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初等教員 資格制度論

        崔鶴柱 공주교육대학교 초등연구원 1988 公州敎大論叢 Vol.24 No.-

        이 硏究는 教員 資格制度의 意義 • 位相 • 機能과 性格 • 檢定方法 둥의 理論的 고찰을 통하여 교원 자격제도의 原理를 탐구하고, 우리 나라 初等教員 資格制度의 變遷과 現況을 概括하고 分析 함으로써 교원 자격제도의 원리에 비추어 본 問題點을 진단하고 그 改善方向을 声索한 것이다. 硏究의 편의상 初等教員 중에서도 學級 教師에 限定하였고, 주로 新規 資格制度만을 다루었다. 硏究方法으로는 순수한 文獻硏究 方法을 사용하였다. 教員 資格制度란 교원으로서 갖추어야 할 資質을 法的 (또는 行政的 ) 으로 認定하는 制度이며, 교원 자격을 行政的으로 인정하는 제도를 資格檢定制度라고 한다. 現代 國家들의 대부분은 교원 임용에서의 資格法定主義 또는 資格任用主義를 채택하고 있는 바, 이는 1) 被教育者의 이익을 보장하고, 2) 국가•사회의 安全性을 보장하며, 3) 教師 자 신의 地位를 보장하기 위하여 필요한 것으로 認識되立 있다. 교원의 資格檢定 체제는 教育人事行政의 諸 過程 혹은 要素에서도 대 단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 하고 있는데, 이는 良質의 교원을 확보하고 공급하는 最後의 保壘的 성격을 띠고 있기 때문이다. 資格檢定體制는 교육인사행 정의 다른 體制들보다도 훨씬 相互連鎖的 關聯性을 많이 띠고 있는데, 교원의 養成體制•學校에서의 교원 組織體制•任用體制와의 相互連鎖的 관련성이 깊다. 그러기 때문에 , 教員資格制度의 論議에서는 자격제도가 갖는 相互連鎖的 位相을.고려하여야 하며, 政策 的•行政的 계획이나 시행에서도 마찬가지로 배려되어야 한다. 교원 자격제도에 관한 理論的 考察을 통하여 정리된 教員 資格制度의 原理들은 다음과 같다. (1) 교원 자격 제 도는 教員으로서의 資質을 檢定하는 제 도이 다. (2) 교원 자격제도에서의 教師 資質은 교사에게 요구되는 最低 水準을 가리킨다. (3) 교원 자격제도는 專門職으로서의 社會的 公信力을 가져야 하고, 또 높일 수 있게 運 用되어야 한다. (4) 교원 자격제도는 교원의 養成 • 組織 構造 • 任用과의 相互連鎖的 開聯에서 계획 • 운용 되어야한다. (5) 교원 자격은 任用의 要件이며,나아가서는 교원의 能力發展과 士氣에도 관제된다. (6) 교원 자격제 도는 合法性에 기초를 두고 있다. (7) 교원 자격제도는 궁극적으로 학생의 教育權에 강조를 두어야 한다. 우리나라에서의 初等教員 資格制度의 변천과정은 養成制度의 변천과정과 直結된다. 그것은 ^ 성과정을 마치기만 하면 서류심사만의 無試験檢定으로 資格證을 주어 任用해왔기 때문이다. 解 放後 1962年까지는 高等學校 수준의 師範學校에서,1962 년 이후에는 專門大學 수준의 2年制 教育大學에서,그리고 1981年 (1981 —1984) 부터는 4年制 教育大學에서 초등교원을 양성해 왔 으나,急増하는 교원 수요에 충당하기 위하여 正規 양성기관 수준에 못미치는 學歷 所有者를 대 상으로히는 臨時初等教員養成所를 설치•운영하기도 하였다. 1940年代 후반이나,50年代에 비 하면 오늘날의 初等教員의 資質은 현저하게 向上되었고, 상대적으로 초등교원 자격증의 社會的 公信力노 많이 높아졌지만, 資格制度 그 자체의 改善은 별로 進展되지 못하였기에, 오늘와 時點 에서 그리고 未來 發展的 관점에서 보면 改善해야 할 문제점들이 많이 있다. 教員 資格制度의 原理, 先進諸國의 제도와 世界的 趨勢 등에 비추어 본 우리나라'初等教員 資 格制度의 問題點과 改善方向을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초등교원의 자격기준이 多元化되어있고 그 體系性이 不足한 바, 2級 正教師의 경우 「4年制 教育大學 卒業』으로 一元化시키고,2年制 教大- 졸업 생의 배출 개시연도인 1964年 이후 자격취득자의 學歷을 學士학위로 끌아올리도록 적극적인 시책을 강구한다. 그러기 위하여 는,현재 教育大學에 設置 • 運營되고 있는 夜間制 및 季節制 編入學을 적극 유도하고, 이 課程 을 마친 현직교원들에게는 小福으로나마 身分上의 혜택을 주도록 배려한다. 따라서 新規 자격으 로서의 准教師 직급은 폐 지되어 야 한다. 2 級正教師 자격 기 준 중 여 타의 항목들은 4年制 教大 졸업 수준에 상응하도록 整備되어야 한다. (2) 현행의 교원자격체계는 2正一 1 正一校監一校長으로 이어져 있어 教師로서의 專門性 심화를 유도하지 못하고, 昇進 욕구도 채워주기 어렵게 되어있는 바,이는 教員 組織 構造를 分 化시켜 職級을 分化시키는 方向으로 改善되어야 한다. 教援活動職列과 經營 • 管理職列을 二元化 하여 1 正 資格 以上의 上位 資格을 두 단계쯤 新設하는 것이다. 아울러 水平的으로도 教科담당자격제도나 學年水準의 담당 자격제도도 검토 • 도입되어야 한다. (3) 현행 자격제도로는 質的 統制가 未洽한 바, 現行의 養成에 의한 자격 인정 체제를 푯간 으로 하되, 어학 및 교육기본과목에 한하여 全國 水準의 시험제•도를 첨가하여 補完하도로 한다. 이 때의 시험 관리는 文教部가 아닌 自律的 전문기꾸, 예컨대 대학교육협의회의 산하기辛에서 맡도록 할 것을 提案한다. (4) 質的 統制 장치 의 하나로 修習教師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5) 教育改革審議會가 提案하고 있는 師道獎學金제도案 중에서 자격검정 방법의 차별안은 바람직하지 않다. (6) 교원 자격증의 有效期間이 終身制로 되어있는 바, 이는 部分的으로 修正되어야 한다. 자격증 효력의 계속적인 認定은 教職에 奉職하고 있는 限에서만 認定하고 離職했을 경우에는 교직 空白期間 계속 5年 경과후에 實效되도록 한다. (7) 현행의 상급자격 취득 요건으로서의 法定 자격기준과 實際와의 틈을 좁히기 위하여는 3年 이상의 교육경력을 5년 이상쯤으로 늘리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이상으로 要約해보았으나, 초등교원 자격제도의 改善은 어디까지나 교원 자격제도가 갖는 本 質的인 意義 • 機能。原理에 바탕을 두고 우리의 教育 與件을 고려하면서 점진적인 구조 변경을 摸索해야 할 것이다. 資格體制와 相互連鎖性을 띠는 다른 體制들과의 調和, 中等教員 자격체제 와의 衡平,그리고 教育專門職列들의 자격체제와의 .均衡 등이 동시에 고려되는 政策 開發이 았 어야 할 것으로 본다. 끝으로,어떤 資格制度라도 그것이 궁극적으로는 學生의 教育權을 伸張시키는데 긍정적인 기 여를 할 수 있지 않으면 안된다는 命題에 부합되는 것이라야 한다. 이 硏究는 엄밀히 말하여. 초등교원 資格制度의 合理的 改善을 위한 基礎硏究의 性格이 강하다. 보다 具體化되고 深化된 硏究가 後續되기를 期待한다.

      • KCI등재

        아동기의 부적응행동 : 판별 준거와 유형

        최학주 한국초등교육학회 1994 초등교육연구 Vol.8 No.1

        이 연구는 부적응행동에 관한 개념을 그 판별 준거를 중심으로 정의하고 아동기에 흔히 나타나는 부적응행동의 유형을 정리하여 아동 생활지도를 맡고 있는 학급교사에게 도움을 주려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부적응행동과 같거나 유사하게 쓰이는 용어들에는 여러 어휘들이 있지만, 이것들은 사용하는 이들의 학문적 선호 경향, 관심의 범위, 종사하는 분야에 따라 조작적으로 선택한 것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사실상 같은 의미로(interchangeably) 통용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내세우는 가정이나 준거에 따라 부적응행동의 준거는 다양할 수 있으나 대체로 그 판별 준거를 종합하여 부적응행동을 정의하면, "부적응행동이란 한 문화권에서 비슷한 연령단계의 대부분이 취하는 평균적인 행동이나 사고에서 벗어나되 좋지 못한 쪽으로 크게 벗어난 행동이 자주 그리고 계속성을 띠고 나타나므로써 개체의 심신의 안정에 장애를 주거나 집단 또는 타인에게 부정적으로 지각될 수 있는 행동"을 말한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classroom teachers, who guide and counsel children, by defining the concept of "maladaptive behavior" frequently observed in childhood in light of the various defining criteria and by describing the types of maladaptive behaviors. I first attempted to define "maladaptive behavior" through reviewing the meanings and the uses of the similar terms describing maladaptive behaviors and through the behavior-mechanistic explanation based on the Adaption Procedure Model. There are a variety of terms describing inappropriate behaviors which can hardly be acceptable in a given social milieu, such as mentally disturbed behavior, behavior disorder, dysfunctional behavior, deviant behavior, irrational behavior, problematic behavior (behavior problem), abnormal behavior, maladaptive (maladjusted) behavior, and exceptional children. However, there is a need to understand that these terms have, in fact, been interchangeably used in many cases, as they have been operationally chosen by the users for their academic preference, interest, or working field. Statistical criteria, ideal mental health criteria, and practical (clinical) criteria were employed as defining criteria for maladaptive behaviors and biogenic model, psychoanalytic model, humanistic model, behavioral model, existential model, cognitive model, and cognitive-behavioral model were proposed to explain the etiology of maladaptive behaviors. Based on the proposed defining criteria, maladaptive behaviors are defined as behaviors: (1) deviant from the average behaviors of people at similar ages in a given culture, (2) depart far from the norm toward the undesiable direction, (3) occurred frequently and continuously, (4) detrimental to the individual's mental and (or) physical health, and (5) viewed negatively to others or a group. The types of maladaptive behaviors observed in childhood are classified largely as academic problems, emotional and personality problems, and problems in social relations. However, these problems are manifested generally in a mixed form rather than in a distinctive form.

      • ‘生活指導와 相談’의 敎授要目 構案

        최학주 공주교육대학교 초등연구원 1994 公州敎大論叢 Vol.30 No.-

        이 연구는 교육대학 교육과정에 설정되어 있는 “生活指導와 相談” 과목의 교수요목 (syllabus)을 ‘초등 교원 양성 과정의 과목’답게 構案하여 그 모형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한 교과목의 교수요목을 구안함에 있어서는 여러 변인들이 관련되겠지만, 이 연구에서 는 生活指導의 본질적인 속성이나 개념에 기초하여,1)교육대학 교육학 교육 과목의 하나 라는 교과목적 성격,2)관련 교재들이 다루고 있는 영역 및 내용의 분석, 3)“生活指導” 과목의 내용 구성에 관한 초등 교원들의 의견 및 생활지도 운영 실태 조사의 결과 둥을 바탕으로 4)교수요목을 構案하는 내용으로 엮어졌다. 연구의 방법에서도 문헌적 연구와 조사 연구가 병용되었는 바, “生活指導” 과목의 성격 과 관련 교재의 내용 분석은 문헌 연구로, 교원들의 의견 조사 및 운영 실태는 조사 연 구로 하였다. 관련 교재들의 내용 분석에 사용된 저서들은 1980년대 중반 이후에 국내에 서 출간된 열 권의 저서들로서 대부분이 대학에서 활용되는 교재적 성격의 것들이었다. 각 저서들의 목차에 의하여 비슷한 내용들의 제목을 묶어 章,節, 項의 위계로 체계화하 고 이에 근접한 내용을 다루고 있는 쪽수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조사 연구에서는 질문 지를 도구로 사용하였으며, 대전직할시와 충남의 초등 교원 882명이 표집되었고, 이 중 859명분의 자료가 성별,근무 지역별(直轄市 지역, 市 지역, 郡 지역),경력별(10년 미만, 10년一19년,20년 이상)로 분석되었다. 교육대학에서의 “生活指導와 相談” 과목은 어린이의 生活指導를 담당할 교육대학 학생 에게 주어지는 교직적 소양의 理論的 기초일 뿐아니라,현장에서의 활용을 전제로 하는 臨床的 (clinical) 성격이 짙은 성격을 띠어야 한다는 점이 강조되었다. 초등 교원 양성 기관에서 이 과목이 설치된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사범학교 시절 에는 아예 없었고, 2년제의 교육대학에서도 후반기인 1969년부터 “아동발달과 생활지도” 라는 과목으로 설치되었으나,‘아동발달’쪽에 편중된 나머지 ‘생활지도’ 쪽은 소홀히 다루 어져 왔다. 1981년부터의 학사과정 승격 후에도 초기에는 설치되지 않고 있다가 1985학년 도 입학자부터 2학점 과정의 필수 과목으로 개설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生活指導 관련 저서들의 대부분은 몇권을 빼고는 내용과 體裁가 비슷하였으며,師範大 學 학생들을 대상으로 엮어진 것들이어서, 초등학교에서의 생활지도에 적용하기에는 알맞 지 않은 것들이 많았다. 章의 수준에서는 총론 격인 “생활지도의 기초”를 먼저 다루고, 다음으로는 생활지도 활 동별로 “학생 이해 활동”,“상담 활동”을 주로 다루면서 나머지의 활동들(‘정보 활동’, ‘정치 활동’,‘추수지도 활동’)에 대하여도 개괄적으로 다루고 있었다. 하위 내용이나 제 목들은 각기 다르게 꾸며졌지만,대부분의 저서들이 생활지도의 실제 문제를 다루고 있었 다. 그러나,국민학교 어린이들의 지도에 직접 관련되는 내용들은 두 세 권을 빼고는 거 의 없었다. 그밖에도 단위 학교에서의 생활지도 운영에 관한 내용들을 담고 있었다. “生活指導와 相談” 과목의 내용에 관련되는 초등 교원들의 의견 및 실태를 묻는 질문 지 조사에서, 중시하는 내용 영역으로는 ‘아동 이해의 측면과 방법’, ‘문제행동의 진단과 지도’, ‘상담의 이론과 기법’순으로 나타났다. 아동 이해의 방법에서는 ‘관찰법’에,상담 활동에서는 ‘상담의 요령’(대화 기술, 상담기법)에,상담이론 중에서는 ‘인본주의적 상담’ 과 ‘행동수정적 상담’에 많은 관심을 나타내었다. 문헌 연구와 조사 연구를 바탕으로 構案된 교수 요목은 여러 면에서의 중복을 피하는 의도에서 “生活指導와 相談” 과목의 “수업계획서”(강의계획서)에 담아 제시하였다. 여기 에는 교육대학 교육학 과목으로서의 “生活指導와 相談” 과목을 한학기 2학점 과정으로 운영하는데 관련되는 여러가지가 체계적으로 포함되어 있다. 학습 목표,학습의 주안점, 학습 내용별 시간 배정,章,節,項의 내용 체계, 章별 주안점, 학습 과제의 예시 둥이 주 별로 구분되어 제시되어 있다. 구안된 “生活指導와 相談”의 教授要目만을 제시해 본다. 〈교육대학〉 [生活指導와 相談 教授要目] (2학점 과정) I. 생활지도의 기본 개념 1. 생활지도의 개념 2. 생활지도의 목표와 원리 3. 생활지도의 출현과 변천 4. 생활지도의 필요성 5. 생활지도의 영역과 활동 6. 다른 교육 활동과의 관계 II. 생활지도의 철학적,사회적 기저 (과제) 각자의 독서로 대체함. III. 아동 이해의 측면과 방법(생활지도 대상의 탐구) 1. 올바른 아동관(“심리학적 인간관”으로 대체 가능) 2. 아동 이해의 側面 3. 아동 이해의 방법 a. 아동 이해 방법의 체계적 분류 b. 관찰법 (observation) c. 심리 검사법 (standardized psychometry) d. 사례 연구(case study) IV. 상담 활동 1. 상담의 개념과 목표 2. 상담관계의 기본 조건(상담의 원리) 3. 상담 이론 a. 정신분석학적 상담이론 b. 인본주의적 상담이론 c. 행동주의적 상담이론 d. 실존주의적 상담이론 e. 그밖의 상담이론들 4. 상담의 과정 5. 대화의 기술 6. 집단 상담 및 집단 지도 V. 정보활동,정치활동,추수지도 활동 VI. 생활지도의 실제 1. 발달의 촉진을 돕는 생활지도 2. 부적응 행동의 지도 a. 부적응의 개념 : 판별 준거 b. 아동기에 흔히 볼 수 있는 부적응 행동의 유형 c. 부적응의 원인 3. 학업상의 문제와 지도 4. 정서 및 성격상의 문제와 지도 5. 사회적 부적응과 지도 6. 부적응의 예방과 지도를 위한 프로그램들 VII. 생활지도의 계획과 운영,과제와 전망 1. 생활지도의 계획과 운영 2. 교직원의 역할 3. 초등학교 생활지도의 과제와 전망

      • 교사의 사기에 관한 일연구 -그 의의 및 요인을 중심으로-

        최학주 공주교육대학교 초등연구원 1971 公州敎大論叢 Vol.8 No.1

        A. Purpose of the study.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o define the concept of teacher morale, 2. to clarify the importance of teacher morale in school administration, 3.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eacher morale, and 4. to suggest the guiding principles for good teacher morale in school administration. B. Method of the study. This study is chiefly based on the survey of literature. NEA Research Memo, work of Daniel E, Griffiths and other relevant materials are reffered in the main. C. Findings of 현le study. 1. Morale, originated from the military, is the general term used to describe one s willingn- ess to work, feelings of satisfaction and cooperative attitudes to achieve the goals of the organi- zation for which he works. 2. Teacher morale may fee defined as a spirit of individual selfconfidence which enables the teachers to identify and weld their wishes 우nd attitudes into a coordination of group purposes, making it possible for the school population to act with unity and satisfaction in certain areas despite difficulties or adversity. 3. I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duties of school admin-istration to maintain and raise teac- her morale. High teacher morale is dependent upon the effective school administration, and the efficiency of school administration is also dependent upon good teacher morale, so both are closely interrelated. 4. Factors influencing teacher morale can bs classified from the different points of view as follows; (a) At national level, the important factors are salary and welfare, security in the job, opportunity for advancement, and socio-economic status of the teacher. (b) At school level, the important factors are the organizations of school management, the type of principal, the leadership of principal, relations with seniors or confidence in leadership, communications in the group, working conditions or climates, extents of partici- pation in policy making, supports with school problems, class-sizss, teaching loads, teacher evaluations, school facilities, and instructional materials. (c) Besides, professional attitudes of the teacher, elements of the community, and parent- teacher relationships are related to th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eacher morale. 5. The analysis of the factors of teacher morale should be attempted broadly in all areas which are related to the teacher. In the same ways, the programs promoting teacher morale might be considered at several levels. 6. In this monograph, the principaK s guiding principles for good teacher morale in school administration are mainly suggested and discussed. The principle of good human relations of D. E Giffiths and K. Wiles could be usefully applied in this sit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