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초등학교 신규 교사의 소진에 관한 연구

        하요상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6 敎育論叢 Vol.53 No.4

        신규 교사들이 현장에 나가서 부딪치게 되는 많은 상황들은 그들에게 불유쾌한 정서적 반 응, 분노, 불만, 의기소침, 짜증, 우울, 불안, 긴장 등의 부적응적 상태를 유발시키는데 이러한 상태가 지속되면 교사들은 소진에 이르게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소진은 정서적 고갈과 타인에 대한 비난과 미움, 비인간화 현상을 겪게 되며 저성취로 이어지는 현상으로 학교라는 조직에서 교사들이 갖고 있는 그 중요성을 생각해 볼 때 매우 시급하게 개입되어 예방되거나 치유되어야 하는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진이란 무엇이며 어떤 과정을 거치며 심화되는지, 그리고 소진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무엇인지 살펴보고 신규교사의 특성과 업무, 스트레스 상황들을 분 석하여 신규교사들을 소진에 이르게 할 영향요인을 탐색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생의 자기조절과 사회성 발달간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

        하요상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19 초등상담연구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ion and social development and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s of hop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ion and social development. 352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sampled from four elementary schools in Sdou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nd the Sobel test were employed to analyz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elf-regul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social development. Second, hope had a significant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ion and social development. This means that students who are highly self-regulated have a high level of social development and those who have low self-regulation but high hopes have a high level of social develop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positive psychological intervention for social development and provided a basis for various positive psychological based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자기조절과 사회성 발달간의 관계를 검증하고 자기조절과 사회성 발달간의 관계에서 희망이 매개효과가 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소재 4개 초등학교 6학년 학생 352명으로부터 수집된 자기조절, 희망, 사회성 발달 자료를 구조방정식과 Sobel test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초등학생의 자기조절이 사회성 발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초등학생의 자기조절과 사회성 발달간의 관계에서 희망이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는 자기조절 능력이 뛰어난 학생은 사회성 발달 수준이 높고, 자기조절 능력이 낮아도 희망 수준이 높은 학생은 사회성 발달 수준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성 발달을 위한 긍정심리학적 개입의 가능성을 확인했다는 것과 앞으로 개발될 초등학생을 위한 다양한 긍정심리 기반 프로그램의 기초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긍정심리학의 구성요소와 초등학생발달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하요상 한국상담학회 2013 상담학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긍정심리학의 구성요소와 학생발달간의 인과관계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희망, 낙관성, 자기조절이 학생의 학업성취, 진로발달,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서울에 거주하는 507명의 6학년 학생과 그들의 학부모, 학생의 담당교과 선생님들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희망, 낙관성, 자기조절과 학업성취, 진로발달, 사회성 발달간의 인과 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최적의 모형을 찾기 위해 네 개의 개념모형이 개발되었고 이는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측정모형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확인적 요인분석을, 구조모형을 탐색하기 위해서는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네 개의 모형 중 두 번째 모델이 최적의 모형임이 드러났는데 이는 희망과 학생의 학업성취, 진로발달, 사회성 발달간의 인관관계를 설명하는 모형이다. 다른 세 가지 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이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희망이 주요 학생발달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긍정심리학의 요소이며 이는 긍정심리학에서 강조하고 있는 건강한 학생발달을 위한 예방적 개입의 필요성을 이론적으로 뒷받침해 준다. 나아가 종합적인 학생발달에 관심이 많은 다양한 학교관련전문가들이 희망과 관련된 구체적인 예방 프로그램 개발에 박차를 가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of positive psychology and student development. More specifically this research examined the influence of hope, optimism, and self-regulation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career development, and social development. This quantitative study included 507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ir parents, and students' subject teachers living in Seoul, South Korea. Four conceptual models were developed to investigate the best fit model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hope, optimism, and self-regulation an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career development, and social development.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as employed to analyze the dat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was used to explore measurement model and Path Analysis was engaged in to discover structure model. The results of SEM disclosed that Model 2 was the best fit model. It explains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hope and academic achievement, career development and social development. However, other three model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findings examined that hope is a component of positive psychology that affects essential student development, which theoretically supports the need for the preventive intervention for healthy student development that are stressed in positive psychology. This in turn will motivate diverse school professionals who are interested in comprehensive student development to develop concrete prevention programs related to hope.

      • KCI등재

        초등학생의 희망 및 자기조절과 사회성간의 관계

        하요상 ( Yo Sang Ha ),김은향 ( Eun Hyang Kim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3 한국초등교육 Vol.24 No.3

        본 연구는 긍정심리의 구성요소인 아동의 희망 및 자기조절과 주요 학생발달의 하나인 사회성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아동의 희망 및 자기조절이 사회성과 어떠한 관계가 있으며 사회성에 대한 희망 및 자기조절의 설명력은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에 소재한 3개 초등학교에 재학중인 6학년 학생 354명을 대상으로 희망검사, 자기조절 검사, 사회성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희망과 사회성 및 사회성의 하위변인(신뢰성, 자주성, 지도성, 근면성, 안정성, 사교성, 봉사성, 준법성)은 모두 유의미한 정적상관 관계를 보였으며 희망은 초등학교 아동의 사회성의 44.9%를 유의미하게 설명하였다. 둘째, 자기조절과 사회성 및 사회성의 하위변인(신뢰성, 자주성, 지도성, 근면성, 안정성, 사교성, 봉사성, 준법성)간에도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자기조절은 초등학생의 사회성중 54.4%를 유의미하게 설명하였다. 이와 같이 희망과 사회성, 희망과 자기조절은 각각 높은 상관관계가 있으며 희망과 자기조절은 초등학생의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건강한 사회성 발달을 위한 긍정심리학적 요소의 예방적 개입의 필요성을 이론적으로 뒷받침해 주며 희망 및 자기조절과 관련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긍정심리증진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hope, self-regulation, and socia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is study, 354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were sampled. During the study, the Children`s Hope Scale, Self-regulation Scale, and Social Development Inventory were employed. The resul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both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hope and sociality(reliability, autonomy, leadership, industrious, service, stability, sociability, law-abide spirit) at the level of p<0.01. Also, the regression results showed that hope contains explanatory power of 44.9% for sociality.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regulation and sociality(reliability, autonomy, leadership, industrious, service, stability, sociability, law-abide spirit) at the level of p<0.01. Also, the regression results showed that self-regulation contains explanatory power of 54.4% for socia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a high correlation between hope and sociality and between self-regulation and sociality. Furthermore, children`s sociality can be enhanced by increasing hope and self-regu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oretically support the need for the preventive intervention of positive psychological components for healthy social development. This in turn will motivate diverse school professionals to develop concrete and systematic prevention programs related to hope and self-regulation.

      • KCI등재

        코로나(COVID-19)로 인한 비대면 수업 활성화에 적응하는 초등학생의 심리적 적응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하요상(Ha Yo Sang),곽미규(Kwak Mi Ky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6

        목적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COVID-19)로 인한 비대면 수업 활성화에 적응하는 초등학생의 심리적 적응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자가 근무하는 A시 B초등학교 6학년 학생 10명을 대상으로 하여 2020년 9월에서 10월까지 자료를 수집한 후 구체적인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발견할 수 있는 현상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대상자들의 공통 경험을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결과 총 2개의 상위주제와 5개의 하위주제, 18개의 의미단위가 도출되었다. 주제에 따라 살펴보면, 첫째 ‘그리운 학교’ 라는 상위주제에는 ‘온라인 수업에 대한 고충’, ‘줄어든 배움’, ‘채워지지 않는 또래 관계’ 라는 3개의 하위주제와 ‘모른 것이 생겨도 해결되지 않음’, ‘온라인 학습으로 인해 신체 피로도가 증가함’, ‘관계 속에서 배울 수 있는 것이 줄어듦’, ‘학교에서 만들 수 있는 추억이 사라짐’ 등의 11개의 의미단위가 도출되었다. 결론 이 연구는 코로나로 인해 확산되고 있는 비대면 수업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적응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기술의 발전으로 예상되고 있는 비대면 학교생활의 확대에 적절한 준비 및 개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adapt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the activation of non-face-to-face classes due to coronavirus (COVID-19). Methods After collecting data from September to October 2020, this study was analyzed using a phenomenological method that discover the meaning and essence of specific experience through statements of subjects with commons experience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adaptation.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 total of 2 high-level topics, 5 sub-themes, and 18 semantic units were derived. Looking at the subject, first, the top topic of ‘Nostalgic school’ includes three sub-themes, ‘Complaints about online classes’, ‘Less learning’, and ‘Peer relationships that can t be filled’, and 11 semantic units such as ‘Even if something I don t know, it won t be resolved’, ‘Increased physical fatigue due to online learning,’ ‘Less learning in relationships’, and ‘Disappearing memories that can be made in school’. Second, the top topic of ‘Anxiety daily’ includes two sub-themes, ‘Difficulty in managing one’s life’, ‘Lack of security’, and 7 semantic units such as ‘Life pattern is broken and difficult to manage by yourself’, ‘The time spent working with computers and smartphones increases’, ‘Depressed and frustrated with things disappeared due to the corona’.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basic data for appropriate preparation and intervention in the expansion of non-face-to-face school life, which is expected due to the advancement of technology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y specifically examin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daptation to non-face-to-face classes that are spreading due to coronavirus.

      • KCI등재

        맞벌이 부모의 일과 가족 간 갈등, 자아존중감 및 우울의 관계 :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의 적용

        하요상(Ha, Yo-Sang),문선(Ha, Moon-S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6

        본 연구는 맞벌이 부모의 일과 가족 간 갈등이 자아존중감 및 우울과 어떠한 구조적 관계를 가지는지 상호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PIM)을 적용하여 부모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종모형에서 부모 간 차이를 검증한 결과, 가족-일갈등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자기효과는 모보다 부의 부적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부와 모의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자기효과에서는 부모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음으로, 부모의 가족-일갈등이 모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상대방효과와 자기효과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부모 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맞벌이 부모의 일과 가족 간 갈등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자기효과에서는 모의 경우 일-가족갈등과 우울의 관계, 가족-일갈등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완전매개효과가 유의미했다. 반면 부의 경우, 가족-일갈등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만 자아존중감의 완전매개효과가 유의미했다. 한편, 상대방효과에서는 모의 일-가족갈등과 부의 우울 간 관계에서 부의 자아존중감의 완전매개효과가 유의미했으며, 부의 가족-일갈등과 모의 우울 간 관계에서 모의 자아존중감의 완전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맞벌이 부모가 경험하는 일과 가족 간 갈등이 상호관계에서 어떻게 심리적 건강을 저해하는지 밝힘으로써 다중역할을 경험하는 부모 상호간의 역동에 대한 이해를 넓혔다.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utual influence of work-family conflict, self-esteem and depression on the dual-income couple. The results of comparative analysis of actor-effect and partner effect of husband and wife by applying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APIM) are as follows. First, the actor-effect of FIW(work interference with family) on self-esteem was higher for husbands than for wives in the final model. However, the actor-effect of self-esteem on depression did not differ between the couple. Nex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actor-effect of wife s FIW on wife s self-esteem and the partner effect of wife s FIW on wife s self-esteem. Secon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depression are as follows. The following is the result of the actor effect. In the case of wife, the full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IF and depress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IW and depression.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husband, the full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was significant on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IW and depression. Next is the result of the counterpart effect. Here, the full mediation effect of the husband s self-esteem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ife s WIF and husband s depression. In addition, the full mediation effect of wife s self-esteem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usband s FIW and wife s depress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the dynamics of couples experiencing multiple roles by explaining how work-family conflicts of dual-income couples hinder their psychological health. The sugges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미국의 학교상담과 진로교육

        하요상(Ha, Yo-Sang) 학습전략중재학회 2020 학습전략중재연구 Vol.11 No.1

        이 연구는 우리나라 학교상담과 진로교육의 발전을 위해 학교상담과 진로교육이 활성화되어 있는 미국의 학교상담과 진로교육을 살펴보았다. 먼저 학교상담의 발전과정과 학교상담의 모형 중 ASCA 국가모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고 그 후 진로교육의 발전과정과 진로교육 모형 중 CTE, 교과통합 진로교육, PLTW를 알아보았다. 미국의 학교상담은 치료적, 사후대처적 개입에서 점점 종합적, 예방적 접근으로 발전되어 왔다. 최근에는 종합적 학교상담모델인 ASCA 국가모형을 통해 학생의 건강한 발달 및 성장을 돕고 있으며 학교상담자의 역할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미국의 진로교육은 1984년에 Perkins Act 라는 법률의 제정과 함께 크게 발전하였고 2018년에 Perkins V 로 개정되어 여전히 아동 및 청소년의 진로 및 기술교육을 위해 많은 예산을 지원하고 있다. 또한 CTE, 교과통합진로교육, PLTW를 통해 진로현장 친화적 교육, 단편적 교과지식의 한계를 넘은 교과 통합적 교육, 국가주도의 맞춤형 교육 등을 통해 학생들의 진로발달 및 국가의 발전을 꾀하고 있다. 이에 따른 시사점이 기술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school counseling and career education program in USA, where school counseling and career education program are active for the development of school counseling and career education in Korea. First of all, the development process of school counseling and the model of school counseling were examined focusing on ASCA national model. and then CTE, curriculum integrated career education, and PLTW were reviewed. School counseling in USA has evolved from therapeutic and follow-up interventions to an increasingly comprehensive and preventive approach. In recent years, the ASCA national model, a comprehensive school counseling model, has helped students develop and grow healthy and expand the role of school counselors. Career education in USA evolved significantly with the enactment of the Perkins Act in 1984 and was revised to Perkins V in 2018 to still support a large budget for career and technical education for children and youth. In addition, through the CTE, integrated curriculum education, and PLTW, career-oriented education, curriculum integration beyond the limits of fragmentary curriculum knowledge, and nationally-tailored education are aimed at students’ career development and national development. Implications for this have been describ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