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골의 거대세포종양의 재발과 면역조직화학적 표지자(MCM3, Ki-67 그리고 HH3)의 발현율과의 연관성

        하종경,정훈,김용주,이관희,최경업,Ha, Jong-Kyoung,Jeong, Hoon,Kim, Yong-Ju,Lee, Kwan-Hee,Choi, Kyoung-Eob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7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3 No.2

        목적: 골의 거대세포종양의 재발과 면역조직화학적 표지자와의 연관성을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골에서 유발된 거대세포종양 10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6명은 남자, 4명은 여자였다. 모든 환자는 수술 전 생검을 통해 확진 후 수술을 시행하였다. 방사선학적 분류는 Enneking grading system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면역조직화학적 연구를 위해 MCM3, Ki-67 그리고 HH3 표지자가 사용되었다. 면역조직화학적 검사는 Microarray block을 사용하여 시행하였다. 결과: 10례 중 3례(30%)에서 같은 위치에서 재발되었다. 재발된 3례 중 2례는 방사선학적 단계 상 단계 2였고, 1례는 단계 1이었다. 면역조직화학적 표지자의 발현율이 방사선학적 단계 1보다 2, 3에서 증가되었다. 하지만 결과의 일관성이 없어 세포 증식율과 방사선학적 단계의 연관성은 판별하기 어렵다. 평균 MCM3 표지자의 발현율은 재발하지 않은 종양에서 11.2%, 재발한 종양에서 7.2%였다. Ki-67은 12%, 8.9% 였고, HH3는 66.9%, 75.4%였다. MCM3 와 Ki-67 표지자는 재발한 종양에서 오히려 감소된 결과를 보여 재발율과는 연관이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HH3표지자는 재발한 종양에서 증가된 소견을 보여 거대세포종양의 재발과 연관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결론: 본 연구는 면역조직화학적 표지자 중 HH3표지자가 거대세포종양의 재발 가능성을 판정하는데 기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association of giant cell tumors recurrence between markers of proliferation cells (MCM3, Ki-67 and HH3) Materials and Methods: Ten case of giant cell tumor of bone were reviewed. The patients were six males and four females (mean age: 33 yrs). All patients were done operation after biopsy. The radiologic grading was determined according to Enneking grading system. The immunohistochemical stains of MCM3, HH3, and Ki-67 were done with Microarray block. Results: The three cases of 10 cases (30%) were recurred at same sites. Two case of recurrence was grade II according to radiologic features. The remaining case was grade I. The expression rate of immunohistochemical markers in radiologic grade 2 and 3 were more increased than grade 1. But there was not association between radiologic grading and proliferation of tumor cells because result data was not coherence. Mean MCM3 labeling index of non-recurred case was 11.2%, recurred case was 7.2%. Ki-67 was 12% vs. 8.9%, respectively and HH3 was 66.9 % vs. 75.4%, respectively. Thus there was no association between local recurrence and immunohistochemical Ki-67, MCM3 expression rate. But HH3 marker expression rate was increased in recurred cases compared to non-recurred cases. Conclusion: Our study suggests that HH3 immunohistochemical marker can be a useful prognostic factor.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성인의 슬개골에 발생한 아급성 골수염

        김용주,정훈,하종경,이관희,이세형,Kim, Yong-Ju,Jeong, Hoon,Ha, Jong-Kyoung,Lee, Kwan-Hee,Lee, Se-Hyung 대한관절경학회 2009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3 No.1

        Subacute osteomyelitis of the patella is a very rare condition and its diagnosis is delayed because of its rarity and variable presentation. This is a report of a case of osteomyelitis of the patella in an adult. 슬개골에 발생한 아급성 골수염은 매우 드문 질환이며 그 임상 양상이 다양하여 진단이 지연되는 경우가 많다. 저자들은 성인의 슬개골에 발생한 골수염의 예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 견봉하 충돌증후군에서 견봉하 점액낭의 염증 정도와 견봉의 모양 및 통증과의 연관성

        이관희,김용주,정훈,하종경,이우진,Lee, Kwan-Hee,Kim, Yong-Ju,Jeong, Hoon,Ha, Jong-Kyoung,Lee, Woo-Jin 대한관절경학회 2009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3 No.1

        목적: 견봉하 충돌증후군에서 견봉하 점액낭의 염증과 견봉 모양 및 통증과의 연관성을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견봉하 충돌증후군으로 수술을 시행 한 24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18명은 남자, 6명은 여자였다. 평균 나이는 58.3세(44-71세)였다. 모든 환자는 수술 중 관절경 칼을 사용하여 $1{\times}1cm$크기의 견봉하 점액낭을 채취하여 조직검사를 시행하였다. 견봉 형태에 대한 방사선학적 분류는 Bigliani grading system에 의하여 평편형, 곡선형, 갈고리형으로 분류하였다. 환자의 통증 정도는 VAS(visual analog scale)에 의해 측정하였다. 병리조직학적으로 8가지 병리학적 인자를 사용하여, 점액낭의 염증을 급성 및 만성 분류하였고, 염증의 정도는 field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사용하여3단계(mild, moderate, severe)로 분류하였다. 결과: 총 24례 중 병리학적으로 단계 1에 해당하는 증례는 9례, 단계 2는 15례였다. 단계 3에 해당하는 증례는 없었다. 병리학적 단계 1에 해당하는 증례 9례중 방사선학적 분류상 곡선형에 해당하는 경우는 6례, 갈고리형은 3례였다. 또한 병리학적 단계 2에 해당하는 증례 15례 중 방사선학적 분류 곡선형은 5례, 갈고리형은 10례였다. 환자의 견관절 통증 정도는 병리학적 단계 1에서 7점, 단계 2에서 8점이었다. 통계학적 분석 상, 병리학적 단계와 견봉의 형태와는 통계학적 의의가 있었다(p<0.05). 하지만 견관절 통증과는 연관성이 없었다(p>0.05). 결론: 본 연구는 견봉하 충돌증후군에서 견봉하 점액낭의 염증 정도와 견봉의 형태와는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점액낭의 염증 정도와 환자의 통증과는 연관성이 없었다. Purpose: To evaluate the association of subacromial bursa inflammation with acromial shape and shoulder pain in subacromial impingement syndrome. Materials and Methods: 24 cases with subacromial impingement syndrome were reviewed. Eighteen patines were males and six females(mean age: 58.3 yrs). During arthroscopic operation, the specimens were taken from subacromial bursa with arthroscopic knife($1{\times}1$ cm size). The shape of acromion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Bigliani grading system. The shoulder pain of patients was graded with visual analog scale (VAS). The grade of inflammation was classified to the pathological three grade system (mild, moderate, severe) by pathohistological 8 factors. Results: Of total 24 cases, 9 cases were the pathological grade I and 15 cases were grade II. None was grade III. In the 9 cases of pathological grade I, 6 cases were the radiologic grade II of acromial shape and 3 cases were grade III. In the 15 cases of pathological grade II, 5 cases were the radiologic grade II and 10 cases were grade III. The VAS was 7 point at pathological grade I and 8 point at grade II. As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pathological grade of subacromial bursa was associated with acromial shape (p<0.05), but not associated with pain of patient (p>0.05). Conclusion: Our study suggests that pathological grade of subacromial bursa inflammation was associated with acromial shape. But pathological grade of subacromial bursa inflammation was not associated with shoulder pain of patients.

      • 후방 변연부 분리가 동반된 양측성 원판형 외측 반월상 연골

        정훈,김용주,신이경,하종경,최경업,Jeong, Hoon,Kim, Yong-Ju,Shin, Yi-Kyoung,Ha, Jong-Kyoung,Choi, Kyoung-Eob 대한관절경학회 2006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0 No.1

        원판형 반월상 연골 중 Wrisberg ligament 형은 매우 드문 질환이다. 저자들은 후방 분리가 동반된 완전형 원판형 반월상 연골이 양측성으로 발생한 예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Discoid lateral meniscus is a well-known entity of the knee whereas Wrisberg ligament-type discoid lateral meniscus is extremely rare. This is a report of a case of bilateral discoid lateral meniscus with peripheral detachment.

      • KCI등재

        제 2형 SLAP 병변의 외상 유무에 따른 손상 기전 및 치료 결과의 분석

        김용주(Yong-Ju Kim),정훈(Hoon Jeong),하종경(Jong-Kyoung Ha),이관희(Kwan-Hee Lee),최성현(Sung-Hyun Choi)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0 대한견주관절학회지 Vol.13 No.2

        목적: 본 연구는 제 2형 SLAP 병변에서 외상의 유무에 따른 손상기전의 차이 및 임상 결과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1월부터 2009년 5월까지 제 2형 SLAP 단독 병변으로 수술을 시행한 2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제 2형 SLAP 병변의 분류는 Burkhart에 의한 분류법을 이용하여 병변이 전상방부에 위치하면 제 1형, 후상방부는 제 2형, 전후방 복합 병변은 제 3형으로 분류하였다. 치료 결과는 술 전, 술 후의 UCLA 점수와 KSS 점수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총 27예 중 외상군은 16예, 비외상군은 11예였다. 제 2형 SLAP 병변의 형태는 외상군에서 제 1형은 12예, 제 2형은 2예 그리고 제 3형은 2예였다(p=0.013). 비외상군에서는 제 1형 2예, 제 2형 6예, 제 3형 3예였다 (p=0.026). 즉 외상군에서는 전방 병변이 더 많이 발생하였고 (p<0.05), 비외상군에서는 후방 병변이 더 많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p<0.05). 외상군에서 UCLA 점수 및 KSS 점수는 술 전 평균 18점 (14~23점), 48점 (32~76점)에서 술 후 32점 (28~33), 86점 (71~92점)이었다. 비외상군에서는 UCLA 점수 및 KSS 점수는 술 전 평균 21점 (18~25점), 58점 (41~68점)에서 술 후 29점 (26~31점), 81점 (68~89점)이었다. 임상결과에 있어서 두 군 사이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317, 0.405). 결론: 본 연구에서 제 2형 SLAP 병변의 형태가 외상 기전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관절경 소견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제 2형 SLAP 병변에 대한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때 외상 유무를 파악하여야 할 것이다. Purpose: Our goal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mechanism of injury and the clinical outcomes between the non-traumatic and traumatic type II SLAP lesions.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7 to May 2009, the sunjects of this study were 27 patients who had undergone operations for isolated type II SLAP lesions. The lesion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Burkhart’s method. The lesions that were located on the anterior-superior labrum were classified as type I, those lesions located on the posterior-superior labrum were classified as type II and those lesions located on the anterior-posterior labrum were classified as type III. The clinical outcomes were evaluated by the UCLA score and the KSS score preoperatively and postoperatively. Results: Of the 27 cases, 16 cases were traumatic and eleven cases were non-traumatic. In the traumatic group, there were 12, 2 and 2 cases of type I, type II and type III, respectively (p=0.013). In non-traumatic group, there were 2, 6 and 3 cases of type I, type II and type III (p=0.026). Anterior lesions were more frequent in the traumatic group and posterior lesions were more frequent in the non-traumatic group. For the clinical outcomes, the mean preoperative UCLA score and KSS score were 18 (range: 14~23) and 48 (range: 32~76), respectively, and the postoperative UCLA score and KSS score were 32 (range: 28~33) and 86 (range: 71~92), respectively, in the traumatic group, and the preoperative UCLA score and KSS score were 21 (18~25) and 58 (41~68), respectively, and the postoperative UCLA score and KSS score were 29 (26~31) and 81 (68~89), respectively in the non-traumatic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of clinical outcomes between the two groups (p=0.317, 0.405). Conclusion: In this study, the anatomical feature of type II SLAP lesion was associated with a trauma mechanism. Therefore, a trauma mechanism must be considered when planning the surgical treatment for type II SLAP les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