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GPS L1/L2C/L4 수신기를 위한 적응 코드추적루프 설계

        최헌호(Heon Ho Choi),임덕원(Deok Won Lim),이상욱(Sanguk Lee),김지훈(Ji-Hoon Kim),이상정(Sang Jeong Lee)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11 제어·로봇·시스템학회 논문지 Vol.17 No.3

        In this paper, an adaptive signal tracking loop for a GPS L1/L2C/L5 receiver is designed. The design parameters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receiver"s operating conditions such as the signal strength and the receiver dynamics by using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GPS L1, L2C and L5 signal.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tracking accuracy of the proposed signal tracking loop is better than those of L1, L2C and L5 only tracking loop.

      • KCI등재

        농어촌 지역 청소년의 자아개념이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4년제 대학생을 중심으로-

        최헌철 ( Heon Cheol Choi ),김효정 ( Hyo Jeong Kim ),정희태 ( Hee Tae Chung ),이경수 ( Kyung Soo Lee ),이주연 ( Joo Youn Lee ),노민우 ( Min Woo No ) 한국도서학회 2015 韓國島嶼硏究 Vol.27 No.3

        이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대학생의 자아개념이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인구통계학적인 특성(성별, 연령, 전공)에 따라서 자아개념에 영향을 미치는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인구통계학적인 특성(성별, 연령, 전공)에 따라서 성취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자아개념은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 연구의 대상은 경북에 소재한 4년제 K대학교 재학생 310명으로 대상으로 하였으며, 사용한 측정도구는 자아개념 검사와 성취동기 검사이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자아개념이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기위하여 다중회귀분석과 인구통계학적인 특성(성별, 연령, 전공)에 따라서 자아개념과 성취동기에 미치는 유의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인 특성(성별, 연령, 전공)에 있어 성별에 따른 자아개념과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연령과 전공에는 각 하위요인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통계학적인 특성(성별, 연령, 전공)에 있어 성별은 성취동기의 하위요인 중 모험적 행동과 성취행동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은 과업긴장, 인내, 포부수준, 시간지각, 인정을 위한 행동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전공에 있어서는 모험적 행동과 성취행동을 제외하고 나머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개념이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63.6%로 설명 할 수 있으며 정서자아, 가족자아, 능력자아, 사회자아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self concept on achievement motiv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set. Research problem 1; what are the differences of self concept between variou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age, and major)? Research problem 2; what are the differences in achievement motivation between variou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age, and major)? Research problem 3; how does self concept influence achievement motiv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10 students from K University located in Gyeongbuk, and the instruments were self-concept and achievement motivation inventory.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o figure out the influence of self-concept on achievement motivation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differences of self-concept and achievement motivation among differen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age, andmajor) were analyzed using ANOVA.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nd discussion, this study comes to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the influence of self-concept on achievement motivation was 63.6%. Specifically the level of influence resulted in the following order of emotional, family, able, and social self-concept. Second,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age, and major) there was no difference in self-concept between genders, while sub-factors of age and majo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regarding adventurous behavior and achievement behavior among sub-factors of achievement motivation. Ag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ask tension, perseverance, a level of aspiration, time perception, and behavior for recognition, while major presen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the rest except adventurous behavior and achievement behavior.

      • KCI등재

        핵심역량 기반 비교과프로그램 효과성연구를 바탕으로 환류체계 고도화

        최헌철(Heon Choel Choi),김수동(Soo Dong Kim)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5

        본 연구의 목적은 비교과프로그램의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사전·사후 분석을 통한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효과성을 파악하여 비교과프로그램의 내실화와 지속적인 질 관리차원에서의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핵심역량 기반 비교과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핵심역량 기반 비교과프로그램 별 하위요인 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또래상담원 프로그램의 하위요인인 주도성과 관계의존은 다른 하위요인과 밀접한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책 읽기 프로그램은 비판적사고와 창의성, 쓰기, 토론을 제외한 나머지 측정변인 간에는 밀접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핵심역량 기반 프로그램을 측정하는 척도의 신뢰도 검증결과 또래관계 효능감과 책 읽기 효능감 척도의 일부 하위요인에서 신뢰롭지 못한 문항구성으로 프로그램의 효과성 측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핵심역량기반 비교과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결과 또래상담원 프로그램은 멘토, 멘티의 또래관계 효능감 향상에 유의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책 읽기 프로그램은 남학생, 여학생 모두에게 책 읽기 효능감 향상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활용한 평가·환류체계는 측정 및 평가적 관점에서는 일부 실효성과 타당성에 의문을 제기할 수 있으나 평가·환류 결과의 활용성 측면에서는 질 관리 체계를 고도화했다는 점에서 의미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Today, the pace and diversity of technologies in modern society have already surpassed the pace of change in university education, and a mismatch has been reported between the manpower required by society and corporations and the manpower emitted by actual universities. This social atmosphere requires competency not only to efficiently acquire existing knowledge but also to reconstruct and reinvent knowledge. Some universities in korea s university education are operating ACE+ and ACE(Advancement of College Education) project which include many kinds of extra curriculum programs, which have been conducted for 8 ~ 9 years. However, in recent trends, which emphasize the terms of extra curriculum education and activities, there is a question about the validity of the educational effect and performance of core competency based extra curriculum program. Therefore, in this study, researchers tried to grasp the specific effectiveness of the extra curriculum program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retest-posttest effect, focusing on the core competency mapped to the extra curriculum programs. These studies will provide core competency based extra curriculum programs, and provide valid evaluation and feedback, as well as suggestions for continuous quality management.

      • KCI등재

        항행 및 항법 분야 : 전파위협원 위치결정을 위한 TDOA/AOA 기반의 DOA 추정 기법 연구

        최헌호 ( Heon Ho Choi ),진미현 ( Mi Hyun Jin ),임덕원 ( Deok Won Lim ),남기욱 ( Gi Wook Nam ),박찬식 ( Chan Sik Park ),이상정 ( Sang Jeong Lee ) 한국항행학회 2011 韓國航行學會論文誌 Vol.15 No.6

        본 논문에서는 GBAS 환경에서 전파위협원 위치 결정을 위한 TDOA/AOA 기반의 효과적인 DOA 추정 기법을 제안한다. TDOA 측정치만을 이용하여 추정한 1차 근사해와 DOP를 이용하여 DOA 추정 범위를 현저하게 감소시킴으로써 효과적으로 전파위협 신호의 DOA를 추정할 수 있다. 제안한 기법을 통하여 비슷한 연산량으로 더 높은 DOA 정밀도를 얻을 수 있으며, 동시에 전파위협원 위치 추정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기반의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제안한 기법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This paper proposes the DOA estimation method based on TDOA/AOA for jammer localization method in GBAS environment. The proposed method can effectively estimate DOA of jamming signal as the range for DOA estimation is reduced remarkably by using DOP and 1st approximate solution using TDOA measurements only. Through the proposed method, more precise DOA can be obtained and the performance of jammer localization is increased simultaneously. Also, the effectiveness of proposed method will be confirmed through the simulated results.

      • KCI등재

        상대항법 성능 분석 플랫폼 개발 및 이를 이용한 성능 개선

        최헌호(Heon Ho Choi),심우성(Woo Seong Shim),조성룡(SungLyong Cho),한영훈(Young Hoon Han),박찬식(Chansik Park),이상정(Sang Jeong Lee)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12 제어·로봇·시스템학회 논문지 Vol.18 No.5

        The positions of vessels in JTIDS where each vessel broadcasts its position, can be found using the relative navigation method. Besides positioning, the relative navigation could be adopted for identification friend or foe, tracking targets, monitoring battle field and etc. In this paper, we have explained the fundamental operation and technical structure for the relative navigation and implemented the simulation platform to evaluate the basic function and performance of the system in arbitrary environment. Using platform, the availability of relative navigation within the group network 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algorithm for position prediction was verified. Based on the simulation result, it was verified that EKP based navigation algorithm could produce great initial error and need quite convergence time. To improve the performance, we proposed a new navigation algorithm which uses the minimum norm estimation algorithm until the EKF converges. The simulation results reveal the relative navigation can be effectively used in the formation flight and collision avoidance system.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자기결정성동기, 정서지능, 자기조절학습 간의 구조적 관계

        최헌철 ( Choi Heon-cheol ),엄우용 ( Eom Woo-yong ) 한국아동교육학회 2020 아동교육 Vol.29 No.1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자기결정성동기, 정서지능, 자기조절학습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 그 구조적관계에서 자기결정동기와 정서지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구광역시 A,S,W 중학교에 재학 중인 중학생 5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515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19와 AMOS.21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자기결정성동기. 정서지능, 자기조절학습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에 의하면 부모양육태도는 자기결정성동기, 정서지능, 자기조절학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기조절학습 간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성동기와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분석에 의하면 부모양육태도는 자기결정성동기와 정서지능을 매개로 하여 자기조절학습에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기조절학습간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성동기와 정서지능의 이중 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을 높이기 위해서는 어느 한 변인만 강조되어야 할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인을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교육적 개입의 필요성을 논의하였고, 향후 연구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arenting attitudes,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regulated learning perceived by adolescents Subjects were 550 students who were in 8th and 9th grade at 3 middle schools in D metropolitan city. A survey was conducted to find out about their perception of parenting attitudes,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regulated learning. The 515 data were data were analyzed for a structural equation model by using SPSS 19 and AMOS 21 programs for structural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of parenting attitudes have a direct effect on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regulated learning. Second, the perception of parenting attitudes have an indirect effect on self-regulated learning through the mediating of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However, there was no double mediation effect of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on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and perceived parenting attitudes by adolescent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ed adolescents’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is an important mediating factor that aff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erception of parenting attitudes and self-regulated learning.

      • KCI등재

        중학생이 지각하는 교사의 자율성지지, 조건부 관심, 자기결정성 동기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최헌철 ( Choi Heon-cheol ),우채영 ( Woo Chae-young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8 아동교육 Vol.27 No.3

        본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하는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조건부 관심, 그리고 학생의 자기결정성 동기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자기결정성 동기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구시 D중학생 5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485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19.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및 상관계수를 산출하였고, 회귀분석을 통해 각 변인 간의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의 자율성 지지는 확인된 조절과 내재적 조절에 다소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고, 조건부관심과 학업성취도와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교사의 조건부 관심(관심강화, 관심철회)은 외적 조절과 내사된 조절에 다소 높은 상관이 있으며, 학업성취도에는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조건부 관심강화 및 관심철회는 학업성취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내재적 조절, 내사된 조절, 외적 조절은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조건부 관심 및 관심철회는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았으나, 자기결정성 동기를 매개로 하여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별에 따른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조건부 관심 강화 및 철회는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하지만, 남학생의 경우에는 통제적 조절(내사된 조절)과 자율적 조절(내재적 조절)이, 여학생의 경우 통제적 조절(외적 조절, 내사된 조절)이 학업성취도에 대한 유의미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교실수업의 방향을 논의하였고, 향후 연구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teacher's autonomy support, conditional regard, and middle school student's self-deterministic motive to academic achievement. For the purpose, survey was carried out targeting 510 middle school students and 485 questionnaires were used to final analysis. SPSS 19.0 was used to make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 shows, first, the teacher's autonomy support has a slightly higher correlation with identified regulation and intrinsic adjustment but has negative correlation with conditional interest and academic achievement. Also teacher's positive and negative conditional regard has a slightly higher correlation with external control and internal investigated control and has nega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achievement. Second, teacher's autonomy support, conditional regard didn'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 in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intrinsic adjustment, internal investigated control and external control were a significant predictor of academic achievement. Third, teacher's autonomy support according to grade and sex, conditional regard were not a significant predictor of academic achievement. But sub-factors of self-deterministic motive were significant predictor of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grade and according to sex, external control, internal investigated control and internal control were significant predictor of academic achievement.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 discussed the direction of the class in classroom and suggested future research plans.

      • KCI등재

        전공역량 기반 교육과정 체계 고도화 연구 : D대학교를 중심으로

        최헌철(Heon-Cheol Choi),김수동(Soo-Dong Kim),김경표(Kyung-Pyo Kim)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2

        This study derived improvement measures to upgrade the competency-based system of major courses by exploring problems and limitations through the curriculum system, an analysis of major competences mapped to the curriculum, case studies of other universities, and surveys of the status of major course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issues should be addressed to focus on establishing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system. First, it is necessary to upgrade quality control of the education system over all from admission to graduation. D University has established and operated such a system beginnings with the definition of competence during the 2014 school year and leadings to competency-based curriculum composition and evaluation. However, the evaluation system (assessment and feedback) does not adequately define or evaluate the complementarity of the curriculum system or identify the vision of education. Therefore, in the Universit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educational goals core competences and major competences reflecting social needs and major characteristics. Furher, the curriculum system must reflect major competences, and improve the overall quality management system leading to educational performance and evaluation measures. Second, improvement in the system of competency-based major education curriculum courses is necessary. At D University, core competences were mapped to the major curriculum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 of major curriculum courses based on the core competences of the University in most departments. However, it was revealed that D University still has difficulty designating the special abilitiesy for majors, al though they has been designated based on job competencies in 2017 and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departments. It was pointed out that the establishment of major competences based on the core competences of D University was not sufficiently related to major subjects. Therefore, D University is looking at various ways to improve such limitations and inappropriate associations with the subjects of major specialty competences. 본 연구는 전공역량 기반 교육과정 체계 고도화를 위해 전공교육과정의 체계, 교육과정에 맵핑된 전공역량 분석, 타 대학 사례조사, 교육과정 실태조사 등을 활용하여 문제점과 한계점을 탐색하여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전공역량 기반 교육과정 체계 구축 시 중점을 두어야 할 사안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입학부터 졸업까지 아우를 수 있는 전반적인 교육의 질 관리체계 고도화가 필요하다. D대학은 2014학년도 역량에 대한 정의를 시작으로 전공역량 기반 교육과정구성, 교육과정 평가로 이어지는 체계를 구축하여 운영해왔다. 그러나 교육과정 체계의 상호보완성, 교육의 정체성과 비전을 정의하고 이를 평가 할 수 있는 평가체계(평가·환류)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 교육목표정립, 대학 핵심역량설정, 사회수요 및 전공특성이 반영된 전공특화역량 설정, 전공역량이 반영된 교육과정 체계구축, 교육성과 측정으로 이어지는 전반적인 질 관리체계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전공역량 기반 교육과정 체계 개선이 필요하다. D대학은 대부분 학과에서 대학 핵심역량 기반 전공교육과정 체계 구축을 통하여 핵심역량이 전공 교육과정에 맵핑되었다. 그러나 대학 핵심역량을 기반으로 한 전공역량 설정이 교과목과의 연관성이 미흡하다는 지적에 따라 직무역량을 기본으로 학과특성이 반영된 전공특화역량을 2017학년도에 지정하였지만, 여전히 전공특화역량 지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D 대학은 이러한 한계와 전공특화역량의 교과목과의 부적절한 연관성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다각도로 모색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