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침수취약지역 추정과 주민들의 대피경로 분석

        박종덕,최진무,Park, Jong-Duk,Choi, Jin-Mu 한국공간정보학회 2011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9 No.1

        최근 도시지역은 국지성 호우로 인한 범람의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HECRAS 모형을 이용하여 중량천 수계에 대한 홍수범람모의를 수행하였다. 분석은 1m 간격의 LiDAR 자료를 기반으로, 하천 정보를 위해 HEC-GeoRAS를 이용하여 Geometry 자료를 구축하여 활용하였다. 홍수에 대한 가상시나리오를 홍수량이 100년 빈도일 경우 200년 빈도일 경우, PMF일 경우로 작성하여 침수 취약지역을 분석하였고, 이를 구역화하고 대피소까지의 대피경로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인구가 밀집된 시가화 지역의 면적 비율이 범람지역의 약 70%를 차지하고 있어 홍수 시 상당한 인명 및 재산피해가 예상되었다. 범람지역에서 대피소까지의 최단거리 대피경로는 평균거리 1,000m로 대피 경보에 따라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은 향후 도식지역의 홍수대피 계획 수립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Recently urban area has suffered from frequent flood event by local heavy rain. This study performed flood tests for the Jungnang river using HEC-RAS model. Based on 1m LiDAR data, river geometry data were produced using HEC-GeoRAS. For 100-year frequency flood, 200-year frequency flood, and PMF, flooding areas were estimated. Ten sub-zones of the entire flooding area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nearest refugees and used to analyze evacuation paths to the refugees. The results showed that approximately 70% of flooded area were residential, commercial, and transportation areas so that much loss of life and property could be possible. Path analysis showed that the shortest path distances to refugees were about 1000m average. Evacuation warning given at a proper period could minimize loss of life and property. This study provides the guideline for flood evacuation plan in urban area.

      • KCI등재

        인천 경제자유구역이 인천시 자치구,군 간 지역불균형에 미치는 영향분석

        김보라 ( Bo Ra Kim ),최진무 ( Jin Mu Choi ) 한국경제지리학회 2014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17 No.1

        인천 경제자유구역은 2003년 우리나라에서 처음 지정된 경제자유구역으로서, 3개 지구 즉, 송도, 청라, 영종지구를 포함한다. 기존연구에서는 경제자유구역에 대해 국가경제적인 차원에서의 경제자유구역 활성화 방안이나 외자투자유치 문제점 등이 주요 논점으로 연구되었다. 그러나 경제자유구역 개발로 인한 지역경제와의 연관성이나 배후지와의 연계발전, 지역균형발전 등의 관점에서의 연구는 현재까지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인천 경제자유구역법률제정(2003년)을 기점으로 전기(1996~2002년)와 후기(2003~2009년) 총 14년 동안의 인천시 자치구(군)간의 지역불균형의 원인과 특성을 분석하여 인천 경제자유구역이 인천시 지역불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인천 경제자유구역 개발이 지역경제 활성화와 구도심 파급효과로 연결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경제자유구역 내 대규모 아파트건설이나 기반시설건설은 구도심과의 불균형을 더욱 커지게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Incheon Free Economic Zone is the first free economic zone specified in 2003 in Korea. Pre-vious research on the Free Economic Zone has focused on the activation of the free economic zone or foreign investment issue at the level of the national economic plan.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a free economic zone, studies are currently insufficient on the relevance of the local economy, the development of linkages with hinterland, and the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invest-tigate the impact of Incheon Free Economic Zone to the local economy through analyzing the caus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imbalance between the regions in Incheon by comparing before (1996~2002) and after (2003~2009) of the In cheon Free Economic Zone legislation (2003). The result shows that development of the free economic zone has not been connected to the local economy activation and the ripple ef-fect on the old town in Incheon. Further, the construction of a large apartment and infrastructure in the free economic zones have increased the disparity between the free zones and the old town.

      • KCI등재

        서울시 소지역 건강불평등에 관한 연구

        김형용(Hyong Yong Kim),최진무(Jin Mu Choi) 한국지역지리학회 2014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는 건강을 설명하는 지역 박탈 지표를 선별하고 이러한 지표들이 근린사회의 인구구성효과와 구분되는 독립적인 맥락효과를 지니는지 검증해 보았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를 대상으로 행정동 단위의 표준화사망비를 산출하 여 소지역 건강불평등 실태를 분석하였고, 표준화사망비 격차를 설명하는 지역박탈 지표들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다수 준 모형을 통해 개인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통제한 후 지역박탈 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는 건강불평등의 지역 격차가 대부분 사회경제적 지위 요인을 반영할 뿐이며, 거주지 지역사회의 독립된 맥락효과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 다. 분석에서 행정동별 표준화사망비 분포가 취약근린지수의 분포와 유사하고 더 나아가 공시지가, 하위교육수준, 복 지수급자 비율, 여성가구주 가구의 개별 지표 분포와 유사한 패턴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인구집단 의 취약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반면 빈곤 지역이 내생적으로 형성하는 건강문화나 보건의료접근성 등의 가능 한 매개 요인들의 가능성은 인구 구성에 따른 빈곤과 결핍보다 상대적으로 저조할 것으로 보인다. 즉 건강의 지역별 격차는 다름 아닌 계층간 격차로 해석될 수 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neighborhood deprivation indicators associated with health and to test the contextual effects of those indicators on individual health. This study calculated SMR based on Dong district and see the differences of prediction across deprivation index and indicators. Then, a multi-level analysis using HGLM was conducted to test the contextual effect of neighborhood depreivation indicators on health after controlling for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status of individuals. The results showed that regional SMR had strong correlations with land price, education, welfare recipients, female household proportion in Dong district but failed to show the correlation with individual health and neighborhood deprivation. Individual health was only associated with individual level of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status. That is, spatial dispersion of illness is understood as the distribution of social classes in terms of socioeconomic status of individuals, not the contextual aspects of community.

      • KCI등재

        아파트 밀집지역 급조폭발물 테러 발생 시 잠재피해인구 추정

        이강산 ( Kang San Lee ),최진무 ( Jin Mu Choi ) 한국경제지리학회 2015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18 No.1

        본 연구는 서울시 노원구 지역을 대상으로 차량 급조폭발물(IED)을 이용한 테러 발생 시 잠재피해인구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정사영상을 바탕으로 객체기반 건물추출법을 활용하여 아파트의 면적을 구하였고, 고도자료를 바탕으로 건물의 높이와 층수를 추정하였다. 연면적기반 건물인구 추정법을 이용하여 각 아파트에 대한 거주인구를 추정한 후, 시나리오 분석법을 통해 연구지역 내 인구밀집지역인 지하철역을 중심으로 테러 발생 시 잠재적 피해인구를 추정하였다. 차량 급조폭발물(IED)을 이용한 테러 피해는 적재 가능한 폭약 량에 큰 영향을 받는 바, 테러에 이용될 수 있는 차량의 종류에 따라 테러 발생 시 잠재적인 피해인구를 산출하였다. 분석결과, 노원구 마들역 주변에서 테러발생 시 가장 큰 잠재피해인구가 발생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방법은 차후 연구에서 대단위 지역의 인구분포 추정 및 재난 피해 분석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we presented a method for estimating the potential population damage of the Seoul Nowon-gu area in the event of a terrorist using a vehicle improvised explosive devices (IED). Us-ing the object-based building extraction method with orthophoto image, the area of the apartment has been determined, and the apartment’s height and level were estimated based on the elevation data. Using the population estimation method based on total floor area of building, each apartment resident population was estimated, and then potential population damage at the time of terrorist attacks was estimated around the subway station through a scenario analysis. Terrorism damage using IED depends on the type of vehicle greatly because of the amount loadable explosives. Therefore, potential population damage was calculated based on the type of vehicle. In the results, the maximum potential damage population during terrorist attacks has been estimated to occur around Madeul station, Nowon-gu. The method used in this study can be used various population estimation research and disaster damage estimation.

      • KCI등재

        공간정보기반 재난 모니터링을 위한 공공데이터 개선방안 연구

        원상연(Won, Sang Yeon),권찬오(Kwon, Chan Oh),정현우(Jeong, Hyun Woo),최진무(Choi, Jin Mu) 한국지적학회 2021 한국지적학회지 Vol.37 No.3

        본 연구에서는 재난 정보의 단순 수집자료 활용에서 벗어나 국가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를 활용하여 최적의 재난 모니터링 데이터 활용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연구 수행내용으로 국가에서 제공하는 기본공간정보 중 재난 관련 64종의 데이터 유무를 확인하고, 활용 가능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재난 관련 64종의 데이터 중 국가에서 제공하는 ‘국가공간정보포털’과 ‘공공데이터포털’의 데이터 활용 방법론을 수립한 후 데이터 활용 방법론을 기반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재난 관련 64종 데이터 중 38종 데이터 활용이 가능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향후 국가에서 제공하는 재난 데이터 유형과 공간정보 활용이 가능한 필수 제공 항목에 대한 방안 수립을 지원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researched a process that can generate basic disaster monitoring data provided by the state, moving away from using simple collection data of disaster information. The 66 types of disaster-related data among national spatial framework was checked, and the possibility of using was reviewed. The spatial information of the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Portal , Open Government Data Portal and disaster monitoring data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data utilization methodology. As a result, possible to establish 38 types of data out of 66 types of disaster-related data. Based o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o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plans for the types of disaster data and essential construction items that can utilize spatial information in the future.

      • KCI등재

        공간패널모형을 이용한 인스타그램 콘텐츠 특성과 유동인구의 관계 분석: 용산동2가, 이태원동, 한남동을 사례로

        장지원(Jang, Ji Won),김민준(Kim, Min Jun),최진무(Choi, Jin Mu) 대한공간정보학회 2020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8 No.4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등 소셜미디어는 모바일 시대의 보편적인 서비스로 사용되고 있으며, 소셜미디어 사용자가 콘텐츠를 제작하고 소비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 되었다. 본 연구는 인스타그램 사용자가 지역을 방문한 이후 지역과 관련된 인스타그램 콘텐츠를 생성하는 현상에 주목하여, 인스타그램 콘텐츠 특성이 유동인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인스타그램 콘텐츠 자료와 유동인구 자료는 인접한 지역에서 집계된 패널자료이기 때문에 두 자료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패널공간더빈모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40대, 50대, 60대 세대 유동인구보다 10대, 20대, 30대 세대 유동인구에 인스타그램 콘텐츠가 더 많이 영향을 미치며, 남성 유동인구보다 여성 유동인구에 인스타그램 콘텐츠가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Social media such as Instagram and Facebook are used as universal services in the mobile era, and it has become a natural phenomenon for social media users to produce and consume the contents.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Instagram content characteristics on the foot traffic by paying attention to the phenomenon of creating Instagram contents related to a region after Instagram users visited the region. Since the Instagram content data and foot traffic data used in the analysis are panel data aggregated in the adjacent areas, the spatial panel model was us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data. The analysis showed that Instagram content affects the foot traffic of teenagers, the 20s and 30s more than the foot traffic of the 40s, 50s and 60s, and that Instagram contents affect the foot traffic of women more than that of m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