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식 불공정거래행위에 대한 과징금부과기준의 합리적 개선방안

        하영태 한국기업법학회 2018 企業法硏究 Vol.32 No.1

        Recently, the financial authorities have published and enforced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Capital Markets Act and the Regulations on the Capital Markets Investigation Regarding the scope of application of fines and the criteria for calculating fines. However, it is doubtful whether these standards are objective and reasonable reflecting the reality of the regulation of securities unfair practices. First of all, it is doubtful whether the unfair benefit (including unrealized profit) of the calculation of the fines is unpredictable and it is possible to judge the illegality of various types of unfair trading practices. And whether or not the unreasonable gain standard related to the existing penal levy will be applied to the calculation of the administrative penalty, or to replace it with a new standard. In addition, the scope of the causal relationship related to the abstraction of the imposing criteria and the profit obtained by the violation in the case where the unjust gain exists but the output is objectively impossible is a prerequisite for ensuring the effectiveness of the regulation. In order to solve these questions, it is necessary to redefine the meaning of the unjust gain as the criterion for calculating the fines to the meaning of profit and normative meaning. And a reasonable principle is needed to extend and interpret the relevance of the violation (causality).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develop objective indicators (such as stock prices to be concluded, orders to be concluded, transaction prices, trading profits, and call involvement rates) to judge the illegality of various securities unfair trade practices and charge penalties . In particular, even if the meaning of unfair advantage is interpreted normative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minimum general standard in order to impose a penalty in cases where the specific amount can not be calculate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bove problems. 최근에 금융당국은 과징금부과의 적용범위와 과징금산정기준에 관한 자본시장법 시행령과자본시장조사업무규정을 차례로 공표하여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준들이 증권불공정행위규제의 현실을 반영한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것인지 의문이 제기 된다. 우선 과징금산정의부당이득(미실현이익 포함)기준이 예측불가능하고 다양한 형태의 증권불공정거래행위의 위법성을 판단할 수 있는지 의문이다. 그리고 기존의 형사벌 부과와 관련한 부당이득기준이 행정제재인 과징금 산정에 그대로 적용될 것인지, 아니면 새로운 기준으로 대체할 것인지도 고민해야 할 것이다. 또한 부당이득이 존재하지만 산출이 객관적으로 불가능한 경우에 대한 부과기준의 추상성과 위반행위로 얻은 이익인지와 관련된 인과관계의 범위를 어디까지 할 것인지는 규제의 실효성을 확보하는데 선결적인 문제이다. 이러한 의문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먼저 과징금산정기준으로서 부당이득의 의미를 이익환수적 의미와 규범적 의미로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위반행위의 관련성(인과관계)을 확대해석할 수 있는 합리적인 원칙이 요청된다. 또한 다양한 증권불공정거래행위의 위법성을 판단하고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는 객관적 지표(주문하고 체결되는 주식가격, 주문하고 체결되는 거래량, 거래대금, 매매차익, 호가관여율 등)를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부당이득의의미를 규범적으로 해석한다 하더라도 구체적 금액을 산정할 수 없는 경우에 과징금을 부과하기 위해서는 최소한의 일반적 기준을 정립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제고를 위한 상법상 일반규정화 검토

        하영태 한국경제법학회 2014 경제법연구 Vol.13 No.1

        In general, social and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in a position to highlight and you will probably define the concept of CSR, CSR is a “corporate profit to continue to survive, as well as laws and ethics as a minimum comply with social norms, as well as a variety of requests from interested parties, etc. the company to respond appropriately to the society and the community responsible for the positive impact activity” is. The realization of thi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and meant purely voluntary responsibility, including legal responsibility will vary depending on whether and how the effect can be. Voluntary ethical and moral responsibility to look responsible shareholder-oriented view is that the positions of CSR beyond the minimum standards of legal requirements, shareholders, customers, suppliers and employees, as well as corporate social and environmental impact that businesses should consider voluntary. View to look at the legal responsibility of the position of the stakeholders in order to ensure the effectiveness of CSR companies can not be left only to the legal autonomy is necessary to force. However, the nature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values ​​and corporate values ​​of the society are mixed, so not inclined to either side of eclectic view is gaining strength. That is the position of shareholders and stakeholders central position requires a blend. Meanwhile, for the realization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s a voluntary approach to corporate claims, but that alone is not enough as experience shows that in many cases it has been proved through. Particularly in the United States occurred in the Enron (Enron) WorldCom Corp. (Worldcom)’s accounting fraud case is typical. CSR has no legal force as a means of promoting the company simply may possibly fall. Thu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s now to en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company's voluntary compliance is not enough commitment. Furthermore, through the legal institutionalization of national policy is urgently needed support ttaeyimyeo, I think that is ripe for a social atmosphere. In particular, by a special law and how the legal norm has general rules which can be realized by placing several special laws in Korea are already implemented, but the contents of the CSR provisions of the regulations have not been normal. In addition, the company’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stakeholders see as responsible for the grand total, so long as the subject of CSR is a commercial law commercial law and general provisions of the contents of the CSR should be legislated. In this paper, the realization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s a means of compelling the general provisions of the legal norm and Commercial Law Review would like to discuss a limited. For this purpose, a foreign qualified general discussion of the CSR and the need to look at the general provisions examined the specific legislation. 일반적으로 사회적․환경적 책임을 강조하는 입장에서 CSR의 개념 정의를 해보면, CSR이란 “기업이 지속적으로 존속하기 위해 이윤추구는 물론 최소한의 사회규범으로서 법령 및 윤리준수 뿐만 아니라 다양한 이해관계인의 요청 등에 적절히 대응함으로써 기업이 속한 사회와 공동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위한 책임 있는 활동” 이다. 이러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실현은 CSR을 순수한 자율적 책임을 의미하는지 법적책임을 포함하는지에 따라 방법과 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 자율적 책임을 윤리적․도덕적 책임으로 보는 견해는 주주 중심주의 입장으로 CSR은 최소한의 법적 요구기준을 넘어서 주주, 소비자, 공급업체, 임직원뿐만 아니라 기업의 사회적․환경적 영향을 기업이 자발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한다. 법적책임으로 보는 견해는 기업의 이해관계자의 입장으로 CSR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자발성에만 맡겨 둘 수 없으며 법률적 강제가 필요하다고 한다. 그러나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본질은 사회의 가치와 기업의 가치가 혼재하고 있으므로, 어느 한 쪽 으로 치우치지 않는 절충적 견해가 힘을 얻고 있다. 즉 주주 중심의 입장과 이해관계자 입장의 조화가 필요하다. 그동안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실현을 위해 기업은 자발적 접근방법을 주장하고 있지만, 경험적으로 볼 때 그 것 만으로는 부족하다는 것이 많은 사례를 통해 입증 되었다. 특히 미국에서 발생한 엔론(Enron)사와 월드컴(Worldcom)사의 회계부정 사건이 대표적이다. 법적 강제력이 없는 CSR은 단순히 기업홍보의 수단으로 전락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지금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기업의 자발적 준수의 약속만으로는 부족하다. 나아가 국가정책적인 지지를 통한 법적 제도화가 절실히 필요할 때이며, 그러한 사회적 분위기가 무르익었다고 생각된다. 특히 법적규범화에는 특별법에 의한 방법과 일반규정을 두어서 실현 할 수 있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이미 여러 특별법에 CSR의 내용이 구현되어 있으나 일반조항으로는 규정된 바가 없다. 또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기업의 이해관계자들에 대한 책임의 총합이라고 보는 것이라면 CSR은 상법의 대상이므로, 상법에 CSR의 내용을 일반조항으로 입법화 하여야 한다.

      • KCI등재

        일본의 무역보험제도의 운영상의 특징과 최근동향

        하영태 한국무역보험학회 2013 무역금융보험연구 Vol.14 No.4

        현재 국제무역정책의 방향은, 세계 각국이 자국의 기업에 대한 수출지원 정책을 간접적인 지원방법인 무역보 험제도의 개선과 보완을 통해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무역보험제도를 시대의 상황변화에 맞도록 가장 활발하 게 발전시키며 이용하고 있는 국가가 일본이라 할 수 있다. 일본의 무역보험의 운영상 특징은 국가의 전략적 지원, 무역보험의 영역확대, 보상사유의 세부화, 채권회수제 도 운영 등이 있다. 그리고 무역보험제도의 개혁 내용은 법 제도적 정비와 무역보험의 내용의 재정립, 중소기 업 지원정책 실시 등으로 요약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일본의 무역보험제도의 운영상의 특징과 최근 개혁내용을 소개하고, 한국무역보험과 관련하여 최근에 연구된 논문과 보고서에 나타난 문제점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변호사배상책임보험의 완전한의무화를 위한 입법방안

        하영태 (사)한국보험법학회 2018 보험법연구 Vol.12 No.2

        The lawyer's reparations liability insurance, which belongs to the professional reparations liability insurance, is an insurance that tells the lawyer about the liability for damages to the injured client or a third party due to a defense mistake that occurs while performing business. Lawyers' compensation liability insurance is classified into voluntary insurance and mandatory insurance, and is introduced differently in each country. In 2005, the Korea Lawsuit Corporation (LLC) increased its liability insurance by introducing liability insurance as a voluntary insurance system in 2002, opening up and expanding the legal market, and improving the public's sense of rights as a result of social development. And the statutory union to compulsory insurance. It is a reality that the attorneys are obliged to pay a minimum amount of attention or violation of their duty. In addition, claims for damages based on the negligence of the lawyer in the process of legal affairs are increasing, and the judgment of the court admitting the responsibility of the lawyer is sent to the public.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legal and institutional supplement for full legal obligation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of lawyer liability insurance for legal consumer protection, lawyer's efficient business execution activities and management stability.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is insufficient for the supplementation through the contract, and it is necessary to prescribe as the actual law for the prevention of the dispute about contents mandatory of the lawyer indemnity liability. In addition to the partial mandatory provisions in the current law,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legislation to add the provision that all lawyers should be obliged to comply with lawyer liability insurance, Do. 전문가배상책임보험에 속하는 변호사배상책임보험은 변호사가 업무수행 중 발생하는 변호과오로 인하여 손해를 입은 의뢰인이나 제3자에 대한 손해배상책임을 전보해주는 보험을 말한다. 변호사배상책임보험의 운영방식에 대하여는 임의보험형태와 의무보험형태로 나누어져 있고, 각 나라마다 상황에 따라 다르게 도입하고 있다. 한국은 변호사배상책임보험을 임의보험형태로 2002년에 도입한 후 법률시장의 개방과 확대, 사회발전에 따른 국민의 권리의식의 향상 등으로 변호과오소송이 증가하자 2005년에는 법무법인(유한)과 법무조합에게 보험가입을 강제하는 부분적 의무보험형태로 운영방식을 전환하였다. 변호사의 업무수행에 있어서 아무리 주의를 하여도 작거나 큰 의무위반행위가 발생 할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변호사의 법률사무 처리과정에서의 과실 등을 이유로 하는 손해배상청구가 증가하고 있고 변호사의 책임을 인정하는 법원의 판결이 선고되는 등 법률소비자보호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따라서 법률소비자보호와 변호사의 효율적인 업무수행활동과 경영안정성을 위해 변호사배상책임보험의 가입확대를 위하여 완전의무화를 위한 법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 제도적 보완은 약관을 통한 보완으로는 부족하며, 변호사배상책임의 의무화 내용에 대한 분쟁의 사전예방을 위하여 실정법으로 규정할 필요가 있다. 현행법상 부분적 의무화 조항에 추가하여 전문가책임보상보험 전체에 대한 강제가입 등을 일반조항으로 상법 보험편에 신설하고 모든 변호사들이 변호사보상책임보험에 가입하도록 하는 조항을 변호사법에 추가하는 입법보완이 필요하다.

      • KCI등재

        자본시장법상 과징금제도 확대도입과 효율적 운영방안

        하영태 한국경제법학회 2015 경제법연구 Vol.14 No.1

        There were continuing efforts to regulate unfair trade practices in the capital markets, including the provision of fines imposed regulations on maintenance and disclosure of regulatory scope of the capital market law unfair competition. Nevertheless, despite the unfair trade practices to above are cluttering up the foundation of our capital markets are not eradicated. Because of unfair trading, dealing damage to investors hurt confidence in the fairness of the market, protect investors from such acts and to ensure that the world may sound operation of the market is strictly regulated and unfair business practices. Current regulations on unfair trading and the question of its effectiveness is emerging post-sanctions failed to perform functions or pre-inhibitory function properly, caught sanctions against unfair trade is still unsatisfactory level, actually most of the cases has been criticized mainly treated with minor fines and probation. 자본시장법상 불공정거래행위의 규제범위의 정비와 공시제도에 대한 과징금부과 규정의 마련 등 자본시장에서의 불공정거래행위를 규제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공정거래행위는 근절되지 않고 우리 자본시장의 근간을 어지럽히고 있다. 불공정거래는 투자자들에게 피해를 입히고 시장의 공정성에 대한 신뢰를 해치기 때문에, 이러한 행위로부터 투자자를 보호하고 시장의 건전한 작동을 보장하기 위해 세계 각국은 불공정거래를 엄격히 규제하고 있다. 현재의 불공정거래에 대한 규제는 사후적인 제재기능이나 사전적인 억제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여 그 실효성에 대한 의문이 대두되고 있고, 적발된 불공정거래에 대한 제재는 아직 미흡한 수준이며, 실제로도 대부분의 사건은 주로 경미한 벌금이나 집행유예로 처리되고 있다고 비판받고 있다. 특히 불공정거래의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는 경제적 이익의 취득에 대해서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금전적 제재 수단이 취약한 상태이다. 불공정거래를 효율적으로 규제하기 위해서는 먼저 불공정거래가 발생할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하고 적발확률을 높이는 한편, 적발된 불공정거래에 대해서는 적절하면서도 엄격한 제재를 가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개인투자자 중심으로 발생하는 다양한 형태의 불공정거래행위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규제수단으로서 과징금제도의 전면적인 확대도입이 필요하다. 이러한 제재수단으로는 영국과 미국의 민사제재금과 일본의 과징금제도가 있는데 두 제도의 개념상의 차이점1)은있지만 증권시장에서 발생하는 위반행위에 대한 금전전 제재수단이라는 점에는 유사하다. 특히 일본에서는 증권시장의 불공정행위에 대한 금전적 행정제재수단으로 과징금을 도입하면서 공시의무위반 뿐만 아니라 불공정거래행위 전반에까지 확대하였고, 제도 도입 후 그 평가를 통해 과징금 부과 대상을 더욱 확대하고 과징금부과 금액수준도 상향조정하는 등 입법개선을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각국의 제도개선 사례들은 우리나라의 과징금제도의 확대도입 논의에 참고가 될 만하다.

      • KCI등재

        스포츠불공정행위의 내용과 공정성 제고 방안에 대한 검토

        하영태 한국경영법률학회 2015 經營法律 Vol.25 No.2

        The real value of sport and the role of fair play and open the possibility that the fair value of the game, through the physical fitness value of honesty and hard work, will foster, camaraderie and sense of responsibility, cooperation and harmony in our society that planted the noble values, social integration contributes to. Spirit of fairness in sport, especially represented by the core values ​​of sport. Life of fairness in sports competition game by game results and details of the operation, and in some situations, such as polarization is determined for any reason that should not be absolute. Such unfair acts of betrayal for sports fans across the game interesting for the degradation or loss of confidence in the existence of a professional sports event itself may be threatened. In this paper, a game of unfair manipulation of sports officials and referees in the coming unfair judgment of such information and take a look at the causes for such policies to ensure the fairness of the existing types by presenting a review of the complement, fair and transparent sport environment to help, in the composition.

      • KCI등재

        사채권자 보호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

        하영태 한국법정책학회 2024 법과 정책연구 Vol.24 No.1

        사채관련 상법규정의 개선작업을 통한 사채발행의 자율성과 사채권자보호제도를 도입하였음에 불구하고 사채발행시장은 양극화 현상으로 사채발행이 현저히 위축되었으며, 사채권자보호제도 또한 적절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웅진그룹이나 동양사건 등 대형 금융사건들과 관련하여 사채관리과정에서 사채관리회사는 사채권자보호의 의무를 다하지 못하였다. 그 결과 사채발행시장은 위축되었고 우량기업 위주의 사채발행으로 편중현상이 심화 되었다. 한국과 유사한 사채관리자제도를 운용하고 있는 일본은 원칙적으로 사채관리자의 설치를 강제하고, 사채권자보호의 필요성이 없는 경우는 예외를 인정하고 있다. 최근에는 사채관리자를 설치하지 않는 예외에 해당하는 사채권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사채관리보조자 제도를 도입하였다. 이러한 일본의 사채관련 제도의 보완노력은 우리나라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우리나라의 사채시장의 활성화와 사채권자보호를 위하여 제도의 보완이 필요하다. 우선 사채권자의 보호를 위한 사채관리회사의 강제설치의 내용을 상법에 규정하고 사채권자보호의 필요성이 적은 경우에는 예외규정을 신설하여야 한다. 그리고 예외규정에 해당하는 사채권자를 보호하기 위한 최소한의 장치로 사채관리보조자 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다음으로는 사채관리회사의 지위와 역할을 명확히 하고 의무조항을 보완하여 사채권자보호에 적극적인 임무수행을 할 수 있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그 외의 부차적으로 사채관리계약의 내용의 충실화, 사채관리에서 신탁개념의 도입 등의 논의도 있으나 본고에서는 사채관리회사의 설치의무와 그 예외규정의 입법을 위한 논의와 사채관리보조자 제도의 도입, 그리고 사채관리회사의 지위와 역할의 명확화에 관한 내용에 한정하여 검토하고자 한다. Despite the introduction of the autonomy of bond issuance and the bondholder protection system through improvements in commercial law regulations related to bonds, bond issuance has significantly decreased due to polarization in the bond issuance market, and the bondholder protection system is also not functioning properly. In particular, in relation to large-scale financial cases such as the Woongjin Group and Dongyang Incident, the bond management company failed to fulfill its obligation to protect bondholders during the bond management process. As a result, the private bond issuance market shrank, and the concentration phenomenon worsened with bond issuance centered on blue-chip companies. Japan, which operates a private loan manager system similar to Korea, in principle enforces the establishment of a private loan manager and allows exceptions in cases where there is no need to protect private bondholders. Recently, a private loan management assistant system was introduced to protect private loan holders who are exempt from installing a private loan manager. Japan's efforts to improve its private loan-related system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Korea. In order to revitalize Korea's private bond market and protect private bondholders, the system needs to be improved. First of all, the contents of the compulsory establishment of a bond management company for the protection of bond holders should be stipulated in the Commercial Act, and in cases where there is little need for bond holder protection, new exception provisions should be established. Additionally,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private loan management assistant system as a minimum measure to protect private creditors who fall under the exception regulations. Next, measures must be taken to clarify the status and role of the private loan management company and supplement its mandatory provisions so that it can actively perform its duties in protecting private bondholders. There are other secondary discussions such as enriching the contents of the private loan management contract and the introduction of the trust concept in private loan management, but this paper discusses the obligation to establish a private loan management company and the legislation of its exception provisions, the introduction of the private loan management assistant system, and The review will be limited to matters pertaining to the clarification of the status and role of the private loan management company.

      • KCI등재

        뉴노멀 시대의 대응전략으로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확산방안에 관한 연구 - 법‧제도 정비를 중심으로 -

        하영태 한국경영법률학회 2019 經營法律 Vol.29 No.3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refers to 'the company's consideration of the interests of its shareholders and companies as well as the interests of its various stakeholders, such as the state and community, together', which is not a fixed concept because it is defined in a variety of ways as society changes. The traditional CSR theory was negatively reviewed in the face of the conflict between shareholderism and stakeholderism, which is the essential argument of the enterprise. But the strategic social responsibility theory in response to the New Normal era should focus on how to implement CSR in reality rather than on abstract discussions on the essentials of enterprises. So far, efforts to realize CSR through autonomous regulation have been limited. Thus, in the New Normal era, the legal system needs to be reorganized to more aggressive CSRs. Currently, the world is seeing an increase in interest in CSR, and a growing number of countries are making it legal. Recently, India has revised the Company Act to practically operate CSRs by specifying the general provisions of CSRs, establishment of CSR committees, public disclosure obligations, and expenditure obligations. In Korea, as the demand for CSRs has increased, the contents related to CSRs have been legislated through individual laws. However, there are pros and cons of introducing the general provisions of the CSR in the Company Law. Given the foreign case of legalizing CSRs as a counter strategy in the New Normal era, Korea needs more active discussion. Thus practical research is needed for the specific realization and spread of CSR.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이란 ‘기업이 주주 및 회사의 이익뿐만 아니라 국가, 지역사회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이익을 함께 고려하는 것’을 말하는데, 이는 사회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정의되므로 고정된 개념은 아니다. 전통적인 CSR론은 기업의 본질논의인 주주지상주의와 이해관계자주의의 대립으로 소극적으로 검토된 면이 있었다. 그러나 뉴노멀 시대에 대응한 전략적인 사회적 책임론은 기업의 본질론에 대한 추상적인 논의보다는 CSR을 현실에서 어떻게 구현할 것인가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그동안 자율적 규제를 통한 CSR실현을 위한 노력은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뉴노멀 시대에는 보다 적극적인 CSR의 확산을 위해 법제도의 정비가 요구된다. 현재 세계는 CSR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으며, 이를 법적규범화 하는 국가가 늘어나고 있다. 최근 인도는 회사법을 개정하여 CSR일반규정, CSR위원회설치, 공시의무, 지출의무를 명문화하여 CSR을 실질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CSR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면서 개별법을 통해 CSR과 관련한 내용들이 일부 입법화되어 있다. 다만, 회사법에서 CSR의 일반규정을 도입하는 것과 관련하여서는 찬반의 논의들이 있는 상황이다. 뉴노멀 시대의 대응전략으로 CSR을 법적규범화하고 있는 외국의 사례를 고려할 때, 우리의 경우도 보다 적극적인 논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CSR의 구체적인 실현과 확산을 위한 실천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