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기임신에서 감입태반을 동반한 자궁파열 1 예

        이금노,최화국,최귀동,이향숙,김창배 대한산부인과학회 199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9 No.7

        Spontaneous rupture of the uterus is one of the most formidable life threatening accidents because of massive bleeding and its rapid exsanguination. Most of the rupture of the pregnant uterus occurs at or near term, but extremely rare in early pregnancy. We present a case of spontaneous rupture of the uterus in 13 weeks of pregnancy with review of brief literature.

      • KCI등재

        갑상선 기능항진증 보이는 임신오조증의 임상소견

        김정호,이금노,김경수,백인숙,최화국 대한산부인과학회 199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8 No.6

        1993년 1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전주예수병원 산부인과에서 hyperemesis gravidarum으로 입원하여 치료받은 환자중, biochemical hyperthyroidism hyperemesis와 biochemical euthyroid hyperemisis 사이에서 labaratoy test을 이용하여 분석고찰한 결과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hyperemesis gravidarum은 주로 임신 6주에서 16주사이에 발생하여 대부분 경우 임신 20 주에는 완화되며 항구토제를 투여하지 않고, 수분공급 전해질 교정만으로 교정된다. 이로 미루어보아 hyperemesis gravidarum은 임신 6주에 발생하여 적어도 임신 20주후에는 자연소실 되는 증상이라고 할 수있다. 2. 정상결혼한 여성을 택했기 때문에 hyperemesis gravidarum에 대한 정신적 영향에 대해서는 알수 없었으며 또한 초산부와 경산부 사이에는 차이가 없음을 보여준다. 3. hyperemesis gravidarum환자중 정상갑상선 기능검사소견을 보이는 경우가 많으나, biochemical hyperthyroidism hyperemesis가 biochemical euthyroid hyperemisis보다 더 심한 정도의 구토증상을 보임을 알수 있었다. 임신오조에 객관성을 전해질, 간효소 등을 통해 각각의 T 검정에서 Na, K, Cl, GOT, GPT, bilirubin이 유의하게 변해 있었다. 4. hyperemesis gravidarum이 자연소실되는 임신 20주에 갑상선기능 검사를 실시한 바, 임신 20주 이전에 biochemical hyperthyroidism을 보였던 환자 대부분이 biochemical euthyroid state 을 보였다. 이로 미루어 보아 hyperemesis gravidarum과 갑상선 기능과는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5. Hyperemesis gravidarum은 임신 20주 이후에 자연소실되고 수분공급, 전해 교정만으로 어느 정도 완화될 수 있기 때문에 항구토제 투여는 회의적이며 격려와 보존적요법으로 치료에 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겠다. 6. Hyperemesis gravidarum인 환자군에서 장기간 기아 상태로 인한 간기능 효소 상승이 있는데 이는 수분공급, 전해질 교정으로 서서히 교정되기때문에 간기능 강화제투여는 치료에 커 다랗게 도움이 된다고 할 수 없겠다. 7. 상기 기술한 5,6번으로 hyperemesis gravidarum 치료목적으로 인공 임신 중절은 부적합하다. 선택된 환자군이 적어 결론을 내기에는 미흡한 점이 있지만 euthyroid function state상태인 hyperemesis gravidarum에 비해 biochemical hyperthyroidism을 보인 환자에서 임신오조에 정도가 심한 경향을 보였다. From 1993 to 1994 the biochemical studies were done in forty women with hyperemesis gravidarum at Presbyterian Medical Center. The biochemical studies composed of serum electrolytes, liver enzymes(Asparate aminotransferase, Alanine anminotransferase ; GOT/GPT. total bilirubin), T4RIA, T3RIA free T4 and TSH. Thirty six patients were selected except three patients . The four patients were rejected due to over gestational age and hypothyroidism(33,34,38 wks:GA). Hyperthyroidism was defined as elevated free T4 and suppressed TSH. Nineteen patients (52.7%) with biochemical hyperthyroidism were self limited and resolved by 20 wks gestation. patients were prescribed by antithyroid drug and were discontinued medication after 20wks gestation.(only 3 patients were medicated) Among them, biochemical hyperthyroidism didn`t reappeared after 20wks gest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hyperthyroid patients were more likely have abnormal electrolyte levels and increased liver enzyme levels(t test, chi square test) than euthyroid patients and the severity of hyperemesis was found to depend upon the degree of hyperthyroidism.

      • KCI등재

        자궁외임신의 임상적 고찰

        최영민,이영호,서승식,최화국,최귀동,이향숙 대한산부인과학회 199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9 No.5

        1991년 1월 1일부터 1995년 12월 31일까지 만 5년간 전주예수병원 산부인과에서 자궁외임신으로 입원수술한 환자 116예를 임상적 고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분만건수에 대한 자궁외임신의 빈도는 1:168명(116예/19,497건)이었다. 2. 호발연령은 25-29세가 40.5%로 가장 많았다. 3. 분만횟수와의 관계에서 미산부의 자궁외임신이 29.3%를 차지하였고, 한번도 임신 안한 미임부가 30.2%를 차지하였다. 4. 최종월경 제 1일부터 증상발현하여 내원하기까지의 기간은 6-8주사이가 44.8%로 가장많았다. 5. 기왕력은 인공유산의 경험이 74.1%, 복강경불임시술 15.5%, 자궁외임신 12%, 제왕절개술 6.9%를 차지하였다. 6. 주요 임상증상에서 하복부동통이 88.7%, 질출혈이 57.8%, 무월경이 59.4% 등으로 주 증상을 보였다. 7. 자궁외임신 진단방법으로 소변 임신반응검사 양성율은 97.4% 였으며, 더글라스와천자 양성율은 71%로 나타났고, 복강경진단 양성율은 85.2%, 초음파진단상 자궁부속기 종괴 및 더글라스와 액상소견은 44.3%에서 나타났다. 8. 자궁외임신 발생부위는 난관이 92.2%로 가장 많았고, 난소 4.3%, 자궁경관 0.9%, 광인대 2.6%를 보였다. 그리고 형태에 따라 파열형이 69.1%, 사산형이 31%, 비파열형이 0.9%을 보였다. 9. 혈청 B-HCG치는 1,000 mIU- 5,000 mIU가45.8%로 가장 많았다. 10. 복강내 출혈량은 500 ml미만이 45.8%로 가장 많았고, 500-1,000 ml가 18.9%, 1,000-2,000 ml가 17.3%를 차지하였다. 11. 혈청 B-HCG치가 1,000 mIU/ml이하인 경우가 33%였고, 혈청 B-HCG치와 자궁외임신 크기의 연관성은 뚜렷하지 않았다. 따라서 혈청 B-HCG치를 이용하여 자궁외임신 크기를 예측하는 것은 유용하지 못할 것으로 사료된다. 12. 수술방법은 대부분 개복수술로 환측 난관절제술이 47.5%, 환측 난관절제술과 비환측난관결찰술이 10.3%로 대다수를 차지하였으며 복강경에 의한 환측 난관절제술도 9.5%를 차지하였다. 13. 116예 자궁외임신으로 입원 후 수술 중, 후 사망한 예는 없었다. This study is a clinica evaluation and statistical analysis on the 116 cases of ectopic prognancies who were admitted and treated at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Presbyterian Medical Center from January 1, 1991 to December 31, 1995.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medical center incidence of ectopic pregnancy was 1 in 168 deliveries. 2. The most frequent age group was in 25-29 years group. 3. Nullipara was 34 cases(29.3%) and the number of cases had 1, 2 deliveries were 34 cases (29.3%), 39 cases (33.6%). 4. The most frequent interval between last menstrual period and the onset of symptoms was 6-8 weeks in 52 cases(44.8%). 5. In the past history, 86 cases(74.1%) had previous artificial abortion, 18 cases(15.5%) had laparoscopic tubal sterilization, 14 cases(12%) had previous ectopic pregnancy, 8 cases (6.9%) had previous cesarean section. 6. On the smptomatological studies, lower abdominal pain was noted in 103 cases(88.7%), vaginla bleeding(spotting) in 67 cases(57.8%), amenorrhea in 62 cases(53.4%). 7. Urine hCG test was positive in 113 cases(97.4%) and culdocentesis was positive, 61 cases(71%). and diagnostic laparoscopy was positive in 23 cases(85.2 %). On the sonograghic findings, adnexal mass and cul-de-sac fluid finding was positive in 39 cases(44.3%). 8. Ectopic pregnancy was implanted on fallopian tube in 107 cases(92.2%), and 5 cases(4.3%) on ovary, 1 case(0.9%) on cervix. In tubal pregnancy, the most implantation site was ampullar portion 76 case(65.5%). Ruptured tubal pregnancy was 79 cases(68.1%). 9. The most common range of serum B-HCG level was 1,000 mIU-5000 mIU in 35 cases(41.1%). 10. Intraperitoneal blood loss below 500 ml in amount was 53 cases(45.8%), 1,000-2,000 ml in 20 cases(17.3%), respectively. 11. The serum B-HCG level was below 1,000 mIU/ml in 28 cases(33%). The serum B-HCG levels relate poorly with the size of a ectopic pregnancy. 12. Most commonly used operative procedure was ipsilateral salpingectomy in 55 cases (47.5%), ipsilateral salpingo-oophorectomy in 8 cases(6.9%) and also, laparoscopic salping ectomy was done in 11 cases(9.5%). 13. In the 116 study cases, there was no fatal c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