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의성의 개념적 기준 비교

        팽영일(Paeng, Yeong-il) 한국비교교육학회 2010 比較敎育硏究 Vol.20 No.4

        본 연구는 그 동안 우리나라에서 진행된 심리학 분야의 창의성 연구들에서 나타나고 있는 창의성에 관한 개념이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가를 탐색해 봄으로써 창의성의 개념적 특성을 탐구해 보고 이를 토대로 창의성의 개념을 정립하는데 있어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창의성 연구의 진행 과정에 따라 창의적인 특성과 과정 또는 산출과 다원적인 입장에서의 창의성의 개념을 탐색해 보고, 창의성의 개념 정립을 위해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물론 창의성의 개념적인 기준을 명확하게 제시한다는 것은 창의성의 개념적 특성이나 역사적 사용성 등을 고려할 때 매우 어려운 일일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창의성의 개념이 매우 혼란되고 있음을 고려할 때 개념적 기준으로서 어떤 사항들을 고려해야 할 것인가를 탐구하는 일도 나름대로의 의의를 지닐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곧 창의성의 개념에 대한 명확한 인식이 없이 진행되는 창의성 교육은 교육 실천 현장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This paper reviews the trend of research on the criteria of the concept of creativity in the educational field and attempts to figure out the concept of creativity. Research on creativity has progressed from the one focusing on its characteristics and creative process to the one centered on creative products and plural approaches. Based on such previous studies,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an integrating approach to creativity. To establish the concept of creativity, it examines the approach centered on the characteristics of creative people, the one according to the lower level of creativity, and the historical one taking the environmental context of creativity into consideration. And it suggests factors to consider in establishing the concept of creativity.

      • KCI등재

        B. F. Skinner의 <월든 투>에 나타난 미래교육론

        팽영일(Paeng, Yeong-il),장옥순(Chang, Ok-seon) 한국비교교육학회 2009 比較敎育硏究 Vol.19 No.4

        본 연구는 스키너의 작품 <월든 투>에 나타난 사회 조직의 원리와 교육의 구조를 분석하여 그가 그린 미래 사회에서의 교육의 모습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것은 곧 이를 통해 장차 우리 교육이 변화되어 갈 방향에 대한 풍부한 상상력을 제공받음과 함께 현재 우리 교육이 안고 있는 과제를 모색해 볼 수 있는 시사점을 탐구해보고자 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 스키너가 그린 미래 사회에서의 교육론은 사회적인 불평등을 개선하여 보다 평등하고 행복한 사회를 만들어 가는데 있어서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교육이며, 교육을 통해 현실을 변화시켜 나가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스키너는 미래 사회에서의 교육은 일찍부터 사회적인 미덕을 형성하는 영∙유아교육과 학교교육을 기초로 하여 학습기술을 익히고 사회적인 노동시간의 단축을 통해 생활 속에서 이루어지는 자발적인 학습을 중시하는 평생교육의 이념을 잘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principles of social organization and the structure of education in B, F, Skinner's Walden Two to take a look at future education pictured in the book. Skinner's view of future education provides us with tasks our education is confronted with and directions in which our future education should change.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book suggests some points we have to think about regarding what kind of efforts we need to make in educating our children who are most precious resources for the future of our society. Second, the sexually equal education presented in the community of Walden Two suggests the way in which it can be practiced from early childhood. Third, the book suggests the importance of the education of human relationship. Fourth, emphasis in the book on the necessity of continuing education and the acquisition of learning skills in future society suggests an important point to our education. Finally, the question whether human actions and relations could be newly cast by various skills of behavioral engineering is still an unresolved, utopian one.

      • KCI등재

        “유토피아”사회에서의 교육 - 토마스 모어의 <유토피아>를 중심으로 -

        팽영일(Paeng Yeong-il) 한국비교교육학회 2005 比較敎育硏究 Vol.15 No.4

        본 연구는 토마스 모어의 <유토피아>를 중심으로 그가 당시의 현실 사회에 대한 비판으로서의 제기한 유토피아 사회에서의 교육의 모습을 살펴보고, 그가 그리는 이상적인 교육의 모습을 통해 현대 교육이 안고 있는 과제의 해결을 위한 단서를 탐구해 보고자 하였다. <유토피아> 사회에서 구상된 교육은 아동기 때부터 올바른 가치관 교육을 통해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미덕을 형성하여 행복한 생활을 영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아울러 실생활에 필요한 1인1기의 직업 교육과 여가를 활용한 폭넓은 교양교육과 자발적인 학습의욕과 학습에 대한 열정을 지닌 평생교육을 주장하고 있다. 특히, <유토피아>에서 구상된 모든 시민을 위한 폭넓은 교양 교육과 전 생애에 걸친 평생교육의 이념은 그야말로 현대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교육의 이념이다. This study examines aspects of education in Utopian society suggested in Thomas More's Utopia as a critique of social reality in his time. It attempts to provide some clues to fixing the problems of modern education through More's view of ideal education. Education planned in the society of Utopia aims to make people lead a happy life by having them build socially desirable virtues through education of proper value system from childhood. Also emphasized in the book are practical vocational education based on the idea of one skill for one person, wide-ranging liberal education utilizing leisure time, and life-long education with one's voluntary desire and passion for learning. Of those, wide-ranging liberal 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are the very educational ideas modern society requires.

      • KCI등재

        1905-1910년의 모범교육과 보통학교 일본어 교육

        팽영일 ( Yeong Il Paeng ) 한국교육사학회 2010 한국교육사학 Vol.32 No.2

        이 연구는 1905년에서 1910년 시기에 학부에서 활동하고 있었던 학정 참여관 시데하라 다이라와 미쓰치 츄조의 교육활동을 중심으로 이들의 교육관이 초기 식민지 교육정책에 어떻게 반영되었으며, 또 그들이 말하는 소위 모범교육의 실상은 어떠하였는가를 파악하고, 보통학교의 일본어 교과의 교과서 내용은 어떠하였는가를 살펴보았다. 시데하라는 학정 참여관으로 재직하는 동안 「한국교육개량안」을 만들었다. 이것은 한국의 교육 현실과 장차 식민지 교육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교육개혁을 염두에 두고 구상된 것으로서 그 실제적인 내용면에 있어서는 보통학교와 실업학교의 충실과 일본어 보급의 확대를 도모하고자 한 것이었다. 시데하라의 뒤를 이어 학부의 학정 참정관으로서 활동한 미쓰치는 모범교육을 실천하기 위한 교육과정 편성과 교과서 편찬에 노력하였다. 시데하라가 한국민의 개화와 실용을 목표로 일본어 교육을 강조하였던 데 비해 미쓰치는 조선인의 동화를 위해 일본어 교육을 강조하였다. 그러므로 미쓰치가 중심이 되어 편찬한 보통학교 『일어독본』의 내용에는 그의 이러한 교육관이 잘 반영되어 있다. 따라서 그가 편찬한 보통학교 『일어독본』 교과서에는 일본 문화의 우월성과 식민지 한국의 후진성과 한국의 전통 문화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를 많이 수록하고 있다. 이것은 그가 교육을 통해 한국민을 일본인화 하여 동화시키려는 동화교육정책을 준비하고 있었던 것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education policies of Sidehara(幣原坦) and Mitsuchi(三土忠造), who were the consultant in Korean educational affairs during the period between 1905 and 1910. Also, we examined their so-called exemplary education and the context of Japanese text books in Korean elementary schools. During his serving of consultant in Korean educational affairs, Sidehara made 「the Plan for improvement of Korean education」. This was intended for educational reforms which could further provide the basis of colonial education. The textbook actually aimed for the betterment of elementary and vocational schools and expanse of the Japanese language. After Sidehara, Mitsuchi took office and put effort in the field of curriculum organization and the making of textbooks, so as to practice exemplary education. While Sidehara focused on the civilization and practicality in Japanese education, Mitsuchi emphasized Japanese education on the purpose of the assimilation of Korean people. In the context of 『Japanese text books』 in Korean elementary schools, which was mostly written by Mitsuchi, his views on education are well reflected. In detail, the context of the textbook contained the underdevelopment of the Korean people and many negative views on traditional Korean culture. According to this book, we can evaluate that the purpose of his educational policy was to assimilate Koreans as Japanese by education.

      • KCI등재

        수호믈린스키의 학교교육론

        팽영일(Paeng, Yeong-Il) 한국비교교육학회 2008 比較敎育硏究 Vol.18 No.4

        이 연구는 러시아의 교육실천가로서 탁월한 업적을 남겨 사회주의 노동 영웅, 우크라이나공화국 공로교사로 표창을 받았고, 레닌 훈장과 마카렌코 훈장을 비롯한 여러 훈장을 수여받았으며, 교육과학 아카데미의 준회원으로 선정된 인물인 와실리 알렉산드로비치 수호믈린스키(ВасилийАлександрович Сухомлинский)의 저작에 나타난 학교교육에 관한 논의를 학교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으로 나누어 살펴 본 후 이를 통해 우리 교육이 안고 있는 문제점과 해결 방안의 모색에 주는 시사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수호믈린스키는 학교교육의 문제점을 교육목표의 불명확성과 학생들의 정신생활에 대한 관심의 부족 그리고 사유 수업의 부족 그리고 암기위주의 교육 등에서 찾았고 그 해결 방안으로서 기초 지식교육의 강화와 독서를 통한 정신생활을 풍요롭게 하는 교육, 휴식과 자유활동 시간의 충분한 제공, 교육평가 방법의 개선등을 주장하였다. 그의 이러한 주장은 현재 우리 교육이 해결해 나가야 주요한 과제 중의 하나이기도 하다. 따라서 그의 교육 실천을 통한 귀중한 경험은 우리 교육이 안고 있는 과제 해결을 위한 좋은 교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research examines the discussions on school education depicted in Suhomlinsky's works. After that, their implications upon our education are discuss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Suhomlinsky considered the enrichment of the learners mental life as a primary goal of education. Therefore, school education must ensure that children's learning be a part of their abundant mental life, and that it must contribute to the building of children's wisdom and their becoming a whole being as humans. In this perspective, Suhomlinsk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education that enriches the mental life through reading books. He insists that education through reading books is a valuable course in lifelong education, and suggests specific ways to put it into practice. He points out the need for the students' liberty to think freely in schools, and claimed that providing students with breaks and free times is a way to obtain invaluable treasures. His experinences in educational practices may provide implications that will help solve the problems our education faces today.

      • KCI등재

        창의성 교육의 개념 정립과 그 과제

        팽영일(Paeng, Yeong-il)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1 敎育思想硏究 Vol.25 No.3

        이 연구는 교육심리학 분야에서 진행된 창의성 연구들을 중심으로 창의성에 관한 개념이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가를 탐색해 보고, 현재 우리나라의 창의성 교육의 과제를 창의성 또는 창의성 교육의 개념을 중심으로 논의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특히, 교육과학기술부의 창의ㆍ인성교육의 기본 방안 을 중심으로 창의성 교육을 하는데 있어서 고려해야 할 사항과 창의성 교육의 올바른 실천을 위해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를 창의성 개념 정립이라는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 의하면 창의성 교육을 위한 기준으로서의 창의성의 개념을 정립하고자 할 때는 다음과 같은 점들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첫째, 창의성의 기준이 내적 가능성의 상태를 향상시키는 것으로서의 내재적인 가치를 중심으로 정립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창의성을 구성하는 요인들 간의 관계를 고려하여 교육적인 선택 기준을 어디에 어느 정도의 비중을 두어야 할 것인지를 신중하게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창의성 교육은 교육의 결과가 아니라 과정을 중시해야 할 교육이며, 따라서 교육적인 면에서는 다양한 수준에서의 다양한 측면의 창의성 교육이 실시되어야 함을 생각할 때 우리들이 창의적이라고 평가하는 것도 또한 시대적 환경적 산물임도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concept of creativity has changed during the years by reviewing the studies of creativity in the fields of psychology (especially educational psychology), and to discuss the reality of creativity education and its future tasks in the aspect of creativity and the concept of creativity education. To achieve this I proposed the considerations regarding creativity education focused on 「The primary plan for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when defining the concept of creativity, this task is more than establishing its universal attributes because the definition of creativity can differ according to the historical and social situation or in a subordinate level or field.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e have to establish the concept of creativity education. According to this study, when focusing on determining the concept of creativity as a standard in creativity education, we have to consider these aspects as follows : First, the standard of creativity should be established on the basis of intrinsic value, based on the thought that creativity enhances inner potential. Second, by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among the factors which consist creativity, we should deliberate the priority of these factors as selection criteria in education. Third, creativity education puts more emphasis in the process, not the results. Therefore, creativity education should be done in various levels and forms and our assessment as something being “creative” is also a product of time and environment.

      • KCI등재후보

        수호믈린스키(В. А. Сухомлинский)의 노동교육론

        팽영일(Yeong-il Paeng) 한국비교교육학회 2003 比較敎育硏究 Vol.13 No.2

        본 연구는 크루프스카야, 마카렌코 등 러시아의 걸출한 교육사상가의 충실한 제자이었고, 이들의 교육사상을 역사적인 새로운 조건에 맞게 창조적으로 발전시켰던 수호믈린스키(Васили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Сухомлинский)의 아동관과 노동교육론을 탐구해 보고자 한다. 수호믈린스키는 러시아 교육사상의 영원한 보배요, 아동들의 전면적인 발달을 통한 공산주의적인 인격을 교육하기 위한 사업에 봉사하였던 사랑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는 교육사상가라기 보다는 교육실천가로서 교육현장에 들어 가 아동들과 함께 생활하면서 매일 매일의 교육실천 속에서 보다 좋은 교육의 존재 방식을 탐구하였던 사람이었다. 수호믈린스키는 마카렌코(Makarenko) 교육이론의 충실한 계승자로서 아동에 관한 존중과 신뢰를 토대로 하고 있었다. 그의 노동교육론은 노동을 통한 전면적인 발달을 목표로 한 것으로서 지적, 신체적, 심미적, 도덕적인 교육의 통합으로서의 교육론이었다. 그의 노동교육론은 노동에 대한 심리적인 태도를 형성하고 지적, 실천적, 도의적인 준비를 하는 것에 있었다. 그는 노동교육의 방법으로서 모범을 통한 교육, 연습을 통한 교육, 공동의 과제를 수행하는 방법, 경쟁을 통한 방법 등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 모든 것들이 아동의 재능과 능력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고 하였다. 그의 이러한 노동교육론은 교육의 제도와 방법에 지나치게 치중해 온 우리들에게 교육의 본연의 모습을 가르쳐 주고 있으며, 오늘날 우리의 교육이 안고 있는 과제인 교육과 실생활과의 유리를 어떻게 극복해 나가야 할 것인가를 제시해 주고 있다. Suhomlinsky is a successor of Makarenko's educational theory. He said that education is to affect children's mental, so the first rule of educational activity is to understand children's mental. He said that secret of educational methods is to recognize children's latent faculties and a good point and to concern dignity of children. His respect of children is to understand and trust children. He said that trust and assurance to teacher and student in educational activity is to love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sure about success. He is a practicer to try improve children's all-round character development. Suhomlinsky's labor education theory is purpose to development through labor and his educational theory is unity of education through physical, mental, appreciation of beautiful and morality. He said that development of mental and morality depend on to find something through labor. Therefore he said that educational activity must to have knowledge and enjoy to create material and mental value. His educational theory through labor is to make children's all-round character development through labor and to prepare morality and mental ability.

      • KCI등재

        라트케(Wolfgang Ratke)의 교수학(Didactica)의 특징

        팽영일(Paeng, Yeong-Il) 한국비교교육학회 2013 比較敎育硏究 Vol.23 No.3

        이 연구는 모든 사람에게 모든 것을 성공적으로 가르치는 보편타당한 기술에 대해 기록한 『대교수학』의 저자인 코메니우스의 선구자인 라트케의 “교수학(Didactica)”의 특징과 교육개선 방향을 탐구해 보고자 하였다. 라트케가 활약했던 17세기는 더 많은 사람들에게 더 좋은 교육을 체계적으로 교육하는 방법을 모색했던 시기이었으나 아직 교육목표로까지는 전환하지 못하고 모든 사람들에게 적용할수 있는 새로운 교수법을 도입하는 데 그친 시기이다. 라트케는 이러한 시기에 “교수학”을 이론적으로 처음 명확히 규정하고 과학적으로 수립한 최초의 교수학자로 인정되고 있다. 라트케의 “교수학”은 단순한 교수방법의 개선에 그친 것이 아니라 당시의 교육과 학교교육의 존재 방식에 관한 새로운 개선 방향에 대한 구상을 제시한 것이었다. 특히, 라트케의 건의서의 핵심은 독일어 학교를 설립하여 교육방법을 개혁하고, 학문을 보급하여, 언어, 종교, 정치의 통일과 평화로운 사회를 실현하고자 하는 사회개혁론의 구상이었다고 할 수 있다. 17세기 독일을 중심으로 성립한 교수학은 개인의 성장력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교수방법의 합리화를 도모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그의 “교수학”은 교수 방법에 대한 지나친 과신으로 인해 교사의 자유로운 활동을 제한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라트케의 교수학은 단순히 교육의 체제와 교육내용 및 방법을 개선하고자 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교육에 의해 전 인류를 통합하고 평화로운 사회를 건설하고자 하는 사회개혁론이기도 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dactica” and idea of education reform of W. Ratke, who is the forerunner of J. A. Comenius who wrote about the universal techniques regarding successful teaching to every individual. The 17th century, when W. Ratke was active in his field, was the time of searching for a method of educating systematically and coherently to more people. However, the change in the aim of education could not be reached, and only the introduction of teaching methods applicable to the general was proceeded The “didactica” of W. Ratke was not only a mere teaching methodology but a conception of education and the existence of school. The point of W. Ratke’s「Memorial」 is to establish a German school, reform teaching methods, and distribute learning in order to realize the unification of language, religion, and politics, and also achieve a peaceful society. His memorial of education was one of the ways of realizing the idea of social reform, and it aslo planned to improve Lehrkunst. The “didactica”, which was realized mainly in Germany during the 17th century, meant the rationalization of teaching methods, but also it was on the grounds of trust in the growing of the individual. W. Ratke tried to reform all mankind by education and put effort in reforming the system, text, and method of school education. However, his “didactica” had its limits due to overly putting trust in teaching methods which consequently restricted the liberal activities of a teacher.

      • KCI등재

        『訂正普通學校學徒用國語讀本』과 일본어 교육내용의 변화

        팽영일(Paeng, Yeong-Il)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5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45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Japanese educa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hen Japanese was first taught as “the national language” as a course of Japanese colonial education, by analyzing the intention of compiling the Japanese textbook 『訂正普通學校學徒用國語讀本』(vol. 1-8, published in 1911) and its content. First, as for the formal characteristics, volumes 1-4 contain Japanese used in daily communication and are composed of basic sentence structures of beginner’s course having word- phrase- sentence forms. Volumes 5-8 clearly show the intention of assimilation with Japanese by containing names and illustrations regarding the subject. Second,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s, 34 chapters of the book contain contents of business and natural science, which accounts for most parts of the book, and contents of messages to the people comes in second. However, in reality the message to the people contains moral virtue and practical living which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of assimilation. Also, by distributing new knowledge and knowledge of practical life, the book justifies the colonial rule under the perspective that underdeveloped Chosun needs distribution of modern knowledge and culture. Third, 『訂正普通學校學徒用國語讀本』(1911) is not a revision of 『日語讀本』(1907) but rather a book issued and used as a purpose of educational policy of assimilation of Japanese colonial rule. Therefore,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changes the book title from “日語讀本” to “國語讀本”, and carries out education having the goal of assimilating the Chosun people with Japanese and Japanese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