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제7차 중학교 과학 교육과정 실행여건 조사·분석

        최홍재 蔚山大學校 敎育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2001학년도 중학교 1학년부터 연차적으로 적용되는 제7차 과학 교육과정은 학교 급간의 연계성 있는 교육과정 개발, 교육과정 내용 축소, 수준별 수업 실시, 종합적인 탐구 강조 등을 특징으로 한다. 이 특징들은 지금 까지 시행된 다른 교육과정과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어 새 교육과정을 적용하기 전에 교육 현장 여건을 조사·분석하는 작업이 필요하겠다. 본 연구는 제7차 중학교 과학 교육과정 실행을 앞둔 울산광역시 소재 중학교의 여건을 조사·분석하여 적용 과정에서 예상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안 연구를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내용을 제7차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도와 교육과정 적용 관련 교사의 실태, 인식, 의견 및 교육환경으로 구성하고 후자를 교육과정 전반, 수준별 수업, 탐구활동에 대한 부분으로 나누어 조사를 실시하였다. 울산지역 19개 중학교 과학 교사 106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결과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교육과정 전반에 대한 이해도의 경우, 46.8%의 교사가 교육과정에 대해 잘 모르고 있거나 잘 못 알고 있어서 보다 효과적인 연수 계획의 수립과 실시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과정 적용 관련 교사의 실태, 인식, 의견 및 교육환경 조사 결과 교육과정 개정 방향에 대한 인식은 56.1%가 그저 그렇다는 응답을 했으며, 수준별 수업의 실시에 대해 100.0%가 업무 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70.4%의 교사가 수준별 수업을 위해서는 학급당 학생수를 줄여야 한다는 의견을 보였다. 또한 탐구활동 수업과 관련하여 99.0%의 학교가 새 교육과정에 따른 실험도구나 재료 구입에 대한 계획을 세우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시행을 앞두고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이 같은 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도, 실태, 인식, 의견 및 교육환경 등에 대한 조사·분석 결과를 종합적으로 보면 아직 사전 준비는 부족하고 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가 충분치 않으며, 시행에 대한 불안감을 갖고 있어 제7차 교육과정의 시행에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본 연구는 교육과정 정착 방안 연구를 위한 자료로 쓰여질 수 있을 것이다. Major characteristics of the 7th middle school science curriculum that will begin application from 2001 are including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which has close relation between classes, reduction of the curriculum contents , curriculum depending on the basis of student′s level ,emphasising of total inquiry. Because these characteristics differ greatly from the other curriculums that have been applicated b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condition for application before new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ive suggestions in process for new curriculum. The contents of our survey consisted of two parts. One part was to analyze how much teachers understand about new curriculum, and the other was to survey the condition for the application of new curriculum , especially differential class and research activity. This survey included 106 science teachers of 19 middle schools in Ulsan. According to results of survey, only 53% teachers were good in understanding new curriculum and it suggests that organized training plan should be performed before applicating new curriculum. 56.1% of teachers have thought that new curriculum was not aimed properly so that it has chance to be failed. In the case of differential class depending on student′s level, all of teachers have thought thank that tasks of teachers would be heavier, and then the number of students per a classroom must be reduced for successful application of new curriculum. Consequently , this study reveals that there are many problems for teachers to perform new curriculum. Therefore, more careful consideration should be required before applicating this new curriculum.

      • 제7차 및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시안에 따른 고등학교 물리 교육 과정 비교 연구

        최홍재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제7차 및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시안에 따른 고등학교 물리 교육 과정 비교 연구 최 홍 재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물리교육전공 본 연구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제7차 교육과정과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시안에 따른 고등학교 물리 교육과정 비교 연구를 통해 상호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분석하였다. 첫째,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시안의 기본 방향은 10년간의 국민기본공통 교육과정과 고2, 3학년의 선택중심 교육과정, 수준별 수업, 재량 활동 운영에서는 기본 기조를 유지하였고, 수업시수를 일부 조정하고, 과학역사교육을 강화하고, 단위학교 교육과정 운영의 자율성을 확대하고, 고등학교 선택중심 교육과정 개선 등이 개정의 주요 내용이다. 둘째, 교육과정 성격 및 교육목표는 큰 차이가 없고 유사하다. 셋째, 내용 체계 및 내용 요소에 따라 두 교육과정을 비교하면, 고 등학교 1학년 과학의 전체적인 내용 체계는 거의 같지만, 물리 영역만을 고려했을 때는 전체적인 내용의 축소나 중학교 과정의 내용이 고등학교 과정으로 조정된 것 등이 변화되었고, ‘물리Ⅰ’에서는 전체적으로 세 개의 영역에서 네 개의 영역으로 확대되었으며, 전체적인 내용은 비슷하나 삭제되거나 추가된 부분들이 있다. ‘물리Ⅱ’에서는전체적으로 세 개의 영역으로 구성되어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이고, 전체적인 내용은 비슷하나 삭제되거나 추가된 부분들이 있다. 넷째, 과학(물리)과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을 살펴보면, 교육과정 내용을 축소․조정한 것에 관한 문제점, 학교급간에 연계성 있는 교육과정을 적용시키는 것에 관한 문제점,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에 따른 문제점, 고등학교 2, 3학년의 학생 선택중심 교육과정 문제점 등이 있었고, 그 해결 방안을 살펴보았다. 제7차 및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시안에 따른 고등학교 물리 교육과정을 전체적으로 분석해 본 결과 과학과의 전체적인 교육과정에서 부분적으로 개정이 되었고, 물리 교육과정에서는 따로 개정이 된 것은 없는 것으로 보이나, 교과서의 내용이 상당 부분 축소되거나 삭제되었다. A Comparative Study in Educational Curriculum of High School Physics based on the 7th Curriculum and the Revised Tentative in 2007 Choi, Hong-Jae Department of Physics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Jeonju University The similaritie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highschool physics curriculum of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and that of the 2007-revised Curriculum were compared and analyzed. Firstly, the 2007-revised Curriculum was maintained the basic principles - such as 10-year-long common curriculum, level-based selective courses for 2nd and 3rd grade high schoolers, and the classes managed by teacher's own decision - , partially change the numbers of assigned lessons per semester, reinforce the history of science contents, give the expanded autonomy on managing process to each local school unit, and advance the selective curriculum of high school. Secondly, there is little difference on the educational characteristics and missions between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2007-revised one. Thirdly, compared with the 7th Education Curriculum's in terms of the system and elements of contents, 2007-revised one's physics - though they are nearly identical concerning the general system of the common science for highschool freshmen - shrinks the overall contents and absorbs some of the middle-school curriculum into highschool one. Physics Ⅰ adds one area to the former three ones, deleting and supplementing some contents. Physics Ⅱ seems to have almost unchanged structures, maintaining the three existing areas. Fourthly, I figure out several problems in science(physics) Curriculum, such as shrinking and adjusting curricula, applying the flexible curricula among each class, and managing the level-based classes and the selective classes for 2nd and 3rd grade high schoolers. Additionally, I try to find out reasonable solutions on these matters.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2007-revised one, overall science curriculum was partially changed but physics curriculum remains relatively unchanged except for trimming and excluding some contents of textbooks.

      • EM(effective microorganism)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의 악취 절감 효과

        최홍재 대구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대구광역시 환경시설관리공단 신천사업소 음식물 처리 병합장에서는 음식물쓰레기를 수합해 분쇄시킨 후 산발효 과정을 거쳐 하수처리장으로 유입시키는데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저감하기 위하여 두 제조사(A/B)에서 구입한 EM을 자체적으로 배양해 살포한다. 두 제조사(A/B)의 원액과 다양한 조건[38℃ 및 25℃ 배양, 배양과정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휘발성 유기산으로 인한 가압(2기압) 조건 및 1기압 배양, 4,000-5,000 Lux 빛을 추가한 배양]에서 배양한 EM의 종조성을, 정량분석을 위한 형광현장혼성화(FISH, fluorescent in situ hybridization)법, 정성분석을 위한 PCR-DGGE(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법, 정량·정성분석이 모두 가능한 Pyrosequencing법으로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에서 주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진 aldehyde류 6종(formaldehyde, acet-aldehyde, iso-valeric aldehyde, iso-butyl aldehyde, butyraldehyde, propion-aldehyde), 황화합물류 3종(황화수소, methyl mercaptan, propyl mercaptan), 암모니아 등, 총 10종의 악취 원인 물질을 울산 태성환경연구소(www.ts-ei.com)에 의뢰하여 분석하였다. EM의 종조성을 비교분석한 결과, 제조사간 그리고 사용한 분석기법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세균종은 Lactobacillus sp., Acetobacter sp.이었다. pyrosequencing법 결과, 처리장에서 배양한 EM-A에는 Acetobacter sp.(76%)가 우점하였는데 이 EM을 음식물 쓰레기에 첨가해 준 봄철에는 알데하이드계 악취가 감소하였다. 반면에 여름에는 악취물질 제거능이 확인된 Lactobacillus sp.가 우점하는 EM-B 배양액을 음식물 쓰레기에 첨가해 주었는데 이때는 알데하이드계는 오히려 증가하였고 황화합물계 악취가 약간 감소하였다. 즉 두 제조사의 EM의 기능에는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두 제조사의 EM을 혼합해 첨가한 가을의 경우에는 측정한 10종의 악취물질 모두 감소하였다. 그러나 기온(30℃)이 높은 여름의 경우, EM을 첨가해 주어도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어하지 못해 타계절에 비해 최고 60배까지 증가하였는데 이는 온도상승에 따른 미생물의 활성도가 증가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음식물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악취는 기온의 영향을 받고 기온이 낮으면 Lactobacillus sp., Acetobacter sp.가 주종을 이루는 EM에 의한 제어가 가능하였지만 기온이 상승하면 악취가 크게 증가해 우리나라 악취방지법의 배출기준을 초과할 가능성이 크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This study is carried out to monitor the malodor deodorizing effect of EM(Effective Microorganism) used in the food garbage treatment plant of Daegu city. The commercial EM of 2 companies (A/B) is bought and cultivated for its own and sprayed in the food garbage to deodorize its malodor generated during the process of its collection, grinding, acid fermentation and finally the input of its fermented product to the waste water treatment plant. The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of commercial EM(original) of 2 companies(A/B) and those cultured EM under various conditions was compared using FISH(fluorescent in situ hybridization), PCR-DGGE(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and pyrosequencing method. Those various cultivating conditions were as follows; basic cultivating condition (anaerobic, during the culturing the pressure reaches up to 2 atms because of the increase of volatile organic acid) at 38℃ and 25℃, and cultured under 1 atm(by releasing the gas) at 38℃, and additionally under 4,000-5,000 Lux light at 38℃. In addition, the 10 different malodor compouds known as main malodor by food garbages including 6 aldehyde type (formaldehyde, acet-aldehyde, iso-valericaldehyde, iso-butylaldehyde, butyraldehyde, propionaldehyde), 3 sulfuric compounds(H2S, methyl mercaptan, and propyl mercaptan), NH3 were determined in Ul-san Tae sung company (www.ts-ei.com) by request. The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of the EMs(originals/cultured) was differed according to the used analyzing method and the kind of commercial EMs(EM-A and EM-B). However, the bacteria existing in common were Lactobacillus sp. and Acetobacter sp.. Based on the result of pyrosequencing method, Acetobacter sp. (76%) was dominated in the cultured EM-A used for deodorizing the food garbage in spring. At that time the concentration of various aldehydes malodor was reduced. On the other hand, Lactobacillus sp. was dominant in the cultured EM-B used in summer. At that time aldehyde compounds increased, but decreased S-compounds a little bit. That is, function of EM of 2 companies was different. So in Fall, the mixed EM of 2 companies in ratio of 7:3(A:B) was used and reduced all of 10 kinds of determined malodors. However, even if EM was added to the food garbage in hot summer(30℃), the malodor could not be controlled efficiently; some kind of malodor compounds increased up to 60 times in comparison with other seasons due to the increased microbial activity at high temperature. In conclusion, temperature affects mainly the concentration of malodor compounds generated from the food garbage. So when the temperature was under around 20℃, the malodor could be controlled by EM composed of Lactobacillus sp. and Acetobacter sp. However, when the temperature was higher than 20℃, it is most likely to exceed the emission standard of Korean malodor control la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