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의 세무조사실태와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최현이 건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1871

        한글초록 :한국의 세무조사실태와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최현이 본 연구는 민주적인 세무 행정을 뒷받침하는 기반적인 역할을 하는 세무조사제도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세무조사제도의 의의와 기능 및 목적, 변천 과정, 외국의 세무조사제도를 살펴보고 국내의 세무조사실태와 문제점의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세무조사제도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으로는 과세관청의 조사와 관련된 각종 규정 및 통계자료등과 국내?외 선행연구에서 분석?검토된 내용들을 살펴보는 문헌적인 연구방법에 의하여 세무조사에 대한 이론을 살펴보고, 정부와 전문가들이 현실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문제점들을 파악하여 이를 중심으로 제도상, 운영상의 해결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에서 드러난 세무조사제도 관련 문제점과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발전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세청의 인력은 정부조직의 경직성으로 인해 적기에 충원되지 못하고 있으므로, 세무조사인력의 확대와 전문화가 필요하다. 둘째, 현재 탈세자에 대한 처벌은 높은 조세형벌과 미약한 가산세의 부과로 양분되어 있었으며 그동안 벌금형이 엄격하게 적용되는 예는 거의 없었다. 따라서 세무 조사 비율 제고와 제재규정의 현실화가 필요하다. 셋째, 자영업자의 소득 탈루 개선에는 한계가 있었던 것이 사실이므로 과세자료수집 인프라 구축 및 정보화가 필요하다. 넷째, 우리나라에서는 각종 비리, 정권 유지의 수단으로 오?남용되는 등 그 기능과 사회적 인식이 크게 변질되어 왔으므로 세무조사의 독립성이 필요하다. 다섯째, 납세 성실도의 측정에 문제점이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조사대상자 선정의 객관화가 필요하다. 여섯째, 세무조사의 민주성 제고이다. 조세정보 공개정책에서 한국은 탈세에 대한 통계정보와 개별납세자들에 대한 정보를 공개하지 않지만 납세순응도가 우리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알려진 일본은 탈세에 대한 통계정보는 물론 최고소득계층의 개별 납세 자료도 공개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세무조사제도의 발전방안에 대해 살펴보았으나 여러 가지 한계로 인해 제도적 문제점에 대한 전반적인 해결방안의 제시에 그치고 실증연구로서의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내용의 검증에까지 이르지는 못하였다. 향후에는 세무조사대상자 선정에 대한 미시적인 평가모델이나 외국법인의 국내투자에 대한 세무조사 등 보다 세부적인 분야에 대한 관련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영문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tax investigation system designed to support a democratic tax administration.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reviewed implications, functions and goals of tax investigations and thereupon, examined the changes of tax investigations and foreign cases and thereby, analyzed our tax investigation system to address its problems and explore the ways to develop it.To this end, the researcher reviewed various codes and regulations as well as statistics about tax investigations and examined the relevant theories and therewith, addressed the problems perceived by tax administrations and experts to find their solutions in terms of system and its ope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ince the current National Tax Service (NTS) manpower for tax investigations is still insufficient due to the rigidity of government organization, it is urgent to recruit more manpower and train them to be more professional. Second, the tax evaders have been subject to either stricter tax punishment or less stricter penalties so far, which means that tax evaders have seldom been severely punished. Hence,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tax investigations, while amending the relevant tax codes to apply more severer punishment to tax evaders. Third, since self-owner businessmen have taken advantage of the tax code loopholes, it is essential to construct a tax data collection infrastructure or database to check their tax evasions. Fourth, since tax investigations have been misused to cover various illegal practices or maintain the political power, namely, since their functions have been much distorted with a negative perception of them, it is quite necessary to make them independent from the politics. Fifth, since tax payers' faithful payments of their taxes have not been judged in a fair way, it is required to set some objective criteria for the suspects of investigation. Sixth, it is necessary to enhance democracy of tax investigation. While Korea does not make public the statistics about tax evasions and individual tax payers, Japan reputed for her tax payers' higher obedience to tax make open to the public not only the statistics about tax evasions but also top tax payers. This study may be limited in that it could only suggest some comprehensive institutional solutions to tax evasions, not testing them neither empirically nor specifically and in details. So,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followed up by futures studies which will expand the scope of research into some micro-evaluation model for selection of the suspected tax evaders, tax investigations into foreign corporations in Korea and other micro-scope areas

      • 許蘭雪軒 詩에 투영된 自我像 硏究 : 사랑과 自我完成을 중심으로

        최현이 公州大學校 大學院 2011 국내석사

        RANK : 1855

        Heo Nanseolheon(許蘭雪軒) had lived a short life comparing with normal human life. However, she have completed love and identity as one person variously and deeply through her poems. I was trying to find her self-image from a real humanitarian perspective in these remarkable poems. So I named the subtitle “To focus on love and self-realization”, examining her 27 poems. There were Heo Nanseolheon’s anguish, love, ego, passion for life and deliberate observation in the selected poems. The passion and deliberation in closed space organized mature works of herself into “Love and yearning in closed space”. And I assembled poems that lie in poet’s life, memories, and other energy, naming “sufficiency as open space and self-realization”. So I studied process of poetic formation and hidden meanings. Definitely, Heo Nanseolheon was passionate poet. Because her poems revealed her talents and literary powers. She was living as a daughter of the family, a sister, a daughter-in-law and the mom of her children. Even though time goes by she was a woman who had an ordinary life like ours. Most of our life is various, her life wasn’t big difference like normal things. But it is very important that each life’s role is particular, that’s why Heo Nanseolheon lived as a very talented poet and revealed her literary power to her poem. In this way, reading the full life and poetical origin in the life, the study try to find love, longing, and true ego and write down. 평범한 우리 인생에 견주어 짧은 생애를 살고 간 허난설헌은 한 인간으로서 지닐 수 있는 사랑과 자기 정체성을 자신의 시를 통해 다양하고 깊이 있게 완성해 간 시인이다. 이러한 非凡한 허난설헌의 시에서 진정한 인간적인 면모로서 시인의 자아상을 찾고자 하였다. 그래서 소제목을 ‘사랑과 자아완성을 중심으로’라고 정하여 시인이 지은 27수의 시를 살펴보았다. 선정된 시속에는 살아있는 인간 허난설헌의 고뇌와 사랑, 자아가 살아 숨 쉬고 있으며 삶의 열정과 세심한 관찰이 녹아 있다. 그 열정과 세심함이 닫힌 공간에서 수그러들어 시인 내면으로만 성숙한 작품들이 ‘닫힌 공간에서의 사랑과 그리움’으로 편성되어 있다. 그리고 시인의 삶의 주변과 추억, 또 다른 에너지를 받아들이는 계기가 되었던 시들을 모아 ‘열린 공간으로의 충족과 자아완성’으로 명명하여 시적 형성 과정과 숨겨진 의미들을 살펴보았다. 이 과정을 통해 허난설헌은 자신이 지닌 재능과 문학적 역량을 시 속에 모두 드러낸 열정적인 시인이었음을 알게 되었다. 한 집안의 딸이었으며, 누이였고, 아내, 며느리, 그리고 엄마의 삶을 살다간 허난설헌은 몇 백 년, 몇 천 년의 시간이 흐른다 한들 지금의 우리와 비슷한 시간의 궤도를 돌며 살다간 여인이었다. 하지만 그 삶의 역할에 있어 개인마다 다양한 양상을 띠듯, 허난설헌은 자신이 지닌 문학적 재능을 유감없이 詩에 드러내며 자신의 삶의 역할에 충실한 생을 살다 갔다. 이렇게 그 충실한 생애와 그 삶 속에 담긴 시적인 내력을 한편씩 읽어가며 시인의 사랑과 그리움, 그리고 진정한 자아를 찾아 기록한 것이 이 논문이다.

      • 특수교육보조원 활용에 대한 특수교사와 통합교사의 인식 비교

        최현이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185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erceptional difference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on the operation, qualification, role, education, disposition, utilization and management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assistants who support teachers and help with disabilities students in class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85 schools selected from 127 schools which have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assistant system in Chunlabookdo, Chunlanado and Guangjoo. The proper recognition and utilization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assistant system are required to accomplish the best educational benefit of this system.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 First, both subjective groups,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were appreciating the operation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assistants. Furthermore, the former group showed higher satisfaction factor than the other group. Second, perceptional differences about the qualification and role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assistants wagers not exist. In the study of the role and educa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assistant for general education, 2002, Kimsungae said that teacher assistants are distinguished from educational helpers by their wide activity area and their various task supports in classes. In contrast with her study, teacher assistants misused to provide disabled students helps of daily activities and relocation and they did not perform their specialties like administrational supports and teacher assistances for teachers in their normal school life. General management control is required to maintain the qualities and the roles of the teacher assistants. Third, two study groups have different opinions about the educational requirement and disposition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assistants.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s have higher standard of a teacher assistant per a group of disable students than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However,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quire more internship hours for the teacher assistants. This is a same result with the previous study by Kim Chang Gul (2000) and by Kang Kyung Sook (2002).In the subject of individualized teacher assistance, the most requested assistant’s activity from the disabled students according to other study (Kang Kyung Sook, 2002; Lee You Hoon, Kim Kea Ok, Chung Dong Il, 2002), both groups of teachers were aware of the necessity of the teacher assistance system but they disvalued the educational help from the teacher assistants to their students. Fourth, there was a minor difference in two study groups about the understanding of operation and management of the teacher assistant system.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s asked practical skills from teacher assistants at the point of teacher disable students and they also expected relatively high qualification standard from teacher assistant applicants so teacher assistant system is required the advanced internship program and various management plan. Despite of the effort to have an accurate survey, there were practical three limitations. First, there was a possibility that the returned questionnaire might have answers what the subjects want to be. Second, the subjects were selected from local area of Chunlabookdo, Chunlanado and Guangjoo so the result of this study would not be generalized to as nation wide. Based on the above-mentioned findings, there are some suggestions: First, proper foundation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assistant system and various co ordinations are required to maximize the benefit of general education and extensive internship program and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are needed to be developed to achieve this goal. Second, even a principle makes the final decision of hiring a teacher assistant, he should listen to special education teachers or general education teachers advices about applicants. In addition, fair review standards are needed to be developed to evaluate teacher assistants’ performances. Third, administrational, physical, and financial supports and various studies to solve practical problems from educational field area are highly demanded for the great accomplishment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assistant system.

      •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협력적 조형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 및 조형미술 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최현이 성신여자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1855

        본 연구의 목적은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협력적 조형 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과 조형미술 표현력 향상에 효과적인지를 확인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협력적 조형 활동 프로그램은 입체조형 활동과 평면조형 활동의 두 가지 프로그램으로 구성되므로 두 실험집단에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협력적 조형 활동은 유아의 창의성 향상에 효과적인가? 연구문제 2.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협력적 조형 활동은 유아의 조형미술 표현력 향상에 효과적인가? 연구문제 3.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협력적 조형 활동에서 입체조형 활동과 평면조형 활동 중 어떤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조형미술 표현력 향상에 더 효과적인가? 연구문제 4.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협력적 조형 활동이 진행되는 과정(초기, 중기, 말기)에서 조형 활동, 완성 조형물, 전사본, 교사 의견의 측면에서 볼 때 유아의 창의성과 조형미술 표현력에 어떤 변화가 나타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S구에 위치한 B유치원과 K유치원의 만 5세반 3개 학급의 유아 63명을 무선 선정하였다. 실험 실시 전에 사전 검사로 세 집단의 유아 모두에게 창의성 검사와 조형미술 표현력을 측정하였으며, 각 집단 간의 동질성을 확보한 후에 실험을 진행하였다. 검사도구로는 Torrance의 창의성 검사를 사용하였고, 조형미술 표현력은 Project Spectrum의 시각예술영역부분의 평가척도를 사용하였다. 실험집단 1은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협력적 조형 활동에서 입체조형 활동을 적용하였으며, 실험집단 2는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협력적 조형 활동에서 평면조형 활동을 적용하였다. 통제집단의 경우에는 일반 유치원에서 적용하고 있는 미술 조형 활동을 실시하였다. 실험은 총 12회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양적 접근으로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실험 전, 후에 검사를 실시하고 그 자료를 통계 처리하여 실험 효과를 검증한 한편, 질적 접근으로 실험의 전 과정에서 녹음, 녹화하고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여 실험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유아에게 나타난 창의성과 조형미술 표현력에서 초기, 중기, 말기에서의 변화를 유아의 조형 활동과 완성 조형물에서의 변화, 전사본과 교사 의견을 통해본 변화라는 네 가지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협력적 조형 활동은 유아들의 창의성을 높여주는 효과적인 활동이었다. 즉, 교사가 글 없는 그림책을 제시하면 유아들은 그림에서 상징하는 의미를 찾고자 노력하고, 그것이 협력적 조형 활동으로 연결될 때 독창성과 추상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협력적 조형 활동은 유아들의 조형미술 표현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었다. 즉,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협력적 조형 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조형미술 표현력 하위요인인 표현감, 심미감, 예술성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이는 유아의 협력적 조형 활동이 그림 표현 능력에 영향을 주고, 주제와 관련하여 다양하게 이야기해보는 경험을 가져봄으로써 기존에 가지고 있던 표상적 사고의 폭을 확장시킬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협력적 조형 활동에서 입체적 조형 활동이 평면적 조형 활동보다 유아들의 창의성과 조형미술 표현력을 향상시키는 데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입체적 조형 활동이나 평면적 조형 활동 모두 유아들의 창의성과 조형미술 표현력에 영향을 미치는 활동이므로, 주제에 따라 적절한 방법의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진행하는 것도 효과적인 수업활동이라고 볼 수 있겠다. 넷째,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협력적 조형 활동이 진행되는 과정을 관찰한 결과, 초기에서 중기, 말기 과정으로 진행됨에 따라 유아들은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발산하고, 집단 창의성을 발현하며, 조형 활동에 창의적·협력적으로 참여하고, 산출물을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교사들이 매 활동 후에 기록한 저널 분석 결과, 유아는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됨에 따라 점차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협력하고 배려하는 마음을 갖게 되었으며 교사 자신도 자신감과 적극성을 갖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경우에는 실험을 담당한 교사가 혼자서 결정하는 데 느끼는 어려움을 연구자와 동료교사에게 저널로서, 수업반성을 통하여 자발적인 반성과 계획을 하게 되었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양적, 질적 접근을 통해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협력적 조형 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과 조형미술 표현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유아기는 창의성과 표현력 발달에 민감한 시기이므로 유아들에게 가장 적절하고 효과적인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구상하고 적용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 하겠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 개발하여 효과가 검증된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협력적 조형 활동 프로그램”은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들의 창의성과 조형미술 표현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보육교사 휴게시간 의무화에 따른 어린이집 원장의 적용 경험

        최현이 한국교통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휴게시간 의무화 제도의 정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보육교사 휴게시간 의무화에 따른 어린이집 원장의 적용 경험을 심층적으로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충북지역 민간어린이집 원장 18명, 가정어린이집 원장 12명, 총 30명이었다. 휴게시간 의무화에 따른 어린이집 원장의 적용 경험을 조사하기 위하여, 일차로 개방식 설문지를 실시하고, 이후 4명의 원장과 개별 심층면담을 하였다. 설문지 응답과 면담 전사 자료를 내용분석한 결과, 상위범주는 현실적 여건의 어려움, 탄력적 운영, 교사와 원장의 인식변화 등 3개이며, 하위범주는 각 4개, 2개, 3개로 나타났다. 최종범주는 유아교육학과 교수 3인에게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실적 여건의 어려움으로 안전문제, 공간문제, 대체교사의 채용문제, 영아의 격리 불안 등이 보고되었다. 원장들은 보육교사의 휴게시간 동안 일어날 수 있는 안전사고에 대한 불안감이 고조되었다고 하였다. 특히, 낮잠시간을 합반으로 운영할 경우 안전문제에 큰 영향이 있다고 생각하였다. 몇몇 원장들은 안전사고에 대한 우려를 표하면서도 교사의 휴게시간을 보장하기 위하여 학부모의 협조를 구하고자 노력하고 있었다. 공간문제로는, 많은 원장이 보육교사의 휴게시간을 위하여 별도의 휴게공간을 확보하지 못한 채 교실이나 교사실을 활용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하더라도 교사가 유아와 분리된 공간에서 휴게시간을 보내는 것은 돌봄이 중심이 되는 어린이집의 성격상 어렵다고 생각하였다. 원장들은 법적 책임에 대한 부담감 때문에 휴게시간을 제공할 수밖에 없지만, 대체교사를 채용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원장들은 충분한 재정 지원에 더하여 아동을 믿고 맡길 수 있도록 역량 있는 대체교사 양성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둘째, 연구참여자들은 어린이집의 설립 목적이 다른 회사나 기관과는 구별되는 특수한 곳이므로, 휴게시간을 원칙대로 일정하게 운영하는 것이 어렵다고 생각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장들은 보육교사의 휴게시간을 보장하기 위하여 시간과 공간을 조정하면서 탄력적으로 운영한 긍정적 사례를 보고하였다. 많은 원장이 교사들의 의견에 따라 휴게시간을 정하고, 좀 더 편안한 휴식을 위해 배려하는 모습을 보였다. 셋째, 교사와 원장의 인식변화는 교사의 당연한 권리, 원장의 눈치보기, 원장의 업무부담 등과 관련한 사례로 나타났다. 연구참여자들은 개정 근로기준법 이후 교사들이 휴게시간을 당당히 요구하며 자신의 권리를 찾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원장들은 보육교사의 당연한 권리라고 인식하면서도 보육현장에서 법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현실적으로 어려운 부분이 있다고 진술하였다. 일부 원장들은 회의시간을 잡거나 교사들 간 휴게시간의 형평성을 고려하느라 눈치를 보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휴게시간에 자리를 비우는 보육교사들의 공백을 해소하기 위하여, 원장 본인이 대체 업무를 담당하게 되어, 정작 원장은 쉴 틈이 없다고 고백하였다. 이상과 같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보육교사의 휴게시간 의무화 제도는 보육교사의 과도한 업무에 따른 신체적, 정신적 소진을 예방할 수 있는 매우 바람직한 방법이나 현실적인 적용에 있어 몇 가지 개선되어야 할 점이 있다. 이미 법이 시행되고 있지만, 무조건적 의무로 강요할 것이 아니라 구조적이고 현실적인 어려움을 파악하고 적합한 대책을 보육현장 종사자와 함께 논의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정부의 보조금으로 채용되는 대체교사의 전문적인 역량 신장과 체계적인 양성과정 마련에 대한 제고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원장은 교사의 휴게시간을 보장하기 위해 일부 업무를 대신하느라 힘들고, 교사는 밀린 업무를 완수하기 위해 휴게시간 아닌 휴게시간을 보내고 있으므로, 어린이집 원장과 보육교사의 업무하중을 경감 할 실질적 대책이 필요하다. ※ 주제어 : 어린이집 원장, 휴게시간 의무화, 적용 경험

      • 과학기술혁신 공적개발원조가 수원국 혁신역량 제고에 미치는 영향

        최현이 성균관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1855

        최근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이하며, 과학과 기술의 발전이 세계적으로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의 발전은 선진국들에 막대한 경제적 이점과 혁신적인 변화를 제공하고 있지만, 동시에 개발도상국들에는 새로운 도전과제이자 기회 요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학기술혁신 ODA가 개발도상국 혁신역량에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특히, 연구개발 비중의 조절효과와 더불어 혁신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2년부터 2018년까지 84개 개발도상국을 대상으로 과학기술혁신 ODA를 OECD DAC 자료에서 추출하여 활용하였으며, 혁신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통제하기 위해서 고등교육 진학률, 연구원 수, 고위기술 수출 비중, 1인당 GDP, 정부 효율성 지수 등을 활용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서는 패널모형을 사용하였으며, 시간별로 지역별로 차별화되는 특성을 통제하기 위해 고정효과모형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과학기술혁신 ODA는 혁신역량(특허수)에 직접적인 양(+)의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개발투자의 조절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나면서 연구개발투자의 비중이 높아짐에 따라 과학기술혁신 ODA가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먼저, 과학기술혁신 ODA를 통계적으로 추출하여 실증적으로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그간 과학기술혁신 ODA가 중요하다는 논의는 있었지만, 이 분야의 통계적 분류가 별도로 이루어져 있지 않다는 어려움으로 인해, 자료수집과 데이터의 실증분석은 이루어지지 않은 편이었다. OECD CRS(Creditor Reporting System) 목적 코드 중 (1) 사회 인프라, 경제 인프라, 생산 부문, 다 부문에서 교육 훈련 및 연구와 (2) 생산부문 중 기술지원 관련 분야의 두 가지 분야 합계 금액으로 산출하여 과학기술혁신 ODA 금액을 수집하였다. 또한, 개발도상국이 빈곤에서 벗어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루기 위해서 과학기술혁신 ODA가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흡수역량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것을 도출한 것에도 의의가 있다. 이는 다시 말하면 공여국 수준의 ODA의 논의와 함께 수원국의 역량과 노력의 수준이 함께 논의되어야 효과적인 ODA 성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라는 중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 PPAT(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와 Holland 직업유형 및 MBTI 성격유형간의 비교연구 : 일반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최현 한양대학교 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1839

        한국의 많은 청소년들은 자신의 꿈과 적성에 대한 고민을 한 다음에 진로를 결정하기보다는 학교 성적에 맞추어 대학진학과 직업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 청소년들이 학교에 적응하지 못하여 학교중도탈락으로 이어지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학교중도탈락을 조기에 발견하기 위하여 적절한 개입이 필요하며 실제적으로 학교생활 적응이 청소년시기를 보내는 중요한 부분이다. 또한 청소년 시기에서의 정체성 혼란은 성인기까지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이는 청소년 시기의 자아정체성이 성인기까지 영향을 미쳐 직업에 이직률의 증가로 인한 사회적인 문제로 이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청소년들이 학교생활 적응을 하지 못하고 학교중도탈락으로 이어지는 다양한 문제들을 조기에 발견하여 적절한 개입을 하므로 직업적 정체성을 확립하도록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 연구를 위해 일반계 고등학생들의 PPAT(Person Picking an Apple from a Tree) 그림검사에서 보이는 그림특성을 형식척도(FEATS)와 내용척도(The Content Scales)의 하위점수가 Holland 직업적성검사 및 MBTI 성격유형 검사와의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가를 밝히기 위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 참여자는 안산시 B고등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720명 중에서 PPAT(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 Holland 직업유형검사, MBTI 성격유형 검사 3가지 검사도구 중에서 한 가지 검사라도 답안작성을 불성실하게 한 55명을 제외한 남학생 301명, 여학생 364명 총665명을 대상으로 연구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이에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PPAT(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에서 Holland 직업유형에 따라 어떠 한 차이를 보이는가? 둘째, PPAT(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에서 MBTI 성격유형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PAT(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가 Holland 직업유형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회형(S), 탐구형(I), 예술형(A), 기업형(E), 관습형(C) 보다 PPAT(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에서 내용척도 부분으로는 나무의 수관에 색을 많이 사용함을 보였고, 실재형(R)이 다른 유형 보다는 옹이 의 수를 좀 더 많이 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술형(A)은 기타 환경물을 추가로 그려준다는 것으로 보아서 PPAT(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 내용척도 여러 항목 중에 수관 묘사에 사용한 색의 수, 옹이 수, 기타 환경물은 Holland 직업유형을 구분해주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 둘째, PPAT(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가 MBTI 성격유형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알아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PPAT(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 에서 형식척도(FEATS)의 결과는 ESFJ(외향적 감정형)는 공간사용 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ENTP(외향적 직관형)는 공간 사용이 가장 낮은 비율을 나타났다. 그림검사의 내용척도(Content Scales)의 결과로 ESFP(외향적 감각형)는 사람의 수를 가장 많이 그리는 것으로 나타났고, ENTP(외향적 직관형)는 사람의 수를 가장 적게 그린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ESFP(외향적 감각형)는 동물의 수를 가장 많이 그린 것으로 나타났고, ENTP(외향적 직관형)는 동물의 수를 가장 적게 그려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서 ENTP(외향적 직관형)는 사람의 수, 공간 사용, 동물의 수에서 가장 낮은 비율을 보인다는 결과를 알 수 있었다. 또한 ESFP(외향적 감정형)는 내용척도(Content Scales)에서 사람의 수, 동물의 수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인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PPAT(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를 통해서 Holland 직업유형과 MBTI 성격유형에서 비교 연구 결과 PPAT(사과 따는 사람)그림검사와 Holland 직업유형 및 MBTI 성격유형을 접목한 새로운 연구였다. 또한 청소년들의 심리 상담이나 진로상담에 활용될 수 있다는 것에 의미를 둘 수 있다. 주요어 : PPAT(사과 따는 그림검사), Holland 직업적성검사, 청소년 사회적응, MBTI 성격유형검사,

      • 상황학습 이론을 적용한 웹 코스웨어 저작 시스템 설계 및 구현

        최현 韓國敎員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과정의 일반적인 교과에 대해 웹 코스웨어를 쉽게 저작하고 그 저작된 웹 코스웨어를 통해 학습자들이 학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웹 서버 응용프로그램을 개발하려고 한다. 이에 상황학습 이론을 적용하여 교사는 다양한 상황학습 요소들을 쉽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학습자들은 스스로 학습 진도를 파악하고 능동적으로 학습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상황구성을 통한 학습 지원 시스템인 'SL4U (situated learning for you)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SL4U 시스템은 Windows용 웹 서버를 기반으로 ASP를 이용하였고 데이터베이스는 Access2000을 사용하여 학교현장에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개발 과정에서 고등학교 전기회로, 정보기술기초 등의 교과에 대하여 웹 코스웨어 저작을 시도하였고, 일부 학생들에게 각 교과에 수강등록을 통하여 제공된 상황학습 요소들을 학습해보도록 권하여 동작 테스트를 해보았으며, 다양한 교과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웹 기반의 새로운 학습시스템으로 활용의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 하였다. ※ 이 논문은 2004년 2월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컴퓨터교육)학위 논문임.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e a Web server application program that helps highschool student to produce a Web courseware easily for general subjects in highschool curriculum. To achieve this goal, SL4U(situated learning for you) system is designed and implemented, which appled situated learning theory. This system can support learner's study through situation organization that makes teachers offer various situated learning elements easily, students grasp the progress of learning and take part in the study actively. This SL4U system can be used easily in all schools because it took advantage of ASP based on Windows Web server and database is constructed with Access 2000. In the course of development, several subjects - Electricity Circuit, Basic Information Technology - were included using this program and tested whether this program operates well or not when students register their subjects and study using the offered materials. Through this program, it is expected that the Web-based instructional system could be put to practical use to various subjects immediately.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Computer Education) in February, 2004.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