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金健瑞의 『增正交隣志』와 일본과의 관계

        河宇鳳(Ha Woo-Bong) 역사실학회 2007 역사와실학 Vol.33 No.-

        Woo Bong Kim family(牛峰金氏) was famous diplomats in the late Joseon Dynasty. Especially its fame had been spread out since Kim Ji-Nam(金指南), and there had been 95 diplomats in the family. They carried key roles in the relations with Ching(淸) and japan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Kim Ii-Nam had been to japan as a member of Tongsinsa in 1682 and then wrote Tongsaillok(『東?日錄』). And his son Kim Hyun-Moon(金顯門), also has been to Japan as a member of Tongsinsa in 1711, wrote Dongsalok (『東?錄』). These two books have important position between 4 Japan travel essays which were written by diplomats because of its accurate and abundant details.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Kim Kun-Sea(金健瑞) was the specialist about Japanese society of the day who is the writer of Jeungjeongkyorinji(『增正交隣志』). So we can see that Kim Ji-Nam family left its footmarks as the great diplomats in the relations with Japan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Dynasty. The members of Woo Bong Kim family had contributed to diplomatic system keeping on a good condition by not only diplomatic activities but also writings. It seems that Kim Kun-Seo could write a great book such as Jeungjeongkyorinji by succeeding his family traditions. The summary of characteristics of Jeungjeongkyorinji is as follows. First of all, it is abundant in contents. It was composed of 69 contents compared with 29 contents of Haedongjegukgi(『海東諸國記』) in the early of Joseon Dynasty and 36 contents of Tongmunkwanji(『通文館志』)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Dynasty. Secondly, it shows well about the changes through 18-19th centuries from 17 centuries. Thirdly, it is more focused on economics than Tongmunkwanji. For this point, Jeungjeongkyorinji is an important materials for not only use of business manuals about relations with Japan but also for research of Japanese economics. Lastly, Jeungjeongkyorinji uses year-recording system based on the reign-style of King of Joseon, while Tongmunkwanji uses the Chinese way. Also it contains the contents about Eulreungdo(鬱陵島) and it shows the sensitive reaction against the territorial problems. It seems the expression of national consciousness motivated in the late of 18th century and also the result of Kim Kun-Seo’s self-consciousness.

      • KCI등재

        동아시아의 백과전서파 실학과 황윤석

        하우봉 ( Ha Woo-bong ) 한국실학학회 2020 한국실학연구 Vol.0 No.40

        유서는 지식 전체를 일정한 부문체계에 따라 재편해 독자에게 제시하는 저술 형식이다. 17세기 이후 동아시아 삼국에서는 의리와 이념에 치중된 성리학에 대한 반성과 함께 현실을 실용적으로 파악하고자 하는 실학적 풍조가 일어나면서 유서의 편찬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유서와 비슷한 형태의 저술을 서양에서는 백과전서라고 부른다. 미세한 차이가 있지만 대체적으로 유사한 형식과 내용을 지니고 있다. 양자의 공통점은 기존의 지식의 위계성에서 탈피하거나 해체를 지향한 점이다. 유서 편찬 자체가 지식의 집중과 분류를 통해 대중에게 쉽게 보급하고자 한 목적에서 나온 것이다. 상업적 출판의 발전과 함께 불특정다수의 독자를 위해 지식의 평준화를 지향하였고, 독자의 요구에 부응해 나갔다. 18세기 조선 사상계의 주요변화상은 도덕담론인 주자성리학에서 지식담론인 고증학·박학으로 변화해 간 것이다. 후자의 지식인들은 경학보다 박학을 중시하였고, 도보다는 기예(지식과 기술)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성리와 의리보다는 명물도수와 격물치지를 더 중시하였고, 연구방법에서는 고증과 실측을 강조하였다. 백과전서파라고 불리는 이들은 거대한 학술사적 전환을 수행하였다. 이들은 주자학일변도의 풍토에서 기존의 학문적 위계를 일부 해체하여 자연과학의 독자적 가치를 긍정하였고, 서학의 수용을 통해 독자적인 지식체계를 구축하려고 하였다. 현실에 대한 개혁을 도모하였던 실학파에게 나타나는 특징의 하나가 백과전서파적인 성향이다. 이것은 그들의 실용적인 학문적 지향과 직결될 뿐만 아니라 박학성 그 자체로서 이미 그것을 경시하였던 당시의 정통주의적 학문 경향에 대한 적극적 대응의 형태를 지니고 있다. 즉 박학에는 단순한 지식의 집적이 아니라 보다 적극적이고 실천적인 사상운동으로서의 의미가 있는 것이다. Ryuseo(=Encyclopedia) is a writing format in which the entire knowledge is reorganized according to a certain sector system and presented to the reader. After the 17th century, in the three countries of East Asia, a practical trend to grasp the reality as well as reflection on the theory of Sung Confucianism focused on loyalty and ideology arose. Writings in the form of a ryuseo are called encyclopedias in the West. Although there are subtle differences, they generally have similar forms and contents. What they have in common is that they aim to break away from or dismantle the existing hierarchy of knowledge. The compilation of the ryuseo itself came from the purpose of distributing it easily to the public through the concentration and classification of knowledge. With the development of commercial publishing, it aimed to equalize knowledge for an unspecified number of readers, and responded to the needs of readers. The major change in the Joseon ideology in the 18th century was the change from the moral discourse of Sung Confucianism to the knowledge discourse of bibliographical studies and erudition. The latter intellectuals valued erudition rather than philosophy,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rts (knowledge and skill) rather than Tao. Those called the Encyclopaedia have undergone a huge academic and historical transformation. They affirmed the unique value of natural science by dismantling some of the existing academic hierarchies in the climate of Neo-Confucianism, and attempted to build an independent knowledge system through acceptance of the occidental science. One of the characteristics that appears to the Silhak school, which has sought to reform the reality, is the encyclopedicism. This is not only directly related to their practical academic orientation, but also has a form of positive response to the orthodox academic tendencies of the time, which had already neglected it as erudition itself. In other words, erudition has a meaning as a more active and practical thought movement, not a simple accumulation of knowledge.

      • KCI우수등재
      • KCI등재

        통신사행 문화교류의 새 양상

        하우봉(Ha, Woo-Bong) 한일관계사학회 2018 한일관계사연구 Vol.59 No.-

        1763년의 계미통신사행에서의 문화 교류는 역대 가장 활발하였다. 그러한 교류의 결과 가장 다양하고 풍부한 일본사행록과 필담창화집이 저술되었다. 14종에 달하는 일본사행록은 서술주체와 형태와 내용면에서도 높은 수준을 이루었다. 일본에서도 역대 통신사행 가운데 가장 많은 43종의 필담창화집이 저술되었다. 통신사행원들은 일본 문사들과의 직접적 만남과 교류를 통해 일본인관에 변화가 일어났다. 그들은 일본 문사들이 보여준 인정에 공감하면서 인간으로서의 동질성을 자각하였다. 이와 함께 통신사행원들은 일본에 대해 실용적인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그러한 차원에서 시문창수보다 실질적인 정보와 지식을 얻을 수 있는 필담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그 결과 조선의 일본 이해가 심화되었다. 일본에 대한 객관화를 통해 의미 있는 지식의 축적이 이루어지고, 『화국지』같은 종합적인 ‘일본국지’ 가 저술되었다.『화국지』는 조선후기 통신사행원의 일본인식의 최고봉으로서 150여 년간에 걸친 일본이해의 축적 결과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다음으로 계미통신사행에 이르러 통신사행과 실학파가 비로소 접목되었다는 점도 주목되는 사실이다. 한편 이 사행에서는 일본의 학문적 성숙으로 인해 종래의 일방적 전수에서 대등한 입장에서 논쟁을 벌이는 양상이 나타났는데 이 점도 새로운 변화상이다. 근세에는 조선과 중국, 일본이 모두 해금체제(海禁體制)를 채택하면서 대외교류라는 면에서 역사상 어느 시기보다 폐쇄적이었다. 중앙정부 레벨의 공식적인 외교사절의 왕래만 있었을 뿐 민간 차원에서의 교류는 철저히 금지되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한국과 중국, 일본을 왕래한 조선의 외교사절인 통신사과 부경사는 동북아시아를 연결하는 ‘유일한’ 정보통로였다고 할 수 있다. 동시에 한양을 허브로 하면서 중국의 옌칭(燕京)과 일본의 에도(江戶)를 연결하는 문화의 도관(導管)이었다. 통신사의 연구 방향에 있어서도 동아시아적 차원에서 구조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절실하다고 여겨진다. 앞으로 통신사와 부경사를 매개로 한 동북아시아 세 나라의 문화교류를 바탕으로 삼국의 문화와 학술의 위상을 정립해 볼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통신사와 부경사가 일본과 중국에서 얻은 학술과 문화 정보가 한국에서 어떻게 수용되었고 서로 교차하면서 상대국에 영향을 끼쳤는가를 밝히는 작업이 흥미로운 연구주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조선전기 대외관계에 나타난 自我認識과 他者認識

        하우봉(Ha Woo-Bong) 한국사연구회 2003 한국사연구 Vol.123 No.-

        During the Joseon Dynasty, Koreans conceptualized "the others" in the process of the identification of the self, which resulted in the acceptance of the idea of Chinese Hwa-I-Kwan, the concept that China differed from surrounding barbarians and beasts, and the establishment of a perspective that Joseon was a small "illuminating center (China)". They put Ming (China) and Joseon (Korea) into one category, "Junghwa - the illuminating center", while putting other neighboring countries like Jurchen, Japan, Ryukyu and Southeastern Asian countries into the others, "the barbarians". This "Hwa-I-Kwan (Illuminating Center-Barbarians concept)" implied not only the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of the others but also the inclusion of the others as those who need to be civilized. The naturalization policy toward the others and the foreign policy toward Jurchen and Japan were also based on this concept. Focusing on that, this paper reviewed how Koreans of the earlier Joseon Dynasty perceived the world and themselves and how they viewed Japan and Jurchen as the others and then examined the naturalization policy as a inclusion policy. The main points of this paper can be summed up as followings. First, "the small illuminating center" concept, established in the earlier Joseon Dynasty, was basically a ethno-centrism. This concept was subjective and did not get any consensus from other countries. Koreans in that period perceived others on this concept, leaving little room for cultural pluralism or cultural relativism, which acknowledges the uniqueness of other cultures. Second, the way Koreans of the Joseon dynasty looked at the world underwent a change with the shift of times. In the early 17th century, the period after the Joseon Dynasty went through the two wars waged by Japan and Ching, Joseon sharpened the contrast between the illuminating center and the barbarians. They extremely excluded "barbarian" cultures and peoples. By strengthening the small illuminating center consciousness, they excluded not only Japan and European countries but also China because China was occupied by Manchurian Ching. Third, the naturalization policy was mainly inherited from Goryeo. However, their relationship toward the others became more negative except toward Japan. The naturalization policy stopped after 1636 when Ching invaded Joseon and the naturalization of the others did not continue any more. Lastly, The "small illuminating center" concept, the basis of Joseon's identification of the self and the others, had their roots in the Hwa-I-Kwan. They put Joseon as a small center to the Chinese Hwa-I-Kwan. Joseon did not have its own concept of the world but the sub-system of the Chinese concept. As a result, when the China centered world order collapsed. Joseon failed to find a independent road to adapt actively to the new order.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19세기 초 조선과 유럽의 만남

        하우봉(Ha Woo-Bong) 한국사학회 2008 史學硏究 Vol.- No.90

        근대 이전 시기에 조선인과 유럽인이 한국에서 접촉한 사례는 적지 않지만 제삼국인 일본의 나가사키(長崎)에서 직접 만나 교류한 사실은 매우 희귀하다. 그것은 전근대 동북아시아에서 표류민송환체제가 운영되고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기도 하였다. 일본 나가사키 데지마(出島)에 있는 和蘭商館에 파견되어 있었던 독일인 의사 지볼트(P. Siebold)는 1827년 3월 조선표류민을 만났으며, 그들과의 교류를 통해 얻은 정보를 그의 저서 『일본』에 기술하였다.『일본』은 19세기초 유럽인이 기술한 일본소개서로서는 가장 방대하고 깊이 있는 저술이었고, 유럽인들이 일본을 비롯한 아시아를 이해하는데 길잡이 역할을 하였다. 따라서 이 책에 수록되어 있는 조선편도 조선연구입문서가 되었다. 『일본』 조선편을 통해 지볼트의 조선에 관한 인식을 찾아볼 수 있는데 흥미로운 바가 많다. 그가 접한 조선인과 조선의 문물이 매우 제한적이라는 한계는 있지만 지볼트는 조선에 대해 나름대로의 객관적인 입장에서 이해하려고 노력하였다. 그는 하멜(H. Hamel) 이래의 조선에 대한 부정적인 선입관을 배제하고 문화상대주의적 인식에 기반을 두고 조선의 사회와 문화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전반적으로 그는 조선에 대해 동정적이고 우호적이었으며 유럽인의 문화제국주의적인 인식을 비판하였다. 그와 교류한 조선의 표류민들도 처음 보는 유럽인과의 만남이었지만 인간적인 교감을 느꼈으며 결국 그들에 대해 매우 좋은 이미지를 갖게 되었다. 19세기 초반 일본의 국제무역도시인 나가사키에서 이루어진 지볼트와 조선표류민의 교류는 조선인의 유럽에 대한 이해, 유럽인의 조선에 대한 인식 형성에 하나의 계기가 되었으며, 그 영향력의 크기는 짐작하기 어렵지만 긍정적인 방향으로 작용하였던 것은 확실하다. Before modern times, Europeans met Koreans a few times in Korea but Siebold had very rare opportunity as European to meet and interchange with Koreans in the city of the third country as Nagasaki. It was possible by the repatriation system for castaways in premodern northeastern Asia. P. Siebold was German doctor who was dispatched to Dutch trading center in Dejima in Nagasaki. He met Korean castaways in March 18Z7 and wrote informations from them in his book, Nippon Nippon was the most comprehensive and profound work of the European writings about Japan in Early 19th century, It was a guide for Europeans to understand Asia including Japan. So the chapter Koorai (Korea) of this book became a manual for studying Korea. It is interesting to find Siebold's recognition about Korea in the chapter Koorai of Nippon. Although he met few Koreans and came contact with very small part of Korean culture, he tried to be objective to understand Korea. He excluded negative standpoint toward Korea which had been originated from H. Hamel and tried to understand Korean society and culture at the base of cultural relativism In general, he was sympathetic and friendly to Korea and criticized European cultural imperialism Korean castaways who met Siebold sympathized with him although he was the first European they met. They had very good impression of Europeans including Siebold. The interchange between Siebold and Korean castaways in Nagasaki, the city of international trade in Japan in early 19th century made an opportunity for Korean to understand Europe and for Europeans to form the recognition about Korea. We can't know the exact extent of the influence of this interchange, but it surely had affirmative influ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