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선초(鮮初) <오륜가(五倫歌)>의 고전적 원천과 그 의미 -경기체가 <오륜가>와 시조 <오륜가>를 중심으로

        하윤섭 ( Yun Seop Ha ) 민족어문학회 2009 어문논집 Vol.- No.60

        본고는 경기체가 <오륜가>와 시조 <오륜가>를 대상으로 하여 조선 전기 시가사의 주요한 지류 중 하나였던 <오륜가>가 선초의 다단한 시가史적 흐름 속에서 어떠한 相異한 양태들을 보이는가에 대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조선 건국 이후 지속적으로 전개된 樂章 정비의 과정에서 잉태하게 된 경기체가 <오륜가>가 작품에 대한 구체적인 검토의 과정이 결여된 채, 16세기 시조 <오륜가>와 동일 선상에서 해석되어 온 그간의 연구 성과들에 의문을 제기하고, 이 두 작품을 각각이 지닌 장르적 속성이나 창작 목적, 작품에 내재한 일정한 방향성 등의 차원에서 변별해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양자 사이에는 활용된 장르의 차이만큼 작품을 창작한 궁극적 의도, 상정된 수신자, 작품 전반을 관류하는 내적 분위기, 창작자가 기반하고 있는 현실에 대한 인식 등 여러 가지 면에서 무시할 수 없는 간극이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먼저, 경기체가 <오륜가>의 경우 그 장르적 속성상 긍정적이고 낙관적인, 혹은 노래의 연행을 통해서 그러한 분위기를 창출해 낼 수 있는 세계상만을 그려낼 수밖에 없다. 본 작품의 실체적 면모 역시 `오륜`이라는 당위적 질서에 대한 권고 내지 촉구보다는 각각의 인륜적 질서들이 완비되어 있는 합리적 세계, 그리고 그러한 세계의 무궁함에 대한 기원과 송축의 염원들, 이와 더불어 그것의 순차적 확인으로 인해 생기게 되는 高揚된 감정들을 묘파하는 데에 보다 많은 비중이 놓여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시조 <오륜가>의 경우, 경기체가 장르가 그 내부적 속성상 불가피하게 가질 수밖에 없는 上記의 이유로 인해 시조 <오륜가>의 창작 주체인 사림파 문인 지식인들이 `노래`에 대해 갖고 있었던 일종의 기대지평을 충족시킬 수 없었고, 이로 인해 당대에 병존해 있던 몇몇의 장르들 중 택일된 것으로 판단하였다. 요컨대 시조 <오륜가>의 창작 주체들은 자신들이 놓여 있던 당대의 時空을, `오륜`이라는 당위적 질서가 부재하는 부정적인 현실로 인식하였고, 따라서 시조 <오륜가> 속에는 그러한 현실을 교화·개선하고자 하는 그들의 확고한 의지가 일정하게 투사되어 있다는 것이다. 한편, 필자는 경기체가 <오륜가>와 시조 <오륜가>가 비단 장르 상의 차이만이 아니라 이들 각각이 기대고 있는 고전적 원천에 있어서도 명확히 구별된다는 것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전자의 경우, 『시경』을 그 주요 원천으로 삼고 있으며, 후자의 경우는 비록 『소학』과 정확히 일치하는 부분이 많지 않다 하더라도 그 내부적 체계나 지향, 목적, 질서 등에 있어서는 동일한 방향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았다. 아울러 이러한 고전적 원천의 상이가 작품에 대한 창작 주체들의 기대지평, 즉 작품의 효용적 측면에 대한 기대의 상이에서 비롯된 것임을 언급하였다. than the advice or spurring for the practice of the morals called `Oryun`. In the case of Sijo <Oryunga>, the thesis argues, due to the innate nature of the genre of Kyungkichega, noted above, the intellectuals called Sarimpa, the subject of creation of Sijo <Oryunga>, could not meet the expectation horizon associate with `song`. It was therefore selected amongst a few genres that coexisted in that era. In short, the subjects of creation of Sijo <Oryunga> recognized the temporal-spatial world where they lived as negative and devoid of the moral imperative, <Oryun>, so that their firm will to educate and reform that world was, to a certain degree, reflected in Sijo <Oryunga>. The thesis has also attempted to suggest that these two works show a clear difference in terms not only of their genres, but also of its classical source upon which they rely respectively; Kyungkichega <Oryunga> takes 『Sikyung (詩經)』 as its main source whilst Sijo <Oryunga> inclined towards the same internal system, value, purpose, and order to those of 『Sohak(小學)』 though it has no parts exactly identical to 『Sohak』. It has also suggested that such a difference in the classical source stemmed from the difference in the expectations of the writers on the effect of their works.

      • KCI등재

        문학과 정치 혹은 문학의 정치 ; 16세기 오륜시조 출현의 시기적 조건과 그 정치적 의미

        하윤섭 ( Yun Seop Ha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1 민족문학사연구 Vol.46 No.-

        16세기 사림파 문인들은 ``개개인의 일상을 검속케 함으로써 태평성대를 구현할 수 있다``는 자신들의 믿음을 실천하고자 했는데, 그들이 추진했던 여러 행적들의 이면에는 교화라는 단순한 개념만으로는 포착할 수 없는, 16세기 이래의 사상적 전변이 자리하고 있다. 필자는 오륜시조의 출현 동인을 이러한 역사적 맥락 안에서 읽어내고자 했는데, 본고에서 도달한 잠정적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6세기 사림파 문인들이 추구했던 성리학은 이전 시기의 체재교학화된 성리학과 상당 부분 달랐다. 도학/심학/이학 등으로 지칭되기도 하는 그들의 새로운 사상적 경향은 이러한 이질성으로 인해 당시 많은 사람들에 의해 부정되거나, 혹은 그것의 실현 가능성을 의심받았다. 오륜시조의 작자가 모두 사림파 문인들임을 감안하면, 그리고 문학이 작자의 사상과 분리될 수 없는 것이라면, 이러한 사실은 오륜시조의 출현이 그들이 견지했던 새로운 성리학과 긴밀히 연동되어 있음을 짐작케 한다. 둘째, 그들이 견지했던 새로운 성리학의 요소 중, 인간의 기질을 변화시켜 타고난 본성을 회복하게 한다는 ``기질변화론``은 그들이 가열차게 추진했던 다양한 교화정책들의 이론적 근거로 기능했다. 이는 인간이 개인적 노력과 수양을 통해 얼마든지 改善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바, 16세기 사림파 문인들의 정치적 부상과 함께 일련의 교화 정책들이 전에 없던 규모와 방법을 동반한 채 시행될 수 있었던 것은 그들이 지녔던 이러한 생각들과 무관하지 않다. 셋째, 16세기 사림파 문인들은 법이나 제도와 같은 거시적 차원보다는 밥먹고, 일하고, 잠자는 개인의 미시적 행위 양태들을 개인 스스로 규율하고 검속케 함으로써 자신들이 꿈꾸었던 소학적 세계를 구현하고자 했다. 오륜시조 역시 이러한 맥락에서 출현한 것인 바, 비속한 것으로 인식되었던 당시의 음악은 기질의 변화 가능성을 저해하기 때문에 그들이 원하는 일정한 방향으로 교정되어야만 했다. 이에 따라 당시 유행하던 諸노래들을 내용적으로, 그리고 형식적으로 그들의 의도에 맞게 윤색하던 과정이 지속되었는데, ``오륜시조``는 그러한 과정에서 산출된 것이다. 또한 소학적 질서로 표방되는 일상의 영역이 효율적으로 통어되기 위해서는 그것의 내용이 일상의 시공간 내에서 지속적으로 반복될 필요가 있는데, 이 점이 바로 ``경기체가``가 아닌 ``시조`` 장르가 16세기 <오륜가>의 주된 장르로 채택될 수 있었던 이유이다. The Sarim faction in the 16th century lived up to its belief that a reign of peace can be fulfilled by the control of individual daily lives, whereof doings cannot be explained with a simple concept named ``reformation`` but had been grounded on an ideological mutation since the 16th century. The author has made an attempt to identify the motives of Oryun-Sijo from the historical context. The tentative conclusions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Neo-Confucian Philosophy, pursued by Confucian scholars who were belonging to the Sarim faction in the 16th century, was remarkably different from Neo-Confucianism conditioned as an official study in previous time. Their new ideology was named ``the Learning of Way`` or ``the Learning of Mind`` or ``the Learning of Li.`` The then people rejected it due to its heterogeneity or were skeptical about its feasibility. Considering that all the Oryun-Sijo writers were the Sarim faction and literature is inseparable from writers` thoughts, it can be presumed that the appearance of Oryun-Sijo might be closely connected to Neo-Confucian Philosophy whereto they adhered. Second, the Theory of Transforming the Temperament, a factor of Neo-Confucian Philosophy, i.e., a theory that human nature can be restored by the change of temperament, functioned as the theoretical rationale of reformation means they carried forward aggressively, which implies that human nature can be changed through efforts and training. Such thinking has relation to the political rise of the Sarim faction in the 16th century as well as to the reformation means carried out on a first-ever scale and way. Third, the Sarim faction in the 16th century tried to fulfill the principle of Sohak by controlling intimate and microscopic behavioral patterns such as eating, working, sleeping, etc. rather than macroscopic factors such as laws and systems. The appearance of Oryun-Sijo was based on such an aim. They regarded the music of the time as vulgar and as a hindrance to the change of temperament, and thus needed to move it ahead in a direction they wanted to see. As a result, all the popular songs were modified with their intention for a long time. In the process, Oryun-Sijo was produced. In order to effectively rein the everyday realm for which the order of Sohak stands, it is necessary to repeat the lyrics within the spatiotemporal region of everyday life, which was why Sijo was selected to be the principal genre of Oryun in the 16th century instead of Kyungkichega.

      • KCI등재
      • KCI등재

        조선후기 『삼국지』 인물 차용 시조의 유행과 시대적 동인에 대한 탐색

        하윤섭 ( Yun Seop Ha ) 한국고전문학회 2012 古典文學硏究 Vol.41 No.-

        소설적 내용의 시조로의 전환은 어떠한 이유에서 『삼국지연의』에만 집중되는가. 수다한 인물들 중 관우와 제갈량만이 주된 시적 소재로 선택되는 데에는 어떠한 기제가 깔려 있는가. 찬양과 송축, 안타까움과 슬픔 등 시적 화자의 현재적 감정이 유독 두 사람에게만 일관되게 투사되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 상기한 사항들은 소설 차용 시조에 속하는 일군의 작품들을 일별한 후 필자가 갖게 된 의문들로, 본고에서는 이를 『삼국지』 속 인물들에 대한 사회적 ``기억``의 변화와 이에 따른 기념물의 건립과 기념의식의 시행, 이를 통한 ``집단기억``의 생성과 전파 등의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제까지의 논의를 통해 도달하게 된 잠정적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尊周論``이라는 변형된 형태의 중화계승의식이 형성되어 가던 17세기 후반 이후, 중화적 질서를 유지하고자 했던 역사적 인물들은 당대의 시공 속에서 다시금 호명되어 재해석되기에 이른다. 이 과정에서 관우와 제갈량 또한 무너진 정통을 회복하기 위해 분투했던, 충절과 의리의 상징적 인물들로 자리매김하게 된다. 이러한 움직임은 국가적 차원에서 도모되었던 존주대의의 실천적 행위들과 개인의 의식적 편린들을 고스란히 담고 있는 각종의 문학 작품들에서 여실히 포착되는바, ``대명의리``라는 당면의 목표를 위해 시공을 달리하는 과거의 인물들을 현재에 소환해 내는 작업이 필수적으로 요청되었던 것이다. 둘째, ``역사적 사실은 기억된 과거이다``라는 우리의 전제에 찬동할 수 있다면, 과거의 사실과 재현된 과거 사이에는 필연적으로 일정한 간극이 개재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간극은 과거를 재현하게끔 만든 현재적 필요에 의해 생성되기 마련일 텐데, 중요한 것은 현재가 요구하는 과거의 형상에 따라 과거가 지녔던 다양한 모습들 중 일부는 망각되고, 또다른 일부는 부각된다는 것이다. 관우가 범했던 역사적 과오에 대한 비판이나 제갈량이 지녔던 不純한 학문적 경향에 대한 혐의 등 그들에게 부과되었던 이러저러한 기억의 흔적들은 충절과 의리의 표상을 위해 망각되어야만 했다. 셋째, 기념물은 사라진 기억들을 가시적인 형태로 정형화하기 때문에 과거의 경험을 현재에 재현시키는 데 매우 효과적이며, 또한 기념하는 대상을 신비롭고 성스러운 것으로 만드는 효과를 지닌다. 관우와 제갈량에 대한 기념 사원의 남설, 그들에 대한 왕의 親祭, 정례적인 기념의식[祭禮]의 시행 등 그들을 대상으로 한 일련의 사업들은 양자에 대한 긍정적 기억을 일정한 계급을 초월하여 ``전방위적``으로 주조하는 데 다대한 작용을 했을 터, 조선후기 시가 향유 공간에서 양자에 대한 작품들이 꾸준히 창작되고 향유될 수 있었던 저간의 사정에는 이와 같은 시대적 배경이 자리하고 있다. What is the reason why novelistic Sijo, converted from traditional one, were almost wholly limited to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三國志演義)``? What made Guan Yu and Zhuge Liang the principal poetic subjects, though many characters are in the book? Why did poetic narrators consistently reflect their emotions such as praise, eulogy, sorriness and sadness only in the two?, which are questions the author has had since encountering with novelistic Sijo works. The foregoing questions are expected to be solved by the following answers: countermeasures against changes in the memory of characters in ``History of Three States``(三國志), i.e., the foundation of memorials, and the formation and propagation collective memory. The following tentative conclusions have been made after a long discussion: First, since the late 17th century when ``Theory of Esteem China``, originated from ``Notion of Confucian-Cultural Succession``, began to be formed, historical figures, who would be out in force to maintain Sino-centric order, had been called again and reinterpreted in contemporary time and space. In that process Guan Yu and Zhuge Liang had personified loyalty and fidelity to the reestablishment of authenticity. The heroization is caught on various literary works that conspicuously contain the glimpses of actions to realize ``Justice in Esteem China`` and individual consciousness, which was to achieve the immediate goal ``Korean Intellectuals`` Views on Ming`` by summoning historical figures to contemporary times. Second, it is unavoidable that a gap is formed between a historical fact and a reenacted past, on the premise that historical facts are memorized pasts. Such a gap may be formed due to contemporary needs for the reenactment of pasts; what is important is that some past events may sink into oblivion or may be brought into relief as the contemporary need arises. Less-than-fond memories of Guan Yu and Zhuge Liang, e.g., Guan Yu`s historical faults or Zhuge Liang`s impure scholarly tendency, had to fall into shade in order for them to be the symbol of loyalty and fidelity. Third, relics visualize and embody indistinct memories. Thus, they are highly effective to reenact pasts in contemporary times and to make the targets of celebration mysterious and sacred. The nation-wide memorial events regarding Guan Yu and Zhuge Liang, such as indiscriminate setup of memorial shrines, sacrificial rites officiated by kings and regular commemorative ceremonies, might take on numerous, great and omnidirectional roles in giving posterity encouragement to have a high opinion of the two.

      • KCI등재

        ‘새로운 민중사’의 시각과 19세기 현실비판가사 연구사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새로운 독법의 마련

        하윤섭 ( Ha Yun-seop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6 민족문학사연구 Vol.61 No.-

        19세기 조선의 사회 변동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대체로 사회 변동 주체들의 반봉건성과 반유교성을 강조해 왔다. 현실비판가사에 대한 일련의 논의들 역시 예외는 아니어서 반봉건성과 근대지향성을 논의의 주축으로 삼았다. 그리하여 근대적 지형과 무관하거나 오히려 근대에 반하는 요소들은 시대적 한계인 양 치부되기도 하고, 때로는 외면되기도 하였으며, 더러는 근대를 지향하는 것으로 왜곡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논의 에서 봉건성 /반봉건성은 반근대성/ 근대성과 사실상 등치되고 있는 개념쌍으로 기능하는바, 지배층에 대한 비판 행위 그 자체에만 주목하여 현실비판가사의 역사적 의미를 저와 같이 규정했던것이다.그러나 필자는 이와 같은 선험적 규정 이전에 현실비판에 활용된 주된 이념이나 내용에 보다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제기했다. 이는 작품에 나타난 선명한 유가 이념 그 자체에 내장되어 있는 나름의 전복성에 주목하고자 했던 것인바, 조선후기의 민중들은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仁政, 인륜, 선악 등과 같은 유가의 도덕적 개념들을 전유하고 있었으며, 이것이 19세기라는 특수한 시공간을 통해 발현하게 되었을 때 지배층의 학정과 전횡을 고발하는 강력한 무기가 될 수 있었다. 교화의 대상이었던 민중이 교화의 주체가 된 셈이니, 아이러니하게도 그들을 유교화하고자 했던 국가는 유교화된 그들에 의해 다시 유교화될 것을 요청 받게 된 것이다. Mostly, the previous researches on the changes of the Joseon society in the 19th century have been emphasizing the anti-feudalism and the anti-Confucianism of the main agents of the social changes. Because the series of the discussions on the reality criticism lyrics, too, were not the exceptions, the anti-feudalism and the modernity-orientation were the principal axes of the discussions. So, the elements that were unrelated to the modern aspects or that were opposite to the modern times, instead, were regarded as the limitations of the era, were turned away sometimes, and, sometimes, were distorted as being oriented towards the modern times. Within such discussions, the feudalism and the anti-feudalism had functioned as a concept pair that was, in fact, of a value equal to the anti-modernity and the modernity. They had paid attention to only the criticism actions, themselves, regarding the ruling class. And they had regulated the historical meanings of the reality criticism lyrics in the same way as myself. However, I, the writer, presented the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main ideologies or the contents utilized in the reality criticisms before such transcendental regulations. This was to pay attention to one``s own subversion built in the clear and distinct Confucian ideas that appeared in the works of art. The people of the late Joseon period had been exclusively possessing (appropriating) the Confucian moral concepts such as the benevolent rule, the humanity, the good and evil, etc. through the diverse routes. And, when this was manifested through the special time and space called the 19th century, it could become a powerful weapon that could make the accusations regarding the tyranny and the arbitrary treatments of the ruling class. The people, who had been the subject of the edifications became the main agents of the edifications. As such, ironically, the countries that had intended to Confucianize them received the request to become Confucianized again from those who were Confucianized.

      • KCI등재

        조선 후기 단군에 대한 기억의 변화와 그 所因

        하윤섭(Ha, Yun-seop) 우리문학회 2013 우리文學硏究 Vol.0 No.38

        과거에 속하는 역사적 인물이 현재에 와서 다시금 호명되고 재현되는 현상은 흥미롭다. 현재 역시 과거의 유산으로부터 자유롭지는 않을 터이나 현재적 필요에 의해 역사적 과거가 구성되고 변형되는 과정은 현재가 당면하게 된 모종의 결핍과 그에 대한 나름의 대안을 여실히 보여주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조선 후기에 점증하는 단군 관련 기록들을 토대로, 그에 대한 기억의 지형이 변화하는 과정과 그 원인을 ‘중화주의’라는 프리즘을 통해 고찰해 보았다. 본 논문에서 도달하게 된 잠정적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8~19세기 들어 단군은 조선의 역사적 시공 안에서 이전과 다른 모습과 위상으로 표상되기에 이른다. 믿을 수 없는 ‘빈 말’에서 ‘역사적 사실’로, 본문 이외의 별도로 된 기록을 의미하는 ‘外記’에서 역사적 정통성을 인정받은 ‘本紀’로, 어떠한 질서도 잡히지 않은 ‘혼돈’의 시절에서 소정의 제도를 구비한 ‘문명’의 시기로 이동하게 된 것이다. 양 극단에 위치한 3개의 대립항들은 전기에서 후기로 넘어가면서 벌어진 단군에 대한 기억의 변모 양상을 압축적으로 보여준다. 동일인에 대한 기억의 편폭치고는 대단히 넓은 편인데 그렇다면 이러한 변화의 원인은 무엇일까? 조선 후기의 지식인들은 단군을 정통으로 인정하고, 교화의 공적을 단군에게 돌림으로써 중화적 질서의 연원을 기자 이전의 단군 시기로까지 소급시키고자 했다. 이를 통해 중화적 질서가 조선에 ‘만’ 남아 있다는 소중화 의식의 진실성은 더욱더 담보될 수 있었다. 조선 후기의 지식인들이 중화 문명의 중심성을 그대로 전제한 상태에서 그것을 무너뜨린 청나라에 대응하여 중화 문명을 대신 계승하고자 했다는 역사적 조건을 감안하면,멸 단군도 기자와 같이 유교 문명과의 연관성을 어떤 식으로든 가질 때라야 그들에게 의미가 있었던 것이다. 요컨대 조선이 중화의 문명을 보유하게 된 역사적 시원이 기자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갈 때 조선의 ‘중화됨’은 한층 더 견고해 질 수 있었으며, 이러한 차원에서 단군은 새로이 ‘기억’될 수 있었다. It is interesting to see a historical figure in the past being called out and recreated. This is only natural because the present is not free from the heritages of the past, but the process in which historical pasts are constituted and transformed according to current needs show the deficiencies of the present while showing an alternative for such deficiency. Based on records related to Dangun that steadily grows in the latter Joseon Dynasty, the process and reasons for the change of memory on it was examined through the prism of ‘Sino-centrism’. The tentative conclusion that was arrived at in this study is as follows.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Dangun was described in a different appearance and status compared to the past in the historic time and space of Joseon. It shifted from an unbelievable ‘unreliability’ to ‘historic fact’, from ‘外記’ referring to records made aside from the main content to ‘本紀’ that are deemed to be legitimate, and from the time of ‘confusion’ where there is no order to a period of ‘civilization’ that has some kind of system. The three conflicting sides that are positioned in extreme opposites show a compressed version of the transformation of memories on Dangun that occurred in the transition from the early to later periods. This is a very vast gap for memories on the same figure. Then, what is the reason for such transformation? The intellectuals of the latter Joseon Dynasty recognized the legitimacy of Dangun and reverted the achievement of reformation to Dangun in order to retroactively place the source of the Sino-centric Tributary System to the period of Dangun prior to Gija. By doing so, it was possible to further guarantee the ‘veracity’ of the Sojunghwa (small China in which the legacies of China are continued) concept in which the Sino-centric Tributary System is left ‘only’ in Joseon. When considering that the intellectuals of the latter Joseon Dynasty had the historical background in which they attempted to continue the Sino-centric civilization in response to the Qing Dynasty that demolished it based on Sino-centrism, it had meaning to them only when Dangun had some kind of correlation with the Confucian civilization like that of Gija. In summary, by tracing the historical starting point in which Joseon possessed Sino-centric civilization to before Gija, it was possible to make the ‘Sinofication’ of Joseon stronger. and from this perspective it was possible to newly ‘remember’ Dangun.

      • KCI등재

        기획논문 : 국어교육, 어떤 텍스트로 가르칠 것인가 ; 고전문학교육과 텍스트 해석의 문제 -2009 개정 문학교과서 소재 사설시조 작품들을 대상으로-

        하윤섭 ( Yun Seop Ha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6 한국어문교육 Vol.19 No.-

        하나의 텍스트가 적지 않은 교육적 의미들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훌륭한’ 해석의 존재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어떤 측면에서는, 텍스트와 연계된 수다한 문제들 중 텍스트에서 어떤 의미를 뽑아내는 해석적 차원의 문제는 텍스트를 선정하는 이념적 차원의 문제나 텍스트의 물리적 성격을 논하는 문제들에 우선한다. 고전문학 텍스트는 어떻게 해석될 때 보다 나은 교육적 가치를 지닐 수 있는가? 본 논문에서는 2009 개정 문학교과서에 소재한 사설시조 작품들을 통해 이 문제에 대한 나름의 해명을 시도하였다. 문학은 기본적으로 他者의 산물이다. 그럼에도 ‘나’와는 상관없는 문학작품들을 우리가 읽고 감상하는 이유는 평생을 통해 경험할 수 있는 경험의양이 지극히 제한적이어서 ‘나’라는 한정된 세계를 확장하기 위해서는 다른사람의 다른 경험을 대신 체험하는 일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문학의 효용이 이런 것이라면 문학교육의 목표 역시 이와 다르지 않을 터, 따라서 바람직한 문학교육의 조건에 대해 ‘다른 시대나 다른 사람들의 삶이 어떠한가를 배우는 일’이라는 지적은 여전히 유효하다. 이를 통해 현재의 삶과 현재의 나를 되돌아볼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될 수 있기 때문이다. 고전문학교육 역시 문학교육의 일부인 한 상기한 서술과 밀착되어 있으니, 고전문학 텍스트를 교육하면서 ‘인간’의 문제를 염두에 두지 않는다면 물리적 시공이라는 강고한 벽은 뛰어넘기 힘들다. The existence of a ‘great’ interpretation is essential to secure the not inconsiderable educational meaning of one text. Therefore, in a certain aspect, the analytic level problems drawing a certain meaning from text among many problems connected to text are prior to the ideological level problems choosing text or the problems discussing the physical nature of text. When can the classical literature text have better educational value with how the text is interpreted? In this thesis, I have tried my own explanation on the problems through the Saseol Sijo works placed in the 2009 revised literature textbook. Literature is basically the products of others. Nonetheless, the reason we read and appreciate literature works which are irrelevant to ‘me’ is that the quantity of experience we experience throughout a lifetime is quite limited, and it is essential to go through others’ other experience to enlarge the finite world which is ‘me’ in its instead. If the use of literature is like this, it is not different from the objective of literature education either. Consequently, the indication which is ‘something we learn about other period or others’ lives’ is still valid for the condition of desirable literature education. That’s because we can have an opportunity to look back our present lives and present ourselves through them. As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is also a part of literature education, it is adhered to the stated above. With educating classical literature text, if we don’t have ‘a human being’s’ problems in mind, it is hard to surpass the strong walls which are physical time and space.

      • KCI등재

        ‘복선화음’ 개념의 역사적 변전 양상과 조선후기 <복선화음가>의 유행

        하윤섭(Ha, Yun-seop) 우리말글학회 2015 우리말 글 Vol.64 No.-

        본고는 ‘복선화음’이라는 유가적 개념을 주된 서사적 줄기로 활용하고 있는 <복선화음가>가 조선 후기 사회에 활발히 유통되던 현상을 두고 해당개념이 어떠한 경로를 거쳐 민간 사회에 공유될 수 있었는가에 대한 의문에서부터 출발하였다. 일반적으로 볼 때 심오한 개념과 논리적 절차를 담보하고 있는 유가적 질서가 다수의 민중들에게 수용되기 위해서는 그들을 납득시킬 만한, 혹은 그들 스스로 납득될 만한 일련의 매커니즘이 반드시 요구될 터이기 때문이다. 지금까지의 논의를 통해 도달하게 된 잠정적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복선화음 개념의 소종래인 ?서경? <탕고>의 구절은 선진유학의 사유 체계 속에서 인간의 선악에 따라 화복을 주관하는 인격적 주재자로서의 天을 전제하고 있었다. 그러던 것이 송대 성리학을 경유하면서 ‘하나의 이치’로 치환되는바, 이를 통해 현실에 존재하는 불합리한 사례들은 설명할 수 있게 되었지만 윤리적 동기를 유발하는 구실은 상대적으로 박약해질 수밖에 없었다. 둘째, 조선 전기의 경우 송대 성리학의 이해 방식과 유사한 흐름을 보이는데, 그들은 복선화음이 하나의 떳떳한 이치임을 믿어 의심치 않았지만 이를 토대로 현실에서의 선을 권면하는 데에 활용하지는 않았다. 이는 복선화음을 들어 선을 권면하는 순간 불교의 인과응보설 혹은 천당지옥설을 인정하게 되는, 일종의 수행적 모순에 빠져 버리기 때문이다. 반면, 조선 후기의 경우 이론적 차원에서의 회의, 의심, 부정의 시선들이 종종 보임에도 민간의 영역에서는 이를 활용한 권선의 방식이 상당히 일반적이었다. 셋째, 필자는 이를 천주교의 교세 확장에 대한 유교의 이론적 대응 차원에서 살펴보았는데 주지하듯 천주교의 민간 침투에 대해 조선 후기의 지식인들은 매우 예민하게 받아들이고 있었다. 수직적 질서를 바탕으로 한 사회 체계를 무너뜨릴 것이라는 게 가장 큰 이유였는데, 이에 대응하기 위해 내세운 것이 복선화음이었던바, 유가적 질서의 준수가 현실적 복리를 담보한다는 복선화음 개념의 민간적 전파, 그리고 이에 따른 <복선화음가>의 유행은 이와같은 역사적 배경 하에서 산출되었다. This article was embarked on the question "How was BokSeonHwaEum-Ga which employs BokSeonHwaEum, a Confucian notion, as its principal descriptive framework commonly accepted within the civilian society toward the late Chosun Dynasty?" Generally, in order for Confucian disciplines, which assure profound conception as well as logical formalities, to be adopted by majority of the masses, there most definitely requires some chain of mechanisms that must convince them. Through discussions we have reached our tentative conclusion, and they are as follows. First, the passage in Tanggo of Seokyeong of which the notion of BokSeonHwaEum is originated presupposes "天(Sky or Heavens)" as the personified overlord who supervise the fortune and misfortune of men in accordance with their virtue and vice within the thinking system of Pre-Qin Confucianism. Then the notion moved past the Sung Dynasty"s Neo-Confucianism and transpose to the "One Principle", which made it possible to explain any and all existing illogical and irrational cases, however the pretext that induces ethical motives had no option but to become feeble. Second, the men of early Chosun Dynasty"s understanding of Sung Dynasty"s Neo-Confucianism seems similar. They displayed no trace of doubt in believing BokSeonHwaEum as a just principle, but its foundation was not used to encourage virtue. On the other hand, during the late Chosun Dynasty, there appeared frequently skepticism, doubt, and disapproval at theoretical level, however it was a regular mean to promote virtue in the civilian domain. Third, I studied the aforementioned occurrences as being, in a theoretical sense, a Confucian correspondence to the congregational expansion of Roman Catholicism. As you know, the educated men of the late Chosun Dynasty were prompt to take in the permeation of Roman Catholicism; and the foremost ground for this was to break down the vertically-structured social system, as BokSeonHwaEum was to counter such movement. As such, the vogue of BokSeonHwaEum-Ga, which says that compliance to Confucian system assures practical compound interest, was brought forth from such historical background.

      • KCI등재

        기획논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화 교육에서의 고전문학 활용 방안 :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고전시가 작품의 유용성- 결혼이주여성과 "시집살이" 유형의 작품들을 대상으로-

        하윤섭 ( Yun Seop Ha ) 한국고전연구학회 2014 한국고전연구 Vol.0 No.29

        본고에서는 결혼이주여성들을 잠재적 청자로 설정하여 ‘시집살이’와 관련된 고전시가 작품들이 한국문화교육의 현장에서 유의미한 소재로 기능할 수 있음을 이야기하고자 하였다. 이는 결혼이주여성들에게 시집살이의 문제는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라는 점에서 시의적일 뿐만 아니라 시집살이라는 한국적 가족제도의 오래된 연원을 보여준 후 그들에게 이해와 동의의 일단을 구하는 데에도 적절하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한국문화교육의 현황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한 나름의 대안으로 ‘상호문화교육’을 제안하였다. 3장에서는 상호문화교육의 텍스트로 ‘시집살이’와 관련된 고전시가 작품들을 일별하고, 이를 통해 한국문화교육과 고전시가작품이 만날 수 있는 접점을 모색하였다. In this paper, we are going to talk about that classic poetry works that are related to the "marriage life" by setting the potential listener marriage migrant women can function in the material that is meaningful in the field of Korean culture education. The problem of marriage life, and in that it is present progressive form yet, this is, after you showed me the old genesis of the family system South Korea rather only a timely basis, that marriage living in marriage migrant women, This is because it is determined to be appropriate in order to get the end of the agreement and understand them. Accordingly, Chapter 2, in order to critically examined the status of Korean Studies, to complement this, we have proposed a "Cross-cultural training" as an alternative to such. In Section 3, we explore the contacts can be classic poem that is associated with the "marriage life" as the text of the cross-cultural education at a glance the work, classic poetry and works Korean culture education meet through this.

      • KCI등재

        기획논문 : 고전문학교육의 한 사례와 자성적 제언 -최치원의 <추야우중(秋夜雨中)>,<제가야산독서당(題伽倻山讀書堂)>을 중심으로-

        하윤섭 ( Yun Seop Ha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4 한국어문교육 Vol.15 No.-

        바람직한 문학교육의 기본은 좋은 문학작품을 선정하여 학습자들에게 적절한 언어로 번역한 후 그들의 유의미한 성장에 기여할 수 있는 감상의 가교를 놓아주는 일일 터다. 더구나 언어의 문제에서부터 작품이 산출된 역사적 지반의 영역에 이르기까지 지금과는 상이한 배경을 갖고 있는 고전문학의 경우 이러한 작업은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최치원의 <추야우중>과 <제가야산독서당>을 일례로 하여, 문학교과서 및 교사용지도서에서 이러한 기본적인 문제들이 어떻게 소개되고 있는지를 비판적으로 검토한 후 이에 대한 나름의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우리는 삶의 국면들마다 이상과 현실 사이의 끊임없는 괴리를 당면하게 된다. 더구나 남들보다 빼어난 능력 덕에 이상에의 도달 가능성이 비교적 높은 경우 바로 그 가능성의 크기만큼 현실과의 거리는 멀어지게 마련이다. 오늘 우리가 살펴본 최치원의 경우가 그러했다. 두 작품 속에 보이는 최치원의 모습은 궁핍한 현실의 무게를 온전히 짊어진, 또 하나의 ``나``이다. ``최치원``이라는 역사 속 偉人 역시 삶의 무게로 인해 힘겨워하고 괴로워했음을 공감하는 것, 이는 그것 자체만으로도 소중한 체험일 것이다. The preferred base is a good literary education to learners who selected literary works translated into the appropriate language, and then watching them can contribute to a significant growth in cross-linking to let go of the general public one day. Moreover, the problem of the language from the work area is calculated from the historical ground and now have a different background in classical literature, these tasks are essential. In this paper, cite Choi Chi-won`s <秋夜雨中>&<題伽倻山讀書堂> as instance, the literary guide textbooks and guidebook for teacher how to introduce these fundamental issues are being critically review and sought for its own alternatives. Every aspect of our lives in the constant gap between ideals and reality is to face it. Longer than others, thanks to a superb addition to the ability to reach the very likely possibility of a relatively high amount of reality and establish a distance away. Today, we have seen that such Choi Chi-won was the case. Choi Chi-won two of the works shown in the figure is entirely destitute carrying the weight of reality, another ``I`` is. ``Choi Chi-won`` is called the great men in history also struggle of life due to the weight of the sufferer indicating that empathy, which is valuable in itself it will exper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