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청소년 진로적응력 특징 및 영향요인 탐색

        추지윤,이은지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3 교육논총 Vol.43 No.3

        This study has explored support measures for the development of career adaptability designed for adolescents by enlisting the types of career adaptation and analyzing predictive factors influencing them. Along with that educational policy implications were proposed by analyzing the influence of the adolescents’ subjective perceptions of their academic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on their capacity of career adaptability.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latentprofiles were searched out using data from the fourth year of Korean Child Youth Panel Survey (KCYPS) 2018 (n=2,265), and DE3STEP analysis was used to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R3STEP analysis and outcome variables for predictive factor analysis. Through the analysis three latent profile groups of adolescents' in career adaptation were identified: “Challenged career adaptation group (42.2%),” “Excellent career adaptation group (13.3%),” and “Regular career adaptation group (44.5%).”Examination of these groups revealed that the higher the academic performance and career aspiration in individual variables, the greater the parental encouragement in family variables, and the higher the friendship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in school variables, the stronger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career adaptation group. It was also found that, adolescents with low career adaptability have self-evaluated their performance as lower than those with high career adaptability,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is in alignment with the above findings. All the study results indicate the need for necessary support for the challenged group of adolescents get better oriented to career adaptation programs to adjust with and thrive in a rapidly changing world.

      • KCI등재

        학교폭력 실태조사 해외사례 비교 연구 : 미국, 영국, 호주 사례를 중심으로

        추지윤,신태섭,최윤정,정윤희,박선우,황흠,신민경,김예원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2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1 No.5

        본 연구는 학교폭력 실태조사에 대한 국외의 선진 사례를 비교·분석하여 국내 설문조사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미국, 영국, 호주를 분석 국가로 선정하였고 분석틀을 제시하여 학교폭력의 개념, 경험, 인식을 기준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설문조사에서 나타나는 학교폭력 개념은 서구에서는 괴롭힘(Bullying)이라는 개념을 주로 사용하며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학교폭력 개념이 보다 포괄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교폭력의 경험 문항은 크게 피해경험, 가해경험, 목격경험으로 구분되며 국외의 경우에는피해경험을 중심으로 설문을 시행하는 경향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학교폭력 인식에 대해서는 학교폭력의 원인, 도움에 대한 인식, 학교폭력 이후의 변화에 대한 인식, 학교의학교폭력 정책에 대한 인식, 학교 환경에 대한 인식에 대하여 대상 국가별 어떤 특징과차이가 있는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폭력 실태조사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고등학생의 디지털 역량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류 및 영향요인 분석

        추지윤(Chu, Jiyun),이은지(Lee, Eunji)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1 교육논총 Vol.41 No.4

        본 연구는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종단연구(KELS) 2013의 6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고등학생들의 디지털 역량에 따른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하고, 잠재프로파일 분류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개인, 가정, 학교 특성 변인에는 무엇이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먼저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 Analysis)을 통해 디지털 역량 수준에 따라 ‘우수 집단’, ‘보통 집단’, ‘부진 집단’의 3개 잠재프로파일로 분류되었다. 잠재프로파일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음과 같다. 개인 특성 변인에서는 성별, 학습에 활용하는 미디어 사용시간, 학업성취도, 창의적 역량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났다. 다음으로 가정 특성 변인에서는 부모의 정보 수집 경험, 사이버 가정학습이 많이 이루어질수록 디지털 역량 수준이 높은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마지막으로 학교 특성 변인에서는 학교소재지와 교사의 지식정보처리 역량수업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늘날 디지털 사회를 맞이한 학생들에게 원격수업 확대로 인한 디지털 역량의 역할은 중요해지고 있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디지털 역량 증대를 위한 교육적 지원 방안을 개선해 나가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potential profiles according to digital capabilities of high school students and analyze the personal, family, and school variables that affect classification using data from the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KELS) 2013.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with Latent Profile Analysis,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latent profiles, advanced, average, and poor according to their digital competency.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is classification of latent classes reveale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gender, media usage time utilized for learning, academic achievement, and creative competence. Next, the more educational support and cyber home learning are conducted in the family characteristics variables, the more likely it is to belong to a group with a high level of digital competence. Finally, in the school s variables,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processing capability classes of teachers and school location were shown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With the expansion of remote classes, the role of digital competence is becoming important to students living in this digital society. Based on the above findings, educational policies should be prepared to improve digital competence.

      • KCI등재

        고등학생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경기교육종단연구(GEPS)를 중심으로

        추지윤(Chu, Jiyun),이은지(Lee, Eunji)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0 교육논총 Vol.40 No.4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학생 수준과 학교 수준으로 구분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교육종단연구(GEPS) 7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총 352개교, 고등학교 1학년 학생 4,567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위계적 선형모형(HLM)을 활용하였으며, 학교적응 종속변인은 친구적응과 교사적응의 하위 요인으로 구분하였고 독립변인은 학생 수준과 학교 수준으로 나누어 위계적으로 투입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 수준에서는 성별,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부모의 합리적 양육태도가 학교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적응의 하위요인으로 친구적응과 교사적응의 영향요인이 유사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친구적응에서는 여학생인 경우, 교사적응에서는 남학생인 경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차이가 드러났다. 한편, 학교 수준에서는 혁신학교여부, 설립형태, 교사협력정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이 있는것으로 분석되었다. 학교적응의 하위요인인 친구적응과 교사적응에서는 공통적으로 혁신학교 여부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설립형태와 교사협력정도는 교사적응에서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고등학생들의 학교적응을 높일 수 있는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factors that affect high school students adaptability by categorizing them into student and school levels. Overall 352 schools and 4,567 high school students were involved in the study, which use data from the Seventh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 (GEPS). A hierarchical linear model(HLM) was employed for analysis; school adaptability was categorized into sub-factors of students friend and teacher adaptabilities; and independent variables were segregated into student and school level and analyzed hierarchically.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chool adapt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were gender, self-esteem, self-efficiency, and parenting attitude at the individual level. As a sub-factor of school adaptability, it was analyzed that the factors affecting students friend and teacher adaptabilities were similar, although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factors affecting female students in students friend adjustment and male students in teacher adjustment. At the school level, innovation schools, co-education, and teachers cooperation were factors tha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ulence on school adaptability. In terms of students friend and teacher adaptabilities, which are sub-factors of school adaptability, innovation schools had a positive effect in general.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type of establishment(co-education) and the degree of teacher cooperation that had a significant effect only on teacher adjustment.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highlighted the implications for high school students to improve their school adjustment.

      • KCI등재

        청소년의 공동체의식 변화 양상 및 영향 요인 분석 : 부산교육종단연구(BELS)를 중심으로

        추지윤(Chu, Jiyun),이은지(Lee, Eunji),장선희(Jang, Seonhee)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1 교육혁신연구 Vol.31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부산시 청소년의 공동체의식 변화의 양상을 살펴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부산교육종단연구(BELS) 1차~5차년도 자료 중 중·고등학생 2,258명의 종단 데이터를 활용하여 잠재성장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무조건 모형 분석으로 무변화, 일차함수, 이차함수, 분할함수 모형을 각각 적용하여 가장 적합한 모형으로 분할함수 모형을 추정하였다. 중학교 3학년 시점을 기준으로 공동체의식은 중학교 시기에는 유의한 변화가 없다가 고등학교 시기에는 점차 감소하는 양상으로 나타났다. 한편, 초기치, 중학교 및 고등학교 시기 변화율의 분산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 공동체의식의 개인차는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청소년의 공동체의식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조건 모형을 적용하였다. 여학생에 비해 남학생인 경우와 자아존중감 및 학업성취도 수준이 높을수록 공동체의식의 초기치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부모와의 관계가 친밀할수록 중학교 시기 공동체의식의 증가율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우 및 교사관계가 좋을수록 공동체의식 초기치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논의 및 결론: 미래사회의 핵심 역량으로 청소년들의 공동체의식 함양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청소년들의 발달 특성과 교육환경을 고려한 다양한 교육 경험과 맞춤형 전략이 필요하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공동체의식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지원 방안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nges in sense of community of adolescents in Busan and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m. Method: Among the data from the 1st to 5th years of the BELS, 2,258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used to analyze the potential growth model. Results: First, by unconditionally analyzing the model, a piecewise growth model was estimated as the most suitable model by applying the no-growth, linear, quadratic, and piecewise growth models, respectively. As of the time of the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the sense of community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in middle school but gradually decreased in high school. On one hand, the variance of the rate of change in the initial period, middle and high school periods was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firming that individual differences in sense of community existed. Second, a conditional model was applied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hange in adolescents sense of community. Compared to female students, male students and the higher level of self-esteem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higher the initial status of sense of community. In addition, the closer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the higher the rate of increase in sense of community in middle school, and the better the friendship and teacher relationship, the higher the initial status of sense of community. Conclusion: As a key competency of the future society, efforts are needed to foster youth s sense of community, and various educational experiences and customized strategies are needed considering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environment of youth.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systematic support measures and implications for improving adolescents sense of community were suggested.

      • KCI등재

        최후통첩게임 및 독재자게임을 통한 조현병 환자들의 사회적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추지윤(Ji-Yoon Choo),김양태(Yang-Tae Kim)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14 생물치료정신의학 Vol.20 No.2

        Objectives:Patients with schizophrenia have impairment in social cognition and function. This study aimed to compare social decision-making between healthy controls and patients with schizophrenia using ultimatum game(UG) and dictator game(DG).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facial expression on social decision-making. Methods:Forty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forty healthy controls were enrolled and they played three sets of games. In one set of the game, they played the role of a responder in UG, whereas in the other sets of games, they played the role of a proposer in UG and DG. All of the participants played against computerized partners with facial expressions displaying a happy, neutral, or angry status. Acceptance rate as a responder in the UG and the amount of money offered as a proposer in UG and the DG were estimated. Results:As responders, patients showed higher acceptance rates of unfair offers than controls in UG. The proposer’s facial expression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acceptance rate in the control group. However, patients were not affected by the facial expression. As a proposer, participants proposed a lower offer in DG than in UG, but it did not have statistical significance in patients. Conclusion: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patients with schizophrenia do not tend to experience negative emotions provoked by unfairness and that they are deficient in social bargaining strategies.

      • KCI등재

        중학생 협동심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 및 영향요인 탐색

        추지윤 ( Chu Jiyun ),이윤희 ( Lee Yoonhe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학생들의 협동심에 따른 유형을 분류하고 분류된 집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의 2차년도 중학교 2학년 2,280명 학생들의 데이터를 투입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잠재프로파일 분석 결과 협동심에 따라 3개의 잠재집단으로 분류되었고 이는 각각 ‘우수 집단’, ‘보통 집단’, ‘부진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다음으로 분류된 잠재프로파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보통 집단을 참조 집단으로 개인 수준, 가정 수준, 학교 수준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 개인 특성 변인에서 보통 집단 대비 우수 집단에 속할 확률을 높이는 변인으로 자아존중감, 교내외 동아리 참여 횟수, 주관적 성적평가에서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었다. 즉,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교내외 동아리 참여 횟수가 많을수록, 주관적 성적평가가 높을수록 우수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둘째, 가정 특성 변인에서는 우수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은 변인으로 부모의 따스한 양육태도, 자율적인 양육태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가 자녀에게 따뜻하고 자율적인 양육태도를 많이 보일수록 협동심이 보통 수준의 집단 보다 우수한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보통 집단 대비 우수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은 학교 특성 요인은 교사와의 관계, 친구와의 관계였다. 학생들이 지각하는 교사와의 관계와 친구와의 관계가 긍정적으로 높을수록 우수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협동심을 높이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classify the types according to students’ cooperation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analyze what factors affect the classified groups. For analysis, a data set of 2,280 students in the second year of middle school in the KCYPS 2018 was used. Latent profiles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analysis of the latent profiles revealed the classification into three latent groups according to students’ cooperation, namely ‘advanced,' ‘average,' and ‘weak.'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dividual characteristic variables that increase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an advanced group compared that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re self-esteem, the number of participations in clubs, and grade evaluation. More precisely the higher the self-esteem, the higher participation in clubs, and the higher the grade evaluation, the higher the likelihood of belonging to an advanced group. Second, family characteristics variables revealed that the students with parents' warm parenting attitude and autonomous parenting attitude are likely to belong to an advanced group. The warmer and the more autonomous parenting attitudes parents show to their children, the more likely they are to belong to a group with a higher level of cooperation. Third, school characteristics that are likely to belong to an advanced group compared to average groups were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nd friends. The higher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with teachers and friends, the more likely they are to belong to an advanced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several policy implications to enhance students’ cooperation were suggested.

      • KCI등재

        초ㆍ중등 교사의 갈등 유형 분류 및 영향 요인 분석

        추지윤(Jiyun Chu),장선희(Seonhee Jang),장수연(Suyeon Jang)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4 교육논총 Vol.44 No.1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의 「서울교원종단연구 2020」 제1차년도(2021년) 자료를 활용하여 초ㆍ중등 교사 (n=2,418)들이 학교 현장에서 경험하는 갈등의 유형을 분류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교사의 갈등 유형에 따라 교사 갈등 상황 경험의 결과변인으로 볼 수 있는 교사의 ‘소진(Burn-out)’과 ‘직무만족도’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교사의 갈등 유형을 분류하는 데에는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 Analysis)을 활용하였고, 갈등의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데에는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초·중등 교사의 갈등 유형은 3개의 잠재프로파일로 도출되었으며 각각 ‘갈등 최저집단’, ‘갈등 저집단’, ‘갈등 보통집단’으로 명명하였다. 잠재프로파일 분류의 예측요인을 탐색한 결과, 초등교사의 경우, 갈등이 낮은 집단에 속할 가능성을 높이는 개인 요인은 성별, 담임 여부, 교직 선택의 내재적 동기인 것으로 나타났고, 업무환경 변인은 업무 부담, 교사 자율성, 구성원과의 관계로 나타났다. 중등교사의 경우, 개인 요인 중에서는 성별, 교직 경력, 비정규직 근무 여부가, 업무 환경 요인 중에서는 업무 부담, 교사 자율성, 구성원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류된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결과 변인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초ㆍ중등교사 모두 갈등이 낮은 집단에서 교사의 소진이 낮고 직무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서울 교원정책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conflict types among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and to analyz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classification of the conflict types. Inaddition, it was analyzed whether the level of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among the teachers differ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teacher conflict. For this study, latent profile analysis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onflict types of teachers were derived into three latent profiles: ‘the lowest conflict group’, ‘low conflict group’, and ‘the average conflict group’. During the exploration of the predictive factors of the classification of the latent profiles, it was found that the individual factors that increased the likelihood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longing to the low-conflict group were gender, homeroom status, and intrinsic motivation. For the work environment variabl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derive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 burden, teachers’ autonomy, and the relationship with other members of the staff. For the secondary school teachers, gender, the work burden, the teachers’ autonomy, their relationship with other staff members, teaching career, and temporary worker statu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 ficant factors. Since the differences were assessed based on the classified latent profiles, it was found that teachers’ burnout was low and job satisfaction was high in the group with low conflict, in both group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 교사 수업전문성 계발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조직문화 요인 분석

        장선희,추지윤 한국교원교육학회 2015 한국교원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16 No.11

        학생들의 학업 성취를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은 교육에서의 중요한 관심사였다. 이러한 교육적 성과를 내기 위해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으며, 그중에서도 교사의 전문성은 교 육적 성과를 높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지속적으로 연구되어 왔다. 학생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로 교사의 전문성이 보고되고 있으며, 교사의 전문성을 계발하기 위한 노력들이 요구되고 있다(정제영?이희숙?김수지, 2014). 특히 교사의 전문 성을 잘 보여주는 영역은 교사의 수업이라고 할 수 있다. 학생을 가르치는 것은 교사의 중 요한 업무이면서 교사에게 전문적인 자기 이해를 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손승남, 2005). 즉, 교사의 수업전문성은 교사에게 요구되는 전문성 중 가장 핵심적인 부분 이라고 할 수 있다(김찬종, 2009; 손승남, 200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