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울에서 유통 중인 채소류의 중금속 함량에 관한 연구

        최채만(Chae-Man Choi),최은정(Eun-Jung Choi),김태랑(Tae-Rang Kim),홍채규(Chae-Kyu Hong),김정헌(Jung-Hun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9 No.12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역에서 유통되고 있는 소비량이 많은 채소류의 중금속 함량을 조사해 국외기준과 비교하여 그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전국에서 재배되어 서울에서 유통되고 있는 채소류 20종 300건을 2009년 1월부터 10월까지 구입하여 중금속 8종(수은, 납, 카드뮴, 비소, 크롬, 니켈, 구리, 아연)을 수은분석기 및 ICP-OE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시료의 분해는 산분해법을 이용하였으며 분석 장비로 사용된 ICP-OES 및 수은 분석기의 검출한계와 정량한계는 각각 0.0002~0.0018 ㎎/㎏ 및 0.0009~0.0065 mg/kg으로 감도가 높았다. 채소류 중 중금속 함량[평균(최소~최대), ㎎/㎏]은 수은 0.0005(N.D~0.007), 납 0.011(N.D~0.259), 카드뮴 0.012(N.D~0.188), 비소 0.002(N.D~0.142), 크롬 0.100(0.019~0.954), 니켈 0.093(0.003~1.231), 구리 1.098(0.072~36.29), 아연 3.480(0.485~21.31)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들 중 수은, 납, 카드뮴, 비소, 구리, 그리고 아연은 기존 연구들과 유사하였으며 크롬, 니켈은 낮은 수준이었다. 납과 카드뮴의 경우 채소류 중 중금속 기준을 초과한 것은 한 건도 없었다. 또한 2005년 국민영양조사 결과보고서의 1일 섭취량을 근거로 FAO/WHO의 중금속 잠정주간섭취허용량과 비교하면 Hg, Pb 및 Cd는 각각 0.44%, 1.98% 및 7.71%의 낮은 수준으로 식이를 통한 안전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는 아직 세부 기준이 설정되지 않은 채소류에 대한 중금속 기준을 설정하는데 있어 과학적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heavy metal contents of vegetables available on the markets in Seoul area. Concentrations of mercury (Hg), lead (Pb), cadmium (Cd), arsenic (As), chrome (Cr), nickel (Ni), copper (Cu), and zinc (Zn) were measured in 300 samples using a mercury analyzer and inductively coupled plasma optical emission spectrometer (ICP-OES) after wet digestion. The average values of heavy metals in vegetables were as follows [mean (minimum~maximum), ㎎/㎏]; Hg: 0.0005 (N.D~0.007), Pb: 0.011 (N.D~0.259), Cd: 0.012 (N.D~0.188), As: 0.002 (N.D~0.142), Cr: 0.100 (0.019~0.954), Ni: 0.093 (0.003~1.231), Cu: 1.098 (0.072~36.29), and Zn: 3.48 (0.485~21.31). The heavy metal contents of vegetables available on the markets in Seoul were almost the same as or lower than those reported in other studies. The weekly average intakes of mercury, lead and cadmium from vegetables take 0.44~7.71% of PTWI (Provisional Tolerable Weekly Intakes) that the FAO/WHO Joint Food Additive and Contaminants Committee sets for evaluation of food safety.

      • KCI등재후보

        한국에서 유통 중인 산화형 염모제의 중금속 농도에 관한 연구

        최채만 ( Chae Man Choi ),홍미선 ( Mi Sun Hong ),이윤정 ( Yun Jung Lee ),김화순 ( Hwa Soon Kim ),김현정 ( Hyun Jung Kim ),김정헌 ( Jung Hun Kim ),채영주 ( Young Zoo Chae ) 대한화장품학회 2013 대한화장품학회지 Vol.39 No.3

        2012년 1월에서 10월 사이에 전국에서 유통 중인 산화형 염모제(1제) 125개 제품에서 납(Pb), 비소(As), 카드뮴(Cd), 크롬(Cr), 망간(Mn), 니켈(Ni), 구리(Cu)의 농도 측정과 국산, 수입산 및 헤나별, 성상별, 색상별로 비교해 봄으로써 이에 관련된 분야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분석된 전체 염모제의 평균 중금속 농도는 납 0.211 μg/g, 비소 0.051 μg/g, 카드뮴 0.008 μg/g, 크롬 0.954 μg/g, 망간 6.250μg/g, 니켈 0.591 μg/g, 구리 0.544 μg/g으로 측정되었으며 납, 비소의 경우 우리나라 화장품 안전기준 등에 관한 규정에서 허용기준인 납 20 μg/g, 비소 10 μg/g보다 낮은 수치이다(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제2013-24호). 또한 헤나 염모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 < 0.05), 납 1.264 μg/g, 비소 0.267 μg/g, 카드뮴 0.025 μg/g, 크롬 4.055 μg/g, 망간 72.044 μg/g, 니켈 3.076 μg/g, 구리 4.640 μg/g으로 국산 및 수입 염모제보다 높았다. 염모제의 성상별 중금속 농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 < 0.05), 크림과 액체 타입에서 크롬이 각각 0.708 μg/g, 0.478 μg/g로 가장 높았고, 분말타입에서는 망간이 60.041 μg/g로 높았다. 염모제의 색상별 중금속 농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노란색의 경우 납, 크롬이 높은 평균 농도를 보였고, 적색과 분홍색의 염모제는 크롬, 갈색과 흑색은 망간이, 녹색은 니켈이 높은 평균 농도를 나타내었다. This study was aimed to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about oxidized hair color products. For this reason, we collected 125 oxidized hair color products, which were distributed in domestic market from January to October, 2012, and measured the heavy metal concentrations of lead, arsenic, cadmium, chromium, manganese, nickel, copper in the samples. Results were compared by domestic, foreign, henna, type and color. The average metal concentrations were as follows; 0.211 μg/g for lead, 0.008 μg/g for cadmium, 0.051 μg/g for arsenic, 0.954 μg/g for chromium, 6.250 μg/g for manganese, 0.591 μg/g for nickel and 0.544 μg/g for copper. In case of lead and arsenic, the concentrations were much less than the regulated amount (20 μg/g and 10 μg/g, respectively) suggested by MFD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In henna (p < 0.05), the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other domestic and foreign oxidized hair color products as follows; 1.264 μg/g for lead, 0.267 μg/g for arsenic, 0.025 μg/g for cadmium, 4.055 μg/g for chromium, 72.044 μg/g for manganese, 3.076 μg/g for nickel and 4.640 μg/g for copper. Statistically, it showed that the heavy metal concentrations were quite different for the different types of hair color products. The cream and liquid type products had the highest average concentration in chromium (0.708 μg/g, 0.478 μg/g,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powder type products showed the highest concentration in manganese (60.041 μg/g). In addition, the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and the color of products are not quite correlated. It was shown that average concentrations of lead and chromium were higher for yellow, chromium for red and pink, manganese for brown and black, and nickel for gree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위수탁 검사의뢰 국산 및 수입화장품의 비교고찰

        황영숙 ( Young Sook Hwang ),최채만 ( Chae Man Choi ),정삼주 ( Sam Ju Chung ),박애숙 ( Ae Sook Park ),김현정 ( Hyun Jung Kim ),김정헌 ( Jung Hun Kim ),정권 ( Kwon Jung ) 대한화장품학회 2014 대한화장품학회지 Vol.40 No.4

        2010년 1월에서 2012년 12월까지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원에 품질검사가 의뢰된 화장품 9,879건에 대해, 국산과 수입화장품에 대한 집계자료를 바탕으로 제조국가별, 연도별, 적용부위별로 검사의뢰 유형을 비교하여 품질 및 안전성관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조사를 시행하였다. 전체 화장품 중 국산은 645건 (6.5%), 수입산은 9,234건(93.5%)이며, 제조국가별로는 프랑스 4,342건(44.0%), 독일 1,637건(16.6%), 미국 1,476건(14.9%), 한국 645건(6.5%), 이태리 557건(5.6%), 기타 1,222건(12.4%)이었다. 또한 연도별 위수탁 화장품 검사의뢰건수는 2010년 3,784건, 2011년 3,394건, 2012년 2,701건으로 나타나 일반 화장품은 감소하고 기능성 화장품이나 염모제에 대한 품질 검사가 증가되었다. 화장품 유형별로는 기초제품 5,470건 (55.4%), 색조 1,908건(19.3%), 손발관리 1,026건(10.4%), 두발관리 616건(6.2%), 목욕용이 361건 (3.7%), 기타 498건(5.0%)이며 국산화장품의 유형별 분포는 기초 > 두발관리 > 색조 > 손발관리 > 목욕용 순이나 수입화장품에서는 기초 > 색조 > 손발관리 > 두발관리 > 목욕용 제품의 순서로 나타났다. 국제적 품질관리기준의 우선순위를 설정하기 위해 국내 소비자들의 경향부터 직간접적으로 파악하는 일이 필요하다. 위수탁검사의뢰된 국산 및 수입화장품의 제품 유형과 인체 적용 부위별 비율 등을 비교 활용하여 미래지향적인 화장품 안전관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This study is aimed to provide the primary data about safety of cosmetics products using indirect preference of korean cosmetics customer and numerical comparison of applied area. For this study, we collected 9,879 cosmetics products which were inspected in cosmetics research team from January, 2010 to December, 2012. The domestic cosmetics was 645 cases (6.5%) and Imported cosmetics was 9,234 cases (93.5%). As manufacturing country, the France has 4,342 cases (44.0%) and the next ranking were like those, Germany 1,637 cases (16.6%), U.S.A 1,476 cases (14.9%), Republic of Korea 645 cases (6.5%), Italy 557 cases (5.6%), and etc 1,222 cases (12.4%). By the year, the cases of test cosmetics have decreased from 3,784 cases (2010), 3,394 cases (2011) to 2,701 cases (2012), the relative ratio of common cosmetics part was drop in but the other group (functional cosmetics and hair dye related products) was increased. The largest market share product was Skin care 5,470 cases (55.4%) and the next order was like those, Make up 1,908 cases (19.3%), Hand & Foot 1,026 cases (10.4%), Hair Care 616 cases (6.2%), Bath 361 cases (3.7%), and etc 498 cases (5.0%). In domestic cosmetics, the greatest proportion was Skin care and the others were Hair Care > Makeup > Hand & Foot > Bath, but the proportion was evidently changed in imported cosmetics, Skin care > Makeup > Hand & Foot > Hair Care > Bath. It is necessary to set the priority of the international quality standards to identify trends from domestic consumers directly or indirectly. Compare the ratio of category and human application parts from domestic and imported cosmetics, we utilize leverage as the basis for future-oriented cosmetic safety.

      • KCI등재

        어린이용 화장품에 사용되는 보존제 및 함유량 조사

        정삼주 ( Sam Ju Jung ),황영숙 ( Young Sook Hwang ),최채만 ( Chae Man Choi ),박애숙 ( Ae Suk Park ),김수언 ( Su Un Kim ),김현정 ( Hyun Jung Kim ),김정헌 ( Jung Hun Kim ),정권 ( Kweon Jung ) 대한화장품학회 2015 대한화장품학회지 Vol.41 No.3

        본 연구에서는 시중에서 유통 중인 어린이용 화장품 총 125건(n = 125)을 대상으로 하여 파라벤 6종과 벤질알콜, 페녹시에탄올, 소르빈산, 벤조산 등 10종의 보존제에 대한 혼합 사용실태와 함량을 HPLC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유형별 보존제 검출률은 세정제 63%, 크림류 48%, 자외선차단제 46%, 로션류 38%, 오일이 13%의 순으로 검출되어 총 125건 중 63건(50%)의 제품에서 1종류 이상의 보존제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보존제별 검출범위는 페녹시에탄올 0.01 ~ 0.91% (n = 35), 벤조산 0.01 ~ 0.48% (n = 28), 벤질알콜 0.01 ~ 0.78% (n = 9), 소르빈산 0.01 ~ 0.11% (n = 3)였으며, 파라벤류 중 메틸 파라벤과 프로필 파라벤은 0.04 ~ 0.21% (n = 8)와 0.02 ~ 0.09% (n = 8)의 검출범위를 보였고, 에틸 파라벤은 1개 제품에서 0.04%로 모두 배합한도 이내로 검출되었다. 조사결과 어린이용 화장품에서는 파라벤류 보다 페녹시에탄올과 벤조산의 사용빈도가 높았으며 검출된 파라벤류 중에서는 메틸 파라벤과 프로필 파라벤이 주로 혼합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10 preservatives (benzyl alcohol (BAl), phenoxyethanol (PE), benzoic acid (BA), sorbic acid (SA), methyl paraben (MP), ethyl paraben (EP), propyl paraben (PP), isopropyl paraben (IPP), butyl paraben (BP), isobutyl paraben (IBP)) levels in 125 cosmetics (n = 125) for children by the simultaneous analysis of HPLC. The detection ranges were as follows; 0.01 ~ 0.91% (n = 35) for PE, 0.01 ~ 0.48% (n = 28) for BA, 0.01 ~ 0.78% (n = 9) for BAl, 0.01 ~ 0.11% (n = 3) for SA, 0.04 ~ 0.21% (n = 8) for MP, 0.02 ~ 0.09% (n = 8) for PP, and 0.04% (n = 1) for EP. The order of detection rates was cleanser (63%) > cream (48%) > sunscreen (46%) > lotion (38%) > oil (13%). At least one of target preservatives was contained in 50% (63/125) of samples and the content of the detected preservatives was within maximum allowed amount established by KFDA. Phenoxyethanol and benzoic acid were used more frequently than paraoxybenzoate esters (parabens) in cosmetics for children and the detected parabens was mainly the mixture of methyl paraben and propyl paraben.

      • KCI등재

        알코올을 주성분으로 하는 손소독제의 안전성 연구

        정선옥 ( Sun-ok Jung ),이춘영 ( Chun-yeong Lee ),류회진 ( Hoe-jin Ryu ),최희진 ( Hee-jin Choi ),김지영 ( Ji-young Kim ),최채만 ( Chae-man Choi ),황인숙 ( In-sook Hwang ),신용승 ( Yong-seung Shin ) 한국산업보건학회 2023 한국산업보건학회지 Vol.33 No.1

        Objectives: In this study, the safety of alcohol-based hand sanitizers (ABHSs) for quasi-drugs and cosmetics was investigated by analyzing the ethanol content, which is an active ingredient with a sterilizing effect, and methanol, which is toxic. Methods: Forty-one ABHSs were purchased at large supermarkets and online stores. Ethanol quantification was performed by gas chromatography-flame ionization detector, and methanol quantification was performed by headspace-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Results: The ethanol content of ABHS in quasi-drugs was 49.6-67.8%, which was suitable for standard manufacturing procedures for external disinfectants, and the ethanol content of ABHS in cosmetics was 9.1-61.3%. The methanol content of ABHS in quasi-drugs ranged from not detected(N.D.)-131.8 ppm, which was suitable for the methanol detection standard of ethanol raw materials in the Korean Pharmacopoeia. The methanol content of ABHS in cosmetics was 23.4-859.7 ppm, which was suitable for the detection limit of methanol in cosmetics. Conclusions: The ethanol and methanol content of ABHS was judged to be safe. When selecting an ABHS to be used for sterilization, it seems necessary to check the content of ethanol, an active ingredient, and use it according to its intended purpose.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