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중화사상과 조선후기 사상사

        하영휘 수선사학회 2017 史林 Vol.0 No.59

        受用中華文化的韓國歷代王朝,逐漸形成了一種獨特的文化,而積極受用中華文化是從麗末鮮初開始的。以鄭夢周爲代表的文人們都將中華文化看作是理想中的文化,他們選明棄元,甚至連朝鮮的建國都大體上模倣了明的體制。丙子胡亂(1636)時期,朝鮮投降淸朝,淸朝代替明朝掌控中原以后,朝鮮士大夫漸具中華思想。可以從兩個方面來理解中華思想。卽,在夷狄掌握中原之后,其一,中華文化不復存在;其二,復興消失的中華文化。春秋大義、衛正斥邪、小中華等等都是要保衛中華的中華思想之一。 確立中華思想的人是宋時烈(1607~1689)。他認爲崇周退夷狄的春秋大義是万代不變之法則。宋時烈的春秋大義思想受到宋朱熹的影響,他稱贊“朱子孔子后一”,這就意味着他信奉的是朱熹的春秋大義思想。宋時烈的中華思想一直持續到十九世紀末,其代表人物是柳重敎(1832~1893)。他講到“宋子朱子后一人”,稱贊宋時烈,幷以宋時烈的春秋大義思想來對抗帝國主義的侵犯。從宋時烈到柳重敎所展開的中華思想是朝鮮后期的代表性思想之一,對朝鮮后期的政治、社會、文化産生深遠影響。

      • KCI등재

        朱之蕃의 朝鮮使行과 朱太史 전설

        하영휘 조선시대사학회 2017 朝鮮時代史學報 Vol.- No.81

        Joo, Jibeon who came to Choseon as an envoy of Ming Dynasty in 1606 was different from other envoys. He had regard and affection for Choseon, admired Choseon culture, and he acknowledged the manners and capability of Choseon gentry. So the memory of Joo, Jibeon was keft in the deep heart of Choseon gentry. Ever since Ming Dynasty had collapsed and Qing Dynasty had dominated China, Choseon gentry yearned for Ming Dynasty and Chinese Culture. They needed a representation to satisfy their yearning for Ming Dynasty and Chinese Culture. So they remembered their good memory of Joo, Jibeon, and made him the representation of Ming Dynasty and Chinese Culture. In the process Joo-Taesa Legends were made. Joo-Taesa Legends were made mostly with regard to his calligraphy, because Joo had been famous of master calligrapher and had been known to have left many handwritings in Choseon. Three of the legends can be quoted as most famous. They are Chongsoosan Okryucheon(蔥秀山 玉溜泉), Pyeongyang Ryeongwangjeong(平壤 練光亭), Mangmodang(望慕堂)․Poongpaejigwan(豐沛之館)․Yeongsajeong(永思亭) in Jeollabuk-do Province. 1606년 조선에 온 明 사신 朱之蕃은 여느 사신과는 달랐다. 그는 조선에 관심과 애정을 표하고 조선의 시서화를 칭찬하고 조선 사대부의 인격과 역량을 인정했다. 그리하여 그는 조선의 사대부에게 가장 좋은 기억을 남겼다. 명이 망하고 淸이 중원을 지배하자, 조선의 사대부들은 명과 중화문화에 대한 동경을 품게 되었다. 이 동경이 명과 중화문화의 표상을 필요로 했고, 주지번을 기억 속에서 다시 살려내어 명과 중화문화의 표상으로 삼았다. ‘주지번’이라는 표상을 통하여 명과 중화문화에 대한 환상을 그려내고 동경을 달랬던 것이다. 그 과정에서 朱太史 전설이 만들어졌다. 주지번이 명필이었고 조선에서 글씨를 많이 썼다고 전해졌기 때문에, 주태사 전설은 주로 글씨를 중심으로 만들어졌다. 쓴 사람이 명확하지 않은 건물의 편액과 바위에 새긴 글씨는 전설과 함께 주지번의 글씨로 전해졌다. 그 중 대표적인 것으로 蔥秀山 玉溜泉, 평양 練光亭, 전라북도 일원의 望慕堂․豐沛之館․永思亭 등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경남대 소장 데라우치문고의 서첩자료

        하영휘 ( Young Whee Ha ) 수선사학회 2014 史林 Vol.0 No.50

        Kyungnam University has published Hanma Classics in 15 volumes that present the collection of writings from the Terauchi Library, now housed in Kyungnam University. I participated in this publication transcribing and translating these writings in Hanma Classics vols. 2-15. This article aims to assess and introduce this extensive collection. Terauchi Masatake (寺內 正毅) was keen to Korean historical sites, artifacts and writings in particular to plunder the Korean culture and history on the basis of assertion that Korea and Japan shared the same heritage. He complied his collection into the Terauchi Library in the same vein. Letters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sources in studying the history of the Joseon Dynasty as they were an significant part of people′s life during the time. The writings in Hama Classics, of which the large portion consists of letters, present vivid and candid description of everyday life. No single piece is worthless as they are the truthful evidence of history. Yamaguchi Prefecture Library still keeps 19 scrapbooks of Joseon kings` writing including 11 books of Jeongjo`s and five books of eminent personages. It is imperative to extend our study to those remaining works in Japan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

        표상으로서의 정몽주 글씨

        하영휘 ( Young Whee Ha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4 大東文化硏究 Vol.88 No.-

        정몽주의 친필 편지가 여러 차례 모사되고 번각되었다는 것을 남아 있는 복본들이 말해주고 있다. 그런데 자세히 살펴보면, 복본들은 읽기 위하여 제작된 것이 아니라 기념물로 제작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정몽주의 글씨를 기념물로 가장 먼저 제작한 사람은 尹斗壽였다. 그는 모각한 정몽주의 글씨를 때때로 보며 그의 충성을 생각하고 공경했다. 정몽주의 글씨가 윤두수에게는 충신의 표상이 되었던 것이다. 정몽주는 사림에 의하여 東方理學之祖로서 추앙되었다. 그러다가 分黨된 후 남인에 의하여 東方理學之祖로서 전유되고 추앙되었다. 權相一은 영남의 대표적인 서원 道南書院에 정몽주의 글씨를 번각하여 모셨다. 그에게 정몽주의 글씨는 東方理學之祖로서의 표상이었다. Jeong, Mong-joo(鄭夢周)’s two handwritten letters were copied several times. Taking a closer look shows that those copies were made not for reading but as a monument. It was Yoon, Doo-soo(尹斗壽) who made the copy of Jeong, Mong-joo’s two letters as a monument first. Every time he look at them, he recalled Jeong, Mong-joo’s loyalty to the country. So to speak, to him Jeong’s calligraphy was a representation of loyalty. From 15th century, Jeong, Mong-joo was revered as the father of East Country(Korea) Neo-Confucianism(東方理學之祖). Then in 17th century after the split of political party, Nam-in(南人) party monopolized and revered Jeong, Mong-joo. Gwon, Sang-il(權相一), one of Nam-in party scholar reprinted and enshrined Jeong, Mong-joo’s calligraphy at Do-nam Seowon(道南書院). To Gwon, Sang-il, Jeong, Mong-joo was a representation of the father of East Country Neo-Confucianism.

      • KCI등재

        정몽주(鄭夢周)의 두 편지의 글씨에 관한 일고찰

        하영휘 ( Ha Young-whee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7 大東文化硏究 Vol.98 No.-

        『麗末鮮初先賢帖』에 실려 있는 鄭夢周의 `7월 21일`, `8월 5일` 두 편지의 글씨는 변화무쌍하고 자연스럽다. 이 논문은 이 글씨가 정몽주의 친필인지 아닌지를 살펴본 것이다. 정몽주처럼 중요한 인물의 글씨는 그 친필여부를 가려 문화유산으로 보존하고 활용해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 글씨는 尹斗壽가 정몽주의 친필로 인정하고 『成仁錄』에 모각한 편지와 서체가 일치한다. 또 이 두 편지는 柳成龍이 정몽주의 친필로 인정하고 『圃隱集』에 실은 편지와 내용이 일치한다. 吳世昌도 `7월 21일` 편지의 모사본을 정몽주의 글씨로 보고 『槿墨』의 첫머리에 수록했는데, 이것은 『成仁錄』을 모사한 것이다. 이로써 이 글씨가 정몽주의 서체인 것은 알 수 있다. 그러나 친필이라고 단정하기는 이르다. 원본의 모사본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글씨가 모사본일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보았다. 모사로는 흉내 낼 수 없는 파격적인 변화와 자연스러운 멋이 있기 때문이다. 또 정몽주의 외손 尹師國과 오세창이 친필로 인정한 『槿域書彙』의 정몽주 글씨와 비교해본 결과, 두 글씨는 한사람이 썼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Jeong, Mong-joo(鄭夢周, 1337~1392)`s `July 21` and `August 5` two handwritten letters are included in the 『Ryeomalseonchoseonhyeoncheop(麗末鮮初先賢帖)』. The calligraphy (書體) of them is peculiar, protean and natural. The question is whether the calligraphy is Jeong`s own handwriting or not. Yoon, Doo-soo(尹斗壽, 1533~1601) reproduced the calligraphy on the 『Seongillok(成 仁錄)』. Ryu Seong-ryong(柳成龍, 1542~1607) included the two letters in the 『Poeunjip (圃隱集)』. Osechang(吳世昌, 1864~1953) included the `July 21` letter on the first page of 『Geunmuk(槿墨)』 which is the anthology of masterful calligraphy in Korean history. These facts tell us that these three people acknowledged the calligraphy as Jeong`s own handwriting. The next step was to compare the calligraphy of the two letters with the calligraphy of 『Geunyeogseohwi(槿域書彙)』 which is recognized as Jeong`s own handwriting by Osechang and Yunsaguk(尹師國, 1728~1809). Consequently, both sides were proved to be the same calligraphy. Accordingly, we can reach a conclusion that the calligraphy of the two letters is Jeong, Mong-joo`s own handwriting.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