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R&E 프로그램의 운영 방식에 따른 과학영재학교 졸업생들의 인식 차이 연구

        최종근(Jong-keun Choi),김찬종(Chan-jong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8

        목적 본 연구에서는 R&E 프로그램을 운영 방식에 따라 사사 중심 R&E 프로그램과 학생 주도 R&E 프로그램으로 구분하고 이에 따른 졸업생들의 인식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R&E 프로그램의 인식에 대한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설문지는 총 22개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R&E 프로그램 활동 시 어려운 과정’, ‘R&E 프로그램 주제 선정’, ‘R&E 프로그램에서의 역할’, ‘R&E 프로그램의 발전 방안’, ‘R&E 프로그램 활동에 따른 능력 향상 효과 인식’의 5개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수도권의 한 과학영재학교 졸업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고, 회수된 152건에 대해 설문 문항을 분석하였다. 결과 졸업생들은 학생 주도 R&E 프로그램에서 더 큰 자율성을 갖고 활동에 임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학생들에게 부여된 자율성은 활동에 어려움으로 작용하기도 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졸업생들은 R&E 프로그램의 단계 중 연구 주제 탐색 및 선정 과정에 더 큰 어려움을 느꼈다. 졸업생들은 인지적 측면과 정의적 측면 모두 사사 중심 R&E 프로그램이 연구자로 성장하는데 긍정적으로 작용하였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결론 이 연구에서는 R&E 프로그램을 운영 방식에 따라 구분하여 졸업생들의 인식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상대적으로 관심이 적었던 학생 주도 R&E 프로그램에 대한 졸업생들의 인식을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연구 주제 탐색 및 선정 과정에서부터 학생들이 자율적으로 참여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학생 주도 R&E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R&E program into a scientist-led R&E program and a student-driven R&E program on the operation method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students accordingly. Methods A questionnaire on the perception of the R&E program was developed. A questionnaire consisted of a total of 22 questions, and was divided into five areas: ‘Difficult Process for R&E program’, ‘Selection of R&E program subject’, ‘Role in R&E program’, ‘Development plan of R&E program’, and ‘Recognition of the ability Improvement effect of R&E Program’. The survey was conducted on graduates of a science gifted school in the metropolitan area. We analyzed 152 graduates participated in the survey. Results Graduates were able to engage in program with greater autonomy in student-driven R&E program. But, it was found that the autonomy granted to the students also acted as a difficulty in research activities. In particular, they felt more difficult in the process of searching and selecting research topic on the steps of the R&E program. Graduates thought that a scientist-led R&E program had a more positive effect on growing into a scientist in both cognitive and affective aspects. Conclusions In this study, R&E programs were classified on the operation method and the differences in graduates perceptions were examin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graduates perceptions of student-driven R&E programs in detail, which were relatively less interes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re is a need for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tudent-driven R&E program that is operated effectively while students participate autonomously from the process of searching and selecting research topic.

      • KCI등재

        데이터 리터러시를 강화한 R&E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최종근(Jong-keun Choi),김찬종(Chan-jong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8

        목적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리터러시를 강화한 R&E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과학영재학교 학생들에게 적용해 봄으로써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방법 수도권의 한 과학영재학교 1학년 학생 4명에게 개발한 R&E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학생들이 R&E 프로그램에서 겪는 어려움, 이를 극복해가는 과정과 데이터 리터러시의 기여에 초점을 두고 학생들의 연구 산출물, 학생 기록지, 참여 관찰 자료, 영상과 음성 자료, 면담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학생들은 R&E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데이터 리터러시를 함양할 수 있었으며, 스스로 연구 주제 도출 과정에서 부족하다고 생각했던 부분들을 보완할 수 있었다고 생각하였다. 구체적으로 학생들은 프로그램을 통해 함양한 데이터 수집 및 조직 능력, 데이터 활용 및 분석 능력, 데이터 기반 의사소통 능력을 활용하여 데이터에서 직접적으로 드러나 있지 않았던 정보를 획득하고, 이에 대한 궁금증을 문제화하여 연구 주제로 발전시킬 수 있었다. 결론 이 연구에서는 R&E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생들이 자율적인 환경에서 과학자로서의 소양 함양을 효과적으로 이룰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최근 강조되고 있는 데이터 리터러시 함양에 초점을 둔 R&E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학생들에게 적용 후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새로운 교육 방법을 제안하는데 그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급변하는 사회에 적응하기 위한 방법으로 데이터 리터러시가 중요할 뿐 아니라 이를 함양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R&E program focused on data literacy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by applying it to science gifted school students. Methods The developed R&E program was applied to 4 first-year students of a science gifted school in the metropolitan area. We analyzed students' research output, student records, observation data, video and audio data, and interview data, focusing on the difficulties students face in the R&E program,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m, and the contribution of data literacy. Results Students thought that they were able to cultivate data literacy while participating in the R&E program, and that they were able to compensate for what they thought was insufficient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research problem. Specifically, students were able to acquire information that was not directly revealed in the data by utilizing the data collection and organizational skills, data utilization and analysis skills, and data-based communication skills cultivated through the program, and develop questions about them into research problem. Conclusions This study developed an R&E program that focuses on cultivating data literacy, which has recently been emphasized, to find ways for students to effectively cultivate their knowledge as scientists in a self-directed environment. These attempts are meaningful in proposing new educational methods,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data literacy is important as a way to adapt to a rapidly changing society, as well as the need for research on developing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to cultivate them.

      • KCI등재

        FT-IR을 이용한 계면활성제 혼합물의 정량

        최종근 ( Jong-keun Choi ),노경원 ( Kyung-won Ro ),허찬우 ( Chan-woo Hur ),김진우 ( Jin-woo Kim ) 대한화장품학회 1995 대한화장품학회지 Vol.21 No.2

        FT-IR의 정량 법 중 Partial least-squares(PLS) 방법과 Multiple scattering correction(MSC) 방법을 이용한 계면활성제 분석의 타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LAS, MES 그리고 ELA-9을 이들 방법으로 정량 하였다. 계면활성제 표준품을 각각 다른 비율로, 50% 에탄올에 가열 용해 시킨 다음, 건조 시켜 액막법으로 IR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얻어진 스펙트럼으로부터 Variance(분산)스펙트럼을 구하고 이를 참고하여 여러 파수 영역에서 반복하여 검량선을 작성하고 상관계수를 구하였다. 1245-1130 cm <sup>-1</sup> 의 범위와 1070-1010 cm <sup>-1</sup> 범위의 파수를 선정한 결과 상관계수의 값이 모두 1.000이었다. 또한 정량 결과, 오차가 0.32%이하로써 매우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따라서 FT-IR을 이용한 정량 법에서 PLS 방법과 MSC 방법은 계면활성제 분석에 유효하며, 본 정량 방법이 매우 간단하므로 품질관리 목적의 분석에 적합하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To confirm the usefulness of partial least-squares(PLS) and multiple scattering correction(MSC) method for quantitation of surfactants in [quantitative methods using FT-lR, reconsitituted mixtures of LAS, MES and ELA-9 were tested. Each mixture was dissolved in 50% EtOH, dried, and applied to the KBr cell. From the IR spectra of these mixture, the variance spectrum was obtained. After repeated calibrations for the various regios of this spectrum, we found that 1245-1130cm<sup>-1</sup> and 1070-1010cm<sup>-1</sup> showed the strong correlation with each component of the sample mixture: all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1.000 and quantitative errors did not exceed 0.32%. From this result, we concluded that PLS method and MSC method are very useful and can be successfully applied to Quality control.

      • KCI등재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본 특수교육법의 변천

        최종근(Jong-Keun Choi) 한국학습장애학회 2020 학습장애연구 Vol.17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특수교육법 제․개정의 역사를 크게 4개의 시기로 나누고, 각 시기별로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 비교분석하는 데 있었다. 각 시기별 법률, 시행령, 시행규칙을 묶어 하나의 문서로 간주하였고, 법령 본문 자체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특수교육법은 1977년 처음 제정된 때부터 현재까지 총 30회의 제․개정이 있었고, 타법 개정에 의한 13회의 개정을 제외한, 순수한 특수교육법 제․개정은 17회 있었다. 둘째, 키워드 출현 빈도를 살펴본 결과 전체적으로 ‘교육’, ‘특수교육대상자’, ‘필요’와 같은 키워드의 출현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기별 워드 네트워크를 구성한 결과, 제1기의 평균 연결(degree)은 2.65, 제2기는 3.56, 제3기는 4.94, 제4기는 4.87로 워드 네트워크가 점차 조밀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심성 분석을 통하여 제1기에는 연결중심성과 인접중심성, 매개중심성이 약간 차이가 있지만, 제2, 3, 4기에는 이 3가지 중심성이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TF-IDF값을 통하여 제1기에는 ‘특수교육요원’, 제2기에는 ‘치료교육’, 제3기에는 ‘시․도특수교육운영위원회’, 제4기에는 ‘인권’ 등이 다른 시기와 구별되는 핵심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시사하는 바를 논의하고,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implications of the change of Korean Special Education Law. To do this, researcher divided the history of Korean Special Education Law into four periods, and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erio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Korean Special Education Law has been enacted or amended 17 times so far, from the time it was first enacted in 1977. Second,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keywords such as ‘education’, ‘special education student’, and ‘need’ was high. Third, the average degree of the first period was 2.65, the second period was 3.56, the third period was 4.94, and the fourth period was 4.87. It was found that the word network gradually became denser.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three centralities(degree centrality, closeness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second, third, and fourth periods. Fifth, the TF-IDF analyses revealed that the ‘Special Education Personnel’ in the first period, ‘Therapeutic Education’ in the second period, ‘Provincial Special Education Steering Committee’ in the third period, and ‘Human Rights’ etc. in the fourth period were relatively important words.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in this study were presented.

      • KCI등재

        장애학생에 대한 학업성취도 검사 조정의 타당화를 위한 문항 편파성 연구

        최종근(Jong-Keun Choi) 한국교육평가학회 2006 교육평가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시각, 청각, 지체장애 및 학습장애 학생들에게 본인이 희망하는 검사 조정 조건을 제공함으로써 장애로 인한 제한 조건을 최대한 제거 또는 완화한 경우, 표준화검사의 기본전제를 위반한 셈임에도 불구하고, 그 결과를 표준 조건에서 얻어진 일반학생의 그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지 즉, 비교가능성이 있다고 할 수 있는지를 일반학생과 장애학생 집단간의 문항 편파성 존재 여부를 중심으로 비교분석하고, 편파성이 유의한 경우 그러한 문항 편파성을 유발하는 원인이 무엇인지를 탐색하여 향후 장애학생을 위한 적절한 검사 조정 방안을 마련하는 데 시사점을 얻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검사 조정조건에서 검사를 마친 특수학교 중등부 3학년 학생 중 131명(시각 40, 청각 39, 지체부자유 36, 학습장애 16)과 표준조건에서 검사에 임한 일반학생 중 98명을 결합표집하여 문항별 정답률에 의한 델타플롯 방법을 적용하여 문항 편파성을 분석한 결과 편파성이 유의한 일부 문항들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문항 편파성이 오답매력도에서 기인했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echnical adequacy of accommodated test, by focusing on the comparability of test scores obtained by the RES(non-disabled Regular Education Students) in the standard condition and by the SWD(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modified or accommodated condition. And the comparability of test scores was investigated mainly in terms of item bia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43 9th-grade SWD(visual, hearing, physical) from 31 special schools nation-wide, 21 9th-grade resource-room students recognized as having learning disability(LD), and 520 9th-grade RES. And for the SWD, maximum test accommodations were allowed. From the total 520 RES participants, subjects with the same gender and the same total score in the achievement test against subjects in each SWD group were randomly sampled in 1:1 correspondence-matching method. In the item bias analyses by delta-plot method, some items were detected as functioning favorable to RES and some items were detected as functioning favorable to SWD. But, these items were almost entirely different with the items detected by Chi-square verification for the ratio of wrong answer. This result implied that the attractiveness to incorrect choices may not be the cause of item bias between SWD and RES detected by delta-plot method.

      • KCI등재

        국가 수준 학업 성취도 평가에서 시각장애 학생을 위한 검사시간 연장의 효과 분석

        최종근(Jong Keun Choi),김동일(Dong Il Kim),김은주(Eun Joo Kim) 한국교육평가학회 2005 교육평가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 시각장애학생이 참여한다고 할 때 비장애 학생들에게 주어지는 표준 검사시간에 비해 어느 정도의 시간 연장이 적절한지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현행 수능시험에서의 시각장애학생에 대한 검사 조정 조건이 적정한지를 확인하고 이에 관한 기초자료를 축적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197명의 시각장애학교 고등부 1,2학년 학생 197명을 대상으로 1차 평가는 현행 수능시험에서의 시간 연장 조건에서, 2차 평가는 최대 시간 연장이라는 조건에서 국어와 수학교과 학업성취도 평가를 실시하여 1차와 2차의 평가 결과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2차 평가의 경우 1차 평가에서보다 대체적으로 검사 점수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향상 정도를 살펴보면 반복 응시에 따른 ‘연습 효과’ 이상으로 시간 연장이 검사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시각장애학생을 포함하여 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타당하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시간 연장에 따른 구체적인 검사 점수 변화를 조사하는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build up for the appropriate and continuous system for particip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nation-wide educational assessment program. In pursuit of this purpose, we had some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rmally' participate in the 2003 KIC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NAEA) program. For this purpose, academic achievement level in relation to time extension was analyzed. Althoug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evaluating the validity of various test accommodations practic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the students with visual handicap and testing accommodations option to time extension. Thus, we mainly analyzed the validity of current time extension practices(1.5 times of standard for the blind, 20 minutes extension per session for the weak-sighted) for students with visual handicap. The subjects(students with visual handicap) were 197(middle school students 86, high school students 111). The instruments were the verbal and math tests of 2001 & 2002 KICE NAEA program. We standardized the test scores using the norm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Then, we compared the gain scores in order to evaluate the differential effect In spite of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possibility of 'differential boost' was detected. This result was interpreted that the more time extension for the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was needed. Finally, the follow-up study on the 'appropriate' testing time and accommodations for the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was proposed.

      • KCI등재

        자기성장평가모델이 초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인성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김재철 ( Kim¸ Jae Chul ),최종근 ( Choi¸ Jong Keu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4

        본 연구는 자기성장평가모델을 적용한 수업의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자기성장평가모델은 평가가 교수학습과 분리된 것이 아니라 통합된 것이라는 평가의 패러다임의 변화 속에서 등장한 것으로, 그 특징을 학생주도 평가·개별화·즉시적 피드백 평가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자기성장평가모델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이질집단 전후검사 설계를 활용하였다. 실험군과 통제군은 각각 D광역시의 초등학교 3학년과 4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으로, 실험군 2,561명과 통제군 925명 총 3,486명이었다. 공분산분석을 통해 자기성장평가모델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성장평가모델은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인성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나, 학업성취도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효과가 발견되지 않았다. 둘째, 자기성장평가모델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척도 중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에 대해서, 인성의 하위척도 중 자기존중, 배려·소통, 사회적 책임에 대해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초등학교 교육환경에서 평가가 지향해야 할 방향이 학생주도로 행해지는 개별화 평가와 즉시적인 피드백을 중시하는 평가가 되어야 함을 시사해 준다. 자기성장평가모델의 학교현장 적용을 위해 NEIS 시스템에 연동하는 등의 행정적인 지원 체계를 마련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과 종단 설계를 활용하여 자기성장평가모델의 중·장기적인 효과를 검증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class by using the self-growth evaluation model(SGEM). SGEM, emerged from the process of changing paradigm in which evaluation is inseparable from teaching and learning, can be summarized as student-led evaluation, individualization, and immediate feedback. This study used heterogenous pre and post design for 3,486 elementary students in the 3rd and the 4th grades enrolled in D city. Results obtained from the ANCOVA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 SGEM had no positive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but on the academic self-efficacy and personality. Second, the SGEM had positive effects on the confidence and self-regulated efficacy of the academic self-efficacy scale and self-respect, care and communication, and social responsibility of the personality scale. Such results indicated that the direction of evaluation in an elementary school setting should be individualized and immediate feedback. Based on research results, the necessity of administrative support system and of longitudinal study to verify long-term effects of the SGEM were suggested.

      • SCOPUSKCI등재
      • KCI등재

        개소시랑개비 추출물의 RAW264.7대식세포에서 in vitro 항염효과

        남정환,김현삼,김병진,유홍섭,장동칠,진용익,유동림,최종근,박희준,이승빈,이경태,박수진,Nam, Jung-Hwan,Kim, Hyun-Sam,Kim, Byoumg-Jin,Yu, Hong-Seob,Chang, Dong-Chil,Jin, Yong-Ik,Yoo, Dong-Lim,Choi, Jong-Keun,Park, Hee-Jhun,Lee, Seung-Bin,Lee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17 식물생명공학회지 Vol.44 No.1

        본 연구에서는 개소시랑개비 (Potentilla supina)의 전초를 이용하여 세포독성 및 항염증 활성 효과를 평가하였다. 대식세포인 RAW264.7 cell에서 염증 매개 물질인 lipopo-lysacchride(LPS)로 염증을 유발해 nitric oxide (NO),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와 prostaglandin$E_2$($PGE_2$) 같은 염증 유발 인자들의 억제효과를 확인하였다. 개소시랑개비 ethyl acetate 분획물의 염증 유발 인자 억제 시 $IC_{80}$ value를 측정하였을 때 nitric oxide 및 prostaglandin $E_2$ 생성을 농도의존적으로 현저하게 저해하는 농도는 각각 29.34와 $50.75{\mu}g/ml$이었고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의 양도 $50{\mu}g/ml$ 처리하였을때 농도 의존적으로 발현 감소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개소시랑개비의 ethyl acetate 분획물과 같은 비극성용매 분획물들이 유의성 있는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효능은 예방의학적 가능성을 충분히 가지고 있기에 염증성질환의 예방을 위한 건강 기능성식품의 개발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염증과 관련된 사이토카인 및 단백질 발현 메커니즘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Potentilla supina (Rosaceae) has traditionally been used to treat disorders of hemostasis, dysentery, malaria, bloody discharge and arthritis, and it has antinociceptive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However, validity of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has not been scientifically investigated so far.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inflammatory potential of P. supina using the ethanolic extract of P. supina and its sub-fractions. To evaluate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P. supina, we examined the inflammatory mediators such as nitric oxide (NO),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nd prostaglandin $E_2$ ($PGE_2$) in RAW 264.7 cells. Our results indicated that ethyl acetate fraction significantly inhibited LPS-induced NO, iNOS and $PGE_2$ production in RAW 264.7 cells. This result showed that ethyl acetate fraction of P. supina is expected to be a good candidate for development into a source of anti-inflammatory ag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