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여성직장인의 음주행동 영향요인 연구 : 성역할, 직장음주문화를 중심으로

        하지선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nder-role(sex-role identity and hyperfemininity) and drinking behavior among Korean female employees, and examine the moderate effect of workplace drinking subculture on those relationship.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210 Korean female workers in Gyeonggi-do who were in department of sales and manufacture. Drinking behavior was measured by AUDIT(Alcohol Use disorder Identification Test). Workplace drinking subculture was measured by 'support for alcohol consumption' of 'Your Workplace'. Sex-role identity was measured by Korea Sexual Role Inventory. Hyperfemininity was measured by Hyperfemininity Scale. Making use of SPSS 11.5 statistical,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conducting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primary results in this study are as following ; First, in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drinking behavior has significantly discriminative positive correlation with hyperfemininity variable and workplace drinking subculture variable. However the same positive correlation did not come out of Sex-role identity variable. Second, in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yperfemininity had significant effects on women employees' drinking behavior. As Hyperfemininity variable rises, the level of drinking behavior does effectively(same as hazardous drinking subvariable, dependent drinking subvariable, harmful drinking subvariable). Third, in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orkplace drinking subculture had significant effects on drinking behavior. As workplace drinking subculture variable rises, the level of drinking behavior does effectively(same as hazardous drinking subvariable, dependent drinking subvariable, harmful drinking subvariable). Workplace drinking subculture variables showed relatively a higher tendency to effect on drinking behavior. Fourth, workplace drinking subculture had moderate effect to relationship between hyperfemininity and 'dependent drinking(subvariable)'. Based upon the results, suggestion for the social work are as the following; First, Assessment for Women Employee's Drinking Prevention Program consider hyperfemininity and workplace drinking subculture. And individual and group program in Women Employee's Drinking Prevention Program should develop with hyperfemininity and workplace drinking subculture. Second, In case of workplace which has higher level of drinking subculture, intervention should perform focused on higher hyperfemininity women employees. Third, women-friendly dining together as well as leisure culture in the firm should develop and spread. Forth. professional educational program should be provided to check and encourage gender-role, in a broad sense it needs a movement which goes over a stereotype of general gender-role socialization process. 최근 점차 증가되는 여성 직장인의 음주율과 문제음주의 실태를 통해 여성 직장인의 음주예방을 위한 사회복지실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직장인을 대상으로 하는 음주 예방 프로그램의 몰성적 경향은 여성 직장인에 초점을 맞추는 사회복지실천에 한계점으로 작용해왔다. 이에는 그간 여성의 음주행동을 이해하는데 있어 남성중심의 연구결과를 일반화해서 적용시키거나 남녀의 생물학적 특징만을 기반으로 한 임상적 차이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어왔던 경향도 한 몫 해왔다. 하지만 최근 이와 같은 연구경향에 대한 자성으로, 여성음주행동에 대한 이해에 있어 여성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시키고자 하는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다. 그러나 이에도 여성의 개인 심리적 요인에만 초점을 두는 연구들이 주를 이루어 좀 더 폭넓은 관점에서 여성음주행동을 이해하는 시도가 요망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관점으로 사회문화적 관점을 적용하여 여성 직장인의 음주행동에 미치는 요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따라서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남성과 여성의 음주행동의 차이를 설명하는 요인으로 최근 대두되고 있는 성역할요인과 직장인의 음주행동 수준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되고 있는 직장음주문화요인을 여성 직장인을 대상으로 검증하는 데에 연구 목적을 두었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여성 직장인의 성역할은 이들의 음주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둘째, 직장음주문화는 여성 직장인의 음주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셋째, 성역할과 직장음주문화의 상호작용은 여성 직장인의 음주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자료 수집을 위해 경기 지역에 위치한 영업 및 생산직 종사자 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여성 직장인의 음주행동을 측정하기 위해서 알코올사용장애선별도구(AUDIT)를 사용하였다. 직장음주문화는 Your Workplace의 ‘알코올 소비에 대한 지지’에 해당하는 문항을 추출하여 측정하였다. 성역할은 성역할정체감(남성성유형, 여성성유형)과 여성성과잉(hyperfemininity)으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성역할정체감 측정을 위해서는 성역할정체감도구(Korea Sexual Role Inventory)를 사용하였으며, 여성성과잉의 측정을 위해서 여성성과잉척도(Hyperfemininity Scale)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1.5를 이용하여 백분율, 빈도, 평균과 표준편차, 상관관계분석(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위계적다중회귀분석(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수분석 결과, 조사응답자 집단은 정상음주군으로 나타났으나, 기존연구들에서 보여지는 여성 직장인의 문제음주율보다 높은 문제음주율을 보이는 집단이었다. 성역할정체감의 경우, 여성성유형의 점수가 남성성유형 점수보다 비교적 높은 집단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여성성과잉(hyperfemininity)의 경우, 기존 연구대상(여대생)보다 높은 여성성과잉 점수를 보여 전통적 여성 성역할을 비교적 높게 수용하는 집단으로 볼 수 있었다. 직장음주문화점수는 선행연구(권구영, 2004)와 비교해 볼 때, 음주행위에 자주 동참하며, 원하지 않는 음주를 경험하는 비율이 높으며, 근무 중 음주비율도 높은 것으로 결과도출 되었다. 둘째, 변수간의 상관관계분석을 통해 여성성과잉(hyperfemininity)의 정도가 음주행동과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여성성과잉과 음주행동 간 상호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 직장음주문화의 정도와 음주행동도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여성 직장인들에 대한 개입 시 여성성과잉, 즉 고정화된 여성 성역할고정관념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더불어 허용적인 직장음주문화 폐해에 대한 고려의 당위성을 시사한다. 셋째, 주효과분석에서 여성성과잉정도가 높아질수록 그리고 직장음주문화의 정도가 높아질수록 음주행동의 수준이 유효하게 높아지는 주효과를 보였다. 이는 음주행동 하위변인인 위험성음주, 유해성음주, 의존성음주 변인 모두에 해당되었다. 이로써, 높은 여성성과잉정도와 허용적인 직장음주문화는 여성 직장인의 음주행동의 수준을 높이는, 즉,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여성 직장인에 대한 음주문제예방을 위한 실천에 있어 관련요인의 수준을 낮추는 방향으로 개입전략이 수립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넷째, 상호작용효과 분석에서 여성성과잉과 직장음주문화와의 상호작용은 여성 직장인의 ‘의존성음주(하위변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직장음주문화의 수준에 따른 집단비교 분석을 실시한 결과, 직장음주문화가 허용적인 집단인 경우, 여성성과잉변수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의존성 음주정도를 매우 높이는 것으로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는 허용적인 직장음주문화를 가진 직장 내 높은 여성성과잉 여성에 대한 초점화된 접근이 필요함을 의미하며, ‘의존성음주’변인의 수준을 증가시키지 않는 방향으로 환경과

      • 정신보건센터 사례관리 실천의 조직화에 관한 제도적 문화기술지

        하지선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a research that investigated organization of case management practice at a mental health center in order to understand practice experiences of case managers at the mental health center. In preceding studies, case management was used as the reason variable or the dependent variable, or case management practice experience was interpreted as it is, hence its organization aspect was not investigated. For organization research of case management practice, this study applied the research method of Institutional Ethnography, and analyzed work knowledge and texts data which were obtained through field work that lasted 3 months with 11 study participants. The analysis is not interpretation of the researcher, but it is work that assembles work knowledge of field workers until they reach discovering institutions that organize case management practice. As a result of this study, case management practice of the mental health center was being standardized as ‘a service that is biased towards symptom management without comprehensive and continual resources links’ by new public management theory, bio-medicine discussion, 'standardization policy', 'treatment rate improvement policy', 'performance-based budget system',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and 'continual linkage policy', mediating texts. This is a different outcome from usefulness of case management that is claimed to support politically. Case managers are experiencing helplessness and uncertainly, despite doing their best to conduct case management practice. The following is when a detailed aspect of organization of case management practice is gradually proposed according to stages of case management practice. Text coordination of ‘Protocol-Seoul Mental Health Information System-CANSAS-management level classification', from the standardization policy of Seoul that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management efficiency” of the new public management theory, and along the adjustment of these texts, field workers are forced with detailed work guidelines and application of computer network. The <need and assessment stage> of case management process hereby has a characteristic that lays stress on the procedure of texts while violating value or goal of case management that plans service centered around customers’ needs. In addition, through text coordination of ‘treatment rate improvement policy-policy strategy of triage system construction-protocol-SMHIS-field texts’ that refers to bio-medicine discussion, <management classification stage> of case management practice is standardized in a way that the service is intensively delivered when medical needs are lacking, and in a way that the direct involvement stage of case management practice is focused to symptom management. From the performance-based budget system and the contact-centered evaluation system that are supported by ‘the principle of serious consideration of performance’ of the new public management policy, text of ‘business plan-case management target amount’ was created, and by the medium of this text, the <direct involvement> stage of case management practice is pressured to achieve case management target amount, hence it spends a long time completing SMHIS record and evaluation report so that is standardized in a way that not much time is taken in meeting a mental patient in a mental health center. In addition, at the <direct involvement> stage, case managers bring texts that assume bio-medicine rehabilitation sequence and advice mental patients of mental health centers. This leads to the nature of practice to pay attention to medical needs of mental patients, and have a characteristic of symptom monitoring. Meanwhile, concrete support policy for connection to welfare resources is omitted in the continual support policy that is based on bio-medicine discussion. Instead, rehabilitation support is proposed while limiting the support to connection to psychiatric rehabilitation centers. However, due to unreality of bio-medicine rehabilitation sequence, even the connection to Psychiatric Rehabilitation Centers is not being delivered properly, hence case managers that observes poor lives of members in the field, are fighting to fulfill welfare resource, even personally. Such organization aspect of case management practice is becoming a phenomenon that appear translocally by making tasks to be processed through the same protocol and mental health computer network in all mental health centers of Seoul, due to the principle of management efficiency of the new public management theory. 본 연구는 현 정신보건센터 사례관리자들이 사례관리를 수행하면서 겪는 무력감과 불확실성의 실천 경험을 이해해보고자 사례관리 실천의 조직화를 탐구한 연구이다. 기존 연구들은 사례관리 실천을 원인 변수나 종속 변수로 다루거나 연구자의 관점에서 사례관리 실천 경험 자체를 해석해버림으로써 그 조직화 양상을 탐구하지 못하였다. 이 논문은 Dorothy Smith(2005)가 주창한 제도적 문화기술지의 사회이론을 기반으로 텍스트를 핵심으로 하는 사례관리 실천의 조직화를 탐구함으로써 기존 논문들과 차별성을 갖는다. 본 연구는 제도적 문화기술지의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사례관리자들의 ‘입장’으로부터 연구를 시작 하고 11명의 연구 참여자와 3개월간의 현장관찰을 통해 얻어진 실천가들의 일 지식(work knowledge)과 텍스트(texts)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은 연구자의 해석이 아니라 사례관리 실천을 조직화하는 제도를 발견하는 데에 이르기까지 현장 실천가들의 일 지식을 이어 맞추는 작업이다. 연구 결과는 세 가지 부분이다. 첫째, 신공공관리론에 입각한 표준화 정책, 생의학 담론에 입각한 치료율 향상 정책과 트리아지 시스템 구축 전략, 프로토콜, 서울시정신보건전산망, 욕구 사정표와 절차, 관리 구분 양식들 간의 텍스트 조정 양상을 검토하였다. 이로부터 정신질환자 회원의 다양한 욕구를 기반으로 개입 계획이 수립되기 보다는 주어진 텍스트의 절차를 따라 규격화된 욕구를 기반으로 획일화된 개입 계획이 세워지되, 의료적 개입이 필요한 회원들에 인력 및 자원이 주요하게 투입되도록 조직화되는 사례관리 실천의 양상이 드러났다. 이는 클라이언트 욕구 중심 실천이라는 사례관리 실천의 가치와 간극을 갖는다. 둘째, '직접개입'의 과정은 생의학 담론의 조정으로부터 증상 모니터링의 성격을 띠게 되었다. 더불어 신공공관리론의 성과 중시의 원칙으로부터 형성된 성과주의 예산 체계, 성과 평가 체계, 사례관리 목표량, 성과 관리 평가 지표들, 정신보건 전산망, 평가 보고서등의 성과관리 텍스트들의 조정으로부터, 사례관리자들은 접촉량 중심의 실적을 쌓는데 압박 받아 정신질환자 회원들과 피상적인 관계를 맺게 되었다. 이는 클라이언트와 밀접한 관계를 토대로 변화하는 욕구를 민감하게 포착하고 이에 기민하게 대처하며 클라이언트의 다양한 욕구에 포괄적인 지원을 수행한다는 사례관리의 통상적인 특성과는 다른 양상이다. 마지막으로, 생의학담론에 입각한 치료율 향상 정책, 인프라 기능 분할 정책, 연속적 서비스 정책, 프로토콜, 정신보건 전산망 간의 텍스트 조정으로부터 사례관리 실천의 간접개입의 조직화 양상이 검토되었다. 비현실적인 생의학 담론 재활 시퀀스를 담지 함으로써 사회복귀시설로의 연계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복지자원 연계와 관련한 정책과 전략, 현장 텍스트들은 생략되어 있거나 활발히 작동되지 않는 상태로 사례관리자들은 조직적 지원 없이 자원 연계를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었다. 단순하고 임의적이며 비체계적인 자원 연계가 이루어지고 있어 자원 발굴과 조정을 핵심으로 하는 사례관리 실천의 고유한 특성이 위배되고 있었다. 즉 정신보건센터 사례관리 실천은 신공공관리 이론, 생의학 담론을 두 축으로 이들이 상호 결합된 채로 표준화정책, 치료율 향상 정책, 성과주의 예산방식 체계, 성과 평가 체계, 인프라 분할 및 연속적 연계 정책, 프로토콜, 정신보건전산망, 현장 텍스트들의 조정으로부터 ‘포괄적·연속적인 자원연계'가 이루어지지 않은 채 '증상관리에 편향된' 서비스로 표준화 되고 있다. 매일 최선을 다해 사례관리를 수행함에도 불구하고 사회구성원으로 살아가지 못하는 정신질환자 회원들을 보면서 사례관리 실천에 무력감과 불확실성을 겪는 사례관리자들의 경험은 바로 제도적으로 조직화되는 사례관리 실천의 실제적인 성격 때문임을 알 수 있다. 이는 그간 정책적으로 표방되어 온 사례관리의 유용성과는 다른 양상이다. 본 연구의 결과가 갖는 함의는 크게 두 가지 이다. 하나는 제도적문화기술지 연구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연구 참여자들을 객관화시키지 않고 현장과 동떨어지지 않는 사례관리 실천에 관한 지식을 산출 하였다는 데에 있다. 다른 하나는 정신보건 사례관리 실천의 지원에 대한 정책의 민낯을 직시하고, 사례관리에 대한 새로운 논의를 촉구하였다는 데에 있다. 이에는 생의학담론, 효율담론, 의료집단의 힘, 관리주의에 대한 주목과 이들 담론과 힘의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텍스트의 변화, 사례관리의 지향성에 대한 재논의가 포함된다.

      • 공공스포츠시설의 서비스품질과 고객만족 및 고객애호도의 관계

        하지선 경기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공공스포츠시설의 서비스품질과 고객만족 및 고객애호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즉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과 고객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고객만족이 고객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며, 나아가 이들 변인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05년 현재 경기도 소재 공공스포츠센터에 입회하여 운동하고 있는 회원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였으며, 집락무선표집법(cluster random sampling method)을 활용하여 250명을 표집하였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의 신뢰도는 .751-.928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설문지의 신뢰도가 비교적 높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한 통계기법은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신뢰도분석(reliability analysis),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 경로분석(path analysis) 등이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해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공공스포츠시설의 서비스품질은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친다. 즉 서비스품질이 좋을수록 고객만족 또한 높다. 둘째, 공공스포츠시설의 서비스품질은 고객애호도에 영향을 미친다. 즉 서비스품질이 좋을수록 고객애호도 또한 높다. 셋째, 공공스포츠시설의 고객만족은 고객애호도에 영향을 미친다. 즉 고객만족이 높을수록 고객애호도 또한 높다. 넷째, 공공스포츠시설의 서비스품질은 고객만족 및 고객애호도에 직간접적 영향을 미친다. 즉 서비스품질은 고객애호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고객만족을 통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고객만족은 서비스품질과 고객애호도의 관계를 강화시켜 주는 중요한 매개변인임을 알 수 있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 보면,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 및 고객애호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은 이론적·경험적으로 타당하다고 볼 수 있다. 고객애호를 높여 사회체육을 진흥시키기 위해서는 고객만족 경영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서비스품질을 개선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to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quality and consumer satisfaction and consumer loyalty in the public sports centers. Specifically, this study was to test, compare 1) the influence of service quality on the consumer satisfaction, 2) the influence of service quality on the consumer loyalty, 3) the influence of consumer satisfaction on the consumer loyalty, 4) the casual influence of service quality on the consumer satisfaction and loyalty. To attain the goal of the study described above paragraphs, the members of public sports centers located in Kyonggi Do, 2005 year were set as a collected group. Then, using the cluster random sampling method, finally drew out and analyzed 250 people in total. The scale us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item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rvice quality, consumer satisfaction, consumer loaylty. The material collection device was the brochure named <the survey on service quality, consumer satisfaction, and consumer loyalty>. The result of reliability check up was here below; Chronbach' α=.751~.928. To analyze material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were used as statistic analysis techniques. The conclusion based on above study method and the result of material analysis are here below. First, the service quality influence on the consumer satisfaction. Namely, the more service quality, the more consumer satisfaction. Second, the service quality influence on the consumer loyalty. Namely, the more service quality, the more consumer loyalty. Third, the consumer satisfaction influence on the consumer loyalty. Namely, the more consumer satisfaction, the more consumer loyalty. Fourth, the service quality influence on the consumer satisfaction and loyalty.

      • 체험형 전시물이 중학생들의 관람행동 및 지식상태에 미치는 영향

        하지선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A science museum can be defined as a facility that preserves and exhibits the scientific/technical materials, disseminates scientific and technical knowledge for all people, and fosters the scientific spirit and ability to search. Recently, with a growing interest in Non-formal education, an educational function of the science museum is increasingly emphasized. An education type taken in the science museum is mainly Free-Choice Learning which the individual student could learn in accordance with their decisions, and the most important thing in factors influencing this Free-Choice Learning is the exhibit.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exhibit in the science museum takes the most important part in the education conducted at this museum. Exhibit of the science museum could be classified by many different ways, but generally, it is sorted into Participatory exhibit such as a working model, realia or event, and Non-Participatory exhibit like a panel or mock-up. And several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on middle school students’ viewing behaviors depending on the exhibit type of the science museum (Participatory exhibit/Non-Participatory exhibit); they spent more time and showed higher concentration on Hands-on exhibit than Non-Hands-on exhibit. While middle school students are learning science, psychological factor plays a big part in composing a hierarchy of knowledge. Accordingly, viewing behavior, which is the result of psychological factor experiencing in the science museum, becomes an important factor in composing a hierarchy of knowledge. This research aims to verify an effect of Hands-on exhibit, by analyzing the students’ viewing behaviors and knowledge states Analysis depending on Hands-on exhibit/Non-Hands-on exhibit through a field learning in the science museum, and with the result, to enhance the educational effect of Participatory exhibit by investigating the close correlation among Exhibit, Viewing behavior and Knowledge state. In order to analyze the viewing behavior of middle school students, exhibits in Physics section of Gwacheon National Science Museum and National Science Museum were sorted into Participatory and Non-Participatory exhibit. And based on experiencing frequency and Hands-on time at each exhibit, students’ viewing behaviors were analyzed in terms of immersion and persistence level. To see change in Knowledge States Analysis of middle school students, four similar viewing-behavior patterns were grouped, after analyzed the immersion and persistence level. 'Force and Motion’ and ‘Frictional Electricity’ units which contain Hands-on exhibit more than Non-Hands-on exhibit were classified as an Unit of Hands-on exhibit, while ‘Light and Wave’ and ‘Heat’ units which contain Participatory exhibit less than Non-Participatory exhibit were classified as an Unit of Non-Hands-on exhibit. And to verify change in knowledge states Analysi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questions for units developed by Kim Seokcheon(2008) were extracted in accordance with middle school curriculum to make a test sheet. By using this test sheet, the pre-test was conducted prior to the field learning at Science museum, and then, the post-test was also conducted after the field learning at Science museum. For the result of test, the numbers of right hierarchy column & answer were scored and the change in knowledge states Analysis of four groups was verified through a comparison between pre-and post-test.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higher immersion and persistence level in Hands-on exhibit, than Non-Hands-on exhibit. In other words, they experienced Hands-on exhibit more than Hands-on exhibit, and also spent more time in Hands-on exhibi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middle school students’ knowledge in physics was systematized and structuralized better in the unit of Hands-on exhibit, than that of Non-Hands-on exhibit. The result of this research has important implication on exhibit-making that could give positive effect on education at science museum, by raising the effect on viewing behavior and knowledge state with the proper exhibit type. The exhibit in Science museum should be made as the Hands-on-typed one so that it could improve students’ immersion and persistence level. And if consult the analysis of students’ knowledge state when make the Hands-on exhibit, it would be possible to improve the educational function of Science museum by developing the scientific mind and searching ability. 과학관은 과학 및 기술의 자료를 수집, 보존, 전시하며 모든 사람을 위한 과학?기술지식을 보급하고 과학의 정신과 탐구능력을 함양하는 시설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최근 비형식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비형식 교육의 장(場)인 과학관의 교육적 기능이 강조되고 있다. 과학관에서 주로 이루어지는 교육의 형태는 학생의 선택에 따라 학습하는 자유선택학습(free-choice learning)이고, 자유선택 학습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은 전시물이다. 따라서 과학관의 전시물은 과학관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과학관의 전시물은 학자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되는데, 방문객의 관람 형태에 따라 체험형과 비체험형 전시물로 분류되기도 한다. 과학 학습에 있어 중학생들은 지식의 위계를 구성하는데 있어 심리적인 요인이 크게 작용한다. 따라서 과학관에서 경험하는 심리적인 요인의 결과인 관람행동은 지식의 위계를 구성하는 데 있어 중요한 요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관 현장체험학습을 통해 전시물-관람행동-지식상태의 유기적인 연관성을 밝혀내어 체험형 전시물과 비체험형 전시물의 교육적 효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국립과천과학관과 국립중앙과학관의 물리 영역 전시물을 체험형 전시물과 비체험형 전시물로 구분한 다음 학생들이 각 전시물을 체험한 빈도수와 체험한 시간을 기준으로 관람행동, 즉 흡입력과 지속력을 조사?분석하였다. 관람 전?후 학생들의 지식상태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흡입력과 지속력 등 관람행동이 서로 비슷한 네 개의 그룹을 만들었다. 그런데 학생들의 지식상태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한 단원의 전시물이 모두 체험형이거나 비체험형인 경우가 가장 바람직할 것이나 실제로 과학관 전시물의 구성은 그렇지 못하기 때문에, 물리 영역을 ‘체험형 전시물 단원’ 과 ‘비체험형 전시물 단원’ 으로 구분하였다. 비체험형 전시물에 비해 체험형 전시물이 많은 ‘힘과 운동’ , ‘마찰전기’ 단원을, ‘체험형 전시물 단원’ 으로 정하고, 비체험형 전시물이 더 많은 ‘빛과 파동’ , ‘열’ 단원을, ‘비체험형 전시물 단원’ 으로 정했다. 학생들의 지식상태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김석천(2008)이 개발한 문항을 본 연구의 조사 대상인 중학교 영재학급 교육과정에 부합하는 내용으로 검사지를 재구성하였다. 동일한 검사지를 이용하여 과학관 현장체험학습 전과 후에 각각 사전검사,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결과를 지식상태도에서 바른 위계 줄기 수와 정답 수로 점수화하고, 이를 통해 네 개 그룹의 지식상태 변화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비체험형 전시물보다 체험형 전시물에 더 높은 흡입력과 지속력을 보였다. 즉, 학생들은 비체험형 전시물보다 체험형 전시물을 선호하였으며, 체험한 시간도 길었다. 또한 ‘비체험형 전시물 단원’ 에 비해 체험형 전시물이 많은 ‘체험형 전시물 단원’ 에서 학생들의 물리 지식이 체계화되고 구조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시물 유형에 따른 관람행동과 지식상태 변화에 대한 효과를 조사?분석한 본 연구 결과는, 과학관 전시물은 학생들의 흡입력과 지속력을 높이고 지식상태를 구조화?체계화 시킬 수 있는 체험형 전시물로 제작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 한국 선교사 자녀 교육 방안 연구 : 홈스쿨링을 중심으로

        하지선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세계 선교는 기독교의 중심이 서구에서 비서구로 옮겨 가면서 그 어느 시대보다 급속한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이런 변화 속에서 세계를 향한 한국 선교의 성장을 살펴보면, 선교사 자녀 교육의 문제와 아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게 된다. 선교사들이 선교지에서 장기적인 비전과 사역을 온전히 감당하기 위해서는 선교사 자녀 문제가 해결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그동안 한국 선교에서 소홀하게 다루어졌던 현재 우리 세대에게 주어진 선교의 과제 중 하나인 선교사 자녀 교육의 문제에 대해 살펴보고 방안을 제시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또한 그 방안으로는 하나님의 선물인 자녀가 가능하면 부모와 함께 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여, 선교지에서 자라는 선교사 자녀를 올바르게 양육하고 교육하는데 홈스쿨링을 제안하였다. 첫째, 선교사 자녀들은 타문화권인 선교지에서 자신의 어린 시절과 그 이후까지 지내게 된다. 부모가 선교사이기 때문에 함께 선교지에 갈 수 밖에 없는 선교사 자녀들이 겪게 되는 일들과 특징을 통해 선교사 자녀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돕고, 선교사 자녀 교육이 선교 사역의 중요한 영역이 되어야 할 필요성에 관한 내용을 전개하였다. 둘째, 선교지에서 선교사 자녀가 선택할 수 있는 교육 형태는 나라와 지역에 따라 결정하게 되는데, 선교사 자녀가 선택할 수 있는 학교 교육 기관과 선교지에서 선교사 자녀들이 겪게 되는 문제들을 사랑으로 지지해 주고, 이해해주는 돌봄 교육 사역과 선교지에서 선교사 자녀 교육 현실의 문제점과 대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셋째, 가정은 하나님께서 인간에게 주신 선물 중에 매우 소중한 것이다. 하나님께서는 가정을 통하여 창조사역을 계속 이어가도록 계획하셨는데, 학교를 보내지 않고, 부모들이 직접 자녀들을 교육하는 제도인 홈스쿨링이 시작된 배경과 역사 그리고 홈스쿨링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가능성과 한계점에 대해 살펴보았다. 넷째, 홈스쿨링의 성경적 근거를 알아보고, 선교지에서 끊임없이 생기게 되는 선교사 자녀 교육의 문제와 기존에 연구되었던 홈스쿨링 유형과 커리큘럼을 살펴보았다. 더불어 선교사 자녀에게 좋은 신앙을 물려주고, 참된 그리스도인으로 성장하도록 도울 수 있는 선교사 자녀 교육방법으로 홈스쿨링을 제안하였다. 선교사 자녀에게 기독교 교육철학에 근거한 기독교 세계관을 심어줄 수 있는 한국 커리큘럼 개발이 시급하다. 미국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 한국에서 나오는 커리큘럼 개발이 빨리 이루어져 선교사 자녀에게 교육을 할 수 있다면, 앞으로 한국 교회와 선교단체의 선교의 지속성과 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홈스쿨링을 통해 건강한 교육을 받은 선교사 자녀가 자라서 선교 사역에 헌신을 하게 되면 그 효과가 놀랄만한 것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을 통해 미전도 지역 오지를 향한 선교의 마음을 가지고 있는 선교사 가정들이 있다면, 과감하게 자녀 교육의 문제를 결단하고 선교지에 들어가 하나님 나라를 이루어 나가게 되길 기대해 본다. Nowadays, world mission is undergoing a rapid change as the center of Christianity moves from the West to the East. When we look into the growth of Korean missionary works during this era, we find out there is a big issue that is closely related to missionary children's education. This issue should be solved in order for missionaries to do their missionary works in the long term. This paper is intended to study the missionary kids' education that has been treated lightly in the history of Korean mission. Furthermore, it is intended to suggest homeschooling as one of the effective educational approach for missionaries to nurture and educate their children in the view that children, God's gifts, should be with their parents as far as possible. Firstly, this paper explains why missionary kids' education is important in missionary works. Missionary kids have to accompany their parents to the mission site and spend most of their childhood in other cultures. This paper is intended to help people understand them better by looking at their characteristics and experiences as missionary kids. Secondly, in the mission site, possible types of education for missionaries depend on where they stay. Therefore, this paper looks into the possible choices - formal types such as school and informal types such as "caring and education mission" including substitutive parent, dorm parents, and hostel mission. In addition, the paper also examines the practical problems of education that missionary families could face in the mission site and the solution for those problems. Thirdly, family is a precious gift of God and he planned that we continue the ministry of creation through our family. In this context, this paper studie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homeschooling which means the education given by parents in a family and its advantages and limits. Fourthly, this paper looks into the biblical background of homeschooling and its types and curriculum. Moreover, it is intended to suggest homeschooling as a solution for the problem of children's education which missionaries face constantly in the mission site and as an educational method that helps missionary kids grow as real Christians.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Korean curriculums which instill in missionary kids the Christian world view based on Christian educational philosophy. If we can educate them with the Korean curriculum which is not developed in the U.S.A., it could influence the stability and durability of the mission of Korean churches and Christian mission organizations. It is because if well educated missionary kids through homeschooling do mission works when they grow up, its effect would be amazing. Furthermore, this paper is intended to help missionaries who feel a sense of duty towards an unevangelized area but also have worries regarding their children's education to decide to go to that mission site and build the kingdom of God the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