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할관련 직무스트레스 원이 직장-가정 갈등에 미치는 과정에서 SOC 조절효과

        하미옥,김정남 한국건강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SOC strategy moderate to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ors and work-family conflicts. Models of this study were developed to test role of SOC strategy as a moderator. Data for analysis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s in March, 2005 and February, 2006.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748 male and female workers. Questionnaire was made to measure the level of SOC strategy, job stressor, and work-family conflict. SOC Scale was developed in author's previous study for the validation of the SOC Scale for Korean. Participants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mean of SOC score as a high or low group. SPSS 14.0 for Window was used to test models for this study. As a result,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interaction effect of job stressor and SOC were found on work-family conflict. And workers of high SOC group report lower work-family conflicts than those of low SOC group.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nd methodological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Finally the tasks and direction for future study were suggested. 본 연구의 목적은 SOC전략이 역할관련 직무스트레스 원과 직장-가정 갈등의 관계를 효과적으로 조절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SOC전략, 역할관련 직무스트레스 원, 직장-가정 갈등 관계를 측정하는 질문지를 작성하여 직장인 748명을 대상으로 2005년과 2006년 두 차례 조사를 실시하였다. 역할관련 직무스트레스 원과 직장-가정 갈등 사이에서 SOC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SOC는 역할관련 직무스트레스원과 결과변인사이에서 조절하고 있었다. SOC 저 집단보다는 고 집단이 역할 직무스트레스 원과 직장-가정 갈등 관계를 더 뚜렷하게 조절하는 효과를 드러냈다. 즉, SOC의 조절효과 검증 결과, 기대한대로 SOC 전략 수준이 낮은 집단에 비교해서 높은 집단에서 역할관련 직무스트레스 원에 의한 직장-가정 갈등의 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산업 조직 이외에도 다양한 장면에서의 SOC 전략의 적용 가능성과 SOC 척도 사용 및 이 연구에서의 제한점, 그리고 앞으로의 연구 과제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사망률이 높은 지역사회에서 사회적 참여와 신뢰의 자살 생각 및 시도와 연관성

        하미옥(Mi-Oak Ha),김장락(Jang-Rak Kim),정백근(Baekgeun Jeong),강윤식(Yune-Sik Kang),박기수(Ki-Soo Park) 한국농촌의학 지역보건학회 2013 농촌의학·지역보건 Vol.38 No.2

        이 연구는 건강플러스 행복플러스 사업의 기초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지역사회에서 자살생각 및 자살시도의 수준을 알아보고, 이들과 사회적 참여와 신뢰의 사회적 자본과의 연관성을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자료는 경상남도에서 표준화사망비가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40개 읍, 면, 동에서 체계적 표본 추출로 선정된 220 가구의 구성원 중 가장 생월일이 빠른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직접 면접 방법으로 수집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0년, 2011년, 그리고 2012년의 8-10월이었으며, 최종 자료 분석 대상자는 8,800명이었다. 사회적 참여는 공식 집단 또는 비공식 집단에 참여하는 여부로, 신뢰수준은 영국의 국립 사회조사센터의 신뢰 설문 3 항목을 번역한 질문에 대한 긍정적 답변의 수로 구하였다. 자살생각은 ‘최근 1년 동안 죽고 싶다는 생각을 해본 적이 있습니까?’ 자살시도는 ‘최근 1년 동안 실제로 자살시도를 해 본 적이 있습니까?’ 라는 질문에 대한 ‘예’, ‘아니오’의 대답으로 구하였다. 인구사회학적 변수(성, 연령, 결혼상태, 직업, 식생활안정성), 주관적 건강수준, 그리고 건강행태변수(흡연, 음주, 운동)를 모두 통제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사회적 참여와 신뢰수준은 자살생각 및 자살시도와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다. 사회적 참여와 신뢰 변수는 모형의 적합도를 유의하게 개선하였다. 신뢰수준은 0인 경우를 기준으로 할 때 신뢰수준이 1인 경우 자살생각에 대한 교차비는 0.77(95%신뢰구간,0.63-0.94), 신뢰수준 3인 경우 자살생각에 대한 교차비는 0.69(95% 신뢰구간, 0.56-0.85)로 유의하였다. 사회적 참여는 둘 다 미참여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할 때 비공식집단만 참여하는 경우 자살시도에 대한 교차비는 0.41(95% 신뢰구간, 0.21-0.80)로 유의하였다. 결론적으로 다른 변수와는 독립적으로 사회적 참여와 신뢰의 사회적 자본은 자살생각 또는 자살시도와 유의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사회적 자본이 자살행동을 예방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associations of social capital with suicidal thoughts and attempts in Korean communities with poor health. Methods: We used the data from community health interviews conducted at 40 administrative sections (dong, eup, or myeon) with high mortality from August to October in 2010, 2011, and 2012 as part of the Health Plus Happiness Plus Projects in Gyeongsangnam-do Province. The 8,800 study subjects composed of 220 adults systematically sampled from each administrative section were asked if they had thought about suicide or had attempted suicide within 1 year. The social participation was measured with "participation in formal and/or informal group" and trust using responses to three questions about trust of others. Results: The prevalence of suicidal ideation and attempt within 1 year were 10.4% and 0.8%, respectively.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ose who participated in only informal groups, or had highest trust level reported less suicidal ideation, or attempt after adjusting for socio-demographic factors (sex, age, marital status, occupation, and food affordability), self-rated health, and health behaviors (smoking, alcohol drinking, and exercise).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ed social capital such as social participation and trust was associated with less suicide ideation and attempt. More studies are warranted for the association of social capital with suicidal behavior.

      • KCI등재

        은퇴가 건강행동에 미치는 영향: 은퇴사유에 따른 분석

        하미옥(Ha, Mi-ok),김미희(Kim, Mi-hee),고영숙(Ko, Young-sook) 한국노년학회 2016 한국노년학 Vol.36 No.4

        본 연구는 은퇴가 중․고령자의 운동과 흡연, 음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은퇴사유에 따라 은퇴가 건강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고령화연구패널 조사 1~5차년도(2006~2014) 자료를 활용하여, 패널 고정효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인구사회 학적 특성 및 주관적 건강이 통제된 상태에서도 은퇴는 규칙적 운동수행에 정적인 영향을, 흡연과 음주행동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고령자가 은퇴할 경우에 비은퇴자에 비하여 규칙적으로 운동할 가능성이 약간 더 증가하였으며, 흡연할 가능성과 음주를 할 가능성은 모두 감소하였다. 중․고령자가 어떠한 사유로 은퇴하더라도 비은퇴자에 비하여 규칙적으로 운동할 가능성이 높았으나, 흡연 및 음주에 관해서는 은퇴사유에 따라 은퇴의 효과에 차이가 있었다. 즉, 건강상의 이유로 은퇴하거나 정년퇴직한 경우에만 흡연할 가능성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실직하였거나 여가를 즐기기 위해 은퇴한 경우에는 비은퇴자와 비교하여 흡연 여부에 차이가 없었다. 또한 건강상의 이유로 은퇴한 경우에만 음주를 할 가능성이 낮아졌고, 그 외의 사유로 은퇴할 경우에는 비은퇴자에 비하여 음주 여부에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는 은퇴가 중․고령자의 건강행동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흡연이나 음주보다도 규칙적 운동의 수행에 가장 긍정적으로 작용함을 밝혔다. 또한 본 연구는 건강상의 이유로 인해 은퇴한 중․고령자는 은퇴를 본인의 건강행동을 개선하는 기회로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반면, 실직하였거나 가족원을 돌보기 위하여, 혹은 여가를 즐기기 위해 은퇴한 경우에는 은퇴가 건강행동에 갖는 긍정적 효과가 제한적임을 시사한다. The current study examines whether retirement changes health behaviors and how the effect differs by reasons for retirement. This study conducts fixed-effects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using data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KLoSA) over the period 2006 through 2014. Results indicates that retirees a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regular exercise compared to their employed counterparts. Retirement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participation in regular exercise regardless of reasons for retirement. The odds of being engaged in smoking among retirees are 50% less relative to those for employees. However, analyses by reasons for retirement reveal that only participants who retired for health problems or reaching retirement age are less likely to smoke cigarettes compared to employed participants. Retirees show significantly lower odds in drinking compared to employees. Yet, further analyses present that only individuals who retired due to health problems are less likely to drink alcohol. Overall, these results suggest that retirement may provide opportunities for positive changes in health behaviors. The present study imply that individuals who retired due to health problems benefits most from retirement in terms of health behaviors compared to retirees who retired for other reasons.

      • KCI등재

        우리나라 노인이 지각한 각 유형별 사회적 지지가 주관적 건강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하미옥(Ha, Miok),강승자(Kang, Seungja) 한국노인간호학회 2021 노인간호학회지 Vol.23 No.4

        Purpose: This longitudinal study aimed to investigate which types of perceived social support are associated with changes in subjective health over time among Korean older adults. We further explored whether these associations vary by older adults gender. Methods: The current study examined 3,650 older adults drawn from additional survey data of the 6th and 7th waves of the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KReIS). Data were analyzed using hierarchical linear regression analyses. Results: Higher perceived instrumental and emotional support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ess decline in subjective health over 2 years. Gender only moderated the association between emotional support and changes in subjective health. That is, higher emotional support associated with less decline in subjective health among older women, but not among older men.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strumental support is the strongest predictor of older adults changes in health over time, indicating the need for public supports for those who lack instrumental support from their social ties. Health promotion programs for older women should aim to enhance their perceived emotional support to protect them from faster declines in subjective health over time.

      • KCI등재

        은퇴가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 성향점수매칭을 활용한 이중차이분석

        하미옥(Ha, Mi-Ok) 한국노년학회 2015 한국노년학 Vol.35 No.2

        본 연구는 국내 중․고령자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엄밀히 검증하기 위하여, 성향점수매칭을 활용한 이중차이 분석을 수행하였다. 즉, 고령화연구패널조사 2-3차년도 사이에 은퇴한 자와 비은퇴자를 매칭한 후에 이중차이 분석을 통하여 은퇴 전후로 이들의 인지기능의 저하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였다. 단순 이중차이 분석 결과, 은퇴 전후로 인지기능저하에 해당하는 자의 비율이 은퇴자집단에서는 2.2%, 비은퇴자집단에서는 1.4% 높아졌다. 은퇴 후에 은퇴자들의 인지기능저하 비율이 비은퇴자들보다 0.8% 더 증가하였으나, 그 차이가 유의하지는 않았다. 패널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하여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건강관련 특성이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통제한 결과, 은퇴가 오히려 인지기능저하의 발생 가능성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다. 성향점수매칭과 이중차이 분석을 결합하여 관찰되지 않은 변수들의 개인 간 이질성을 효과적으로 통제한 본 연구결과는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은퇴의 인지기능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력이 과대추정된 것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렇듯 본 연구는 종단분석을 통하여 선행연구의 방법론적 한계를 보완하고 은퇴가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정확히 추정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으며, 후속연구로서 도구변수의 활용을 통한 종단분석을 제안하는 바이다. This paper analyses the effect of retirement on cognitive functioning using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KLoSA), a longitudinal survey among older Koreans. In order to control for individual heterogeneity among retirees and non-retirees, the author performs a difference-in-difference analysis us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The result shows that the proportion of retirees experiencing cognitive decline increased by 2.2% after retirement. During that same period, the rate of cognitive decline among non-retirees has increased by 1.4%. However, a simple difference-in-difference analysis implies that retirement has no negative effect on cognitive decline. After controlling for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health indicators using a pane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author finds that retirement decreases the odds of cognitive decline, although it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empirical results indicate that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retirement and cognitive functioning in previous researches may be overestimated. This study suggests a panel data regression analysis with an instrumental variable, which allows to address a reverse causality issue and individual heterogeneity in estimating the impact of retirement on cognitive functioning.

      • KCI등재후보

        간호대학생의 영적 간호 수행능력이 영적 간호 수행정도에 미치는 영향

        고영숙,하미옥 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학회 2018 의료커뮤니케이션 Vol.13 No.2

        Background: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effect of the degree of spiritual nursing care performance on the spiritual nursing care ability of the nursing studentsMethods: The researcher sampled 130 nursing students for a questionnaire survey conducted from September 17 until September 27, 2018. The data of analysis used SPSS 23.0 program. Results: The spiritual nursing care ability was 4.4±0.8(total score 6) and the degree of spiritual nursing care performance was 2.9±1.8(total score 4). The spiritual nursing care ability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religion(F=7.570, p<.001), the level of spiritual nursing knowledge(F=19.873, p<.001), education type(F=14.626, p<.001), necessity of hospice(t=2.280, p=.024). The degree of spiritual nursing care performance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spiritual nursing education time(F=2.932, p=.036). The correlation of two variabl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r=.206, p=.019).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spiritual nursing care ability was religion, the level of spiritual nursing knowledge, education type, dying experience(R2=0.378, Adj R2=0.353), the degree of spiritual nursing care performance was spiritual nursing education time(R2=0.065, Adj R2=0.043).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 that nursing students are not able to perform spiritual nursing care properly to subjects who need spiritual nursing ca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e programs to meet the spiritual nursing care needs of nursing students and to provide practical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ogram by cooperating with the nursing education staff, clergy and clinical nurse etc. And spiritual nursing care should be taught as a required subjects in the curriculum.

      • KCI등재

        간호 관리자의 리더십 유형이 간호사의 팀워크에 미치는 영향

        박경숙,하미옥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7

        The current study examined which leadership styles of nurse managers affect teamwork among nurses. The analytic sample consisted of 187 clinical or charge nurses, who were recruited from one university affiliated large hospital in Korea. The results from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higher nurse managers' transformational, servant, and ethical leadership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gher teamwork among nurses. Yet, nurse managers' transactional leadership was not related to teamwork among nurse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it is effective for nurse managers to display transformational, servant, and ethical leadership rather than transactional leadership in order to enhance teamwork among nurses. This study suggests the needs to address not only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ut also servant and ethical leadership during leadership education for nurse managers. 본 연구는 팀워크를 결정하는 조직적 요인으로 간호 관리자의 리더십에 주목하여, 간호 관리자의 네 유형의 리더십이 간호사가 지각하는 팀워크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G시에 소재한 일 대학병원의 일반/책임 간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187부를 최종 자료분석에 사용하였다. 다중 회귀분석 결과, 간호 관리자의 변혁적 리더십과 서번트 리더십, 윤리적 리더십이 높을수록 간호사 간의 팀워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간호 관리자의 거래적 리더십은 간호사 간의 팀워크와 유의한 관계가 없었다. 본 연구는 간호 관리자가 거래적 리더십보다는 변혁적 리더십, 서번트 리더십, 윤리적 리더십을 발휘하는 것이 간호사 간의 팀워크를 증진하는 데에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 관리자를 위한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에서 변혁적 리더십뿐만 아니라 서번트 리더십과 윤리적 리더십에 대해서도 다룰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수술관찰경험

        김미희(Kim, Mi Hee),하미옥(Ha, Mi Ok) 기초간호학회 2018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ol.20 No.3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of observing surgeries in the operating room.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written scripts of nursing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operating room practice. Data were analyzed vi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Results: Five themes emerged from the data: ‘preparing with the thrilled hearts toward unknown area’, ‘drawing back in front of the mirror of realities’, ‘becoming an audience at a lifesaving orchestra’, ‘reaching a tipping point of knowing’, and ‘redrawing the trajectory of dream to be a nurse’. Conclusion: This study will prove helpful in describing their needs for systemic and emotional support. Findings indicated that major contributions of surgical observations to nursing students are more integrated understandings of nursing and the determinations of their career prefere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