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 입지적정화계획의 대표사례분석을 통한 집약형 도시구조의 형성방안에 관한 연구

        윤철재,쿠로세 타케후미 한국도시설계학회 2019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0 No.5

        With the population decline and urban shrinkage, there is a rising debate about the necessity of integrating the urban structure to the concentrated one, however no specific planning solution has been proposed yet. This study dealt with the location normalization plan, a nationwide institutional framework of concentration of city structure in Japan. 21 representative cases(model citi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focusing on the essential elements for the formation of concentrated city structures, which is how to set up the concentrated area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for establishing the urban function promotion area which is the hierarchical position of city, the relationship with the upper-level plan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Access to public transportation was also frequently used criteria, rather than being separate, it is valid to be considered based on relationship with the transportation hubs within each upper-level plan. Second, in the setting of a residential promotion area, access from the urban function promotion area and public transportation axis and the appropriate population density were mainly used as criteria that can be objectively explained. On the other hand, a small number of special situations that city had faced were also used as the criteria. 인구감소와 도시축소라는 사회적 현상에 따라 확산된 도시구조의 집약화에 관한 필요성은 대두되고 있으나 구체적인 도시계획적 해법은 제시되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집약형 도시구조의 형성을 국가적인 정책으로 추진하고 있는 일본의 입지적정화계획을 대상으로 모델도시로 선정된 21개의 대표사례를 선정, 집약형 도시구조 형성의 필수요소라 할 수 있는 유도구역의 설정방법에 주안점을 두고 사례계획들을 분석함으로써 도시의 컴팩트화의 실천적 방법론을 고찰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첫째, 도시의 위계별 생활거점인 도시기능유도구역의 설정에는 상위계획과의 관련성이 가장 큰 요소로 작용하고 있었다. 공공교통과의 접근성 또한 자주 활용되는 기준이었으나 별개의 내용이라기보다는 각 상위계획내의 교통거점 등과의 관련성을 바탕으로 이해되는 것이 타당하다고 할 수 있다. 둘째, 거주유도구역의 설정에는 누구나에게 합리적으로 설명될 수 있는 도시기능유도구역 및 공공교통축으로부터의 접근성, 적정한 인구밀도의 유지가 주로 활용되는 설정기준이었다. 반면 각 도시가 처한 특수한 상황을 반영한 항목들도 구역설정의 기준에서 나타나고 있었다.

      • KCI우수등재SCOPUS

        경상북도 중소도시의 도시구조 집약도 분석

        최선영(Choi, Seon-Yeong),쿠로세 타케후미(Kurose Takefumi),야부키 켄이치(Yabuki Kenichi),윤철재(Yoon, Cheol-Jae) 대한건축학회 2024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40 No.2

        This study examines the compactness of small and medium-sized local cities in Gyeongsangbuk-do, South Korea, utilizing Japans urban structure evaluation indices. These indices, drawn from Japans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s urban structure evaluation handbook, Japans analytical case studies, and available domestic statistical data, were applied to evaluate the compactness of 15 cities with populations under 100,000. The findings pointed to high compactness in Yeongju-si, Yeongcheon-si, and Mungyeong-si, contrasting with low compactness in Cheongsong-gun, Yeongyang-gun, and Bonghwa-gun. This suggests a necessity for compact city policies in these areas. This research underscores the need and potential direction for compact city policies in smaller cities across South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