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빈곤포르노에 대한 도시빈민의 태도: 쪽방촌의 복지에 내재한 권력의 식민성

        탁장한 한국사회과학연구회 2021 동향과 전망 Vol.- No.112

        This paper is a qualitative study that first surfaced the attitudes of the urban poor about the phenomenon of poverty pornography that demands public donations and sponsorship by highlighting the poverty of the poor.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Looking at poverty pornography, which reveals the misery of others, the study participants(among Jjokbangchon residents) showed the same compassion, which is a common emotion of humans, and even donated to help others who are in need as well as thought of helping those who survive difficult times. However, they could not tolerate the situation in which they themselves became the subject of poverty pornography that other people see, because they had emotions of selfpride. Study participants were aware that poverty pornography could not solve the problem of poverty, because residents rarely received direct donations or sponsorships from poverty pornography in Jjokbangchon village. On the other hand, poverty pornography did not stop with just video, but it was becoming a reality in the village, due to the visits and helps of numerous people triggered by it. Welfare in the poverty village became a sort of power with pride and prejudice, still targeting the residents inferiorly, and was contributing to the creation of an unchanging poverty village without solving the problem of poverty. Recognizing that welfare implies a power gap, the poor here not only felt shame and anger, but also showed resistance to poverty pornography, sch as actively rejecting and protesting the exhibition of pain and stuffing.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 that the coloniality of conservative poverty pornography, which constantly consumes the problem of poverty, is rooted in the major areas of suffering arising from poverty. 본고는 가난한 사람들의 빈곤한 모습을 부각해서 대중의 기부와 후원을 요구하는빈곤포르노 현상에 대해, 당사자들인 쪽방촌 도시빈민들이 지니고 있었던 태도를파악하고 처음으로 표면화한 질적 연구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타인의 비참함이 적나라하게 드러나는 빈곤포르노를 보면서 연구 참여자들은 인간이 가지는 일반적인 감정인 연민을 똑같이 보였고, 나아가 힘들게 생존하는 사람들을 도우려는 생각과 더불어 실제 후원까지 이행하기도 했다. 그러나 다른 사람들이 보는빈곤포르노의 대상이 곧 자신이 되는 상황은 용납하지 못했는데, 수치를 피하려는자존심의 문제가 걸려 있기 때문이었다. 참여자들은 빈곤포르노가 빈곤의 문제를해결할 수 없음을 자각하고 있었는데, 쪽방촌에서는 주민들이 빈곤포르노로 인한직접적인 기부나 후원을 받는 경우가 거의 없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빈곤포르노의 무용성을 인지한 참여자들은 차라리 빈곤을 겪더라도 자존심을 훼손당하지 않기를 더욱 원했다. 한편 빈곤포르노는 단순히 영상으로만 그치지 않고, 그로 인해촉발되는 수많은 사람의 방문과 도움으로 인해 쪽방촌에서 현실화되고 있었다. 쪽방촌에서의 복지는 오만과 편견을 지닌 일종의 권력이 되어 여전히 주민들을 열등하게 대상화하고 있었으며, 빈곤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채 변하지 않는 쪽방촌을만드는 데에 일조하고 있었다. 복지가 힘의 격차를 내포하고 있다는 점을 의식한이곳의 빈민들은 수치와 분노를 느낄 뿐 아니라 고통의 전시와 박제를 적극적으로거부하고 항의하는 등 빈곤포르노에 굴복하지 않는 저항적 대처를 보여 주었다. 본고의 연구 결과는 빈곤으로 인해 파생되는 주요한 고통의 영역에 빈곤의 문제를 줄곧 소비하는 보수적 빈곤포르노의 식민성이 뿌리박혀 있음을 폭로한다.

      • KCI등재

        빈곤 밀집 지역의 모순: 불량 주거지/빈민촌 담론과 정책 기조를 중심으로

        탁장한 한국사회과학연구회 2023 동향과 전망 Vol.- No.117

        Even in modern Korean society that has undergone modernization and urbanization, there are still poverty-stricken areas where extreme poverty is visible. Historically, policy prescriptions have changed greatly depending on what was thought of this area. There has been a sharp confrontation between the two logic of substandard housing and urban poor communities over whether this space should exist or disappear. The poverty-stricken area is a space that absolutely needs development from a physical point of view and is therefore difficult to affirm, but at the same time, it is a village created by the poor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However, the interpretation of poverty-striken areas is complicated in the sense that there is still a situation in which individuals have to endure extreme poverty though they affirm it. In order not to repeat this poverty and eviction, delicate and active policy and practical agony on what welfare is for the poor is required. This paper guides the points to be considered regarding the existence and abolition of existing poverty-stricken areas by exploring the two logic of poverty clusters. 근대화와 도시화를 거친 현대 한국 사회에도 극단적 가난이 가시화된 빈곤 밀집 지역은 존재하고 있다. 이 지역에 대한 생각이 어떠했는지에 따라 역사적으로 정책적처방은 크게 달라져 왔다. 특히 이 공간은 존재해야 하는지, 사라져야 하는지를 둘러싸고 불량 주거지와 빈민촌의 두 논리가 날카롭게 대립해 왔다. 빈곤 밀집 지역은 물리적 측면에서 절대적으로 개발이 필요하고 따라서 긍정하기 힘든 열악한 공간이나, 동시에 빈민이 서로 협력해 만들어 가는 촌락이다. 그러나 그곳의 장소성을 긍정하는 순간 개개인이 극도의 빈곤을 견뎌야 하는 상황은 여전하다는 점에서빈곤 밀집 지역에 대한 해석은 복잡하다. 빈곤과 추방을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서는과연 빈민에게 무엇이 복지인지에 대한 섬세하고 적극적인 정책적 · 실천적 고뇌가 요구된다. 본고는 빈곤 밀집 지역의 두 논리를 탐구함으로써 현존하는 빈곤 밀집 지역들의 존폐와 관련해 생각되어야 할 지점들을 안내한다.

      • KCI등재

        쪽방촌연구의 동향에 관한 탐구: ‘밀집된 빈민’에 대한 담론을 중심으로

        탁장한 한국사회과학연구회 2019 동향과 전망 Vol.- No.107

        본 논문은 쪽방촌에 대한 언론의 주류적 시각인, ‘비참하지만 위험한 곳’을 출발점으로 삼아 학문의 영역에서는 밀집된 빈민을 조망하는 태도가 어떠했는지를 궁구하고자 수행된 연구다. 먼저 빈곤밀집현상의 관련 이론으로서 ‘병리적 빈민과 위험한 빈민촌’으로 개념화하는 빈곤문화론 및 ‘희생당한 빈민과 위험한 곳’으로 추상화하는 맥락효과연구를 각각 고찰했다. 그 후 대한민국의 빈곤층 주거지의 역사속에서 판자촌의 해체 이후 생성된 쪽방촌 공간과 그곳에 거주하는 도시빈민들의삶을 연구들은 어떻게 해석해왔는지를 비판적 담론지형분석을 통해 검토하여 네가지의 담론을 추출했다. 그것은 ‘수난담론: 빈곤한 쪽방촌에서 핍박받는 존재’, ‘쪽방촌문화담론: 환대의 쪽방촌과 빈민공동체’, ‘투쟁담론: 획득한 쪽방촌과 저항하는 빈민’, ‘변주된 맥락효과담론: 남아 있는 쪽방촌의 적극적 보호’였다. 이 과정에서 담론 간 경합 및 보완관계 및 담론 내부에 스며들어있는 사회적 권력과 지배의 양상을 파악했고, 학문적으로 이론의 변이를 발견해내었다. 나아가 쪽방촌에밀집된 빈민들이 시혜의 대상이 아닌 문제 해결의 주체로 서고 있다는 점을 빈곤연구들이 간과하지 않아야 함을 명시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y to figure out the academic attitude towards Jjokbangchon (one sort of the Korean poverty-concentrated areas), in order to distinguish it from the mainstream perspective of the press, ‘miserable but dangerous place.’ First, concentrated poverty-related theories, here in this study introduced as ‘culture of poverty’ and ‘contextual effect of concentrated poverty’, were thoroughly examined. Then four discourses were extracted from the established studies of Jjokbangchon and the residents in it. The discourses are as follows:‘The Persecuted People in Poor Villages’, ‘The Jjokbangchon Culture: Welcoming Villages and Comᐨ munity of the Poor’, ‘Obtained Villages and the Fighting People’, and ‘A Variation of Contextual Effect: Enthusiasm for the Conservation of Poor Villages.’ Both competing and complementary relationships between the discourses were grasped in this procedure, as well as the variation of existing theories. Throughout this study, the point that the concentrated poor are not just the object of social welfare system, but the problem-solving main agent was emphasized.

      • KCI등재

        빈곤밀집지역 내부의 인간관계 탐구: 쪽방촌과 영구임대아파트의 차이를 중심으로

        탁장한 (재) 인천연구원 2020 도시연구 Vol.- No.17

        This study provides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verty concentration in Jjokbangchon (Permanent rental apartments) in South Korea and residents’ social networks. We discovered aspects of social exclusion and isolation. However, the concentrated poverty of Jjokbangchon has helped residents to densely form social ties in their own villages. They are following the trajectory of shantytown culture, which developed among the country’s traditional urban poor in the 1970s and 1980s. The concentrated poverty in Permanent rental apartments has weakened residents’ social networks due to residential segregation, extrinsic stigmas, and slumism. The inhabitants have had negative experiences. We derived the social welfare implications for each poverty area, but we were unable to consider other kinds of sites, such as subway stations or streets where poor people gather, so future studies should take different types of concentrated poverty zones into account. 본고는 쪽방촌과 영구임대아파트에서의 도시빈민의 밀집거주가 그들의 내부적 인간관계와 어떠한 관련성을 맺는지를 분석한 문헌연구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두 공간 모두 지역사회의 배제와 고립 측면에서 사회적 관계망의 양적 축소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쪽방촌의 빈곤밀집은 주민들의 사회적 관계를 쪽방촌이라는 자신들의 마을 안에서 치밀하게 형성시켰는데, 이는 1970- 80년대 한국사회 도시빈민들이 보여주었던 건강한 달동네문화의 궤적을 계승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반면 영구임대아파트의 빈곤집중은 주거지 분리, 외발적 스티그마, 도시의 슬럼화 등으로 인해 주민들의 사회적 관계 자체를 위축시키는 부정적 결과를 나타내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각 빈곤지역에의 개입방향을 제언했다. 그러나 본고는 역전이나 거리와 같은 도시빈민들의 또 다른 밀집지역들을 고려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으므로, 빈곤밀집현상이 지니는 다양성을 확인하기 위해 여러 거주지 유형이 고려된 후속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빈곤의 군락과 탈식민주의의 접목

        탁장한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2 社會科學硏究 Vol.30 No.2

        The poverty of Jjokbangchon villages remains extremely poor, despite the long-standing presence of numerous helping hands. This paper explores the theoretical basis for interpreting the Jjokbangchon, a representative space of poverty in modern Korean society, in connection with colonialism. The study attempts to articulate the problem of dense poverty with colonialism by introducing different concepts of internal colonialism, decolonization and decoloniality, ghetto welfare colonialism, Pauper colonialism, and Appalachian colonialism. Putting each concept together, colonialism can be expanded to a concept that occur within a country, proceed irrespective of race, not be solved only by territorial liberation, and appear through the good actions of helping groups. In particular, in that slums are spatially partitioned areas, colonialism has the usefulness to touch territorial (re)production that cannot be explained by class exploitation alone. If the colonized poor can be established as a new black concept, the problem of poverty can be approached as a subtle relationship between the poor and the outsiders surrounding the space, beyond just analyzing individual/social factors. It is hoped that the decolonialism tool can be used as a clear method that penetrates various events that occur in the community of poverty. 쪽방촌은 수많은 돕는 손길들이 오랜 기간 존재해 왔음에도 여전히 극단적으로 열악한 상태로 남아있다. 본 논문은 현대 한국 사회의 대표적인 빈곤의 군락인 쪽방촌을 식민주의와 연결시켜 해석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를 탐구했다. 연구는 내부식민주의, 탈식민화와 탈식민성, 게토 복지식민주의, 빈민식민주의, 애팔래치아 식민주의의 서로 다른 개념을 소개하며 밀집된 빈곤 문제를 식민주의와 접합하려고 시도한다. 각 개념을 종합하면 식민주의는 일국 내에서도 발생할 수 있고, 인종과 무관하게 진행될 수 있으며, 영토적 해방만으로 해결되지 않는 부분이 있고, 돕는 집단들의 선량한 행위를 통해서도 나타나는 개념으로 확장될 수 있다. 특히 빈민가가 공간적으로 구획된 지역이라는 점에서 식민주의는 계급 착취만으로는 설명 불가능한 영토적 (재)생산을 건드릴 수 있는 유용성을 지닌다. 군락화된 빈민을 새로운 흑인 개념으로 정립할 수 있다면 빈곤의 문제는 단지 개인적/사회적 요인을 분석하는 데에서 벗어나, 공간을 둘러싼 외부인과 빈민 사이의 미묘한 관계로 접근될 수 있을 것이다. 탈식민주의 설명방식이 빈곤의 공간에서 발생하는 누적된 불이익을 관통하는 선명한 지평으로서 빈곤 연구에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빈곤 비즈니스와 쪽방촌의 주거 빈곤

        탁장한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3 社會科學硏究 Vol.31 No.2

        본고의 목표는 한국 사회의 대표적 도시 빈민가인 쪽방촌을 빈곤 비즈니스, 구체적으로는 빈민가 임대업과 연결 지어 탐구하는 것이다. 쪽방촌에서의 실거주 및 참여관찰을 기반으로, 연구자는 쪽방촌 주거 빈곤의 현실및 그를 둘러싼 복합적 생태계를 소개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여기서 쪽방촌의 빈곤은 건물주/관리인을 비롯한 비빈곤층의 소득원으로서 기능하는 도구로 파악되었다. 정부가 지원하는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주거급여는 오롯이 쪽방의 월세로 사용되며 쪽방 건물주에게 제공되었고, 주거급여 인상 폭에 비례해 쪽방 월세도주거급여 최대치까지 함께 상승하는 추세가 확인되었다. 건물주들이 훗날의 개발을 기대하며 사실상 하자 보수를 거의 수행하지 않음에도 빈곤 비즈니스는 쪽방촌의 세입자들이 쉽게 거부할 수 없는 통제력을 발휘하고있었고, 때로는 세입자들에 의해 정당성을 얻기도 했다. 빈곤 비즈니스와 세입자 주거권이 미묘하게 연동되고있었기 때문이다. 주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고는 쪽방촌 주거 빈곤 문제의 개선을 위한 다각도의 제언을시도했다.

      • KCI등재

        빈곤한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빈곤층의 실태에 대한 연구 : 중첩된 가난과 이웃관계, 그리고 정신건강

        탁장한 ( Tak Jang Han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6 사회복지연구 Vol.47 No.4

        본 연구는 유사한 소득수준을 가진 빈곤층이라고 하더라도 그들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사회의 사회경제적 여건에 따라 생활실태에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탐색한 연구이다. 특히 빈곤한 지역에 거주하는 빈곤층에 초점을 두어, 중첩된 빈곤상태에 처하였을 때 이들의 이웃관계와 정신건강수준이 어떠한 결과를 보이는지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2년도 한국종합사회조사(94개 시·군·구, N=1,396) 자료를 활용하였고, 지역빈곤과 개인빈곤 간의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하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 분석 결과, 빈곤지역에 거주하는 빈곤층이 부유지역의 빈곤층보다 이웃 간의 유대에 있어 더욱 높은 수준의 이웃관계를 보고하였다. 나아가 중첩된 빈곤상태는 이들의 심리적 안녕감을 또한 높이는 기제로서, 빈곤한 지역사회가 빈곤층의 취약한 정신건강을 완충하는 지지기반이 됨을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빈곤지역에서 빈곤한 주민들이 지니는 관계성의 의미를 논의하였으며, 그에 따른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lives of the poor when they reside in areas with different socioeconomic conditions. Especially the poor living in areas with high poverty are the main focus here, so this study demonstrated their levels of neighborship and mental health. In order to analyze it, 2012 Korean General Society Survey(94 areas, 1,396 individuals) was used an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area poverty and individual poverty was found. As a result, the poor living in deprived areas reported higher social ties with neighbors than the poor living in wealthy areas. Furthermore, double poverty status also increased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level so that it suggested the poor community could be the supportive base for the poor in terms of mental health as well. The meanings of relationships the poor have in poor areas were discussed, and the implications were followed.

      • KCI등재
      • KCI등재

        빈곤에 저항하는 그리스도교: 추방된 사람들과 편파적 하나님의 연대

        탁장한(Jang Han Tak)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20 신학논단 Vol.99 No.-

        This study illuminates the historical existence of the evicted whose Shalom have been deprived in Korea, followed by the examination of liberation theology perspective which emphasizes Praxis with the poor in various kinds of suffering fields. The backstreet activities by youth in Okbaraji Mission Center attempt to connect these two concepts (The Evicted and Liberation Theology) through ‘social, spiritual, and cultural solidarity with the evicted.’ Okbaraji Mission Center’s activities carry on the prospect of ‘taking part in poverty.’ This is a totally different stance from mainstream Protestantism in Korea that cope poverty with ‘top-down oriented help, care and service.’ Accordingly, this study introduces the experience of confronting the presence of God by staying with so-called ‘the Jesuses nailed to the cross’ in demolition areas where God seems nowhe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