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불법행위로 인한 정신적 손해배상에 대한 연구

        최현숙 가천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문 초록 초고도의 과학기술과 초고속의 매스미디어와 인터넷이 발달한 현대사회는 인간에게 고도의 편리하고 유익함을 안겨주는 반면에 예견하기 어려운 고도의 수단과 방법으로 심각한 경제적 침해 및 신체적·정신적 침해를 야기하는 새로운 형태의 불법행위들이 발생하여 자본주의 사회의 부정적인 단면을 드려내 보이고 있다. 이러한 불법행위로 인한 침해는 개인의 개별적 피해에 국한되지 않고 집단적 피해의 양상도 함께 나타나고 있다. 심지어 불법행위가 악의적·고의적 또는 상습적·계획적으로도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 불법행위법은 고의와 과실을 구분하지 않고 있으며 손해의 전보배상을 목적으로 하고 있어 이러한 악의적·고의적인 불법행위자에게 민사책임의 차원에서의 제재나 불이익이 없다. 특히, 악의적·고의적 불법행위는 피해자에게 더욱 가중된 정신적 손해를 입히게 됨에도 우리 손해배상법 체계상 손해 이상의 배상은 인정되지 않는다. 불법행위로 인한 정신적 손해는 피해자가 가해자로부터 받는 손해에 대하여 구체적인 금전으로 환산하기 어려움이 있고 손해액의 확정함에 있어 입증 또한 어려움이 있다는 특성 때문에 피해자의 손해에 대한 회복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는다. 더욱이 가해자의 악의·고의·중과실로 인한 피해자의 정신적 고통의 손해는 금전으로 평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그 정신적 고통이 일반적인 사고보다 더욱 가중됨으로써 손해에 대한 회복이나 만족은 불가능에 가깝다. 그런데도 실무상 법원의 정신적 손해배상금액은 경제상황, 물가상승률, 소송비용(소송으로 인한 소요시간 투여 비용, 변호사비용) 등을 반영하지 못한 과소한 금액이 책정되고 있으며 악의적·고의적인 불법행위에 대한 예방 및 제재의 기능은 거의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소송구조의 현실에서 정신적 손해배상의 단순한 전보적 기능만을 의존한다면 공평하지 못한 손해배상이 이루어질 것이다. 또한 악의적·고의적·흉악한 불법행위에 대한 차별성 있는 제재 및 예방이 될 수 없어 고의적·악의적인 불법행위의 발생을 방관하는 결과를 낳는다고 볼 수 있다. 정신적 건강의 가치를 무엇보다 중시하는 현대사회에서 인간의 정신적 부분이 저평가되거나 다른 재산적 손해보다 소홀히 다루어져서는 안 될 것이며 고의적인 불법행위에 대해서는 타인에게 본보기가 될 수 있는 예방과 제재 기능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정신적 손해배상의 구체적 검토를 통하여 정신적 손해배상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제시하고 정신적 손해의 새로운 관념과 새로운 기능의 필요성과 함께 사회 발달에 따라 발전되는 고의적·악의적인 불법행위에 대한 제재·예방적 기능을 민사법적 차원에서도 갖추어야 함을 제시한다. 불법행위로 인한 정신적 손해배상의 일반적 고찰을 통해서 본다면 정신적 손해배상은 재산적 손해뿐만 아니라 신뢰성 박탈, 불안증, 공포 등의 정신적 침해는 인간의 삶을 영위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영향을 준다는 점에서 충분한 의미가 부여되고 헌법이 보장하는 인간의 존엄성과 가치, 행복추구권, 자유의 권리 보호는 결국 인간의 생명, 신체·정신 건강, 자유, 명예, 성명, 초상, 지적재산, 사생활보호, 인격형성권 등 모두를 포괄적으로 보호 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불법행위로 인한 정신적 손해배상은 법의 보호이익의 가치판단에 의해 인정된 규범적 개념의 손해이며 그 구체적인 산정방법이 곤란하기 때문에 객관적·추상적 손해개념만을 적용하여 판단할 수 없는 손해이다. 그러므로 시대와 각 나라의 경제, 물가상승 등 여러 상황과 정신적 영향의 가치평가 정도에 따라 정신적 손해에 대한 배상 산정 금액은 차이가 있게 되고 불법행위에 의한 손해의 범위를 어디까지 인정하여 합리적인 제한을 할 것인가는 침해된 손해에 대하여 가해자에게 어디까지 귀속시킬 것인가를 그 시대가 요청하는 범위에 의해 결정됨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는 정신적 손해와 비재산적 손해를 동일한 의미로 종종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타당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손해는 침해된 법익에 따라 분류하여 재산에 관하여 생긴 손해인 재산적 손해와 민법 제751조에서 규정하는 생명, 신체, 자유, 명예 등의 재산 이외의 법익에 관하여 생긴 손해인 비재산적 손해로 나누어 보고 있다. 그런데 우리 민법 제751조 제1항은 ‘정신상 고통’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여 규정하고 있고, 이에 대한 배상을 ‘위자료’ 내지 ‘정신적 손해배상’이라고 통칭하여 비재산적 손해배상과 같은 의미로 사용하고 있어 민법 제751조가 정신적 고통이 전제된 비재산적 손해배상만을 의미하는 것인가, 정신적 고통과는 무관한 비재산적 손해배상을 의미하는 것인가에 대해 논란이 되고 있다. 이는 정신적 고통이 없는 법인 등의 비재산적 손해배상을 민법 제751조에서 찾고 있다는 점에서 견해의 차이가 나타난다. 그러나 법인 등의 비재산적 손해배상을 민법 제750조에서 찾는다면 민법 제751조의 인격권 침해에서는 필연적으로 정신적 고통이 전제돼 있거나 잠재적 가능성을 수

      • 임플란트 주위 골변화와 생존율에 대한 연구

        최현숙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임플란트의 성공과 실패는 환자의 전신상태 및 주위골의 양과 질, 변연부 감염의 유무, 기계적 부하 등 여러 가지 요소에 의하여 결정된다. 또한 주위 골수준의 변화를 측정하는 것은 임플란트의 성공과 장기간의 예후를 평가하는데 있어중요하다. 이번 연구에서는 전남대학교 병원 치주과에서 식립하여 보철수복한 432개(174명) 임플란트의 누적 생존율을 산출하고, 수복 후 연속적인 방사선 사진이 2개 이상 존재하는 204개의 임플란트를 대상으로 근원심 골수준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근원심 골수준은 방사선 사진을 평판 스캐너로 스캔하여 이미지화한 다음 Image analyzer (Image Pro Plus, Media Cybernetics, USA)로 임플란트 식립 직후, 2차 수술후, 3개월, 6개월, 1년후, 그리고 그후 각 1년마다 측정하였다. 1. 1차 수술과 2차수술 사이에는 골소실이 거의 없었고, 지대주 연결후 3개월간 골소실은 0.44±0.70mm, 1년간 골소실은 0.86±0.92mm이었다. 2. 보철수복후 1년 이후에는 매년 골소실량은 0.10±0.27mm,전체 추적기간(평균 22.5±25.6개월)의 골소실은 0.90±0.80mm로 나타났다. 3. 전신질환자(당뇨병,골다공증)의 경우 건강한 사람에 비해 골소실이 크게 나타났다. 4. 식립한 432개의 임플란트의 누적 생존율은 7년간 94.10%로 나타났다. 5. 15개의 실패 임플란트 중 9개가 골유착의 실패로 인한 동요도로 인한 것이었다. 본 연구결과 임플란트 주위 골소실은 지대주연결후 3개월간 크게 나타나며 다양한 요인에 따라 골소실량이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임플란트 주위 골소실을 최소화하여 예후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임플란트 주위 골소실의 원인에 대한 좀더 포괄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The success and failure of dental implants depends on various factors such as Patient's systemic status, quantity and quality of surrounding bone, presence or absence of marginal infection and mechanical loading. The measurement of crestal bone changes around the implants is the important method to evaluate the success and long―term prognosis of the implant.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ummulative survival rate of the 432 implants which had been placed in the department of periodontic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1992 and 2003, and to observe the crestal bone loss around 204 implants which had at least 2 consecutive periapical radiographs after connecting the transmucosal abutment. The radiographs were scanned by flatbed scanner and digitalized, the crestal bone levels on the mesial and distal surface of implants were measured using Image analyzer(Image Pro Plus, Media Cybernetics, USA), immediately after implant placement, at 2nd surgery, and 3 months, 6 months, 1 year, and every year thereafter. 1. No bone loss was observed during the period between the 1st and 2nd surgery, and the belle loss was 0.44 ± 0.70 mm for the 3 months after connecting the transmucosal abutment and 0.86 ± 0.92 mm for the first year of loading. 2. After 1 year of loading, annual bone loss was 0.1 ± 0.68 mm, and total bone loss was 0.90 ± 0.80 mm (during the average follow―up periods of 22.5 ± 25,6 Mos). 3. In systemically diseased patients, the greater bone loss was observed, compared to the the healthy patients. 4. The cumulative survival rate among 432 implants was 94.10% for 7 years. 5. Among 15 failed implants, 9 implants were removed due to mobility from disintegration of bone―implant interface. From this results, crestal bone loss around the implants were greatest in 3 months after transmucosal abutment connection, and various factors could affect peri―implant bone loss. To prevent and predict the bone loss around the implants and. improve the prognosis, further comprehensive follow―up studies are required.

      • 중환자실 간호사의 내세관, 죽음의 의미와 임종간호태도

        최현숙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give a description of afterlife views, meanings of death, and attitudes toward care of the dying of intensive care unit(ICU) nurse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m to understand how their afterlife views and meanings of death affect attitudes toward care of the dying. The subjects were 132 nurses who works in the ICU of 5 university hospitals located in Daejeon and Chung Cheong provinces. Using self-report type questionnaire, a survey was conducted from August 1st to 20th 2012. The instruments consist of the subscales of afterlife views(belief in souls' effects and transmigration, belief in afterlife and retribution), meanings of death(positive meaning of death including liberation, nature, and integration, negative meaning of death including collapse, impact, and futility) in View of Life and Death Scale developed by Inumiya(2002), and Frommelt Attitudes Toward Care of the Dying Scale(FATCOD) developed by Frommelt(1991).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with Tukey test,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WIN V. 20.0 program.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ICU nurses’ belief in soul’s effects and transmigration and belief in afterlife and retribution scored 2.89(±1.09) and 3.89(±1.00) out of 7. In the belief in soul’s effects and transmigration items, the items stating ‘The descendants may face hardships if the ancestors’ grave location is not good.’(3.27±1.53), ‘Afterlife beings sometimes give help to their descendants.’(3.24±1.51), and ‘The descendants will live happy lives if the ancestors practiced good deeds.’(3.08±1.45) received relatively high average markings. On the other hand, the items stating ‘Even unfilial descendants will still benefit from their ancestors as long as they use good grave locations.’(2.33±1.19) and ‘When a person dies, that soul reincarnates through other person’s body.’(2.46±1.30) received relatively low average markings. In the belief in afterlife and retribution items, the items stating ‘Death and ceasing to exist are clearly different.’(4.00±1.63), ‘Human body decays after dying, but the soul never dies.’(3.89±1.66), and ‘The ones who lived an immoral life is sure to be punished in the afterlife world.’(3.75±1.67) received relatively high average markings. On the other hand, the items stating ‘I believe that I will live an eternal life in a blissful world once I get out of my physical body.’(3.08±1.52) and ‘I believe that the afterlife world I’ll be going to is a place where one’s ideal is realized.’(3.18±1.53) received relatively low average markings. ICU nurses’ understandings about the positive and negative meaning of death scored 4.40(±0.85) and 4.69(±0.87) out of 7. In the positive meaning of death items, the items stating ‘Death is a part of life that everyone experience at least once.’(5.69±1.28), ‘Death is a natural phenomenon.’(5.61±1.32), and ‘Death is a part of life’s flow.’(5.58±1.28) received relatively high average markings. On the other hand, the items stating ‘Death can set one free from any responsibility in life.’(3.04±1.51), ‘Death is an escape route from this threatening and horrible world.’(3.24±1.47), and ‘Death brings liberation from heavy burden of life.’(3.45±1.49) received relatively low average markings. In the negative meaning of death items, the items stating ‘Family was impacted if I died in a car accident.’(6.15±1.50) and ‘One’s death was the cause of torment to family.’(5.64±1.42) received relatively high average markings. On the other hand, the items stating ‘On entire society, one’s death is tiny.’(3.07±1.65) received relatively low average markings. ICU nurses’ attitudes toward care of the dying scored 3.59(±0.84) age out of 5. In attitudes toward care of the dying items, the items stating ‘Care should extend to the family of the dying person.’(4.23±0.74), ‘It is beneficial for the dying person to verbalize his/her feeling.’(4.20±0.78), and ‘Families need emotional support to accept the behavior changed of the dying person.’(4.14±0.82) received relatively high average markings. On the other hand, the items stating ‘I would be uncomfortable if I entered the room of a terminally ill person and found him/her crying.’(2.58±0.93) and ‘The length of time required giving care to a dying person would frustrate.’(2.58±0.93) received relatively low average markings. 2. The followings show the subjects’ afterlife views, meanings of death, and attitudes toward care of the dying according to ICU nurses’ general characteristics. Belief in soul’s effects and transmigration differed significantly by religion and education about hospice care, correlated with age and work experience. Belief in afterlife and retribution differed significantly by religion. Understanding about the negative meaning of death correlated with age and work experience. ICU nurses’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not associated significantly with their attitudes toward care of the dying. 3. Attitudes toward care of the dying shows negative correlation with belief in soul’s effects and transmigration,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positive meaning of death. 4. It has been found ICU nurses’ belief in soul’s effects and transmigration and positive meaning of death affect attitudes toward care of the dying significantly. ICU nurses' belief in soul’s effects and transmigration and positive meaning of death together explained 10.8% variance in attitudes toward care of the dying. In conclusion, reduction in their belief in soul’s effects and transmigration and improvement in a positive meaning of death could enhance ICU nurses’ attitudes toward care of the dying. Because ICU nurses’ belief in soul’s effects and transmigration differed significantly by education about hospice care, education program about death and hospice care needs to be developed specifically for ICU nurses to lead more effective care of the dying in ICU environment.

      • 연애관계를 통해 재구조화되는 '행위성' : 20-30대 고학력 비혼 여성의 경험을 중심으로

        최현숙 성신여자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여성을 둘러싼 이 사회와 여성 개별자아와의 관계에 대한 의문과 고민에서 시작되었다. 여전히 가부장적이고 남근중심적인 사고와 철학이 지배적인 후기근대 사회에서 여성이 여성임을 긍정할 수 있는 사유의 근본은 무엇일까. 이성과 합리성으로 대변되는 서구의 철학 사상에서 여성적 자아와 주체성에 대한 명료한 해답을 찾을 수 있을까. 이 땅에서 여성이 자기 자신에 대해 진지한 성찰을 시도하는 것이 그들에게 어떤 의미이며, 그것은 또 여성들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이 사회가 규정하는 ‘여성적 영역’이라 치부되는 감정 영역에 대한 성찰은 여성의 자아와 주체성에 어떤 행위성을 부여하는가. 이러한 의문에서 비롯된 연구자의 물음은 결국 우리 시대 20-30대 고학력 비혼 여성들이 가지고 있는 ‘연애관계’와 ‘연애사건’을 통해 그들의 ‘경험’을 빌어 이야기 하게 되었다. 여성적 자아, 주체성 그리고 행위성에 대해 사유할 때 전통적으로 굳건한 역사를 가진 서구 남성 ‘철학’은 비판적인 해체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 사회는 구조적으로 여성과 감정을 동일시하는 문화를 형성하며 이성과 대립되는 의미의 감정, 이성보다 열등한 의미의 감정을 만들어 왔다. 그러나 후기근대에 들어 가부장적 이성애 제도가 않고 있는 많은 문제들을 ‘감정’ 영역 안에서 해결하려는 남성들의 관심과 연구들은 다시금 여성학이 소위 여성적 영역이라 일컬어지는 ‘감정’에 대한 재사고를 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여성의 자아, 주체성, 행위성에 대한 여성주의적 성찰을 위해 현재 20-30대 비혼 여성들의 감정의 파장을 가장 잘 살펴 볼 수 있는 ‘연애관계’와 ‘연애사건’을 그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통해 들어보았다. 이를 통해 여성들은 그들의 ‘경험’과 ‘감정’에 대한 상호인정과 그 안에서 재구조·재사유되는 여성적 자아, 주체성에 대한 고민과 갈등에 주목했다. 또한 여성들이 감정과 경험에 대해 다른 사람에게 ‘이야기하기’가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에 대해서도 집중하였다. 자신의 감정과 경험을 풀어내는 이 같은 ‘자전적’ 이야기는 또래집단과 감정을 공유한다는 의미 외에도 풀어내는 과정 자체로 여성들에게 어떠한 힘이 되고 있는가도 살펴보았다. 이는 로고스, 즉 언어가 성편향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남성들의 유용한 도구가 되고 있다는 여성학의 비판을 되짚어 보는 작업임과 동시에 현재 여성들이 언어를 어떻게 차용하여 그들의 주체성, 행위성에 역전적 전유를 꾀하고 있는 지를 살펴보는데 필요한 중요한 기제가 되어 주었다. 이를 바탕으로 Ⅱ장에서는 전통적으로 남근중심적인 사회문화 안에서 규정하고 있는 여성적 자아와 주체성에 대한 한계와 비판을 시작으로 새로운 여성적 자아와 주체성에 대한 모색을 시도하였다. 여성의 경험이 갖는 의미에 대한 고찰과 긍정성 인식을 확인하는 이와 같은 이론적 성찰은 관계와 사건 안에서 여성의 행위성 획득이 가능함을 드러내 주었다. 이를 통해 여성학에서 이야기 하고 있는 진정한 여성적 자아, 주체성, 행위성에 대한 개념화와 그것이 갖는 의미를 담론화 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Ⅲ장에서는 이러한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우리시대 20-30대 고학력 비혼 여성 14명의 심층면접을 통해 그들의 구체적인 경험을 분석했다. 그들에게 ‘여성’이라는 의미와 일상에서의 경험, 그리고 관계와 사건에 대한 의미가 여성들의 삶속에서 어떻게 전유되는지에 대한 분석을 시도했다. 개별자아로 이 세계와의 관계를 조망함으로서 긍정적 여성 행위성에 대한 발견과 좀 더 나은 여성성에 대한 성찰을 시도해 보았다. 이러한 배경으로 고찰해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후기근대에 이르러 이성적이고 체계적으로 ‘여성적 영역’이라 치부해 온 ‘감정노동/감정영역’에 대한 재발견에 주목하였다. ‘감정의 시대’가 도래했음에도 여성들이 이것에서 느끼는 고민과 갈등, 어려움에 주목하면서 현재 여성이 처한 ‘이중의 곤경’을 살펴보았다. ‘사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영역’과 ‘공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영역’ 사이를 오가며 고군분투하는 여성들이 이야기하는 감정을 들을 수 있었다. 둘째, 그렇다면 이러한 상황에서 여성들은 어떠한 ‘경험’을 하는가. 관계와 사건을 경험한다는 것은 여성들에게 어떤 의미인가. 이러한 경험은 여성의 자아와 주체성 형성에 어떻게 변주되어 나타나는가. 여성들이 처한 각각의 개별자적 위치는 상이한 경험을 유발하게 했고 이것은 여성의 행위성을 이야기할 때 어떤 관계를 가지는지 볼 수 있었다. 셋째, 이러한 관계/사건을 통한 긍정적 자기개념의 성립을 인식한다는 것은 여성들에게 어떤 힘을 부여하는가. 여성이 자신이 여성임을 긍정한다는 것은 개별자들의 인식여부를 떠나 긍정적 여성 행위성의 존재를 각성한다는 의미가 된다. 넷째, 여성들이 관계와 경험 안에서 맞닥뜨리는 많은 상황적 곤경들에 이야기할 때 가지는 자전적 성찰에 주목하였다. 나의 이야기를 타자에게 풀어냄으로서 여성들은 자신의 경험에 역사성을 부여하며 상처와 대면하기도 한다. 여성들의 자전적 성찰은 곧 여성학에서 말하고 있는 대안적이고 긍정적인 행위성과 연결되어 있었다. 본 연구는 우리 시대 20-30대 비혼 여성들이 일상적으로 거치는 연애관계와 연애사건을 다시 생각함으로서 그녀들이 삶 속에서 크게 의미화하고 있는 사랑과 경험들과 같은 감정적 영역에 대한 여성주의적 성찰에서 시작 되었다. 이를 통해 사회제도적으로 이분화 시켜 놓은 사랑, 연애, 경험과 같은 감정 영역의 한 부분을 자세히 들여다봄으로서 남성중심적인 이분법적 등식에 대한 비판과 더불어 여성들의 감정에 대한 긍정적 전유를 시도하였다. 이는 ‘감정의 전문가’로서 이 시대를 살아가는 여성들이 겪는 이중의 난관을 설명하고 대안적인 여성성을 성찰해보기 위한 여성주의적 시도이다. 또한 본 연구는 이러한 여성적 경험들을 토대로 개별자들이 인식하고 있는 세계에 대한 보다 구체적이고 세밀한 연구의 확장이 필요함을 느꼈다. 이는 여성들의 삶에 대한 불연속적 경험과 비동일적인 자아 인식에 대한 보다 깊은 존중과 관심에 대한 필요성을 말한다. 이러한 현상적 사유에 대한 대안적 담론으로서 남성 문화 안에서 발생하는 여성적 영역에 대한 탐구가 두 번 다시 여성을 이분법적 등식의 열등항으로, 혹은 여성을 사각지대 안에 머물게 하는 기제로서 작동하게 내버려 둘 수는 없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여성적 자아, 여성적 행위성, 여성적 공간에 대한 성찰은 상이한 개별자들의 경험 안에서 늘 염두에 두고 있어야 할 주제이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meaning of feminist self/subjectivity/agency in the society. In this society, the emotional value such as relationships, love, and intimacy, which are considered to be in the emotional sphere, are officially belittled and even disparaged. These "emotions", which were mentioned above, of a feminine sphere has actually been an important issue since late modern. Nevertheless, what men expect from women is still emotional labour that has to remain invisible but helpful to others, so to speak, to men. This society only approves emotions masculinely expressed. Now, people can see woman's status being raised, and it is encouraged for women to show their desire for success. However, women are judged by a double standard in both a official sphere and a personal sphere. In this situation, young women of the present age experience subjectivity confusion and mental dilemma. They start experiencing new value, which women of past generations never had, through relationships. This value is very different from previous one in which having relationships should end up getting married was widely believed. Many women are no more ashamed of their various experiences of having relationships but consider such experiences as the power of their existences. Especially, young women's event serves them a testing ground in which they can show their feministic agency. Hopefully, women of this society can be free to show their emotions and experiences through social respect for women experience and an earnest discussion about positive feministic agency. Based on a critical mind for dichotomous thinking about emotions in the society and a feministic point of view, I conducted depth interviews with 14 college-educated single women in their twenties or thirties who live in the Capital area. By means of the depth interviews, this paper studied the meaning of feministic experience and feministic agency in it. Each chapter will be as follows. In the second chapter, critical deconstructing the formula of 'emotions=feminineness" is tried by way of re-gendering a feminine sphere in which love, intimacy, and emotion are repressed. Moreover, feminist theories about a new feministic subjectivity and agency are examined to overcome such formula without repressing emotions and experience. In the third chapter, the depth interviews with 14 women are analyzed based on the theories mentioned above. The third chapter also studied how experiences as love and emotions considered to be in a so-called a feminine sphere are genderized, and what effects the way of thinking has on feministic agency. Also, criticizing feministic self and subjectivity that are described in the way of a traditional view and groping feministic agency that is re-generalized in feminism a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still a view of belittling women as an "emotional being" while a desire for love, relationship, and emotions is increasing in the present society. For the society forces women to labour or even to sacrifice themselves in a emotional sphere, women have much more complicated emotional structures and experiences than men do. Second, it is the relationship where women's emotions and experiences are distinctly revealed. Women attained re-structuralizing feministic self and subjectivity by telling "stories" about their own experiences. In addition, that the process of telling stories can be a positive power to support feministic agency has been confirmed through women's own experiences. Third, generalizing relationships and event that women think of performs a way of feministic subjectivity. This processing is the reason why women deconstruct and reconstruct their selves. The meaning of women's telling and sharing stories should be reconsidered, which is the key of serious consideration about feministic agency. This paper concretely studied dissociation and conflict caused by a dichotomous value about emotions and experience of single women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At the same time, the possibility of feministic self and subjectivity that can overcome such repressive scheme is considered. From now on, not only research on college educated women raised in a nuclear family centered environment, but also research on conflict and it solution of women from various social statuses and backgrounds should be carried out. That research can start from respect for experience of women in various statuses and criticizing regulated feminity by patriarchy. Also, the power to overcome such repression is after all found in feminity.

      • 결손가정환경이 청소년의 심리적응 및 가족 기능에 미치는 영향

        최현숙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psychological adjustment and family function in broken home adolescents and general home ones and to find the differences in broken home adolescents by age, cause, and timing of broken family.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Self-Esteem Scale(RSES, 1965), Child Behavior Checklist(CBCL, 1998), COPE(Carvere et al., 1989).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5 broken home adolescents and 97 general home adolescents being in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in Busan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and handled by the SPSSWIN 11.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were processed by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then were verified by t test to find out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psychological adjustment and family function in broken home adolescents and general home ones. Also, F test and Tukey post hoc test were executed to find the differences in broken home adolescents by age, cause, and timing of broken famil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self-esteem of adolescents in broken home was lower than adolescents in general home, but social withdrawal, depression, anxiety in psychological aspects and aggression in behavioral aspects were more higher in broken home adolescents. 2. The psychological adjustment of adolescents in broken home across ag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lf-esteem, social withdrawal, depression and anxiety, but total family function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3. The psychological adjustment of adolescents across duration of broken famil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lf-esteem, social withdrawal, depression and anxiety, and somatic syndrome, but total family function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4. The psychological adjustment of adolescents across timing of broken famil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ut family function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blem solving, communication, emotional response.

      • 19세 이상 한국인의 칼슘섭취량과 비만과의 관련성 : 2015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이용

        최현숙 忠南大學校 保健大學院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level of obesity in relation to Ca intake and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Ca intake and metabolic syndromes on the basis of the strong association between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s in the data from 4,400 people aged ≥19 years out of 7,550 in the 2015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re were 1,755 men and 2,645 women and the men had more Ca intake in general than the women: 530.52±323.468 ㎎/d and 447.23±286.890 ㎎/d, respectively. In terms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people aged 50-64 had more Ca intake and those aged ≥65 had less Ca intake. The men aged ≥65 had more Ca intake related to a higher prevalence rate of obesity and abdominal obesity and the women aged ≥65 had less Ca intake related to a higher prevalence rate of obesity and abdominal obesity. As for the association between abdominal obesity and Ca intake and waist measurement, an increase in Ca intake led to a 0.423 (95% CI 0.183-0.978) decrease in the risk of abdominal obesity among the women aged ≥65. In contrast, no significant association was found between an increase in Ca intake and abdominal obesity. As for the association between Ca intake and obesity, the women aged ≥65 had the least Ca intake and the highest rate of obesity and abdominal obesity. While the men had no significant result related to the rate of obesity or abdominal obesity, the men ≥65 had the lowest rate of Ca intake.

      • 교육기부 연계 프로젝트 학습을 통한 학생 자아개념의 변화 탐색

        최현숙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교육기부 프로그램을 연계한 프로젝트 학습을 진행하면서 학생들의 자아개념 변화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기부 연계 프로젝트 학습 과정을 통해 학습자의 학업적 자아개념은 어떤 변화를 경험하는가? 둘째, 교육기부 연계 프로젝트 학습 과정을 통해 학습자의 정서적 자아개념은 어떤 변화를 경험하는가? 셋째, 교육기부 연계 프로젝트 학습 과정을 통해 학습자의 사회적 자아개념은 어떤 변화를 경험하는가? 이 연구를 위하여 인천광역시 서구에 위치한 A초등학교 4학년 1개 반 23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1차 프로젝트 ‘도시문제 해결 프로젝트’와 2차 프로젝트 ‘재능 나눔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학습과정을 살펴보았다. 1차와 2차에 걸쳐 수집된 참여관찰일지, 수업일지, 학생들의 배움 노트, 학습일기, 면담자료, 설문지 등 다양한 질적 자료들을 학업적 자아개념, 정서적 자아개념, 사회적 자아개념을 분석의 준거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 개발, 실행한 프로젝트 학습 경험을 통해 학생들은 학업적 자아개념 형성에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하였다. 학생들은 2차에 걸친 프로젝트 학습 활동을 하는 가운데 학습에 흥미를 가지고 적극적으로 학습하게 되었으며, 기존에 발견하지 못했던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게 되었고 특히 습득한 지식을 실생활에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문제 해결력이 신장되어 학습능력에 대한 자신감을 가지게 되었다. 또한 설문조사, 인터뷰, 면담 등의 새로운 경험에 흥미를 갖고 스스로 조사 학습을 성실하게 하였으며 이는 자신감으로 이어져 발표력 향상을 촉진시켰다. ‘재능 나눔’ 프로젝트를 실시하는 동안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진행하는 프로젝트이다 보니 다양한 문제 상황에서 학생 개개인은 재능을 최대한 활용하여 융통성 있게 해결해 나갔다. 둘째, 이 연구에서 개발, 실행한 프로젝트 학습을 통해 학생들은 정서적 자아개념 형성에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하였다. 프로젝트 학습의 성공을 위해 활동에 협조적이지 않은 친구들을 비난하거나 소외 시키지 않고 서로에게 진심어린 조언을 하며 서로의 능력을 인정하고 격려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고 프로젝트 학습이 우리 반만의 특별한 수업 방법이라는 것에 자부심을 느끼며 학급의 일원으로서 자신의 역할에 충실하려는 적극적인 학습 태도를 보였으며 상대적으로 존재감이 낮고 무기력했던 학생들도 활동 속에서 자신의 역할을 책임감 있게 완수하며 스스로 존재감을 찾고 만족감을 느끼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셋째, 이 연구에서 개발, 실행한 프로젝트 학습을 통해 학생들은 사회적 자아개념 형성에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하였다. 프로젝트 학습의 특성상 친구들과의 꾸준한 의사소통과 협력이 중요하기 때문에 프로젝트 학습 과정을 통해 친구들과 다양한 상호 작용을 경험하면서 다른 사람에게 긍정적으로 주의 기울이기, 정보 구하기, 도움 주기와 같은 사회적 기술을 실천하고 긍정적인 의사소통과 토론, 배려, 타협, 수용과 같은 사회적 능력을 기를 수 있었다. 이렇게 형성된 사회적 능력을 통해 친구와의 갈등이 줄고 상호 작용이 원만하게 이루어지는 등 학생들의 교우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