘째, 현존하는 동물 몇 가지를 자유로이 합쳐 새로운 동물로 통합하는 학습지도안이다. 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혼합색의 개념을 배우며 풍부한 어린이 상상력을 허락하며 고착된 미술작품의 정답을 파괴하려고 하였다. 셋째, 눈으로 보이지 않는 동물이야기를 귀의 감각에 의존하며 듣고 표현하는 드로잉교육 지도안이다. 흔히 우리는 미술교육을 오직 시각적인 것으로만 취급하지만 비시각적인 인간의 감각을 통해서도 미적 체험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색다른 경험이 도식기 학생들의 미술에 대한 인식을 완전히 변화시킬 수 있다고 확신하였다. 이러한 세 가지 교육프로그램을 활용하여 7세에서 9세에 해당되는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직접 수업을 진행하였다. Ⅴ장에서 분석 결과인 학생작품을 통해 학생들의 수업 전 후의 변화와 태도, 학업 흥미도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현 학교 미술현장에 이러한 드로잉 수업의 필요성을 증명하였다. 본 연구는 로웬펠드의 미술교육사상을 활용하여 어린이의 숨겨진 창의력과 인간 내부에 지니고 있는 감각을 자극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현대시대 미술교육의 주 목적은 훌륭한 화가를 육성하고자하는 것과는 거리가 멀다. 미술을 통해 사회와 자신과의 관계를 바라보며 미술을 통해 자기내면과 상호작용을 한다. 미술을 통해 지각하지 못했던 무의식을 표출하며 이러한 활동을 통해 시도, 실패, 좌절, 그리고 극복이라는 인생의 무게를 스스로 이겨낼 수 있다. 이와 같은 의미에서 청소년기에 이르기 전 어린이들의 성장 과정에 드로잉교육은 필수적인 요소이다. 아동의 창의력 중심 미술교육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와 적극적인 사회의 관심이 수반되어야 한다.

      • 영어 서술 형용사의 내재적 타동성의 정도성 연구

        하지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paper is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transitivity for English predicative adjectives. It is assumed in this paper that English predicative adjectives may involve transitivity more or less. To measure the transitivity of 20 English predicative adjectives extracted from COCA corpus, six parameters for transitivity are proposed in this paper, which are based on Hopper and Thompson’s(1980) transitivity scale: kinesis, volitionality, affirmation, mode, agency, the number of participants. The followings are discussed in this paper. First, the adjectives in Dixon’s categories of human propensity are more likely to show the higher degree of transitivity. Second, the presence of transitivity affects the transitivity positively while some adjectives with dynamic prepositional phrase shows opposite results. However, as this study has a few limitations the result should be refined by more researches. First, in this study I only used 100 sentences per predicate, which cannot reflect every trait of the predicate. Also, the evaluation was dependent on COCA not on the native speaker of English, or expert of English language. As the corpus has limited data, this will be refined with next study. Last, in the evaluation process, the context of the sentences are not considered, which might affect the results. 본 연구는 타동성이 정도로 나타난다는 점에서, 동사 뿐만 아니라 서술 형용사 역시 타동성을 갖는다고 보고 서술 형용사에 나타나는 타동성의 정도를 측정하여 보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타동성 척도에 대한 연구들을 정리한 후, 주로 Hopper and Thompson(1980)의 논의에 근거하여 서술 형용사의 타동성 측정 기준을 동작성, 의지성, 참여자 수, 긍정/부정, 양태, 행위자성의 여섯 가지로 제시하였으며, 이를 어떻게 측정할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또한, 서술 형용사의 타동성을 측정하기 위해 영어 코퍼스인 COCA를 사용하여 고빈도 서술 형용사 20개를 추출하여 이에 대해 앞서 제시한 여섯 가지 기준을 통해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에서는 Dixon(2005)가 제시한 어휘 유형들중, 인간적 특징에 해당하는 형용사들이 비교적 더 높은 타동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같은 서술 형용사 구문에서도 보어 역할을 하는 전치사구를 동반할 때 다른 타동성 수치들이 미미하나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예외적으로 동적인 전치사를 주로 동반하는 일부 서술 형용사들은 전치사가 없는 경우 더 높은 타동성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제한점을 갖는다. 첫째, 전체적인 경향을 살펴보기에는 추출한 문장의 수가 각 100문장으로 비교적 적은 수에 속한다. 둘째, 타동성 측정에 있어서 COCA의 자료에 의존을 하였으며, 원어민 언어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충분한 공신력을 갖지 못한다. 마지막으로 문장 분석에서 대명사의 맥락에 대해서는 적절한 고려를 하지 못했다. 따라서, 이러한 한계점들을 보완한 차후 연구가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