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굴삭기 안전관리시스템을 위한 장애물 탐지 기술 개발

        최창훈 경희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국내 건설 산업은 수요자의 요구가 다양화되면서 시설물이 첨단화, 복잡화 및 고급화되어 가는 추세로, 이에 대한 기술력의 확보가 경쟁력 향상의 관건이 되고 있다. 또한, 공기단축, 공사비 절감, 노동력 절감 등을 위하여 기계화시공을 통한 건설기술의 향상을 도모하려고 한다. 건설 산업은 기계화 시공을 통하여 많은 이점을 이루었지만 그에 반해 타 산업에 비해 기인물로 인한 근로자의 위험노출 수준이 심각해졌다. 이러한 안전상의 문제로 인한 노무 생산성 저하, 품질의 균일성 및 안전확보의 어려움 및 시공기술 경쟁력의 약화는 국내 건설 산업이 해결해야 할 필수적인 당면과제이며, 건설기계를 위한 안전관리시스템의 개발은 그러한 당면과제의 해결을 위한 최선의 기술적 접근방법이라 할 수 있다. 건설기계 중 위험 혹은 유해한 작업환경에서 운용되는 토공기계의 경우 기계조종자가 위험에 노출되게 되므로 기계의 안전관리시스템이 절실하게 요구되는 바이다. 따라서 토공의 생산성과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지능화된 안전관리시스템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토공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토공 작업 시 작업환경의 안전을 위한 굴삭기의 주변 장애물 탐지 방안과 이를 활용한 건설기계의 안전확보를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1) 국내외 건설 산업 및 노동 생산성 관련 연구문헌과 통계자료의 분석을 통하여 현 건설 산업의 문제점 및 한계를 파악하고 건설기계 안전관리시스템을 그 해결책으로 선정하였다. (2) 건설기계의 종류 및 사용 현황을 조사하여 가장 많이 사용 되는 굴삭기로 연구범위를 한정하고, 굴삭기의 사고 사례 및 사고 원인 분석을 통하여 건설기계의 안전확보를 위한 연구 방향을 설정하였다. (3) 굴삭기의 주변 장애물 탐지를 위한 요소 기술을 조사한 후 경제성, 데이터 획득의 안정성, 탐지 가능 거리/범위, 기계의 내구성 등을 고려해 굴삭기의 작업 환경에 적당한 장애물 탐지 기술을 선정하였다. (4) 선정된 기술을 활용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알고리즘 및 소프트웨어를 제시하였다. (5) 결론 및 향후 연구과제를 제시한다. Recent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is following the trend of state-of-the-art facility, complexity and gentrification along with various demands of the consumers, and the attainment of the technology has been the essence of competitive edge. Additionally, the construction industry has achieved many benefits through the mechanization of the construction. However, due to accidents for construction machinery, the mortality rate has increased rapidly. These problems of lack of and aging experienced workers, safety problems lead to the reduction of worker's productivity, worsening of the payback on investment due to increased wage, difficulty in maintaining the quality and safety as well as decreased competitiveness in construction technology, and these are the current and impending issues for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Accordingly, the development of automated construction equipments can be regarded as the best technological approach to solve these impending problems.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an object detection technology for obstacles around the excavator using laser sensor in order to enhance the safety of the earth work environment. Literature was reviewed, and the function of various sensor technology was investigated and analyzed to identify and select the best laser sensor. Object detection algorithm was developed, and this can be applied to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efficient operation and management of construction equipments. Since the development of automated construction machine is in the initial stage, this study limited its scope to the remote control of the intelligent excavator and excluded working environment at inclined surface to consider flat (even) surface working environment only. Thus, the scope of this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an object detection technology for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of an automated excavator is limited accordingly. In line with this research objective, the technology and equipment for excavating earth work was selected based on the essential technology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n this selection wasapplied to develop object detection technology for safety management system of automated excavator to test for its performance in a field experiment. This study carried out a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object detection technology, which can be applied to earth work field site, as a preliminary investigation of the development of safety management system to be applied to excavator.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derived from this research. 1) The validity of the core technology for object detection, i.e. laser sensor, selected from previous researches was affirmed through a field test. 2) A sensor operation algorithm was developed to apply the selected technology to the object detection system, and an object detection algorithm for the program to provide a user interface was also developed based on this sensor operation algorithm. 3) The developed system was modified to upgrade an object detection system and the modified system was tested for performance simultaneous operation of this user interface with the sensor was investigated through a field test. Based on these results, tilt modules were developed through the conceptual design and detailed design. Tilt modules can be applied to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of excavator and using this tilt modules will be abl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system.

      • 인체 방광 요로상피세포암종에서 Cyclooxygenase-2 발현에 關한 硏究

        최창훈 仁濟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적: 방광암은 비뇨기계 종양 중 가장 높은 빈도로 발생하는 악성종양이며 특히 남성에서는 전체 종양 중 5번째로 발생빈도가 높고 여성에 비해 3-4배 정도 호발 한다. 방광암의 90% 이상이 요로상피세포암종으로 표재성 방광암인 경우 방광을 보존하면서 치유할 수는 있으나 재발율이 높고, 침윤성 암으로의 진행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표재성 방광암의 재발을 방지하고 침윤성 방광암으로 진행하는 것을 억제하기위한 여러 가지 치료법이 시도되고 있다. 최근에는 종양화 과정과 종양의 진행에 있어 prostaglandin(PG)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PG의 생성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cyclooxygenase, 특히 cyclooxygenase-2(COX-2)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저자는 인체 방광 요로상피세포암종에서 조직학적 병기, 조직학적 분화도 및 생존율과 COX-2 발현양상을 비교하여 COX-2 발현이 방광 요로상피세포암종의 예후와 연관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1991년 1월에서 2003년 12월까지 부산백병원에서 방광 요로상피세포암종으로 진단되어 근치적 방광전절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추적이 가능한 5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예에 대해 수술 당시 환자의 연령, 성별, 종양의 크기, 림프절 전이 유무 및 병기를 병리 결과지 및 임상 기록을 참고로 하여 조사 하고, 외래 추적관찰과 전화문의로 생존 유무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각 증례의 모든 슬라이드를 재검경하여 조직학적 병기와 등급을 정하고 COX 일차항체를 이용하여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시행한 후 판독하여 COX-2 발현과 임상, 병리학적 인자 및 생존율과의 연관성에 대한 통계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COX 양성으로 판정된 예는 병기가 71 이하인 29예 중 2예(7.1%), T2 16예 중 5예(31.2%), T3 10예 중 5예(50.0%)로 병기가 증가할수록 COX-2 발현도 증가하였다(p=0.0177). 분화도도 저등급군 26예 중 2예(7.7%)에서 COX-2가 양성을 보인 반면, 고등급군에서는 31예 중 10예(32.2%)에서 양성을 보여 조직학적 등급이 좋지 않을수록 COX-2 발현이 높았다(p=0.0235) 또한 조직학적 분화도가 나쁠수록, 병기가 높을수록 생존율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COX-2 양성인 12예 환자 중 6예(50%)에서 생존하였고, COX-2 발현 음성인 45명 중 35명(77.8%)이 생존하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05), 결론 : COX는 조직학적 병기가 높을수록, 분화도가 낮을수록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양성율을 나타내어 COX-2 발현이 종양의 악성도를 반영하는 지표로 생각되었다. 또한 COX-2 발현 양성인 예에서 생존율이 낮은 경향을 보여 좋지 않은 예후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COX-2 발현에 대한 조사는 환자의 예후를 간접적으로 평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 Urinary bladder cancer is the most common tumor of all urologic cancers in Korea. Especially in man, bladder cancer is the 5th common carcinoma of all carcinomas and three or four times more common than women. Recent studies have supported the important role of cycloorygenase-2(COX-2) in various cancers derived from epithelial cells, such as the breast, gastrointestinal tract, prostate, head and neck.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yclooxygenase-2 expression and prognosis in urothelial carcinoma of the human urinary bladder. Methods : We assessed the clinicopathologic results from 57 bladders of urothelial carcinomas patients undergoing radical cystectomy. To evaluate the expression of COX-2, paraffin sections were assessed with immunohistochenlistry using the anti-human COX-2 monoclonal antibody and staining intensity was evalu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OX-2 expressions and stage, grade and lymph node metastasi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and association with survival rate was also evaluated. Results : COX-2 was overexpressed in 12 cases out of 57 cases(21%) in urothelial carcinomas of the urinary bladder COX-2 overexpression rate was gradually increased from stage 71(7.1%) and 72(31.2%) to stage 73(50.0%)(p=0.0177) and was increased in high grade urothelial carcinoma(32.3%) compared with low grade urothelial carcinoma(7.7%) (p=0.0235). The survival rate of patients with higher stage and high histologic grade were poorer than that of patients with lower stage and low histologic grade(p<0.05). In contrast thirty-five cases(77.8) out of 45 COX-2 negative cases were alive, only six cases(50.0%) out of 12 COX-2 positive cases were alive.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p>0.05). Conclusion : This study showed that COX-2 overexpression was highly correlated with stage and histologic grade in urothelial carcinomas of human urinary bladder. These results support the possibility that COX-2 might be an important factor to presume aggressive behavior of urothelial carcinoma of the urinary bladder.

      • Effect of Lithium Composition and RF-Magnetron Sputtering Power on the Ionic Conductivities of Lithium Phosphorous Oxyni

        최창훈 仁荷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박사

        RANK : 247631

        Lithium rechargeable batteries get high attention due to the high energy and power densities. Along with the nano-technology advancement, the requirement of thin film batteries for small devices increases and many cathode materials such as V_(2)O_(5), LiCoO_(2), Li_(2)Mn_(2)O_(4) and LiNiO_(2) etc., are being researched. While electrode materials show fast progress, solid electrolytes become the key materials for the achievement of thin film batteries. Solid electrolytes that have high ionic conductivities as well as the stability with lithium metal contact are required for lithium thin film batteries. Recently, lithium phosphorous oxynitride (Lipon) was developed and was incorporated into thin film batteris successfully by Oak Ridge National Lab. This thin film battery using Lipon as a solid electrolyte shows excellent cyclability. This study is focused on enhancing the ionic conductivities of Lipon by adjusting the Lipon compositions and by controlling RF-magnetron sputtering power. In the first study, Li_(2)CO_(3) Powder was added into Li_(3)PO_(4) target before target making process to increase the ionic conductivities of Lipon films. Li_(2)O was thought to be formed after sintering by decomposition of Li_(2)CO_(3) and ionic conductivity enhancement was expected, which was not increased actually. X-ray Diffraction analysis (XRD, Rigaku) was used to analyze the structure of excess target, and Li_(2)CO_(3) remains itself, not decomposed into Li_(2)O and CO_(2). In the second study, Lipon films were deposited in N_(2) gas atmosphere with different radio-frequency magnetron sputtering power from 80 to 160 W with 20 W step increase. Lipon films deposited at lower sputtering power showed higher ionic conductivities than the films deposited at higher sputtering power. The results of impedance measurements showed that nitrogen incorporation into the glass structure increased the ionic conductivity and this nitrogen content in the Lipon films increased as the sputtering power decreased. In addition, the Auger electron spectroscopy (AES, Perkin Elmer PHI-670) depth profile showed that the increased nitrogen content in the Lipon films was not the result of the target surface poisoning effect but the result of reactive incorporation of nitrogen.

      • 국내에 보고된 한의학 암 치료 임상연구에 대한 현황 조사

        최창훈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통계에 따르면, 사망원인통계가 취합되기 시작한 1983년부터 2018년까지 암은 국내 사망률 원인 1위였다. AI를 이용한 진단과 최첨단 장비들을 사용한 통상의학의 암 치료법이 지속해서 발전하고 있지만, 암으로 인한 사망률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세계적으로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보완대체의학이 주목받음에 따라 보완대체의학으로서 한의학 암 치료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변화해가는 흐름에 맞추어 박봉기 등은 2008년에 국내에 보고된 한의학 암 치료에 관한 임상논문의 현황을 조사하였다. 연구에 따르면, 한의학 암 치료는 의학의 패러다임인 근거중심의학에 기반을 두고 있지 않고 전임상 및 임상 근거가 부족하다 하여 비과학적인 치료법으로 보여왔다. 과거 연구에서는 국내에 보고된 한의학 임상 논문의 대부분이 case study나 case-series study라 보고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2008년부터 2019년까지 국내 한의학 학회지에 게재된 한의학 암 치료 관련 임상 논문을 조사하여 한의학 암 치료에 관한 연구들이 어떠한 방향으로 변화하였는가에 대한 현황조사를 시행하였다. 지난 11년간 국내 한의학 학회지 4곳에 게재된 한의학 암 치료에 대한 임상 논문은 총 129편으로 지속해서 증가하는 추세로 보였으며, 이중 폐암 관련 논문이 40건으로 가장 많이 연구되었다. 단일 치료법으로는 알러젠 제거 옻나무 추출물이 14건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게재된 논문에 86%가 case study나 case-series study로 조사되었고, 2%만이 cohort study 나 clinical trial로 과거 조사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큰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치료목적으로는 삶의 질 개선이 전체의 47%였으며, 통상의학 치료법의 부작용 개선이 18%로 뒤를 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현재 어느 분야에 한의학 암 치료가 집중되어있고, 향후 나아갈 방향성을 파악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ccording to the data from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cancer has been the No. 1 cause of death in Korea since 1983. Despite the progress in cancer treatment, the death rate from cancer has been increasing annually. Thereby the use of complementary alternative medicine (CAM) in treating caner is also increasing every year. As complementary alternative medicine gain attention, researches on the treatment of cancer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KM) is actively conducted as well. In line with the changing trend, Park Bong-gi and others surveyed the current status of clinical studies on cancer treatment of TKM in 2008. According to the research, cancer treatment in TKM has been seen as an unscientific treatment because it is not based on the evidence based medicine (EBM), and it lacks in clinical evidence.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that most of the clinical studies on TKM reported in Korea were case studies or case-series stud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and observe the current status of cancer treatment in TKM. Over the past 11 years, total 129 articles on the treatment of cancer were published in four local TKM journals. Lung cancer was studied in 40 articles, ranking as the most frequently studied cancer type. As a treatment of cancer, Allergen removal lacquer extract was most commonly used (14 articles). 86% of the articles published were found to be case or case-series studies, and only two percent were cohort or clinical trials, showing no major changes from previous report. For therapeutic purposes, 47% of articles focused on improvement in quality of life, and 18% of articles were on improvement in side effects of ordinary medical treat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which areas TKM is focusing on in the treatment of cancer, and it could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planning the future direction of TKM.

      • BIM을 활용한 가설공사의 규칙기반 품질점검 시스템 연구

        최창훈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건설프로젝트에서 가설공사는 본 구조체 축조를 위해 일시적으로 구축하여 사용하고 준공 후 철거하는 건설공사이다. 이러한 가설공사는 공사기간동안만 사용하고 철거하는 임시시설물이지만 전체 공사비의 10% 내외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기술력에 따라 건축물의 완성도가 좌우될 정도로 공사비와 품질에 직결되어 있는 중요한 공종이기 때문에 체계적인 품질점검 활동을 통해 관리할 필요가 있다. 체계적인 품질점검이 되기 위에서는 설계도면, 시방사항, 점검사항 등의 품질점검 관련 정보를 바탕으로 설계와 시공의 일치성, 관련 제기준 준수 등 세부적이고 구체적인 점검활동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가설공사의 품질점검 관련 정보는 수행도서(설계도면 및 공사시방서 등)에 특별한 명시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가설공사 중 직접가설은 작업분류체계(Work Breakdown Structure)를 기준으로 가설공사임에도 불구하고 현장에서 주요 구조체 공종의 부속공종으로 취급되고 있다. 이로 인해 품질관리 건설기술자는 각기 다른 주요 구조체 공종에 산재해 있는 품질점검 관련 정보 중 해당 가설공사의 내용만을 수작업으로 확인하여 점검을 실시해야 한다. 또한 품질관리 건설기술자가 실시하는 품질점검 업무는 지적만 모면하면 된다는 식의 소극적인 대처로 인해 부실 및 사고예방에는 한계가 있어왔다. 이렇게 품질관리 건설기술자가 소극적으로 대처하는 이유에는 품질관리 전담인원의 부족, 수작업에 의존한 단일현장 중심의 품질점검, 과다한 문서업무 등으로 인해 현장관리자의 업무부담을 가중시켜 임기응변적인 품질점검 업무가 수행되기 때문이다. 이는 건설공사가 부실시공 및 품질저하가 되는 원인으로서 체계적인 점검업무를 가능하도록 개선하여 품질점검 업무가 효율적이고 질적향상 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그리고 품질관리 건설기술자는 점검 관련자료 준비, 점검표 작성, 점검결과 보고서 작성 등의 품질점검 업무를 수작업으로 수행하기 때문에 인적 오류(Human errors)가 발생할 확률이 높아지며, 이로 인해 점검재준비, 재점검 등의 비효율적인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품질점검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가장 비효율적으로 업무가 수행되는 가설공사를 대상으로 상기 문제점들을 보완 및 개선하여 품질점검 업무가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시스템이 개발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품질관리 건설기술자가 실시하는 품질점검의 업무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관련 업무를 자동화하고 다양한 품질점검 정보들을 가설시설물별로 체계적으로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는 BIM과 연계된 규칙기반 가설공사 품질점검 시스템을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품질점검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가설공사 품질점검 업무 개선프로세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가설공사 분류체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국토교통부 건설기준 표준시방코드(KCS)를 조사하고 품질점검 업무에 필요한 검측정보들을 가설공사 분류체계의 가설시설물별로 정리하여 가설공사 제기준 목록을 정리한다. 이후 가설공사 품질점검 업무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써 사전에 도출한 예상문제점들을 품질관리 건설기술자(실무자)들을 중심으로 설문 및 면담조사를 실시한다. 그리고 이에 대한 결과를 분석하여 가설공사 품질점검 업무 관련 문제점을 구체화한다. 업무프로세스 모델링은 가설공사 품질점검 업무에 필요한 검측 데이터가 논리적으로 조직될 수 있도록 데이터 구조를 모델링하며, 시스템 프로토타입은 앞서 개발한 업무프로세스 모델과 시스템 요구기능을 바탕으로 개발되며 실제 문제점들이 시스템을 기반으로 해결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규칙기반 업무시스템을 샘플 프로젝트로서 실제 공동주택 현장에 적용하여 기존 프로세스와의 비교·분석, 현장 실무자(품질관리 건설기술자) 인터뷰를 실시하고 이를 평가하여 검증한다. 제안된 규칙기반 시스템을 활용하면 기존의 수작업에 의한 업무절차를 간소화하고 업무 정확성, 효율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품질점검 관련 업무들의 질적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 테러정세의 변화와 대테러정책 연구

        최창훈 동국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테러정세의 변화추이와 향후 전망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상황에 맞는 올바른 대테러 정책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연구를 통해서 국내·외 테러정세의 변화추이를 정리하였다. 또한 최근의 국제정세를 바탕으로 테러의 향후 전망을 제시함으로써 우리나라의 테러방지법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과 국내 테러리즘에 대한 대응방안을 살펴보았다. 최근 국내·외 테러정세는 몇 가지로 정리하였다. 첫째, 중동에서 발호한 ‘아랍의 봄’ 이후 유럽을 중심으로 자생테러 발생 빈도수가 증가했고 우리나라에서도 추후 자생테러 가능성이 상존한다. 둘째, 테러의 공격목표가 민간인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공포심을 극대화시키고 있다. 마지막으로 테러의 중심축이 중동에서 유럽으로 이동하면서 유럽에서는 이민자 출신의 테러리스트 증가로 인해 사회통합이 중요해지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빠르게 다문화사회로 전환되고 있기 때문에 사회통합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국내·외 테러정세를 바탕으로 국내 테러리즘에 대한 대응방안은 세 가지로 정리하였다. 첫째, 법과 제도의 정비가 필요하다. 현재 우리나라의 테러방지법은 글로벌 테러정세에 대비하기에는 역부족이기 때문이다. 테러방지법에 테러에 대한 정의만 보더라도 국제적인 수준과 동떨어져 있으며, 사이버테러 등에 대한 개념도 포함하고 있지 못하다. 둘째, 사회안전망 구축에 대한 대비책 구축이 필요하다. 여러 위협 중에 드론위협 중심으로 국가중요시설에 대한 테러대비책 보강이 필요하며, 특히 폭력적 극단주의 대응(CVE) 행동계획을 수립하고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세계적인 대테러정책 추세가 진압보다는 예방 중심으로 이동하고 있기 때문이다. 셋째, 대테러 분야 전문성 강화가 시급하다. 우리나라는 군·경 대테러부대간 합동작전이 활성화되어야 하고 또한 합동작전 매뉴얼도 구축되어야 한다. 대테러부대 외에도 테러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대테러 전문가를 양성하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 전문성 강화를 위해서 대통령경호처와 같은 전문조직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테러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국가이기 때문에 관련한 자료 및 노하우들이 미국과 같은 외국에 비해서는 부족한 실정이다. 그래서 국내 논문보다는 해외자료들을 다수 활용하였다. 또한 아랍에미리트(UAE) 대테러 관련 부대에서 수년간 근무하면서 터득한 내용들을 이 연구에 일부 포함시켰다. 테러리즘을 바라보는 우리나라의 시각이 미국을 비롯한 강대국들이 심어놓은 인식에 기초를 한 것은 아닌지 스스로를 의심하면서, 내용의 객관성을 보다 확보하기 위해서 중동국가 사람들이 테러리즘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인식 또한 포함시키고자 했다. 향후에는 자생테러가 보편적인 현상으로 자리 잡을 수 있으며, 먹고 사는 문제로 인한 경제관련 테러리즘도 배제할 수 없을 것이다. 2020년 전세계를 휩쓴 COVID-19와 같은 감염병과 같은 비전통적인 위협들이 또한 도사리고 있다. 기후변화, 식량 및 물 부족 등이 향후 큰 안보위협으로 다가올 것이다. 이와 같은 비전통적인 위협에 대해서도 활발하게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