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청소년의 사회참여활동이 시민성에 미치는 영향 : 사회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하성민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took note of youth's civil engagement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as an important factor to influence citizenship, and verified casuality structure of civic engagement, social capital and citizenship as the social and developmental factors of youth's growth.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advanced research, civic engagement and social capital variables having an effect on citizenship formation were confirmed, and relation between each of the variables was looked over. Also in the causal relationship of youth's civic engagement and citizenship, social capital was set as a mediating variable. The survey of this study selected the research subjects of 1st, 2nd and 3rd grade 724 male and female youths attending total 8 schools from 4 general high schools, 4 special-purpose high schools and 4 autonomous-type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region, and measured demo-sociological variable, civic engagement, social capital, and citizenship. The survey analysis used SPSS program for basic statistics, difference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Mplus program for structural model analysis, and goodness of fit indices used to verify structural model and mediating effect are , TLI, CFI, RMSEA, SRMR.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indicated there is difference in citizenship variables according to demo-sociological features such as youth's grade, school marks, mother's schooling, parents' economic level etc. The 1st, 2nd graders' civic engagement was indicated to be higher then the 3rd graders on average, and the 1st graders civic engagement was indicated to be higher than the 3rd graders, and the 1st graders' social capital and citizenship was indicated to be higher than the 3rd graders. In average difference in main variables according to school marks, all classification of marks in civic engagement, social capital and citizenship showed higher average in 'the middle rank' group than 'the low rank' group, and did higher average in 'the high rank' group than 'in the middle rank' group. In regard to mother's schooling, civic engagement and social capital showed higher average in the group of graduate school graduation group than in the junior college graduation group. Citizenship showed higher average in the group of graduate school graduation group than in the junior college graduation group. And in average difference of variables according to economic level, citizenship showed higher average in the 'high' group of economic level than in the 'low' group of economic level. Second, the result of verifying relation to youth's civic engagement and citizenship showed that youth's civic engagement has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formation of citizenship. The goodness of fit of structural model was indicated to be = 173.117(df=25, p<.001), CFI=.958, TLI=.952, RMSEA=.078, SRMR=.034, and the standardization estimation of path coefficient value was .108, which was indicated to be significant at p<.01 level. Third, the result of verifying relation to youth's civic engagement and social capital showed that youth's civic engage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social capital and the standardization estimation of path coefficient value was .419, which was indicated to be significant at p<.001 level. Fourth, the result of verifying relation to social capital and citizenship showed that social capital has an positive effect on citizenship, and the standardization estimation of path coefficient value was .624, which was indicated to be significant at p<.001 level. Fifth, the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in citizenship formation according to youth's civic engagement showed that social capital had a particial mediating effect in relation to civic engagement and citizenship. The goodness of fit of structural model was indicated to be = 173.117(df=25, p<.001), CFI=.958, TLI=.952, RMSEA=.078, SRMR=.034 and the standardization estimation of path coefficient value was .429(p<.001), which was indicat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rough this study, it could be confirmed that youth's civic engagement is a variable having an effect on social capital and citizenship, and social capital is a variable having an effect on citizenship, and the variable of social capital significantly mediates relation of civic engagement and citizenship. Thus a variety of civic engagements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accumulation of social capital to enhance youth's citizenship. 본 연구는 시민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청소년의 사회참여활동과 함께 사회자본의 매개효과에 주목하고, 청소년 성장의 사회발전적 요소로서 사회참여활동 및 사회자본과 시민성의 인과구조를 검증하였다.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시민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참여활동과 사회자본 변인을 확인하고, 각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청소년의 사회참여활동과 시민성과의 인과 관계에 있어 사회자본을 매개변인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는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지역 소재 일반계 고등학교 4개교, 특목고 및 자율형고교 4개교 씩 총 8개교에 재학중인 1, 2, 3학년 남녀 청소년 724명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변인, 사회참여활동, 사회자본, 시민성을 측정하였다. 조사의 분석은 기초통계와 차이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위해 SPSS 프로그램과 구조모형 분석을 위해 Mplus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구조모형 및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사용된 적합도 지수는 , TLI, CFI, RMSEA, SRMR 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학년, 성적, 어머니의 학력, 부모의 경제적 수준 등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사회참여활동, 사회자본, 시민성 변인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학년에 비하여 1, 2학년의 사회참여활동이 평균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으며, 3학년에 비해 1학년의 사회자본과 시민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성적에 따른 주요 변인들의 평균의 차이는 사회참여, 사회자본, 시민성 모두 성적 분류가 ‘하위권’인 집단보다 ‘중위권’인 집단의 평균이 더 높았고, ‘중위권’인 집단보다 ‘상위권’인 집단의 평균이 더 높았다. 어머니의 학력과 관련해서 사회참여와 사회자본은 어머니의 학력수준이 고졸이하, 전문대졸 집단보다 대학원졸 집단의 평균이 더 높게 나타났다. 시민성은 어머니의 학력수준이 전문대졸 집단보다 대학원졸 집단의 평균이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경제적 수준에 따른 변인의 평균 차이는 시민성의 경우, 경제적 수준이 ‘하’의 집단보다 ‘상’의 집단의 평균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사회참여활동과 시민성에 대한 관계를 검증한 결과, 청소년의 사회참여활동은 시민성 형성에 유의미한 직접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모형의 적합도는 = 173.117(df=25, p<.001), CFI=.958, TLI=.952, RMSEA=.078, SRMR=.034 로 나타났으며, 경로계수값 표준화추정치 .108로, p<.01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사회참여활동과 사회자본에 대한 관계를 검증한 결과, 청소년의 사회참여활동이 사회자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로계수값 표준화추정치 .419로, p<.001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자본과 시민성에 대한 관계를 검증한 결과, 사회자본은 시민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로계수값 표준화추정치 .625로, p<.001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청소년의 사회참여활동에 따른 시민성 형성에 있어 사회자본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사회자본은 사회참여활동과 시민성 관계에 있어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구조모형의 적합도는 = 173.117(df=25, p<.001), CFI=.958, TLI=.952, RMSEA=.078, SRMR=.034 로 나타났으며 경로계수값 표준화 추정치 .429(p<.001)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청소년의 사회참여활동이 사회자본과 시민성에 영향을 미치고, 사회자본이 시민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사회자본 변수가 청소년의 사회참여활동과 시민성의 관계를 유의미하게 매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청소년의 시민성 증진을 위해 사회자본 축적을 고려한 다양한 사회참여활동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 배경지식과 표지어가 독해에 미치는 영향

        하성민 계명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독자의 배경지식과 글 속 표지어가 사회, 과학 내용의 설명문 글의 이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위해 실시한 실험에서 독립변인 배경지식은 빈약한 초등학생 집단과 풍부한 중학생 집단의 두 수준으로, 글 속 표지어 조건은 표지어의 양이 많고, 적음의 수준으로 조작하고, 기억검사와 이해검사를 종속 측정치로 설정하였다. 독해력 검사를 마친 후 모든 참여자들에게 표지어 지식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에서 기억검사와 이해검사는 배경지식 수준 간의 차이가 났으며, 특히 이해검사는 표지어 수준 간의 유의미한 차이 또한 함께 발견되었다. 이어서 각 집단의 참여자들을 표지어 지식 수준에 따라 상, 하위 두 집단으로 나눈 뒤,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 간의 독해력 검사 결과를 비교하였다. 초등학생과 중학생 모두 표지어 지식 수준이 높은 상위 집단이 표지어 지식 수준이 낮은 하위 집단에 비해 이해검사 정답률이 뚜렷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독해 과정에서 배경지식과 표지어가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는 선행연구를 지지하고, 아울러 독자의 표지어 지식 또한 독해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말해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readers’ background knowledge and marker's conditions in text on comprehension process of social and scientific expository texts. For this experiment, there were independent variations for two groups based on their background knowledge. One was elementary students and the other was the middle school students. The condition of maker controls the how many or how few text. Memory and comprehension test were set up for the dependent variation. After the comprehension test, all of participants got the marker knowledge test. As a result, There was a gap between the memory and understanding test. Especially, from the understanding test, there could be found a meaningful difference from the levels of marker. After that, participants in each group were divided into high and low rank according to the knowledge levels of marker and compared reading test results. The high rank participants both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got the higher understanding score than the low. These results confirm the previous studies. They tell not only the importance of the background knowledge and marker when reading but also have a major impact on the knowledge of marker.

      • 사색적 심연의 이미지 표현 연구

        하성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Humans live with questions about their existence. They continuously judge their possibility of existence by comparing with others as they perform their roles and responsibilities in their society. Sometimes people get confused when they realize the existence of an unique characteristic of themselves that is different from others. However, the view of rapidly changing modern capitalist society often consider these moments as a waste of time, so the question of existence is hard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herefore, in the back of people’s mind, people question about true self that can make their empty mind meaningful. However, people continue their lives simply doing their duties with the suppressed thoughts. And, in such a life of reality, the question about true self is replaced by a repetitive void movement. This research begins with a question of what the true self is, which is being ignored in this society of living standard lif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understand “Nothingness” as a true self, and to experience the process of discovering the true inner self away from the familiar self through the act of expressing one's inner self. The study first explores the existence by Heidegger's "Nothingness (Nichts)” and reveals that humans can only exist truly through their fundamental existence of self. Heidegger’s "Nothingness (Nichts)”means purity in itself, unlike Lao Tzu, who says “Non-being (無wu)”exists because there is “Being (有you)”. This “Nothingness (Nichts)”cannot be defined, and it is equal as the being. Humans encounter an unfamiliar and free self through “Nothingness” that is different from the familiar self. At the same time, all beings become objective with internal fullness. This being can be persisted through constant self-awareness. The researcher focuses on the inner self and the thoughts of being oneself. The reason is to not lose the self due to the familiar life and to be fulfilled internally as the most fundamental self. This reflective act is to reveal the fundamentality of the existing self and surrounding existences. The researcher tried to concentrate fully on her inner self through a series of speculative immersion, which revealed an abyss image that is based upon the researcher’s unique rhythm. The result of this act was explained through ‘Inner expression’ and ‘Blue color and The accidental effect of materials’. The researcher repeat an act of placing pastel powder, making marks on undried materials, or continuously writing down small letters to create a form. Through this, the researcher tries to focus on inner self and remain as herself by bringing out the things within her. The blue color and the accidental effect of materials expand and deepen the focuses on the repeated inward immersion, and this finally reveals the researcher’s mentality through the art works. The completion of art work does not mean the end of practice to find a true self, but the art work itself continues to present as a meaningful trigger for the researcher. 인간은 늘 자신의 존재에 대해 의문을 가지고 살아간다. 인간은 자신이 속한 사회 안에서 주어진 역할과 책임을 수행하며 살아가면서 끊임없이 남들과의 비교를 통해서 자신의 존재 가능성을 판단한다. 그러다가 가끔씩 남들과는 다른 개별적이고 특별한 자기 자신이 존재함을 알아차리는 순간을 마주할 때면 많이 혼란스러워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런 순간들은 급변하는 현대 자본주의 사회의 시선에 의하면 쓸데없는 시간 낭비라고 치부되기 쉽기 때문에 존재에 대한 질문은 충분한 시간을 할애할만한 고려의 대상이 되기 어렵다. 따라서 사람들은 마음 한 구석으로는 자신의 공허한 마음을 의미 있게 해줄 진정한 자기란 도대체 무엇이며 어떻게 가장 자기다운 모습으로 삶을 영위해나갈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을 마음 깊숙이 억눌러 둔 채 그저 살던 대로 맡은 바에만 충실히 살아가는 것이다. 이렇게 현실의 삶에서 자신의 본질적인 자아에 대한 질문은 끊임없이 되풀이되는 공허한 움직임으로 대체된다. 본 연구는 이렇듯 사회의 기준에 순응하여 사는 일상적 삶에서 간과되는 진정한 자아 그것이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으로부터 출발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진정한 자아로서의 무를 이해하고, 자신의 내면을 표현하는 행위를 통해 현실적 삶의 자아로부터 벗어나 사색적 내면세계로 침잠하여 가장 충만한 자기 존재를 확인하는 과정을 경험하는 데에 있다. 연구의 내용은 우선 하이데거의 ‘무’를 통해 드러나는 충만한 존재를 살펴보고 인간은 자신의 가장 고유한 존재를 통해서만 진정으로 존재할 수 있다고 밝힌다. 하이데거가 말하는 ‘무’란 유가 있음으로 인해서만 존재할 수 있는 노자의 무와는 달리 순수성 그 자체를 의미한다. 이러한 무는 규정될 수 없는 것으로, 존재와 동일하다. 인간은 무에 의해 그동안 친숙해졌던 현실 속의 자아와는 전적으로 다른 낯설고 자유로운 존재를 마주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모든 존재자들이 사물로서 드러나게 하는 내적 충만함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존재는 끊임없는 자기 각성을 통해서 지속될 수가 있다. 이에 대해 본 연구자는 자신의 내부에 집중하여 그 안에서 자기 자신으로 존재하고자 하는 인간의 사유행위에 주목한다. 사유는 기존의 익숙한 삶으로 인해 자아를 상실하지 않고 가장 고유한 자기 자신으로서 자신의 내부에 충만하게 머무르기 위한 사색적인 활동으로 존재 자신과 자신의 주변의 모든 존재자들의 고유한 진리가 드러나도록 한다. 본 연구자는 일련의 사색적 몰입을 통해 자기 내부에 온전히 집중하고자 하였고 이를 통해 자기만의 특유한 리듬으로써 드러나는 심연의 이미지가 드러났다. 그리고 이러한 행위의 결과를 ‘내면의 표현’과 ‘파란색과 재료의 우연적 효과’를 통해 설명하였다. 본 연구자는 파스텔 가루를 안착시키는 동작을 반복하거나, 마르지 않은 재료 위에 연속적으로 흔적을 남기거나, 또는 계속해서 작은 글씨를 적어 일정한 형상으로 나타내는 등, 자기 안에 있는 것을 끄집어내는 표현을 다양하게 하며 이를 통해 사색적인 내면세계에 집중하고 자기 자신으로서 머물러 있고자 한다. 여러 가지의 파란색을 섞은 미묘한 푸른 빛깔과 우연적 효과를 지닌 재료는 반복되는 내면으로의 몰입을 심화하고 확장시키며 이로써 연구자의 정신적인 공간을 작품으로 드러낸다. 표현의 과정에서 연구자가 경험할 수 있었던 내면의 정화와 내적 충만함 그리고 이를 통해 구축된 깊은 내면세계는 작품의 완성과 동시에 그 의미가 소멸되는 것이 아니라 일상의 삶에서 본 연구자로 하여금 언제나 충만한 자아를 각성하도록 하는 삶의 태도로서 유효하게 작용한다.

      • 주의집중 놀이 프로그램이 ADHD 성향 아동의 행동변화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하성민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교육 현장에서 가장 중요하면서도 지도하기 힘든 생활지도 문제 중의 하나가 주의집중을 못하고 충동적이며 과잉행동을 하는 아동들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가진 아동들을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아동이라고 하는데, 이들은 학습활동에도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교우관계 및 단체생활에도 문제가 있어 제대로 적응하지 못한다. 또한 학교생활에서의 소외감은 학교생활 전반의 부적응이 유발되고 이것은 학년이 높아감에 따라 누적되어 부정적인 자아개념을 형성하게 되며, 그리하여 사회생활과 삶 전반에 문제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는 조기에 치료할수록 그 교육적 효과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이 연구는 주의집중 놀이 프로그램이 ADHD 성향 아동들의 행동특성과 학교생활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의집중 놀이 프로그램은 ADHD 성향 아동의 주의산만, 충동성, 과잉행동, 대인관계의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주의집중 놀이 프로그램은 ADHD 성향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 E초등학교 3학년 아동 24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각각 12명씩 무선 배치하여 실험집단에게 주의집중 놀이 프로그램을 단계적으로 실시하였다. 주의집중 놀이 프로그램은 한국행동과학연구소의 놀이지도(1983)에 따른 분류를 기초로 한 선행연구인 변금숙(1998), 이신련(2004), 현연옥(2004)의 프로그램을 기초로 주의산만 아동의 학습 및 치료 지침서(채규만, 장은진, 김도연 공저, 2007)에서 ADHD 성향 아동에게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프로그램을 골라 본 연구자가 재구성하여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주의산만, 충동성, 과잉행동, 대인관계를 나타내는 ADHD 아동척도 검사와 학업태도와 친사회적 태도를 나타내는 학교생활적응 검사를 이용하여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WIN 12.0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하였으며 효과의 검증을 위해 검사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평균 차이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의집중 놀이 프로그램은 ADHD 성향 아동의 행동변화에 효과가 있었다. 주의집중 놀이를 통해 주의산만, 충동성, 과잉행동, 낮은 대인관계의 행동이 감소하였으며 단체생활에서 지켜야 할 수칙을 하나씩 익혀 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주의집중놀이 프로그램은 ADHD 성향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학업태도와 친사회적 태도가 향상되어 타인에 대한 배려와 자신을 소중히 여기는 마음이 생겨 긍정적인 사고를 하게 됨을 사후검사에서 알 수 있었다. 본 프로그램은 놀이 위주로 구성된 프로그램으로서 아동들이 흥미를 갖고 즐겁게 참여하는 모습에서 아동들에게 유익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실시기간이 짧고 실시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지만 규칙과 질서를 지켜나가는 모습이 차츰 변화하였으며 바람직한 행동으로의 변화를 가져왔다. 지속적인 프로그램으로 장기간 실시하여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후속연구가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In the field of education, one of the most important but difficult issues is to instruct children who are inattentive, impulsive and hyperactive. Such children are generally defined as ADHD(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children. They usually have problems in learning activities and relationship with classmates. little adapting themselves to group life like in school. Feeling isolated from school life, ADHD children become less adaptive to most parts of school life. As their grade becomes higher, ADHD children are more likely to form a negative self-concept. This may cause problems related to social life and even the whole life when those children have become adults. The earlier ADHD is treated and cured, the more educational effects will be made.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ttention Play Program on ADHD children's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school life adaptation.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er raise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effects Attention Play Program does have on ADHD children's inattentiveness, impulsiveness, hyperactiv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 ? Second, what effects Attention Play Program does have on ADHD children's behaviors of school life adaptation ? For the study, the researcher sampled 24 children in their 3rd grade from E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Busan and randomly placed 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n the researcher applied Attention Play Program to the experimental group on step-by-step basis. Attention Play Program was a reorganization of programs that this researcher deemed appropriate for ADHD children out of 'guidelines for educating and treating ADHD children'(co-authors Chae Gyun Man, Jang Eun Jin and Kim Do Yeon, 2007). For the reorganization, the researcher also referred to another programs that Byeon Geum Sook(1998), Lee Sin Ryeon(2004) and Hyeon Yeon Ok(2004) used in their studies which were made according to 'play instruction-based classification' by Korea Institute for Research in the Behavioral Sciences(1983). Measurement devices used in this study are 'ADHD Children Scale' to measure inattentiveness, impulsiveness, hyperactiv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 and 'School Life Adaptation Scale' to evaluate learning and pro-social attitudes. By using both the devices, the researcher made pre- and post-tests.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SPSSWIN 12.0. To verify the effects of Attention Play Program.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values of the pre- and post-tests were obtained. The significance of mean difference was examined using t-test.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ttention Play Program was effective in changing ADHD children's behaviors. In other words, the program reduced ADHD children's inattentiveness, impulsiveness, hyperactivity and behaviors negative to interpersonal relations and allowed them to learn rules of group life one by one. Second, Attention Play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ADHD children's school life adaptation. The program improved ADHD children's learning and pro-social attitudes and made them more considerative to others and more respectful to themselves and, resultantly, have a way of positive thinking. This finding was supported by the post-test. The program is mainly consist of plays in which ADHD children can participate with interest and delight. In this sense, the plays may be beneficial to ADHD children. Though applied over a short period, the program helped ADHD children making behavioral changes in a better way, for example, following rules and keeping order. Subsequent studies on Attention Play Program are needed in order than the program can be applied for a longer period and its effects maximized.

      • 도시 이산화탄소 저감을 위한 도시공원 조성 방안 연구 : 세종시 호수공원을 대상으로

        하성민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60년대 이후부터 시작된 고도경제성장과 산업화, 인구 증가에 따른 환경문제는 전 세계적으로 주요 문제가 되고 있다. 근본적으로 탄소저감과 열섬현상 완화등 도시지역에서는 에너지발생을 감소할 수 있는 온실가스 저감처리 시설 및 저탄소 녹생성장(녹지의 확충)방법 등의 탄소중립도시 구현이 주 정책으로 받아들여지며 쾌적한 도시환경의 도모와 각종 환경 위해성을 저감할 수 있는 녹지의 중요성이 증대되고있다. 도시차원의 다양한 CO2 발생저감 및 흡수 요소 중 도시공원은 탄소를 저장하고 열섬현상 완화시키며, CO2 발생을 억제하고있다. 이러한 효과들은 저탄소 녹색성장의 정책에 일환으로 도시 내 녹지가 많이 조성되어진 반면 완충녹지의 조성은 확보 기준만 있을 뿐 분석 및 연구가 미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점에 기인하여 기 조성된 도시공원에 대한 CO2 흡수량을 분석하고 고찰함으로써 도시기후 완화 및 탄소 저장, CO2 흡수관점에서 도시공원의 조성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지는 턴키로 조성되어진 최초의 공원으로 세종시 일산호수공원의 1.1배에 준하는 국내최대의 인공호수공원이며, 국내의 대표성을 가진 공원중의 하나이다. 또한 이용률이 높고 조성되어진 시기가 세계기후회의인 교토의정서 발효(2005년)이후 조성된 공원으로 도시공원인 세종시 호수공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지의 식재구조 조사방법으로는 일정지역의 표본구 조사에 의한 방법을 사용하여 수목의 흉고직경(B), 수목의 수, 수고 등을 조사한 후 토출된 결과로 대상지 전체에 적용하여 대상지역의 토지이용, 수목의 흉고직경별(B), 근원직경별(R), 수목량등을 파악한 후 토지의 탄소저장 및 수종별 CO2 흡수량 산정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CO2 흡수원으로서의 도시공원을 조성 할 경우 토지이용, 지역을 고려한 식생의 수목의 배치, 활엽수가 침엽수에 비해 CO2 흡수량이 높은점을 활용하여 식재수종의 비율을 조정, 콩과식물의 수종 도입 및 생육밀도, 다층형식생구조, 관리 등에 의하여 탄소 저장 및 CO2 흡수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포장구간에 투수율이 높은 포장재의 변경이나 복개를 통하여 탄소저장량을 확대 시키는 방법을 강구하여 탄소 흡수원으로서의 도시공원 조성시 토지의 탄소 저장 및 CO2 흡수량은 증대할 것이며, 저탄소 녹생성장에 부합하는 조성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Recently there has been the problem that is caused by industrialization, population growth and high economic growth since 1960s. It is a important policy to realize a carbon-neutral city for basically reducing carbon and mitigating hot island effect by making greenhouse gas reduction facility in the city area, low-carbon green growth through expanding afforestation. So the significance of green area rises to make pleasant city-environment and alleviate environmental harm. City parks, one of various elements that reduce and absorb carbon hydrate in the level of city preserve carbon, alleviate hot island effect and control carbon hydrate. Due to these results, green areas in the city have been built as part of low carbon green growth policy, but there is only a standard, not research and study about green buffer. Thus this study based on the situation give directions about making city park by valuating and considering absorbtion of carbon hydrate through city park in the aspect of hereafter alleviating urban climate and carbon hydrate absorbtion . This study on the site is Sejong city lake park as city park in the research method that investigates a diameter at breast height, the height, and the number of trees. After following results applies to target area for grasp of the land usage and the number of trees by diameter at breast height and source diameter, the land is calculated about a amount of the carbon storage of land and carbon hydrate absorbtion by kind of trees. In building a city park as absorbtion of carbon hydrate through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amount of the carbon storage of land and carbon hydrate absorbtion is increased by land usage, vegetation arrangement considering the area, adjustment of vegetation rate by using the aspect that broadleaf trees absorb more carbon hydrate than needleleaf trees, introduction of species of leguminous plants, growth density, a multi-layer type vegetation structure and adminstration. Also carbon hydrate absorbtion of city is increased by making a city park as a unit if carbon absorbtion through changing paving into high-permeability or covering to expand carbon storage in pave section. In addition it would consider that this creating accord with low carbon green growth.

      • 비행청소년을 위한 멘터링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 보호관찰대상 청소년을 중심으로

        하성민 翰林大學校 社會福祉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비행청소년을 위한 멘터링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하는 연구이다. 보호관찰 2·3호 처분을 받은 보호관찰 청소년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여 멘터링 프로그램이 보호관찰 청소년의 개인적 요인(자아통제력, 자기유능감), 사회적지지, 비행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자는 멘터링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실험집단이 그렇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프로그램 종료 후 개인적 요인, 사회적지지, 비행행동에 긍정적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가정하고 이를 증명하고자 실험집단, 통제집단 모두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서울에 거주하는 보호관찰 청소년 25명 대상으로 실험집단 15명, 통제집단 10명으로 구분하여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멘터 대상의 과정 평가를 3회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분석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비모수통계 방법인 윌콕슨 순위검증으로 처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비행행동이 감소하였다.보호관찰 청소년의 비행행동은 사전 검사 2.1313에서 사후 검사 1.7193으로 비행행동이 감소하였으며 T-test, 윌콕슨 순위검증 결과 유의도 .005, .010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사회적 지지도가 향상되었다.보호관찰 청소년의 사회적지지 변화는 사전 검사 2.6993에서 사후 검사 3.5047로 사회적지지 점수가 향상되었으며 T-test, 윌콕슨 순위검증 결과 유의도 .000, .040, .001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자기유능감이 향상되었으나, 자아통제력은 별 차이가 없었다. 보호관찰 청소년의 자기유능감 변화는 사전 검사 2.6667에서 사후 검사 3.2000으로 향상되었으며 T-test, 윌콕슨 순위검증에서 유의도 .004, .006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호관찰 청소년의 자아통제력 변화는 자아통제력 사전 검사 3.1200에서 사후 검사 2.9607로 감소하였으며 T-test, 윌콕슨 순위검증 모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멘터 대상의 과정 평가를 통해 프로그램 수행 과정상의 긍정적 요인과 부정적 요인에 대해 알아보았다. 멘터링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멘터들이 멘티에 대한 지속적인 관계 유지를 희망하는 부분과 기관의 멘터들에 대한 정서적 지원 즉, 멘터들의 역할을 존중하거나 멘터들의 입장을 먼저 고려하는 부분이 긍정적으로 작용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동료 멘터들과의 관계, 기관의 적절한 지원 및 보상, 멘터 교육 및 프로그램 적절성, 전문성 등이 다소 부족한 면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기초로 하여 비행 청소년을 위한 멘터링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개입을 위해 몇 가지 제안을 하고자 한다. 첫째, 멘터의 올바른 역할에 대한 충분한 인지와 지속적인 교육이다. 둘째, 멘티들을 위한 프로그램 사전 교육 및 인식이다. 셋째, 기관의 적절한 보상 및 지원이다. 넷째, 멘터 활동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mentoring program for juvenile delinquents. In this paper I compared and analyzed how the mentoring program affects juveniles on probation in terms of: personality (self-control and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delinquencies. To this end, I divided the juveniles on probation, according to probation articles 2 and 3, into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o get started, I hypothesized that the juveniles in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show more positive results against the three factors than the ones in the control group. To prove this hypothesis, I conducted a pre- and post-test for both groups. For the purpose of the mentoring program, I randomly selected 25-Seoul juveniles put on probation and divided them into two groups: an experimental group of 15 and a control group of 10. Throughout the program, the evaluations of the groups performing the program were done three times, and the data collected were tested and analyzed in three categories: T-test, and Wilcoxon Matched-Pairs Signed-Ranks Test, all using a statistical package, SPS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ate of delinquency was reduced among the juvenile in the experimental group more than in the control group. The delinquency decreased from 2.1313 in the pre-test to 1.7193 in the post-test, and the significance was very similar in both T-test and Wilcoxon rank test, .005 and .010, respectively. Second, the rate of social support was improved among the juveniles in the experimental group more than in the control group. The rate of social support increased from 2.6993 in the pre-test to 3.5047 in the pro-test, and the significance was .000, .040, .001 in T-test, Wilcoxon rank test, respectively. Third, the rate of self-esteem improved in the experimental group; however, the rate of self-control showed no big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The rate of self-esteem increased from 2.6667 in the pre-test to 3.2000 in the post-test, and the significance was .004 and .006 in T-test, Wilcoxon rank test,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rate of self-control decreased from 3.12000 in the pre-test to 2.9607 in the post-test, and any significance was not found in T-test, Wilcoxon rank test. In addition, I was able to come up with both positive and negative factors for the process of the mentoring program through process evaluation against the mentors. Included in the positive factors are that during the program the mentors wanted to maintain a continuous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and that the mentoring institution was supportive in mentors moral support, thus realizing the significance of the mentors role and considering the mentors situation in the first place. However, there appeared a number of accompanying problems during the program. Included in the negative factors are the institutions insufficient support and compensation, the inappropriateness of both mentors education and program itself, and lack of expertise. Based on the facts found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make several proposals to effectively improve the mentoring program for the juvenile delinquents. First, mentors awareness of their roles and continuous education for them. Second, the preliminary education and recognition of programs for mentors. Third, the appropriate institutional support and compensation. Fourth, the development of a wide variety of program for mentors.

      • 직업교육 위탁과정 학생들의 직업 인식에 관한 연구 : 미용 분야 노동시장 진출 경험을 중심으로

        하성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미용 분야 직업교육 위탁과정 학생들의 노동시장 진출 과정을 중심으로 그들이 고졸 취업에 대해 가진 긍정적 기대의 인식 기반과 기대 실현을 위해 기울이는 노력의 양태를 탐구하고자 했다. 기존 연구들과 달리 구성주의적 근거이론을 통해 진행된 본 연구는, 제도권 교육의 낙오자라는 라벨을 지녔기에 수혜적 시각의 대상이었던 직업교육 위탁과정 학생들을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주체로 인정하고자 하는 내재적 관점을 바탕으로 탐구 과제를 수행하였다. 위탁과정 학생들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초기코딩, 초점코딩, 메모 작성, 메모의 종합을 통해 해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위탁과정 학생들이 고졸 취업에 대해 가지는 긍정적 기대는 자신들이 위치한 사회를 둘러싸고 있는 상징적 경계에 기반한다. 경계 안의 사회에서 그들은 직업 세계의 스타라는 이미지화된 성공을 접하고 동시에 사회적 필수인력으로 스스로를 정의한다. 그들이 상상하는 위계 없는 직업의 모자이크에서 고졸 취업은 성공의 가능성이 열려있는 기회이다. 그러나, 성공을 향한 낙관적 인식은 현실적 인식에 의해 견제받는다. 그들이 직업 세계에 들어서면서 접하는 현실은 모두에게 생태적 지위(niche)가 부여되지만, 일자리가 아닌 일거리를 계속해서 구해야 하는 연속의 공간이다. 다음으로, 위탁과정 학생들이 자신들의 긍정적 기대를 실현하기 위해 기울이는 노력의 양태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하나는 직업 선택을 위한 결단이며, 다른 하나는 간헐적 휴식으로부터 일을 다시 시작하는 마음이다. 이 과정에서 협력적 팀과 관객의 인정, 그리고 내면의 불안과 생존을 위한 무관심은 그들의 노력의 양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조건으로 작용한다. 마지막으로, 위의 과정을 통해 위탁과정 학생들이 갖게 되고 드러내는 태도의 의미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들은 당당한 생존주의자로 직업 세계에 나타난다. 그들의 당당함은 선택한 직업에 대한 인식과 지향하는 가치의 상호작용으로부터 나온다. 성공과 생존의 측면에서 각각 지향하는 가치로 자리잡은 경제적 자유와 시간적 자유가 현재, 미래에 대한 비판, 가치 관련 비판으로부터 그들을 자유롭게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Focusing on the process of entering the labor market of students in the vocational education consignment course in the beauty field, this study sought to explore the basis of their positive expectations for high school graduate employment and the pattern of efforts to realize expectations. Unlik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which was conducted through constructive grounded theory, carried out inquiry tasks based on the intrinsic perspective of recognizing vocational education consignment students as active and assertive subjects. The results of interpreting the data collected from the consigned students through initial coding, focus coding, memo writing, and comprehensive memo are as follows. The positive expectations of consigned students for high school graduate employment are based on the symbolic boundaries surrounding the society in which they are located. In a society within boundaries, they encounter the imaged success of being stars of the professional world and at the same time define themselves as social essentials. In the mosaic of hierarchical jobs they imagine, high school graduate employment is an open opportunity for success. However, optimistic perceptions of success are checked by realistic perceptions. The reality they encounter as they enter the world of work is a series of spaces where everyone is given an ecological status (niche), but they have to continue to find work, not jobs. Next,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pattern of efforts that students in the consignment course make to realize their positive expectations. One is the decision to choose a job, and the other is the mind to resume work from intermittent rest. In this process, the recognition of cooperative teams and audiences, and inner anxiety and indifference for survival act as conditions that can change the pattern of their efforts. Finally, through the above process,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meaning of the attitude that students in the consignment course had and revealed. They appear in the professional world as confident survivors. Their confidence comes from the interaction between their perception of the chosen job and the value they aim for. It was confirmed that economic freedom and temporal freedom, which have become values that are aimed at in terms of success and survival, free them from criticism of the present, future, and value-related criticism.

      • 키에르케고르의 절망의 변증법과 신앙 : 『죽음에 이르는 병』을 중심으로

        하성민 韓南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키에르케고르의 신앙은 인간의 자기(Selbst)이해에서 시작한다. 신앙과 비신앙은 인간의 자기 이해에 따라서 결정된다. 자기 이해의 요구는 학문적 보편성과 객관성 속에 상실된 주체성에 대한 요구이다. 인간의 주체성 상실은 자기 몰이해를 가져오며, 자기 몰이해의 상태는 절망을 지시한다. 키에르케고르는 인간의 자기를 정신과 관계로, 그리고 신에게서 파생된 것으로 규정한다. 이렇게 신에게서 파생된 자기를 인정하는 것이 키에르케고르가 주장하는 신앙이라고 할 수 있다. 파생된 자기에 대한 인정은 인식 운동에서 이루어지지 않는다. 파생된 자기에 대한 인정은 ‘인간은 죄인이며 결국 죽을 수밖에 없다’는 그리스도교적인 인간관에 대한 인정이다. ‘인간은 죄인이다’라는 현실적 규정은 인간이 절망의 상태에 머무르고 있다는 것을 말한다. 인식의 운동은 인간이 절망의 상태에 있다는 것을 알게 해 줄 수 있다. 그러나 절망의 상태를 벗어나고자 하는 것은 인식의 몫이 아니라 의지 몫이다. 따라서 키에르케고르는 절망의 책임이 인간에게 있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죽음에 이르는 병(Die Krankheit zum Tode,1849)』에서 다루는 절망의 모습들은 인간이 절망으로부터 신앙을 향해 나아갈 수 있는 계기들을 다룬다. 다양한 절망의 모습들 속에 변증법적으로 내재되어 있는 신앙의 계기들을 찾고 있다. 내재되어 있는 신앙의 계기들은 신앙 혹은 비신앙의 상태에 대한 결단을 요구하고 있다. 절망의 상태 속에서 인간은 ‘신앙이냐 비신앙이냐’의 갈림길에 서있다. 그리고 신은 신앙 혹은 비신앙을 신 앞에서 선택하고 결단할 것을 요구한다. 이런 선택과 결단의 요구는 키에르케고르의 초창기 저술인 『이것이냐 저것이냐(Entweder-Oder,1843)』에 나타난 실존 3단계설에서도 볼 수 있다. 심미적 실존, 윤리적 실존, 종교적 실존으로 분류되어 서술된 실존 3단계설은 각 실존의 단계마다 요구되는 선택과 결단이 자기 이해에서 시작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현실성이란 가능성과 필연성의 종합’이라는 주장은 ‘인간의 죄인이며, 죽을 수밖에 없다’는 필연성과 ‘구원과 생명’의 가능성이 인간에게 현실로서 주어져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가능성은 절망의 상태를 벗어나 신앙으로 혹은 절망의 상태에서 계속되는 비신앙으로 향할 수 있다. 그러므로 신앙의 삶은 신을 향한 결단의 삶이어야 한다. 신앙은 신을 향한 투쟁과 같은 것이다. 신앙은 늘 자신 앞에 열려져 있는 가능성 가운데 신이라는 생명과 구원의 가능성을 선택하는 것이다. 그리고 신이라는 가능성을 선택한다는 것은 인간이 신에게서 파생된 존재자라는 것을 인정하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