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통신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하우봉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8 비교일본학 Vol.43 No.-

        통신사의 왕래는 양국의 중앙정부 사이에 있었던 직접적인 교류였기 때문에 그것이 가지는 의의는 양국의 정치ㆍ경제ㆍ문화 및 상호인식 등 전반적인 분야에 걸쳐 있었다. 조선후기통신사행은 조선과 일본의 지식인들이 접촉할 수 있는 공식적이면서도 유일한 통로였다. 당시 일본인은 동래의 왜관(倭館)까지밖에 올 수 없었고, 조선의 문위행(問慰行)은 54회로 통신사에 비해 횟수는 많았지만 역관을 중심으로 해 대마도에 가서 실무적 현안을 해결하는 사행이었다. 조선인으로서 일본의 수도인 에도까지 왕래하며 일본의 지식인들을 광범위하게 만나 교류하는 일은 통신사행원만 가능했다. 따라서 조선후기 양국 교류의 거의 전부가 통신사행을 통해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조선에서 일본에 관한 정보를 입수하는 것 또한 통신사행을 통해서였다. 이러한 점에서 통신사에 의한 양국의 교류는 조선시대 한일관계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주제 가운데 하나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의 통신사에 대한 연구는 일본과 비교해 볼 때 20세기까지에는 양적인 측면에서만 보더라도 미미한 수준이었다. 1980년을 기준으로 보면 일본의 연구가 국내의 그것에 비해 10배 이상 된다는 조사(손승철, 「조선시대 통신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 『한일관계사연구』 16, 2002)도 있다. 이러한 연구의 차이는 일본 중심의 시각을 일반화시키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2000년대 들어서는 한국에서의 연구가 활성화되면서 양상이 달라졌지만 연구수준까지 고려해 보면, 아직 충분하다고 말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연구사적인 차원에서 몇 가지 과제를 제시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교사적 연구의 필요성이다. 통신사의 경우 부경사(赴京使)와의 비교가 가장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나아가 같은 시기 유구(琉球)의 청에 대한 진공사(進貢使)와 일본 도쿠가와막부에 대한 경하사(慶賀使), 베트남의 청에 대한 조공사, 청에서 조선ㆍ유구ㆍ베트남에 파견한 사절과의 비교도 필요할 것이다. 둘째, 동아시아적 시각에서 보다 구조적으로 접근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통신사가 조선과 일본 양국이 연출한 국제적 행위였던 만큼, 통신사의 연구도 자국 중심에서 보다는 객관적이고, 사실적으로, 그리고 상호보완적으로 다루어야 할 것이다. 셋째 자료에 관한 문제이다. 다양한 사료의 발굴과 충실한 사료의 이용이 요구된다. 통신사행 문화교류 활동에 관해서는 통신사행원들이 남긴 43종의 일본사행록과 180여 종에 달하는 필담창화집이 가장 중요한 일차사료이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필담창화집이 일본사행록과 비교검토하면서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통신사행 연구에서 주제의 편식성을 벗어날 것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서는 학제적이고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통신사행원들의 필담의 주제와 문화교류 활동을 보면 문학ㆍ유학ㆍ역사ㆍ불교ㆍ의학ㆍ지리ㆍ그림ㆍ서예ㆍ음악ㆍ건축ㆍ음식ㆍ무용ㆍ복식이 매우 다양한 분야에 걸쳐 있음을 알 수 있다. 당연히 접근방법도 다양한 학문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이 가운데에는 그림이나 글씨, 음식 등 분야에 따라서는 문헌자료에 나오지 않는 부분도 많다. 이러한 분야에 대해서는 현지조사를 비롯해 학제적 접근을 해야만 실상을 복원할 수 있을 것이다. The diplomacy made by Tong-sin-sa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an official and unique channel, enabling contact with Japanese intellectuals. At the time, the Japanese could only come as far as Waegwan, Dongnae, and despite the 54 Mun-wi-haeng (consolation visits) from the Joseon Dynasty, they were more frequent than visits by envoys. Accordingly,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almost all exchanges between the two nations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were performed through Tong-sin-sa. Obtaining information about Japan was also donethrough the diplomacy of Tong-sin-sa during that period. In this sense, the bilateral exchanges by Tong-sin-sa is an important subject in the understanding of the Korean-Japanese relationship during the Joseon Dynasty. Nevertheless, prior to the 20th century, domestic research on Tong-sin-sa was very insignificant in comparison to Japan, even in quantitative terms. Based on a study from 1980, there was a survey which claimed that there was 10 times more research done by Japan compared to Korea (Son Seung-cheol, 「Retrospect and Prospect of Research on Tong-sin-sa during the Joseon Period」, 『Research on the History of Korea-Japan Relations』16, 2002). Such a gap in research had the issue of generalizing Japanese-oriented perspectives. Although the conditions changed with more active research in Korea during the 2000s, it is difficult to say if the changes are sufficient, when the qualitative level of the research is also considered.

      • KCI등재후보

        조선전기 대외관계에 나타난 自我認識과 他者認識

        하우봉 한국사연구회 2003 한국사연구 Vol.123 No.-

        Self-perception and the perception of others shown in the foreign relationship During the Joseon Dynasty

      • KCI등재후보

        계미통신사행의 문화교류 양상과 특징

        하우봉 진단학회 2016 진단학보 Vol.- No.126

        Gaemitongsinsa(1763) was the 11th envoys to Japan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last envoys trip to Edo. Since the two countries are both reached for diplomatic envoys to continue acting exchange eventually moved to Tsushima in 1811, it was suspended last carrier. In the schedule of Gaemitongsinsa, they have departed August 3, 1763 Hanyang and returned home July 8, 1764. The long journey was a total of 11 months of unrest, was eight and a half months of the period of stay in Japan. When Gaemitongsinsa was a diplomatic ritual consists of the most reliable and cultural exchanges were also the most active. Diplomatic missions in Korea, including four munsa had cultural exchange activities in the country go through a total of 22 estates from Tsushima to Edo. As a result travel records written by Korean delegates were 14 kinds and the anthology of Pildamchanghua reached 43 kinds of writing in Japan. This study explores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al exchange developed in the Gaemitongsinsa meandering through the analysis of these data. 1763년의 계미통신사행은 조선후기 11번째의 사절로서 에도(江戶)까지 간 마지막 사행이었다. 이후는 양국 모두 연기를 거듭하다가 결국 1811년 대마도에서 역지통신을 하기에 이르렀고, 그 사행을 마지막으로 통신사행은 종언을 고하였다. 계미사행은 이외에도 당초 삼사(三使)로 내정되었던 서명응 일행이 교체되었고, 사행도중 오사카에서 도훈도 최천종이 대마도 통사에게 살해되는 등 전례 없는 일들이 일어났다. 사행의 노정을 보면, 사행원들은 1763년 8월 3일 한양을 출발해 1764년 7월 8일 귀환해 복명하였다. 도합 11개월이 소요된 긴 여정이었고, 일본에서의 체류기간이 8개월 반이었다. 계미통신사행은 외교의례가 가장 정례화된 형태로 안정적으로 이루어졌고, 문화교류 또한 가장 활발하였다. 인원은 사행록 등 기록에 따라 475명에서 486명까지로 약간의 차이가 있는데, 480명 전후로 볼 수 있겠다. 사문사를 비롯한 통신사행원들은 대마도에서 에도까지 도합 22개 주를 거치며 각지에서 필담창화를 하였다. 그 결과물로 통신사행원이 일본사행록은 모두 14종으로 가장 많았고, 일본에서 저술된 필담창화집도 43종에 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자료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계미통신사행에서 전개된 문화교류의 양상과 특성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

        조선시대 왕인에 대한 인식의 전개와 그 의미

        하우봉 전북사학회 2015 전북사학 Vol.0 No.47

        This paper examined the formation and change of the recognition of Wangin(王仁). Literature written about Wangin of our country, "Samguksagi(三國史記)", Samgukyusa(三國遺事)" does not come at all. Finally entered the Joseon Dynasty began to appear in the course of exchanges with Japan. In 『Haedongjegukgi(海東諸國記)』 referring to 『Nihonsyoki(日本書紀)』, Shinsukju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that carries the culture of Japan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after the Imjin War, in the "Seonjosilok(宣祖實錄)" introducing a letter of Japanese monks Genso(玄蘇), Confucianism and letter, Buddhism, etc. was introduced to Japan by doctors of Baekje. More earnest in the late Joseon, Korean delegates who visited Japan and exchanged with Japanese literary men, introduced the Wangin relevant facts in their book of travels to Japan. Namyongik(南龍翼), Shintuhan(申維翰), Joeom(趙曮), Wonjungeo(元重擧) are such as the ones. Silhakja after them organized the Wangin relevant facts systematically and introduced with reference to the Japanese publications. Yideokmu(李德懋), Hanchiyun(韓致奫), Kim junghee(金正喜), Yigyugyeong(李圭景) are such as the ones. In a temporal, it was developed as a systematic study of Wangin by Korean delegates and Yideokmu, including Hanchiyun silhakja. The narratives and awareness of Wangin organized by them was succeeded by posterity, it is generally accepted as historical fact in the firm today. Since modern Japan, it was also distorted by political intent to use Dr. Wangin as a symbol of the integration of Japanese and Korean(內鮮一體). Even to get out of the current deadlock between the two countries Korea and Japan, it is necessary to refocus the historical fact of good neighbor friendship. Among those also through cultural exchanges and transfer agency of the Joseon Dynasty cultural relics of Baekje, including the activities of Wangin is a prime example. It reveals more clearly the specific facts, need to be urgently revisited its historical significance.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