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옥수동 미타사 극락전 아미타삼존불상 복장직물의 특성

        편나영,박윤미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23 禪文化硏究 Vol.34 No.-

        서울 옥수동 미타사의 극락전에는 아미타불상·관세음보살상·대세지보살상의 아미타삼존불상이 모셔져 있다. 이 가운데 아미타불상에서는 1707년과 1744년에 납입된 복장물이 발견되었고, 관세음보살상에서는 1769년과 1970년의 복장물이 수습되었다. 그리고 대세지보살상은 1744년과 1970년에 개금·중수할 때 안립한 복장물이 발견되었다. 복장물 가운데 직물류는 주로 후령통을 감싸고 있는 황초폭자와 후령통 안에 넣은 오보병, 그리고 그 외의 직물 조각들이 있다. 직물의 보존 상태는 대체로 양호한 편이나 일부 손상된 것도 있다. 아미타삼존불상에서는 여러 시대의 복장물이 발견되었는데 후대에 재복장을 할 때 이전 복장물을 함께 납입한 것으로 추정된다. 대세지보살상에서는 납입 시기를 알 수 있는 복장물이 발견되지는 않았으나 복장직물의 일부가 아미타불상의 1744년 직물과 같아서 그 시기에 함께 봉안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관세음보살상의 1970년의 복장물 가운데 1769년도의 것과 같은 직물이 발견되었는데 1970년에 상태가 좋은 직물을 재복장한 것으로 여겨진다. 미타사의 복장직물은 1700년대에 통용되었던 직물 종류, 색상 등을 알 수 있어 직물사 연구에 중요한 사료이다. 그리고 후령통의 이중 장엄 등 복장 방법에 있어 특이한 사례가 발견되어 불교 의례와 불교문화를 연구하는 데에 있어 사료로서 가치가 높은 귀중한 문화유산이다.

      • KCI등재

        1950년대 이후 소창 직물에 관한 연구

        편나영,박윤미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23 한국 복식 Vol.- No.50

        근대 일본에서 유입된 소창직은 현재 우리나라 소창과는 다른 직물이다. 그러나 1950년대 이후 우리나라에서 근대 소창직과 소창이 일정한 기간에 같은 이름으로 일부 유통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1950년 이후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소창의 의미 변천과, 산지ㆍ명칭ㆍ색상ㆍ용도별 특성과 종류를 당시의 신문기사와 구술자료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시대에 따른 소창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고 근대 일본에서 유입된 소창직과 1950년 이후 소창과의 연관성에 관해 알아보았다. 195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우리나라에서 유통된 소창의 종류는 근대 소창직의 특징을 지닌 상강 소창, 줄무늬와 체크무늬의 소창, 색상이 있는 소창, 백소창 등으로 종류가 다양하였으며, 여러 용도로도 사용되었다. 또한 소창의 명칭도 강경직ㆍ개성직물ㆍ고방ㆍ쑥떡베ㆍ솜싸게지 등으로 다양하였다. 그러나 점차 소창에 대한 수요가 줄어들면서 1990년대에 들어서는 이불 안감, 기저귀ㆍ의례용의 백소창만 생산하게 되었다. 현재 소창에 대한 정의는 “면사로 성글게 짠 평직의 면직물로 이불 안감ㆍ기저귀ㆍ행주로 사용하는 직물”로자리잡게 되었다. The Sochang-jik introduced from modern Japan is a different fabric from the current Sochang-jik in Korea. However, since the 1950s, modern Sochang-jik and Sochang have been distributed under the same nam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Korea. Accordingly, this study seek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meaning of Sochang produced in Korea since the 1950s,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by production area, name, color, and use, focusing on newspaper articles and oral data at the time, to determine changes in Sochang over time. We also looked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Sochang-jik introduced from modern Japan and Sochang after 1950. From the 1950s to the 1980s, the types of Sochang distributed in Korea were diverse, including Sang-gang sochang with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Sochang-jik, striped and checkered Sochang, colored Sochang, and white Sochang, and were also used for various purposes. In addition, the names of Sochang were diverse, including Ganggyeong-jik, Gaeseong-jik, Gobang, Ssoktteok-be, and cotton wrapping cloth. However, as the demand for Sochang gradually decreased and in the 1990s, only white Sochang for blanket lining, diapers, and religious ceremonies were produced, the current definition of Sochang became “a plain weave cotton fabric loosely woven with cotton threads and used as a blanket lining, diapers, and dishcloths”.

      • KCI등재

        우리나라 근대 소창직(小倉織)에 관한 연구 -1876년∼1945년을 중심으로-

        편나영,박윤미 한복문화학회 2023 韓服文化 Vol.26 No.3

        A sochang (小倉) is a loosely woven cotton fabric that is mainly used for diapers, dishcloths, and blanket lining rather than as a clothing material. Sochang-jik(小倉織), distributed in modern times, was a fabric used in various ways, such as uniforms, work clothes, and school uniforms. Because of its strong material, it was a completely different fabric from the current sochang. In Korea's Modernization Period, Sochang-jik refers to the Japanese textile 'Kokuraori,' Japan introduced during the Open Port Period(1876-1910). Kokura-ori is a textile produced in the Kokura area of Fukuoka-ken in the early 17th century and is named after the Kokura area. However, after 1902, the Kokura area sochang-jik was discontinued, and many other regions of Japan came to produce sochang-jik. Sochang-jik produced in these regions was exported to Korea, China, India, Australia, and the South Seas. At that time, sochang-jik was generally called 'Gogura' or 'Kokura' in Korea, but 'Sochnag-jik' was used in official documents or records requiring Chinese characters. Sochang-jik, circulated in Korea in modern times, is a cotton fabric of plain and twill weave with color, and Sang-gang sochang-jik, which is plain and twill weave. In addition, since warp and weft are woven with folded yarn or a mixture of yarn made by twisting two or more threads, the material is solid and durable, so it was used for work clothes, uniforms, and school uniform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characteristics and uses of modern sochang-jik are different from those currently in circulation.

      • KCI등재
      • KCI등재

        가평 전주이씨묘 출토복식 고찰

        최연우,박윤미,김윤경,김지희,박양희,이선우,차서연,편나영,황혜남,Choi, Yeon Woo,Park, Yoon Mee,Kim, Yoon Gyung,Kim, Ji Hee,Park, Yang Hee,Lee, Seon U,Cha, Seo Yeon,Pyeon, Na Young,Hwang, Hye Nam 한국의류학회 2017 한국의류학회지 Vol.41 No.5

        In 1995, the costumes were restored in an unknown woman's tomb at the Jeonju Lee's family cemetery in Gapyeong, Gyeonggi-Do, and there are currently nine items remaining. In this study, we first introduced these 9 relics to academia and analyzed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stumes. We also estimated the time and person of burial compared with costumes unearthed from other burials. Jeogories (short jacket) are all four items. One of these items was unusual in shape, and the upper part of the seop (gusset) was wrinkled and shaped. This type of Jeogori appears only till the 1520s in other tombs. There are also two skirts, one of which is characterized by a superimposed pattern. The top and bottom / middle part of the skirt were rolled up, and the skirt, which was double-rolled up in this way, was first discovered. An analysis of the shape of Jeogori and skirt indicated that the person buried in the Jeonju Lee's family tomb was believed to have survived until the early 16th century. Based on these estimated periods, as a result of looking at the genealogy of Jeonju Lee's family, it was concluded that the tomb was probably a woman named Lee Geum Myeong (李金命) born in the mid-15C and died between the late 15C and the early 16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