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감각·신체놀이 중심의 부자 집단 예술치료가 오이디푸스기 아동의 부자(父子) 상호관계에 미치는 효과

        최지희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감각·신체놀이 활동으로 구성된 예술치료 프로그램을 오이디푸스기에 해당하는 남아와 그의 아버지를 대상으로 제공하여 부자간의 상호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연구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정신분석학적 이론을 배경으로 오이디푸스기 남아의 특성을 이해하고, 이 시기의 아버지 역할과 자녀양육의 중요성을 재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부자 집단 예술치료는 두 가지의 영역 중심으로 구성되어있는데, 하나는 양육적인 경험과 심리적 이완을 도울 수 있는 감각놀이며, 다른 하나는 공격성과 경쟁 심리의 해소를 위한 신체놀이이다. 이를 상호보완적으로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연구방법은 만5세에서 7세에 해당하는 남자아이와 그들의 아버지(만32에서 39세)로 총8쌍의 부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2008년 10월부터 11월까지 6주간, 주 2회, 총 12회기(1회기 당 60분씩)를 진행하였으며, 아동의 특성 파악을 위해 집­나무­사람 그림검사, 동적가족화 검사를 실시하고, 부모대상으로 프로그램 종결 후 사전·사후 질문지를 통하여 아버지의 남아에 대한 인식 변화와 상호관계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각·신체놀이 중심의 부자 집단 예술치료 프로그램’은 아버지가 남아의 특성을 인식하데 도움이 되었으며, 아버지로서 특별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중요한 존재라는 것을 재인식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둘째, 감각·신체놀이 중심의 예술치료를 통하여 부자간에 보다 긴밀하고 애정적으로 상호관계가 향상되었다. 셋째, 부자의 감각·신체놀이 중심의 예술치료를 통하여 부자관계 뿐만 아니라 부부관계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어 가족기능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감각·신체놀이 중심의 부자 집단예술치료 프로그램’은 오이디푸스기 남아가 불안과 공격성을 자유롭게 배출할 수 있는 안전한 공간을 효과적으로 제공하였다. 또한 아버지들이 아이들과 함께 활동해보면서 아이들에 대한 공감영역 확장에 도움이 되고, 하루하루 연습하는 과정 속에서 자녀양육에 특별한 필요에 주의를 기울이는 부모로 변화할 수 있도록 하고, 아이와 더욱 가깝고 건강한 부자관계가 될 수 있도록 긍정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an arts therapy program which consists of an activity composed of sensory-physical play in an attempt to examine its effects on their father-son relationship.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psychoanalysis was used as foundation to explore the Oedipus children's own uniqueness and provide reassurement the strong importance that a father has when parenting their children. In this study, the group arts therapy was subdivided into two parts; a sensory-play that intended to breach emotional barriers, and a physical-play that intended to neutralize their aggressive nature towards one another.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grouped into pairs, in total of eight groups, in which the fathers' age ranged from thirty-two to thirty-nine, and the child from five to seven;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twelve sessions in total, twice a week, sixty minutes each; carried out for over six weeks, from October to November of 2008. Prior to carrying out the 'Sensory-Physical Play based Arts Group Therapy', the House-Tree-Person Test and the Kinetic Family Drawing Test were utilized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 as well as a survey conducted to their parent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o see if there were any changes in the fathers' awareness of the boys and mutual relation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ensory-Physical Play based Arts Group Therapy' enabled the fathers to be perceptiv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boys, and informed them of the significance of nurturing them with experiences that one as a father can only give. Second, the therapy contributed to establishing a closer and more intimate relationship between the father and the child. Third, the arts therapy that consisted of sensory-physical play had an impact on not only father-son relationship but conjugal relations, which ultimately brought a favorable change to family function. To conclude the findings, the 'Sensory-Physical Play based Arts Group Therapy' had successfully created a space in which the boys could freely channel their negative energy in a safe environment which alleviated their anxiety and aggressiveness brought up by the Oedipus nature. Moreover, this group arts therapy provided the opportunity for fathers to engage activities by seeing himself in the eyes of his own child, providing them a chance to practice becoming a parent that heeds attention to the special needs required to maintain a close, healthy, father-son relationship on a daily basis.

      • 분양시장 소비자 선호도에 관한 연구

        최지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글초록: 그 동안 정부의 적극적인 주택공급정책으로 인하여 주택보급률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단독주택에 비하여 공동주택, 그 중에서도 아파트의 증가추세가 우리나라의 주택보급률을 높이는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양적인 주택보급률의 향상도 중요하지만 이제 경제성장과 소득증가로 인한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해 획일적인 주택형태의 단순 공급보다는 소비자 욕구에 맞는 주택공급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주택의 공급자들은 그동안의 획일적인 주택의 대량공급 방식에서 탈피하여 주택소비의 기본 단위인 개별 가구의 특성과 취향에 맞추어 다양하고 차별화된 주택을 개발ㆍ공급할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초기 분양시장의 개별 가구의 특성, 아파트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주택수요구조의 특성을 파악해보고, 이에 따라 수요자 선호도가 어떻게 변하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대우건설에서 1999년부터 2003년까지 안산시를 대상으로 분양한 아파트 및 계약자 DB를 바탕으로 독립변수를 주택특성과 가구특성, 시장통제변수로 분류하여 종속변수인 계약소요일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초기분양가격이 공급자에 의해 일정하게 정해진 초기 분양시장에서는 선호도가 층수, 평당매매가, 향, 계약자 성별, 계약자 주소, 사업년도 등에 따라 차이를 나타냈다. 층수의 경우 고층으로 올라갈수록 선호도가 높아지고, 아파트 평당매매가가 높아질수록 선호도는 감소하였다. 그리고 향의 경우는 동향의 경우보다 남향일 경우 선호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계약자 성별이 여성일 경우 남성인 경우보다 선호도가 더 높게 나타났고, 계약자 주소의 경우는 서울일 경우가 선호도가 가장 높고, 경기, 안산 지역 순으로 선호도가 나타났다. 사업년도의 경우는 1999년에 선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나고, 그 다음이 2000년, 그리고 2003년과 2002년은 비슷한 정도로 선호도가 나타났다. 이와 같이 분양가격이 공급자에 의해 통제된 초기 분양시장에서는 소비자의 선호도가 영향 요인별로 뚜렷이 나타난다. 따라서 공급자 입장에서 볼 때 초기 분양시장은 공급자에 의해 정해진 가격의 틀 안에서 수요자의 선호도에 따라 움직이는 시장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공급자는 개별 가구의 특성과 취향에 맞추어, 수요자의 선호도를 잘 파악하여 다양하고 차별화된 주택을 개발ㆍ공급해야 할 것이다

      •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극장의 운영형태 비교 연구

        최지희 단국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문화와 예술은 인류 생활과 정신세계에 담겨진 창조적 가치의 소산이며 심미적인 정체성을 고양시키는 역할로서 사회적 환경변화 속에서 발전해 왔다. 이러한 변화에 정부와 자치 단체에서는 각종 문화시설의 확충을 통해 시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사람들이 여가를 중시하는 생활을 선호하게 됨에 따라 문화예술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공연장은 다양한 장르의 공연 프로그램을 통해 관객과 만나는 가장 대중적인 장소로 해당 문화 공간의 설립 목적을 가장 잘 수행해야 하는 공간 임에도 불구하고 타 시설에 비해 폐쇄적이고 수동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많은 극장들이 지자체가 직접 운영하거나 시설관리공단과 같이 사업소에 위탁운영을 함으로 인해 전문 인력 채용과 운영에 필요한 기부금 모집 불가 등으로 인하여 운영의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이에 정부에서는 문화 공간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 그 공간을 움직이는 전문 인력을 배치시키고, 공간 설립 취지에 맞는 극장 운영방식을 도입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대표적인 극장의 운영 유형별로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비교 연구해 보고자 극장의 정의와 역할, 그리고 운영유형에 따른 일반적인 이론연구를 바탕으로 운영 유형별로 다른 국립중앙극장, 세종문화회관, 예술의전당, 한국소리문화의전당 4개를 대상으로 운영현황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 제언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II장에서는 극장의 개념과 기능을 살펴보고 극장의 운영별 유형의 일반적인 이론을 알아보고 차이점을 비교, III장에는 각 유형별로 다르게 운영되고 있는 국립중앙극장, 예술의전당, 세종문화회관, 한국소리문화의전당 4개의 극장의 운영현황 실태를 살펴보고 특징과 문제점 및 운영성과를 분석하였다. 실태조사의 주요 항목으로는 운영형태, 시설, 조직, 재정 등에 중점을 두어 비교 분석하였으며, 각 극장의 관계자와 방문 및 전화면담(interview)를 통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IV장에서는 극장의 다양한 운영별 유형․형태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극장의 효과적인 운영을 제언해보았다. 이러한 운영형태를 살펴본 결과, 책임운영형태로 운영되고 있는 국립중앙극장은 정부소속이었을 때보다 재정자립이나 운영의 효율성, 서비스 수준 향상 등 많은 부분에서 나아지고 있음을 볼 수 있었으나 기관장을 비롯한 예술 감독들의 실질적 권한에 있어서 제약이 많아 책임운영의 취지를 살리기에는 힘든 실정임을 알 수 있었다. 재단법인인 세종문화회관과 특별법인의 예술의전당을 보면 재정자립도, 전문적 효율적 인력운영, 서비스 향상 등이 많이 나아져 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정부나 지자체가 예산절감의 이유로 얼마든지 운영예산을 삭감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정적인 재정확보가 불투명하다는 어려운 점이 있다. 민간위탁은 처음 계약 시 수탁비용을 제시하고 수탁자를 선정하기 때문에 재정적인 면에서 볼 때 책임운영이나 법인화보다는 더 낫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수탁기관 선정과정과 평가에 있어서 공정함과 투명성이 지켜지지 않는다면 앞에서 야기한 문제들보다 더 큰 문제들을 야기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 국공립극장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 세 가지 제언을 해보았다. 첫째, 외국의 사례를 통해 우선 극장장으로 전문가를 임명하고 그에게 극장운영과 프로그래밍의 권한을 전적으로 줄 수 있도록 자문기관에 힘을 실어 주어야 한다고 본다. 둘째로, 단기적으로는 투자효과가 드러나지는 않지만 국민들의 삶의 질을 보장해줄 수 있도록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지속적이고 비중이 큰 재정적인 투자를 해야 한다고 본다. 셋째로는, 기업 메세나를 통해 공공기관의 부담을 덜어주어야 한다고 본다. 이는 전문인 양성 정책을 위한 재정투자, 시설확충 등을 위한 충분한 재정적 지원이 필요한데, 이를 기업 메세나 프로그램을 활성화 하여 재원확보 프로그램을 개발하며 관객이 선호하는 프로그램 등을 개발하여 정착시키는 노력을 한다면 재정자립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어떠한 제도를 선택하더라도 장점과 단점이 있고 수정, 보완할 점도 있기 마련이다. 정부가 직접 운영한다고 해서 꼭 비효율적이거나 전문적이지 못한 것은 아니다. 중요한 것은 극장의 취지를 잘 파악하고 단점을 최소화하여 현실에 맞게 운영하려고 하는 경영자의 자세이다. 극장이라는 공간은 단순히 프로그램을 만들고 그것으로 수익을 창출해 내는 그런 의미만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다. 극장은 문화 복지 실현의 장으로써 우리 삶의 한 부분으로 자리 매김을 해야 하는 것이다. 극장이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국가의 합리적인 지원책을 통한 활성화와 극장장의 경영자세 및 전문화된 인력 충원과 관객의 관심이 있어야 한다.

      • 조선후기 양반의 백의풍습(白衣風習) 인식에 관한 연구

        최지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Koreans identify themselves with the term, White-Clad Nation, even as today wear clothing with diverse colors. Instead of the usual studies on chronological investigations and costume aesthetics of the White Clothes Phenomenon, this study focused to delve into the cognizance of white clothes through the eyes of a person from the Joseon Dynasty, and look into the background behind the cognizance. The awareness that existed during the Joseon Dynasty have passed down to the current Korean generation, and has become a part of traditional Korean culture. So this study anticipated that studying the people who lived during the Joseon Dynasty would help Koreans today to become more aware of the role that white clothes played in traditional Korean clothing. Literature was the main source of research material in investigating this cognizance, and the study focused on the late Joseon Dynasty due to most of the existing literature being from this period. The yangban(noblemen) wrote most of the literature during this period, and they were considered to be the opinion leaders, so the study decided to analyze the yangban, and their understanding of the white clothes. The understanding of white clothes can be categorized broadly into the following: tradition from the Gija Joseon period(箕子遺習), mourning clothes(喪服), multi-functional clothes(吉凶通服), plain clothes(儉素服) and customs(慣習). Gija Joseon seem unfamiliar today, but Gija(箕子) was revered by the Joseon people, and was regarded as a messenger to an advanced culture during the Joseon Dynasty. Records show that the color that Shang(商) dynasty revered was white. Based on this evidence, it is believed that Gija, who was part of the Shang royalty, brought the white clothes tradition to Joseon. Socially, a “China is better” sentiment(慕華思想) existed, and this helped in the people accepting the white clothes in a positive manner. After King Jungjong’s reign(1506~1544), the study of courtesy(禮學) began to intensify in Joseon, and the mourning clothes is closely related to this study. The study identified the observance of courtesy(禮) and mourning clothes system(服制), which were main ideologies of Confucianism. The study emphasized the mourning clothes system, as it considered the extended wearing of mourning clothes as a desirable act. The occasion to wear the white mourning clothes increased due to the following social phenomena: an increase in popularity of ancestral rites led by the eldest son increased the number of adoptive sons, expansion of single-lineage village, increase in mortality rate due to high birth rate, and a ban on widows from getting re-married. White mourning clothes were wearable for condoler’s clothes and memorial clothes. It was necessary, as part of mourning clothes and funeral rites. When looking at the white clothes from the Gija Joseon tradition perspective, it was worn as regular daily wear as well as clothes worn during celebration rituals. Cloth was a valuable good, as it was even used to pay taxes. As the gap in wealth disparity became wider after the 18th century, white clothes could have been favored due to its multi-functional use. White clothes were viewed as simple clothes, which fit the ideology of frugality that Confucianism espoused. As the royal lineage continued, its ideologies, including the white clothes phenomenon, kept getting passed down as well. This culture became part of the Korean identity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However, white clothes have also been banned many times, as it has sometimes been deemed inappropriate for everyday wear or not in accordance with mourning clothes and the five elements theory(五行說). But through it all, white clothes survived due to its diverse advantages over other clothes, and it being a fixture in the Korean culture. The white clothes phenomen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had already become an old-time tradition as well as a general custom. People of all classes and wealth wore white clothes. The formation and preservation of this custom was important in maintaining the national identity. This could be seen when the white clothes phenomenon was strongly chastised by Japan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as they wanted to change the ideologies of the Koreans after the fall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Great Han Empire. However, white clothes became popular through many years due to its many merits, such as the country’s affinity towards China and Gija, the ideals of frugality that Confucianism espoused, economic hardships, and its multi-functional use. Putting together the different perceptions that the yangban had about the white clothes, we can infer that white clothes were like how we consider black clothes today. It is part of mourning clothes, but we also wear it for celebration rituals. It looks simple, yet it can be presented in a sophisticated manner. It was highly practical and safe. The role that white clothes had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can be seen with black clothes today. The reason for the overabundance of research on the white clothes phenomenon after the Japanese Occupation can be found in its symbolism. It was well established that white clothes symbolized the late Joseon Dynasty clothing, and it also symbolized the traditional Korean culture, which stood against the new Western culture that was introduced into the country after the opening of the port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white clothes naturally became connected with the Korean ethnicity. As Japan actively banned the practice of wearing white clothes, this connection became even more magnified. Traditional culture and awareness of one’s ethnic identity was closely related. The arguments for and against this connection were hotly debated. This was also reflected in the researches on the white clothes phenomenon. The topics of white clothes in relation to mourning clothes and poverty was a sensitive issue in precedent opinions, and is closely related to the viewpoints of the later generations who saw white clothes as a source of shame. However, observing the mourning clothes tradition was emphasized, and wearing mourning clothes was necessary in observance of courtesy. Confucian scholars endlessly emphasized respect for simplicity and rejection of extravagance. The standard ideals of the times were not based on materialism. Researches on the Gija Joseon customs became scarce after the Japanese Occupation, as its awareness and place in history decreased significantly. There was a sudden change in the Korean society regarding advanced culture. China was no longer the focal point, as Korea turned its attention towards the Western culture. Confucianism also stepped down from its role as the national ideology. These changes resulted in the rejection of these ideas by the later generations. However, the white clothes phenomenon is still part of traditional Korean culture and history, even if the later generations do not have full appreciation for it. The white clothes phenomenon, which was considered to be part of the five elements or feng shui theory(風水說) during the late Goryeo Dynasty, was regarded as part of Gija and mourning clothes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This shows that perceptions of clothing changes along with the ideologies of the times. Clothing is the main reflection of a culture at a specific time. The more common the white clothes were, the more the national ideology was reflected in the perceptions of white clothes. Even when considering a custom that has withstood the test of time within the same ethnic group, the way it is viewed by the people might change depending on the generation. A classic example of this in traditional Korean clothing is the white cloth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hopefully be used to provide better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Korean costume. 현대 한국인은 다양한 색상의 옷을 착용하면서도 ‘백의민족(白衣民族)’을 한민족의 별칭으로 인식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백의론에서 주 관심사였던 백의풍습 원인의 통사적 규명과 복식미 분석 보다는 조선시대 인물이 당대인의 입장에서 백의를 어떻게 인식하였는지, 각 인식에는 어떤 배경이 있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조선시대 인식이 전승되어 현재의 우리에게는 전통문화가 되었다. 따라서 당대인의 인식 고찰이, 현대에는 전통복식문화가 된 백의를 구체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기대하였다. 인식을 살펴볼 수 있는 주 자료가 문헌이므로, 대상시기는 현존 문헌이 집중된 조선후기로 설정하였다. 문헌 작성 계층이 대부분 양반이고, 이들이 여론주도층으로도 의미가 있다고 생각하여 조선후기 문헌자료를 중심으로 백의에 대한 양반의 인식을 살펴보았다. 백의인식은 크게 기자유습(箕子遺習), 상복(喪服), 길흉통복(吉凶通服) 및 검소복(儉素服), 관습(慣習)으로 분류할 수 있다. 기자유습은 현재에는 매우 낯설지만 조선시대에는 선진문화의 전달자로 국가차원의 존숭을 받았던 기자(箕子)와 관련 있다. 당시에는 중국 상나라가 국색(國色)으로 백색을 숭상하였다는 기록을 근거로, 상나라 왕족인 기자가 백의문화를 조선에 전파하였다고 인식하였다. 사회적 분위기인 모화사상(慕華思想)의 영향으로 기자유습은 백의를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근거가 되었다. 상복은 중종연간 이후 심화된 예학과 관련 깊다. 성리학에서 중시하는 관념인 예(禮) 실현과 복제(服制) 준행을 동일시하고, 복제를 강조하면서 상복착용기간 장기화를 바람직하게 생각하는 인식이 나타났다. 장남 중심의 제사제도 보편화에 따른 양자(養子) 증가, 동성촌락 확대, 다산다사(多産多死)에 따른 높은 사망률, 과부(寡婦) 재가금지 등의 사회현상도 상복․조문복․추모복 등의 다양한 용도로 백의를 착용하는 경우를 증가시켰다. 백의는 상장례와 관련된 흉복(凶服)으로 꼭 필요한 옷이었다. 한편으로 기자유습과 연결하면 일상생활이나 경사에도 입을 수 있는 길복(吉服)으로 인정되었다. 세금 납부수단이 옷감일 정도로 의복재료가 중요한 재화인 시대였고, 18세기 이후에는 빈부격차가 커지면서 백의에서 길흉통복이라는 다기능성은 큰 장점이 되었다. 백색의 소박한 이미지는 검소를 숭상하는 성리학 이념에도 잘 부합하였다. 여기에 오랜 기간 동안 동일 왕통과 주도 이념이 계승되면서 백의풍습은 관습으로 굳어지고, 국내외에서 조선복식의 특색으로 인식되었다. 백의는 상복의 일상화나 오행설(五行說)에 부합하지 않다는 이유로 수차례 금지되었지만, 다양한 이점이 있고 관습으로 굳어진 풍습을 변혁하기는 쉽지 않았다. 조선후기 백의풍습은 오래되었을 뿐 아니라 전반적인 풍습이라는 특징도 강하다. 빈부귀천을 막론하고 백의를 입었다. 조선왕조와 대한제국이 무너지고 주도 이념이 급변한 일제강점기에 백의풍습이 거세게 비난되었듯이, 백의풍습 형성과 유지에 관습은 중요한 요소였다. 그러나 모화사상과 부합하는 기자유습 인식, 성리학에서 강조한 복제와 검소를 중시하는 인식, 어려운 경제사정과 길흉통복이라는 장점이 모두 있었기에 오랜 기간 동안 많은 사람에게 백의가 유행할 수 있었다. 백의에 대한 조선후기 양반의 인식을 종합하면, 당시에 백의는 지금의 검은색 옷과 유사하였다. 흉복이라는 이미지가 있지만 경사에도 입을 수 있었다. 검소하지만 세련되게 연출할 수도 있었다. 활용도가 높은 무난한 옷이었다. 조선후기에 백의가 가졌던 주요 의미를 현재는 검은색 옷에서 볼 수 있다. 일제강점기 이후에 백의론이 과열된 배경은 백의의 상징성과 관련 깊다. 백의가 조선후기에 조선복식의 특색으로 정착되었으므로, 백의는 개항 이후에 신문명인 서양문화와 대립하는 전통문화를 상징하였다. 일제강점기에는 자연스럽게 민족성과 연결되었고, 일본측이 적극적으로 백의금지를 실행하면서 민족성은 더욱 부각되었다. 전통문화와 민족성 인식은 현실과 밀접한 주제였고 찬반논쟁은 격렬하였다. 백의론에도 이러한 분위기가 반영될 수밖에 없었다. 기존 백의론에서 백의와 상복, 또는 가난의 관련 여부가 민감한 문제였던 이유는 이 부분을 부끄러워한 후대 인식과 관련 있다. 그러나 조선후기에는 복제 준행이 매우 중요하였고, 상복은 예 실현을 위한 필수품이었다. 유학자들은 검소숭상과 사치배격을 끊임없이 강조하였다. 당시 사회의 기본 이상향은 물질가치에 있지 않았다. 기자유습 인식은 일제강점기 이후 기자의 역사적 입지가 급격하게 약화되면서, 선행연구의 주목을 받지 못하였다. 사회에서 중시하는 선진문명이 중화문화에서 서양문화로 급격하게 변화하고, 성리학이 국가 이념에서 물러나면서, 조선시대에 무엇보다 중시하였던 관념이 후대에는 부정하고 싶은 대상까지 되었다. 그러나, 후대인에게 만족스럽지 못한 백의인식이라도 전통문화이자 우리 역사의 한 부분이다. 백의풍습이 고려후기에는 오행설이나 풍수설로 해석되다가, 조선후기에는 기자와 상복이라는 큰 줄기로 해석되는 현상은 주도 이념에 따른 복식 인식 변화를 잘 보여준다. 복식은 문화를 반영하는 주요 매체이므로, 백의가 전반적으로 유행한 시기일수록 백의인식에는 주도 이념이 강하게 반영되었다. 역사에 관심을 가지고 그 지식을 습득하는 주체는 ‘현재’를 살고 있는 후대 사람이다. 따라서 지식을 해석하고 기억할 때, 본인이 속한 현재의 사회관습에서 완전히 자유롭지 못하다. 동일한 민족이 오랜 기간 동안 지속한 동일한 풍습이라도 다른 인식이 가능하며, 한국복식문화에서는 백의가 대표 사례이다. 백의풍습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어, 전통복식문화에 대한 관점이 넓어지기를 기대한다.

      • 사회연결망분석을 통한 중등사회과 교사 간의 상호교류 실태 분석

        최지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중등사회과(지리) 교사들 간의 관계적 속성을 사회연결망분석(social network analysis, SNA)으로 알아보고, 교사들 간의 상호교류 실태를 파악하여 이들의 비공식적인 네트워크 구성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공식적 관계에서 친밀도가 높아질수록 연결망 다이어그램의 패턴은 어떻게 변화하는가? 둘째, 발신 · 수신 · 매개중심성 지수가 높은 교사들은 어떠한 특징을 갖고 있는가? 셋째, 발신·수신·매개중심성이 고립점에 해당하는 교사들은 어떠한 특징을 갖고 있는가? 논문의 분석대상은 인천광역시에 있는 인문계 공립 고등학교의 사회과(지리)교사들을 선정하였다. 연구대상 학교의 지리교사들을 상대로 설문지 조사와 전화통화 및 인터뷰를 병행하였다. 설문지는 기존 연결망 분석연구 논문에 사용 되었던 질문지를 토대로 연구자가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설문지 조사는 2006년과 2011년에 실시하였으며, 연결망 분석은 Ucinet을 사용하였다. 전화통화 및 면대면 인터뷰는 분석결과에 대한 해석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다수의 연구대상 교사들과 전화통화 및 5명의 지리교사와 면대면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교사 간 사회연결망 분석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친밀도가 높아질수록 소수의 교사들 간에만 교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2006년 발신 · 수신 · 매개중심성 지수가 높은 교사의 특징 중에서 성별은 큰 차이가 없었다. 다만 교사의 교육경력이 10년 미만, 특정대학 출신으로 연대 활동을 주도하거나 학교 외부에서 다른 형태의 모임을 가지며 정보를 교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1년은 교육경력 10년 이상의 남자교사 비중이 높았고, 출신대학의 영향은 적었다. 즉, 젊은 교사들의 활동은 거의 많지 않았고, 같은 대학 출신의 교사들끼리도 거의 연대활동이나 모임을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립점에 해당하는 교사의 특징은 2006년과 2011년 모두 성별은 여자교사의 비중이 높았고, 출신대학의 영향은 없었다. 그러나 교육경력면에서는 2006년에는 10년 이상, 2011년에는 10년 미만 교사들의 비중이 높았음을 알 수 있다. 2011년 비공식적 형태의 교사들 간 연결망은 2006년에 비해 많이 느슨해지고 교류가 줄어든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지식정보화 사회발전의 영향을 통해 비공식적 연결망의 정보교류와 유대활동에 대한 구성 형태가 웹기반으로 옮겨진 것이 큰 원인 중의 하나인 것을 인터뷰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연결망 분석에 적절함을 위해 수도권 전체 지리 교사를 대상으로 하지 못하고, 인천시 인문계 공립 고등학교 지리 교사만을 연구범위로 한 대표성의 결여와 사회연결망의 측정도구로 유시넷(Ucinet) 외에 넷마이너(NetMiner), 크랙플롯(Krackpolt) 등을 같이 사용하여 좀 더 유의미한 결론을 도출하지 못한 점이다. 또한 2006년과 2011년 연결망 분석에서 도출되는 차이점에 대한 구체적인 원인과 향후 대책에 대해 다루지 못했다. 차이점에 대한 원인과 대책에 대해서는 좀 더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나 단일 교과의 중등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결망 분석이 처음으로 시도되어졌다는 점과 교사들의 발신자 · 수신자 · 매개자의 특징 및 고립점 교사의 특징을 찾아내 교사 간 협력방안 연구와 효과적인 질적 향상 지원방안 연구에 기초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본다. This study has a purpose of examining the rel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teachers of social studies (geography) in secondary school by social network analysis (SNA) to know the interaction status among them and the organization of their informal network. To achieve the purpose, the study will investigate the following research issues; First, how does the pattern of the network diagram develop as teachers gets closer each other in the informal network environment? Second, what characteristics do the teachers of high sending, receiving, and betweenness-centrality have? Third, what characteristics do the teachers of isolated point of sending, receiving, and betweenness-centrality have? The study chose the samples from the teachers of social studies (geography) of public high schools of humanities division in Inchon metropolitan city. They were surveyed by questionnaire, telephone, and face-to-face interview. The questionnaire was reorganized by the researcher on the basis of the existing ones of SNA literatures. The survey was conducted in 2006 and 2011. Ucient was chosen for SNA. To supplement the interpretative limitation of study results, numbers of the teachers were phone-interviewed and 5 teachers were personally interviewed. The study suggested the flowing summary of the study results. The closer the teachers were each other, the fewer number of the teachers were interactiv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x among the teachers who had high index of sending, receiving, and betweenness-centrality in the samples of 2006. Only those who had teaching experience of less than 10 years and graduated from certain universities led allied activities, shared information, and participated in meetings outside the schools. Compared in 2006, the samples of 2011 showed the numbers of male teachers with teaching experience of more than 10 years were greater and the graduation of certain universities had less influence. It signifies that the younger teachers didn’t do much interactive activities and even the teachers who graduated from the same universities didn’t have allied activities or meetings. It turned out in the analysis with both 2006 and 2011 samples that more female teachers lied in isolated point than male teachers and no influence of the graduation from the same university. However, there was difference in the length of teaching experience; teachers with more than 10 year experience in 2006 and those with less than 10 year experience had greater portion in each of the total samples. The informal network of the teachers was looser and less interactive in 2011 than 2006. The very reason was found in the interviews that the social development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shifted the organization of the informal network of the teachers for information sharing and relationship building activities to a web-base. This study has the limitation in the sampling coverage. It didn’t cover the entire city but only chose the samples from the public high schools. Therefore, the study results can’t be generalized. Also, there are many other measuring tools (NetMiner and Krackpolt ) for SNA but only Ucinet was used. Therefore, there was some limitation to the significance of the conclusion. In addition, this study didn’t investigate the reasons for the difference in the results from SNA of 2006 and 2011and didn’t suggest a future plan. I believe that the difference and the future plan should be studied more deeply. However,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was the first attempted SNA for the teachers of a single subject in secondary high school. Also, it deserves some importance in that it figured out the characteristics of sender, receiver and mediator among teachers as well as of those teachers in isolated point, so that it provided a base data for the research of cooperative measures of teachers and supportive methods for its (social network) development.

      • 여자대학생의 식습관 및 영양섭취 상태와 골밀도와의 관련성 연구

        최지희 순천향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우리나라 20대의 여성들의 경우, 체중조절을 위한 무리한 다이어트, 잦은 결식, 운동부족 및 칼슘섭취부족 등의 다양한 요인으로 20대에 최대 골질량을 획득하기 어려운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중년 이후, 특히 폐경기 이후에 심각한 골다공증으로 이어져 작은 충격에도 쉽게 골절이 일어나게 되며, 이는 노년기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년기인 20대 여대생의 식습관 및 영양섭취 상태와 골밀도와의 관련성을 연구하여 이 분야 연구에 기초자료를 얻고자 계획하였다. 총 연구대상자는 102명으로 평균 연령은 21.43±1.96세였으며, 골격의 건강 상태는 WHO에서 분류한 T값에 따라, -2.5이하를 골다공증(n=2), -2.5~-1을 골감소증(n=41), -1이상은 정상(n=59)으로 분류한 후, 결과분석은 정상군(n=59)과 골질환군(골감소증+골다공증, n=43)의 두 군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신체계측 결과치를 비교한 결과, 두 군 간에 체중, 체단백질, 무기질, 체수분, 근육량, 제지방량, 골격근량에서 유의적으로 차이(p<0.05)가 나타났다. 또한, 골밀도를 판정하는 T-score 값은 전체대상자에서는 -0.88로, 정상군과 골질환군에서는 각각 -0.42와 -1.52로 나타났으며, 두 군 간에 유의적으로(p<0.001)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들의 식사습관을 조사한 결과에서는 본 연구의 대상자들은 전체적으로 식사섭취상태가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상군에서는 각 문항 중에서 해조류의 섭취에 대하여 가장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골질환군에서는 운동을 하는 것에 가장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군별 식품섭취량 및 섭취빈도에서는, 정상군과 골질환군에서 두 군 간에 유의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우유의 섭취횟수(p<0.05)에서 유의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너지 섭취량(1539.70±356.05kcal)은 같은 연령대의 한국인영양섭취기준(KDRIs)과 비교하였을 때, 73%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 그러나 Carbo : Pro : Fat의 비율은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의 에너지 적정비율과 비교하였을 때 유사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무기질을 제외한 영양소 섭취상태에서는 정상군과 골질환군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무기질 섭취 상태를 KDRIs와 비교하였을 때, 칼슘은 매우 부족한 수준이었으며, 인은 다소 높은 수준이었고, 나트륨은 매우 높은 수준이었다. 칼륨은 매우 부족한 수준이었으며, 아연과 마그네슘 또한 다소 부족하게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칼슘과 인, 칼슘과 마그네슘의 섭취비율을 보면, 전체 대상자의 칼슘과 인의 비율이 1 : 1.94로 칼슘과 마그네슘의 섭취비율은 1 : 0.54로 나타났으며, 정상군과 골질환군도 이와 유사한 수준이었다. 본 대상자들의 무기질 섭취상태에서 정상군과 골질환군에서는 서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체중1㎏당 칼슘의 섭취량을 비교해 보았을 때에는, 두 군이 비슷하게 섭취하였으나, 정상군에 비하여 골질환군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다. 또한 체중 1㎏당 나트륨의 섭취량을 보면 역시 정상군에 비하여 골질환군에서 높게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score와 유의적으로 관련이 있는 인자로는 정상군의 경우, 체중(p<0.001), 체단백질(p<0.01), 체지방량(p<0.01), 무기질(p<0.01), 체수분(p<0.01), 근육량(p<0.01), 제지방량(p<0.01), WHR(p<0.05), BMI(p<0.01), 골격근량(p<0.01), 허리둘레(p<0.01), 엉덩이둘레(p<0.01)에서 유의적으로 이들의 값이 높을수록 골격건강에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섭취빈도에서는 전체 대상자에서 우유 및 유제품 섭취 횟수 (p<0.05)가 많을수록 유의적으로 골격건강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골질환군에서는 두류와 조미료류에서 음의 관련성(p<0.05)을 나타내었다. 영양소 섭취량과 골밀도(T-score)와의 관련성을 살펴보면, 골질환군의 대상자들에게서 티아민, 칼슘, 인, 나트륨, 칼륨, 아연에서 음의 상관관계(p<0.05)를 나타내었다. 1㎏당 영양소 섭취량과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에서는 전체 대상자에서 단백질, 인, 나트륨과 음의 상관관계(p<0.05)를 나타내어 이들의 값이 낮을 수록 골격건강에 좋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20대 여자 대학생들의 골격 건강상태는 전반적으로, 양호하지 않은 것으로 사료되며, 골격건강과 관련하여 단백질과 칼슘, 인,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의 무기질이 영향을 많이 주는 것으로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영양소들은 섭취량뿐만 아니라 무기질의 경우 무기질간의 섭취비율도 매우 중요한 것으로 생각이 된다. 특히 나트륨섭취가 많은 경우 칼슘의 배설도 늘어나, 이와 관련된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생각이 되었고, 앞으로 이 분야에 대한 연구를 계속해야할 필요성을 느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dietary habits & nutrient intakes with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 female college students.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alysis of dietary intakes and bone mineral density of calcaneus using ultrasound bone densitometer were conducted. Anthropometric measurements were taken for body weight, percentage of body fat, circumferences of waist and hip, body mass index ets. Dietary intakes were by means of a 24-hr recall method with food model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average age, height, weight, % body fat, WHR, and BMI of the subjects were 21.43 years, 161.25㎝, 56.05㎏, 31.00%, 0.82, 21.53 respectively. Each anthropometric value was higher in normal group more than osteopenia group. The T-score of the subjects were -0.88 in total group. The T-score of the subjects were -0.42 in normal group, and -1.52 in osteopenia group. The T-score was higher in normal group more than osteopenia group. Mean daily energy, protein and lipid intakes were 1539.70㎉, 60.71g, 45.38g, respectively. Each nutrient intake, compared to the seventh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for Korean, was as follows ; Calorie 73%, protein 136% vitamin A 104%, vitamin B1 92%, vitamin B2 82%, niacin 94%, vitamin C 73%, calcium 66%, phosphorus 122%, sodium 256%, potassium 45%, iron 80%, magnesium 85%, zinc 88%. Correlation of the T-score and anthropometric parameters was weight, PM, BFM, MM, TBW, SLM, FFM WHR, BMI, SMM in normal group. Bu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T-score and anthropometric parameters in osteopenia group. There was correlation between the T-score and nutrition intake. These results thought is not good, and regarding frame health, could confirm that protein, calcium, phosphorus, sodium, potassium, magnesium influence much. Therefore, we are thought by something to need study connected with this continuously.

      • 耆英會圖에 나타난 16세기 조선시대 복식에 관한 연구

        최지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기영회도(耆英會圖)」 (1584,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에 나타난 복식을 중심으로 임진왜란 전인 16세기 조선시대 복식을 살펴본 것이다. 이 시기는 조선왕조가 건국초기의 혼란기를 거쳐서, 15세기 후반에 정비한 문물제도를 적용하였던 시대에 해당한다. 조정(朝廷)에서는 각 계급별로 복식(服飾)에 차별을 두면서도, 전체적으로는 통일된 복식양상이 나타나는 것에 중요성을 두었고, 사치를 억제하기 위하여 많은 금제(禁制)를 시행하였다. 그러나 복식은 시대와 착용자에 따라서 계속 변화하므로, 규정의 시행여부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규정과 함께 실제 착용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문헌과 시각자료인 기록화 · 풍속화 · 유물 등을 통하여 임진왜란 전인 16세기 조선시대 복식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중심자료인 「기영회도」 에는 상급관리 · 하급관리 · 남자 시종 · 악인(樂人) · 의녀(醫女) · 여기(女妓) 등이 한 화면에 등장하므로, 각각의 신분과 역할에 따라서 다양한 복식이 나타난다. 남자들은 정1품 관리에서 시종까지 서열(序列)이 나누어지는 다양한 계층(階層)이 등장하며, 계층간에 차별성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대표적인 품목은 수식(首飾)이다. 품계가 있는 관리와 품계가 없는 아전(衙前)은 각각 사모(紗帽)와 평정건(平項巾)으로 등급을 표시하였고, 악인(樂人)의 경우에도 의복은 서로 유사하더라도 그 중에서 품계가 높은 악사(樂師)는 사모, 품계가 낮은 악공(樂工)은 두건(頭巾) 또는 흑립 등으로 수식(首飾)을 구분하였다. 따라서 사모(紗帽)는 평정건 · 두건 · 흑립보다 높은 지위를 상징하는 수식(首飾)이었다. 또한 상급아전인 녹사(錄事)는 유각평정건(有角平頂巾), 하급아전인 서리(書吏)는 무각평정건(無角平頂巾)을 착용하였으므로, 각(角: 뿔)이 신분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대(帶)도 신분별로 서대(犀帶) · 금대(金帶) · 각대(角帶) · 조아(條兒) 등으로 차이를 두었다. 따라서 당시에 수식(首飾)과 대(帶)는 복식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품목이었다. 특히 입자(笠子)는 유행에 민감하여서, 16세기의 기본형태는 모정(帽頂)에 평평한 부분이 없거나 조선후기처럼 넓지 않고 대(臺)의 옆선이 완만한 곡선을 이루는 것이었지만, 대(臺)의 높이 · 양태의 넓이 등은 유행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화하였다. 또한 긴 소매[長袖] 의복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서, 조정(朝廷)에서는 신분별로 소매길이를 제한하였으나 이러한 유행은 서민층에까지 계속되었다. 『경국대전(經國大典)』의 관복규정도 실제 착용상과는 차이가 있어서, 『경국대전』에 명칭이 언급된 조복 · 제복 · 공복 · 상복 외에 시복(時服)도 착용되었다. 16세기에 시복은 조선후기 문헌에 홍색으로 나타난 것과는 달리 흑색계통이었으며, 홍색은 상복(常服)의 색상으로 사용하였다. 당상관과 당하관이 모두 홍색을 상복으로 삼았는데, 『경국대전』에서 품계별로 흉배의 등급을 구분한 것과는 달리, 16세기에는 상복에 흉배를 착용하는 경우가 많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상복의 등급은 흉배보다는 의복소재(衣服素材)에 따라서 구분되었다. 신분에 따라서 소재를 구분하는 것은 다른 품목에도 해당되어서, 입자(笠子)의 경우 조선후기의 속설(俗說)과는 달리 서민(庶民)도 흑립을 착용하였지만, 흑립 중에서도 종립( 笠) · 마미립(馬尾笠) 등으로 고급소재를 사용한 것은 조사(朝士) 또는 당상관만이 착용만 수 있었다. 입영(笠纓)과 정자(頂子)도 신분별로 소재에 차등(差等)을 두었던 대표적인 품목이었다. 「기영회도」에 나타나는 여자들은 크게 의녀와 여기(女妓)로 구분된다. 여자들의 상의(上衣)는 각각의 신분별로 기본형태와 색상이 유사한 반면, 하의(下衣)는 담홍색 · 적색 · 청록색 · 황색 등으로 개인별 색상이 다양하다. 의녀복식은 가리마(加里 )와 남색 저고리, 여기복식(女妓服飾)은 높이 올린 머리모양과 황색의(黃色依)가 특징으로 나타난다. 의녀의 가리마와 여기(女妓)의 황색의(黃色依)는 조선후기의 회화자료에도 나타나지만, 「기영회도」에 나타난 것과는 차이점이 있다. 「기영회도」 에 나타난 가리마는 머리카락 일부를 사용하여 머리에 고정하였으며, 황색의(黃色衣)는 앞자락이 거의 보이지 않고 뒷자락은 바닥에 끌릴 정도로 길이가 길다. 또한 「기영회도」에 나타난 여기(女妓)의 머리모양은 16 · 17세기 연회도(宴會圖) 이후에는 보이지 않으므로, 후대에 머리모양이 크게 변화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 외에 여기복식(女妓服飾)은 『악학궤범(樂學軌範)』 에서 자세하게 규정하였지만, 회화에는 『악학궤범』의 규정과 다른 형태로 나타나며 이것은 악인복식(樂人服飾)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으로 「기영회도」에 나타난 복식을 중심으로 임진왜란 전인 16세기 조선시대 복식을 살펴보았다. 먼저, 입자(笠子) · 포(砲) · 가리마 · 여기(女妓)의 황색의(黃色依)와 같이 조선후기까지 나타나는 품목이라도 16세기에는 다른 형태로 존재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신분사회였던 사회적 특성상 신분 · 역할별로 복식이 구분되지만, 「기영회도」에서 서민으로 추정되는 남자 시종(侍從)들의 흑립(黑笠)이나 포(砲)가 당시 양반들의 복식과 유사한 것과 같이, 사회계층 전반에 걸쳐서 나타나는 복식유행이 존재하였다. 이와 함께 본 연구의 대상시기가 15세기 후반에 편찬된 법전과 의례서(儀禮書) 등이 큰 변화 없이 적용될 시대였지만, 실제 복식양상에 있어서는 규정과 다르거나 규정에 나타난 것 외에 다양한 복식이 존재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처럼 임진왜란 전인 16세기 조선시대의 다양한 복식양상과 후대(後代)와의 차이점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며, 앞으로 다른 시대에 있어서도 당시의 규정과 실제 착용모습을 비교 · 고찰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This paper has examined the dress styles during the 16th century of the Chosun Dynasty, just before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rough painting-Kiyeonghoido. During this period the culture and system of the Chosun Dynasty were being settled. With regard to dress styles. the government emphasized costume norms between classes, general uniformity and restraint on luxury, and for this purpose, enforced many regulations and prohibitions. However, as dress styles changes over time, depending on the wearers, the regulations and prohibitions were applied in different ways at different times. Thus, to compare the regulations with actual apparels, the present paper examined the dress styles during the 16th century of the Chosun Dynasty through visual materials such as record pictures and genre pictures, and the literature and antique dress articles. The central painting, Kiyeonghoido depicts a court feast that was held for elders and ministers of the government, featuring, in the single screen, senior and junior officials, male chamberlains, musicians, female medical doctors and female entertainers. In the Chosun Period, dress style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representing the differences in social status. The picture describes, visually, the differences in dress styles between the classes. The most remarkable signs of social standing are the hair ornaments. Officials in ranks, noksas(higher petty officials), and seoris(lower petty officials) are wearing a samo(a sphere-shaped officials cap with a pair of wings on its sides), a yagakpyeongjeongeon(a flat-topped official cap with a pair of wings on its sides) and a mugakpyeongjeongeon(a flat-topped official cap without wings on its sides) respectively. The head ornament for musicians in high ranks is a samo, and, for those in low ranks a hood or a heuklip(black hat). A belt was also used to indicate the wearer's social standing. Accordingly, head ornaments and belts were important articles among apparels, and especially ripja(hat) was an article that sensitively reflected the contemporary fashion. Such a trend also influenced the common people's styles of dress. Thus, the style of the heuklip worn by the chamberlain in Kiyeonghoido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at of a yangan(nobleman). Long sleeves were preferred in the 16th century. Therefore, despite prohibitive regulations on sleeve length according to classes, the fashion was popular even among common people. Actual official uniforms also diverged from the specifications for them. Sangboks(on of official uniforms) were red for both dangsanggwans(higher officials) and danghagwangs(lower officials), but their ranks were marked by the material of their dress rather than by the breast plates(officials attached two breast plates, which had different patterns according to their ranks, on their sangboks, one in the front and the other in the back). Class distinctions by materials were also applied to ripja and ripyeong(an ornament hanging down from a ripja). The classed of women appearing in Kiyeonghoido are female medical doctors and female entertainers. The female medical doctors wear Garima and deep blue Jeogoris(Korean-style jackets), different from the female entertainers who tie their hair up on top of their head and wear yellow long coats. The dress of the female entertainers deviates from the corresponding regulations in musical documents. This is the same for the dress of the musicians. The female medical doctors' Garima is a square-shaped head ornament made of thin cloth. Along with the female entertainers' yellow coat, it had changed in its shape until the late Chosun Dynasty. However, the hair style worn by the female entertainers in Kiyeonghoido is similar to those appearing in feast paintings i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Thus, it is considered that hair styles had changed significantly only in later years of the Chosun Period. Their upper garments carry basically the same style, but are colored differently, and their lower garments are individually various in colors including pink, red, bluish green and yellow. In Kiyoenghoido, women's dresses are in various colors, while men's dresses are in plain colors such as white and pink. Individual differences in men's apparels appear in the diversity of their shapes such as the width, the length and the mouth of sleeves. Dress regulations and actual dress styles during the 16th century of the Chosun Dynasty, just before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have been examined as described above, Dress styles change over time as the society members influence and are influenced by each other. Therefore, owing to the social characteristics of a hierarchical society, dress styles are distinctive according to the wearers' social standings and roles, and various dress styles emerge that deviate from regulations. The significance of the present paper is to review the diversity of the dress styles during the 16th century of the Chosun Dynasty.

      • 明代 徽州 商人과 典當

        최지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本文&#23545;明代徽商&#32463;&#33829;的典&#24403;&#19994;的背景以及&#36816;&#33829;的特点&#36827;行了&#30740;究。在基本&#30740;究中同明代徽商的典&#24403;&#19994;&#21457;展的特殊性相比,明·&#28165;&#26102;代的典&#24403;&#19994;更&#20391;重于&#25968;量和&#36164;本的增加.但是&#38024;&#23545;徽商的典&#24403;&#26102;的特点和徽商的特征的&#30740;究略&#26174;不足。 徽商&#32463;&#33829;典&#24403;&#19994;是由于明朝商品&#32463;&#27982;的&#21457;展和社&#20250;的不&#31283;定情&#20917;&#23548;致典&#24403;需求的激增而出&#29616;的。商品&#32463;&#27982;的&#21457;展&#23548;致城市的&#21457;展和商人&#25968;量的增加以及白&#38134;使用的&#25193;大。而此&#26102;典&#24403;&#19994;是白&#38134;的主要供&#32473;渠道。&#21478;外明朝中期以后的倭寇入侵,苛捐重&#31246;以及&#27668;候&#21464;化等因素使社&#20250;上的流民增加。但是明朝无法&#23454;行有效的社&#20250;救&#27982;措施。特&#21035;是成化年&#38388;以后的明朝救&#27982;&#28798;荒的政策&#23548;致了明朝&#32479;治走向瓦解。自然&#28798;害以及&#39269;荒年&#26102;&#22269;家&#23545;&#24212;能力不足&#20174;而使民&#20247;自&#35851;生路。其中的一&#20010;生存手段就是通&#36807;典&#24403;物品&#33719;得相&#24212;的&#36135;&#24065;。 &#36825;&#31181;情&#20917;的出&#29616;&#23548;致了明代典&#24403;的需求激增以及&#25968;量的增加。明代以前典&#24403;&#19994;是由&#22269;家&#32463;&#33829;的&#22269;&#33829;典&#24403;和寺院&#36816;&#33829;的寺院典&#24403;占据主要地位,而到了明代只剩下民&#38388;典&#24403;一&#31181;&#32463;&#33829;方式。其中以徽商的典&#24403;&#32463;&#33829;活&#21160;尤&#20026;突出。 &#20174;客商的立&#22330;上考&#34385;,&#19982;高利&#36151;的投机相比徽商更&#20542;向于&#32463;&#33829;典&#24403;&#19994;。而其他地&#21306;的商人&#21017;&#20542;向于&#23545;土地和其他行&#19994;的直接&#36164;本投&#36164;。由于弘治7年(1494年)朝廷&#24320;始追加徽州的地&#31246;以及嘉靖年以后&#36171;&#31246;的大幅增加&#23548;致了和土地投&#36164;相比徽商更&#20542;向于在典&#24403;&#19994;中的投&#36164;。 &#32463;&#33829;典&#24403;&#19994;一般需要大量的&#36164;金,于是徽商便通&#36807;宗族的&#36164;金或者宗族&#38388;的&#36164;本&#32467;合的方式&#26469;准&#22791;好&#32463;&#33829;典&#24403;&#19994;所需要的&#36164;金。徽商特定的族籍&#20851;系和宗族性&#23545;商&#19994;&#36164;本的准&#22791;有巨大的影&#21709;。在&#36164;本准&#22791;&#36807;程中有借用祠&#38134;和宗族共同&#36130;&#20135;的情&#20917;存在,其次中小&#36164;本共同投&#36164;主要有合&#36164;或者&#39046;本,合&#20249;等方式。&#36825;些合&#36164;,&#39046;本和合&#20249;等方式在&#36164;本的所有&#26435;和&#32463;&#33829;&#26435;的分化&#36807;程可以看到,而&#20174;&#36164;本家和&#32463;&#33829;者的&#26435;利&#21464;化中也可以看出他&#20204;不是&#32463;&#27982;上的&#20174;&#23646;&#20851;系而是&#23545;等的&#20851;系。徽商的通&#36807;&#36164;本&#32467;合方式使地&#32536;和血&#32536;&#20851;系更加强化,也更加促&#36827;了商&#24110;的&#32467;束。 徽商&#32463;&#33829;的典&#24403;有以下&#20960;&#20010;特点,第一是&#24403;&#38138;的分布,第二是典&#24403;&#19994;和&#30416;&#19994;的&#32467;合,第三是低利率。徽商的典&#24403;&#19994;是以&#36816;河和水路&#20026;中心延伸,&#36825;些地&#21306;是&#24403;&#26102;物流的中心&#24182;且同&#26102;也是徽商活&#21160;的地&#21306;。徽商在人和物&#36164;聚集的城市中集中&#24320;展&#32463;&#33829;典&#24403;&#19994;,而典&#24403;&#19994;的分布和其商&#19994;活&#21160;地&#21306;相重&#21472;可以看作是&#23545;商&#19994;活&#21160;和&#32463;&#33829;典&#24403;&#19994;的利益的考&#34385;。 而&#36825;&#31181;考&#34385;我&#20204;在典&#24403;&#19994;和&#30416;&#19994;的&#32467;合中可以&#21457;&#29616;.徽商在"&#24320;中法"&#21464;&#20026;"&#36816;司&#32435;&#30416;制"后&#24320;始&#21442;&#19982;&#30416;的&#36816;&#36755;。因&#20026;&#21334;&#30416;所得到的&#38108;&#38065;在向&#30416;&#36816;司&#32564;&#32435;&#26102;要&#20817;&#25442;成白&#38134;,所以典&#24403;&#19994;&#28385;足了&#30416;&#19994;&#23545;白&#38134;的需求。由此&#23548;致了&#30416;&#36816;司所在城市&#25196;州的&#24403;&#38138;&#25968;量大幅增加。通&#36807;徽商的典&#24403;&#19994;&#30830;保了&#31283;定的白&#38134;供&#32473;最&#32456;使以山西商人&#20026;主的&#30416;商得到了快速的&#21457;展。 &#20174;&#30416;&#19994;中&#33719;得成功的徽商&#21017;&#23558;更多的&#36164;本投入到典&#24403;&#19994;。&#36164;本的大量投入&#34429;然&#23548;致了&#24403;&#38138;迅激增却同&#26102;引&#21457;了利率的下降。明代的《大明律》中&#35268;定法定利率&#20026;3% ,但是同&#26102;徽商典&#24403;的利率始&#32456;&#32500;持在3%以下。徽商的低利率是由于其&#36164;本投入的增大所至所以相&#23545;于其他的典&#24403;商更具&#31454;&#20105;力。 明代的典&#24403;需求的激增和&#24403;&#38138;&#25968;量的增加以及徽州繁重的土地&#31246;&#36127;&#25285;&#20174;而使徽商同其他地&#21306;商人投&#36164;的方向不同而是&#31215;&#26497;的&#23558;&#36164;本投入典&#24403;&#19994;中。徽商&#24320;&#35774;&#24403;&#38138;及其&#32463;&#33829;&#24403;&#38138;所必需的&#36164;本是通&#36807;宗族&#20851;系&#20026;&#32445;&#24102;&#26469;解&#20915;的。而徽商在其商&#19994;活&#21160;的地&#21306;&#32463;&#33829;典&#24403;&#19994;,特&#21035;是&#23558;典&#24403;&#19994;和&#30416;&#19994;的&#32467;合而使&#30416;&#19994;&#32463;&#33829;也取得了成功。典&#24403;&#19994;的大量投&#36164;使得了徽商的&#24403;&#38138;的低利率&#20174;而最&#32456;形成了徽商&#32463;&#33829;的典&#24403;&#19994;繁盛的局面。 본고는 명대 휘주 상인이 전당을 운영하게 된 배경과 전당 운영의 특징을 살펴본 것이다. 기존 연구에서는 휘상의 전당을 명·청대에 걸쳐 서술하고, 전당 수와 자본의 증가에 대해 치우쳐 서술한 측면이 있었다. 때문에 명대라는 시기의 특수성과 휘상의 전당이 가지는 독특한 모습에 대한 고려가 부족했다는 점에 문제의식을 가지고 명대 휘상이 운영했던 전당의 모습을 살펴보고자 했다. 휘상이 전당을 운영하게 된 배경은 명대 상품경제의 발전과 사회의 불안정한 상황 때문에 전당의 수요가 급증했기 때문이었다. 상품경제의 발전은 도시의 번성과 상업화를 이끌어냈고 은의 사용을 확산시켰다. 이때 은을 공급해 줄 수 있는 곳의 하나가 전당이었다. 또한 명대는 중기 이후 왜구의 침입, 세금의 중압, 기후의 변화로 인한 흉작 등으로 인해 사회에서 유리되는 빈민들이 많아졌다. 그러나 명조는 사회 구제를 제대로 시행하지 못했다. 자연재해가 발생하거나 흉년이 들었을 때 국가의 대처 능력은 갈수록 떨어졌고 민은 사적인 방법에 의존해야 했다. 그리고 사적인 방법 중의 하나가 전당을 통해 필요한 돈이나 물건을 얻는 것이었다. 이러한 상황들로 인해 명대에는 전당의 수요가 급증하고 전당의 수 또한 늘어났다. 명대 이전만 하더라도 국가에서 운영하는 국영전당과 사원에서 운영하는 사원전당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지만 명대에는 오직 민간에서 운영하는 전당이 있을 뿐이었다. 그리고 그 중 휘상이 두드러진 활동을 하게 되었다. 휘상은 객상이라는 입장 때문에 고리대로 투기하는 것 보다는 전당 운영을 선호하였다. 다른 상인들은 토지나 기타 업종에 자본을 투자하는 경향이 강했다. 그러나 휘상은 弘治 7年(1494년)부터 휘주에 지세가 새롭게 부가되고 嘉靖 年間 부터는 잡다한 부가세도 급속히 증가하였기 때문에 토지에 자본을 투자하는 것보다 전당에 자본을 투자했다. 휘상의 특징인 족적 유대관계와 종족성은 상업 자본을 마련하는 데에도 영향을 미쳤다. 전당을 운영하는 데에는 보통 막대한 자본이 들었는데, 휘상은 종족의 자금 혹은 종족간의 자본 收合을 이용하여 전당 운영에 필요한 자금을 마련했다. 먼저 祠銀과 같은 종족의 공동 재산을 빌리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중소 자본을 공동 투자하기도 했는데 이는 주로 合資나 領本, 合&#20249; 등의 방식을 통해서였다. 合資, 領本, 合&#20249; 등의 방식은 자본의 소유권과 경영권의 분화과정, 자본가와 운영자의 권리 변화를 보여주고 있는데 점차 경제적 종속관계가 아닌 대등한 계약관계를 따르고 있다. 휘상은 자본 收合을 통해 지연과 혈연관계를 더욱 강화했고 商&#24171;의 결속도 공고히 하였다. 휘상 전당 운영의 특징은 첫째 전당의 분포, 둘째 전당과 鹽業의 兼業, 셋째 낮은 이자율의 세 가지 측면을 들 수 있다. 휘상의 전당은 운하 및 강줄기를 중심으로 퍼져있었다. 그 지역들은 당시 유통의 중심지였으며 대부분 휘주 상인의 활동지와 겹쳤다. 휘상은 주로 사람과 물자가 모이는 도시에 집중적으로 전당을 열었으며 전당의 분포가 상업 활동지역과 겹치는 것으로 보아 상업 활동과 전당 운영이라는 양자의 이익을 도모했다는 것을 짐작 할 수 있다. 그러한 모습을 염업과 전당의 겸업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휘상은 개중법이 運司納銀制로 개편된 이후 鹽의 운송에 참여하기 시작했다. 이때 鹽을 판매하여 얻은 동전을 鹽運司에 납부 가능한 은으로 환전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에 전당을 운영하여 은의 수요를 충당하고자 했다. 그 결과 염운사가 있었던 도시 揚州에 전당의 수가 증가했다. 휘상은 전당을 통해 안정적인 은의 공급을 확보할 수 있었고 결국 山西 商人을 제치고 주력한 염상으로 성장했다. 염상으로 성공한 휘상은 더욱 많은 자본을 전당에 투자하였다. 자본의 증가는 전당 수의 증가를 불러오기도 했지만 이자율의 하락에도 영향을 미쳤다. 명대에는『大明律』에서 법정이자율을 월 3%로 규정하였다. 그러나 법정이자율이 제대로 지켜지는 경우는 전당의 경우였고 그 중에서도 휘상의 전당은 3% 이하의 이자율을 유지했다. 휘상의 이자율이 낮았던 것은 전당에 투자되는 자본이 컸기 때문이고 이자율을 낮춤으로 인해 다른 전당에 비해 경쟁력을 갖출 수 있었다. 요약하자면, 명대에는 전당의 수요가 급증하고 전당의 수 또한 증가하였으며 휘주에 부과되는 토지세의 증가로 인한 부담 때문에 휘상은 기타 상인들과는 달리 전당에 적극적으로 자본을 투자하게 되었다. 다른 전당업 종사자들과는 달리, 휘상은 종족간의 자본의 收合을 통해 전당 운영에 필요한 자본을 마련하는 경향이 있었다. 휘상은 운하와 강 주변의 도시에 전당을 개설하고 兼營하여 자신들의 상업 활동에 이용하였다. 대표적으로 휘주 鹽商은 전당을 兼營하여 염업에서 성공을 거두었다. 또한 휘상은 전당의 이자율을 낮춰 경쟁력을 갖출 수 있었는데 전당에 투자된 막대한 자본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생각한다. 결국 휘상의 전당 운영에서 찾아 볼 수 있는 상업 활동과의 연계성은 휘상이 명대 대표적인 전당 상인으로 성공할 수 있었던 이유였고, 동시에 명대 전당업에서 찾아볼 수 있는 휘상 전당의 특징이라고 생각한다.

      • 정보통신기술(ICT) 산업의 아프리카 4개국 시장진출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최지희 성균관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정보통신기술 산업은 각 산업과의 융합이 쉽기 때문에 창조경제 시대에서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내는 신성장 동력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에 한국 ICT 기업들의 해외직접투자 방식을 통한 해외진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동시에 기업들은 세계 ICT 산업 시장의 성장세와 다양성에 발맞추기 위해 해외진출 대상 국가를 다변화하려는 노력 중에 있다. 이는 포화된 국내 정보통신기술 시장 환경을 극복하고 세계 속에서 ICT 경쟁력을 갖추는 데 의미가 있다. 이처럼 해외 신규 ICT 시장을 두드릴 필요가 있는 가운데, 과거 아이디어 차원의 단순한 시장탐색 지역으로만 여기며 소외 시 되어왔던 아프리카 시장은 더 이상 절대적 빈곤의 상징 대륙이 아닌 실체를 가진 시장으로서의 가치가 부각되고 있다. 특히, 아프리카의 ICT 부문은 이동통신이 급격히 발달하며 누적된 통신수요의 적체를 해소시켰을 뿐만 아니라 국가 경제성장에도 크게 기여했다. 그러나 아직까지 아프리카 ICT 분야는 여전히 세계평균에 못 미치고 있어 추가적으로 발전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바로 이 점이 아프리카가 세계 최고의 ICT 발전 수준을 자랑하는 우리나라 기업들에게 매력적일 수 밖에 없는 이유이다. 또한, 정보통신기술은 국가의 기간산업이라는 점에서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 아프리카 대륙 중 정부 차원의 ICT 발전이 진행 중이며 우리나라가 그동안 협력했던 제반사항을 근거로 했을 때, 우리 기업이 진출하기에 용이한 나라는 가나, 나이지리아, 남아프리카공화국, 르완다 등 4개국이다. 상기 4개국을 포함한 아프리카 ICT 시장의 성공적인 진출을 위해서는 시장의 다양성 및 광활함 등 지역의 특수성을 감안한 종합적이고 전략적인 지원방안을 고려해야한다. 따라서, 현지성을 고려한 맞춤형 정보제공 지원, 정부 및 국제기구 주도의 지원확대, ICT 인력양성 및 인적 네트워킹 활성화, 공적개발원조 사업을 활용한 지원확대, 마지막으로 아프리카 ICT 시장 진출을 위한 종합적인 지원체계 수립개선이 필요하다.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ICT) industry is regarded as a new growth engine for Korean economy to create values in the era of creative economy, since it can be conflated easily with other industries. Therefore, Korean ICT companies are actively advancing to foreign countries through their Foreign Direct Investment(FDI) method and they are trying to diversify target countries to keep pace with the variation and growth of the world ICT industries. It has significant meaning to overcome the current environment of saturated domestic ICT market and have competitive advantage in global market. While it needs to penetrate new oversea ICT markets, the African market is no longer a symbol of absolute poverty, but its value as a market is rising, which has been turned away and considered as a region of simple market research. Especially, the ICT sector of Africa has solved the problem of accumulated demand for communications and has contributed to the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with rapid growth of mobile communication. However, the ICT industry of Africa is still below the world average and needs to be developed further. This is the reason why the African market is attractive to Korean companies with the world-best ICT level. Moreover, the role of the government is important in the ICT, considering that it is a key industry of a country. The markets of the countries such as Ghana, Nigeria, Republic of South Africa, and Rwanda are those which our companies can easily enter, based on the factors that their ICT development is going on under their government and our country has cooperated, among the countries in Africa. Considering the variation and extensiveness of the market, comprehensive and strategic support systems have to be taken into account so that Korean companies can advance to the ICT market of Africa. Therefore, it needs to provide customized local market information, expand the support of the government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rain ICT human resources and invigorate the human networking, expand the support by utilizing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ODA) projects and create the inclusive support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