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백운 심대윤(白雲 沈大允)의 독역십법(讀易十法)에 관한 연구 -효위법(爻位法)을 중심으로-

        최정준 ( Jeong Jun Choi ),오동하 ( Dong Ha Oh ) 한국사상사학회 2016 韓國思想史學 Vol.0 No.52

        본 논문은 심대윤의 독창적 해석이론인 효위법과 나머지 9조목의 독역법을 고찰함으로써 독역십법이 한국역학사에서 갖는 의미를 밝혀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심대윤의 독역십법은 명(名), 의(義), 도(道), 용(用), 변(變), 위(位), 시(時), 정(情), 상(象), 사(辭)라는 10가지 천하의 인사범주에서 착안한 해석방법론으로, 그는 이것이 자연의 이치와 수리에 부합하며, 인간이 인위적 가감으로 조작할 수 없는 역(易)의 총체적 원리이자 체계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는 곧 『주역』이 자연과 인사의 원리를 근거로 모든 사물의 이치와 실정을 설명하는 체계임을 의미한다. 또한 심대윤은 역은 곧 상(象)이라는 관점에서 사물의 실리(實理)가 천지만물의 상에 갖추어져 있음을 지적하고, 독역십법의 해석근거를 괘효(卦爻)의 상에서 찾았으며, 이를 통해 인사의 이치와 실정을 비롯한 처세윤리로서의 시중지도(時中之道)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독역십법은 『주역』의 해석범주를 체계화시킴과 동시에 자신의 창의적 사유를 결합시켜 이론적 완성도를 높이고, 이를 통해 『주역』의 해석틀을 재정립하고자 했음에 그 의미가 있다. 또한 지금껏 모호하게만 사용되었던 육위(六位)개념을 공간 시간 강유의 3요소로 해체시키고, 괘위(卦位) 괘시(卦時) 효위(爻位)라는 해석법으로 재구성하여 보다 체계적이고 세밀한 효사해석을 가능케 하였다. 이 가운데 효위법(爻位法)은 육위의 강유(剛柔)개념을 천착한 이론으로, 일찍이 한중의 학자들에게서 보지 못했던 심대윤만의 독창적 효사해석이론이라는데 그 역학사적 의미를 갖는다. This paper aims at finding the significance of Dokyeoksipbeop in the the history of Korean Iching by reviewing Hyouibeop, a distinctive theory of interpretation established by Bagun, and other 9 clauses of dokyeokbeop. Dokyeoksipbeop of Baekun is a theory of interpretation inspired by 10 principle categories of human affairs that are Name(名), Meaning(義), Tao(道), Usage(用), Change(變), Status(位), Moment(時), State(情), Symbol(象) and Words(辭), which he claims to coordinate with the order of the world and to be the wholistic system and mechanism of Iching that is inalterable by artificial influences. This infers that Iching is the system that provides adequate and accurate explanation of the entire matter and state of the world based on the principles and orders of nature and human affairs. Baegun also explains from the aspect that identifies Iching to symbols, pointing out how the real reason of all matters are represented in the appearance of the world itself. He also places the foundation of the interpretation of Dokyeoksipbeop in the appearances of Gwaehyo(卦爻), where he tries to describe Sijungjido(時中之道) as the worldly ethics including the principles of the humanly matters and states. Dokyeoksipbeok of baegun has it``s own significance in that it systemizes the interpretation categories of Iching, advances the theoretical completeness by adding his own ideas, and attempts to reestablish the frame of analysis on Iching. Furthermore, it becomes possible to interpret Hyosa(爻辭) more systemic and in detail by the virtue of the theory, where ambiguous meaning of Yookwi(六位) is classified into Space Time GangYu(剛柔) and reorganized into Gwaewi(卦位) Gwaesi(卦時) Hyouwi(爻位). As far as the originality in Hyosa interpretation, Hyouibeop, inquired by the concept of GangYu, is a distinctive theory in the korea and china scholar society.

      • KCI등재

        『程傳』의 ‘八則陽生’에 관한 한국역학자들의 견해

        최정준(Choi, Jeong-Jun) 한국양명학회 2016 陽明學 Vol.0 No.43

        이 글의 주제는 일반적으로 주목하지 않는 『程傳』의 數에 관한 문제이다. 『程傳』에 들어있는 ‘八則陽生’이라는 수와 관련한 문제를 연구하는 것은 세 가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첫째는 『程傳』의 정확한 해석을 위해서이다. 둘째는 중국 송대와 그 시대인물인 정이천의 河圖와 洛書에 관한 이해의 정도를 추론할 수 있다. 셋째는 한국역학에서 보이는 중국역학과의 차이와 더불어 창의적 관점을 살펴볼 수 있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八則陽生’은 ‘[하도상에서] 8은 이미 양이 생겨나있는 때[위치]’라는 뜻이다. 둘째 정이천은 일반적으로 통용되었던 四象數의 운용에 부정적이었다. 그리고 하도 낙서와 관련한 수에 대한 견해가[河十洛九論, 河九洛十論] 선명하지 않다. 셋째 「주역전의대전」에 들어있는 중국역학자들의 소주에서는 ‘八則陽生’과 관련한 논의를 발견할 수 없다. 반면 이에 관한 한국의 역학자들의 치밀하고 비판적인 연구에서 그 차이점을 발견한다. 「정전」의 ‘八則陽生’에 대해 가장 먼저 이 문제를 거론한 姜碩慶은 ‘사상수리’에 위배된다고 비판했고, 李恒老역시 사상론적 관점에서 이해했다. 柳正源은 消息이론에 근거해 ‘河圖의 수리와 부합하지 않는다고 비판하였고, 李震相은 順逆이론에 근거해 河圖의 수리와 부합한다고 옹호하면서 유정원의 주장에 대해 재반박하였다. The subjects of this thesis deals with the matter on the number of [Cheng Chuan[程傳]] which generally did not get any attention. The study of the issue on the number what is called ‘Eight gets yang already[八則陽生]’ included in [Cheng Chuan[程傳]] would have the three important meanings. First is that we could attain the exact interpretation of [Cheng Chuan[程傳]]. Second is we can infer that the circumstances about the understanding on Ho Tu[河圖][the Yellow River Map] and Lo Shu[洛書][the Writing from the River Lo] of Cheng Yi[程頤] who lived the Song[宋] period in China. Third is that the creativity of the Korean study of the I Ching[韓國易學] could be examined. The followings are the conclusion which obtained through research. Firstly ‘Eight gets yang already[八則陽生]’ means that the number of 8 is the time which was become into yang[陽] already. Secondly Cheng Yi was negative on manipulating the emblem-numerology of the four images[四象] which was generally used. And his view on the numerology of the Ho Tu[河圖] and Lo Shu[洛書][Ho ten Lo nine[河十洛九], Ho nine Lo ten[河九洛十] Theory] was not clear. Thirdly in the commentary of the Chinese scholar on the I Ching we can’t find out any discussion in relation to “Eight gets yang already[八則陽生].”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scholars of the I have found their creativities in the precise and critical research. On the matter of “Eight gets yang already[八則陽生]” the first scholar who brought up this theme was Kang Seok Kyung[姜碩慶] that critisized against numerology[four image numeration]. And Ryu Cheong Won[柳正源] criticized that it is not consistent with ‘the numeration of HoTu[河圖]’, but Lee Jin Sang[李震相] supported that it is consistent with HoTu[河圖] numeration and also Lee Hang Ro[李恒老] was understood on the view point of four image[numerology].

      • KCI등재

        태극기에 관한 역학적 검토 -개정논의와 관련하여-

        최정준 ( Jeong Jun Choi ) 한국사상사학회 2014 韓國思想史學 Vol.0 No.47

        강화도조약(1876) 체결 이후 조선은 국기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된다. 그 후 조미수호통상조약(1882)체결 때 조선국기가 처음 등장하였다. 최초의 국기는 ‘조선의 깃발’이었다. 이것은 이응준이 제안한 것으로 조미수호조약 때 사용되었지만 국가의 공인을 받지 못했다. 이 즈음 청의 마건충(馬建忠)은 ‘조선의 국기가 일본 국기와 혼동된다’며 태극에 8괘를 그려 국기를 만들 것을 제안하였다. 하지만 고종은 박영효에게 국기제작을 지시하였다. 1882년 박영효는 일본으로 가는 배안에서 태극기의 모델을 제작하여 임금에게 보냈다. 이 국기는 가운데 태극문양의 원과 8괘에서 뽑은 4괘로 구성되었다. 박영효는 세계를 돌아다니며 각국의 국기를 보아온 영국인 선장 제임스의 조언에 따라 4괘를 국기의 네 모서리에 배치시켰다. 박영효는 제작한 태극기를 일본에서 게양하였다. 1883년 1월 27일(양 3.6)에는 정식으로 국가의 국기 반포가 있게 되었다. 이후 태극기의 역사는 혼돈기를 거쳐 1949년 공포에 이른다. 현행 태극기는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얀 바탕, 가운데 빨강과 파랑의 태극음양 부호, 사각에 위치한 4괘이다. 이것들은 모두 주역의 음양원리에 근거를 두고 있다. 그렇지만 현행 태극기의 모양은 근본적으로 ‘태극(太極)’의 전거이자 오래된 동양고전인 『주역』사상의 원리와 맞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현행 태극기는 개정되어야 한다. 본고에서는 태극기 개정과 관련하여 음양의 주요원리로 4가지 조건을 제시하였다. 첫째는 태극이 음양을 생한다는 일생이(一生二)의 원리이다. 둘째는 음양대대(陰陽對待)의 원리이다. 셋째는 음양은 소식(消息)과정에서 양극을 지니는데 방위와 관련해볼 때 양극이 곧 남북이라는 원리이다. 넷째는 좌양우음(左陽右陰)의 원리이다. 이 중에 태극기 모양이 『주역』사상의 이론과 맞지 않는 부분은 셋째와 넷째이다. 태극기의 4괘인 건곤리감(乾.坤.離.坎)괘가 태극기의 모서리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음양의 양극점이 정남[양극]과 정북[음극]을 가리키지 못한다. 따라서 태극기의 음극과 양극을 다시 정남정북인 상하로 위치시켜야 한다. 건·곤·리·감이 각각 남북동서(南北東西)에 위치해야 한다. 태극기의 개정은 양극점을 남북으로 위치시키는데서 그치면 안 된다. 더 나아가좌양우음의 원리와 부합하기 위해서는 가운데 원의 S자형이 좌우대칭의 을(乙)자형으로 되어야 한다. After Japan-Korea Treaty of 1876, Joseon government recognized the need for having a National Flag. The first national flag is named ``COREA Ensign``. it was proposed by Lee Eung-jun(李應俊), and used on United States-Korea Treaty of 1882. but it did not gain official approval. At that time, Ma Jianzhong (馬建忠) suggested a flag with Taegeuk circle in the center, with eight trigrams around the flag. Gojong(高宗) of Joseon directed Park Yeong-hyo to create official national flag of Joseon government. On August, 1882, Park Yeong-hyo created a model of the Taegeukgi in the ship and posted it to the Joseon government. it is a flag with Taegeuk circle in the center, four black trigrams, which are selected from the eight trigrams. Park listened to the British captain James``s advice and arranged four black trigrams on each corner of the flag. In the year 1882, Park used the Taegeukgi in the Empire of Japan. On March 6, 1883, the Joseon government officially proclaimed Taegeukgi as the official national flag. The current Korean flag, Taegeukgi was declared official by the government of South Korea on October 15, 1949. Taegeukgi, the national flag for the Republic of Korea has three parts: a white background, a red and blue Taegeuk(太極) yin and yang(陰陽) symbol in the center, and four black trigrams(四卦), on each corner of the flag. The circle in the middle and four black trigrams are derived from the philosophy of yin and yang in ‘Iching’(易經). However the design of current Korean flag, Taegeukgi does not correspond with the philosophy of yin and yang in ‘Iching’(易經). So Taegeukgi must be reformed. With reference to Taegeukgi reform, This paper suggest four conditions as the philosophy of yin and yang in ‘Iching’(易經). Four conditions are as follow: First, “One(Taegeuk) differentiates into two(Yin and Yang)”. Second, Yin and Yang, as two sides of universe, are directly opposite to each other. Third, Yin and Yang have yinji(陰極) and yangji(陽極) of climate change. yinji(陰極) means Beiji(北極) and yangji(陽極) means Nangji(南極) in cardinal points. Fourth, the principle of left-yang-right-yin(左陽右陰). The design of Taegeukgi does not correspond with the Third and Fourth. Because four black trigrams of Taegeukgi; Geon(乾), Gon(坤), Ri(離), Gam(坎) are on each corner of the flag, yinji(陰極) can``t mean Beiji(北極) and Yangji(陽極) can``t mean yangji(南極) in cardinal points. So we must place yinji(陰極) and Nangji(陽極) on Beiji(北極) and Nangji(南極) in cardinal points. Geon, Gon, Ri, Gam must be placed on cardinal points south, north, east, and west. Furthermore, S-shaped in circle must turned to bilateral symmetry of S-shaped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left-yang-right-yin(左陽右陰).

      • KCI등재
      • KCI등재

        『홍연진결』에 내재된 한국 민간역학의 주제

        최정준 ( Choi Jeong Ju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17 선도문화 Vol.22 No.-

        이 글은 『홍연진결』의 洪局을 중심으로 그 원리와 의의를 살펴본 것이다. 그 결과 두 가지 결론을 말하였다. 첫째, 『홍연진결』은 음양과 오행이라는 동양사상의 양대 역학적 원리에 근거하고 있으며, 洪烟이라는 책의 이름을 보아도 알 수 있듯이 오행원리와 그 전거인 洪範을 중시한다. 둘째, 『홍연진결』의 기문구성 원리에는 근대 민간역학적 성격이 내재되어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홍연진결』에서는 數를 써서 천반과 지반을 구성하는데, 地支를 가지고 골자를 삼아서 구성한다. 이것은 陰的 가치를 존중한 것이다. 음적가치의 존중은 근대 한국의 민간역학에서 나타나는 공통된 특징이다. 둘째 『홍연진결』에서는 민간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되었던 글인 한글을 소재로 삼았다. 한글의 자음과 모음이 지니고 있는 일정한 규칙을 역학적 추론의 법칙으로 삼은 것에서 민간적 성격을 읽을 수 있다. 셋째 『홍연진결』은 기문의 원리를 한국을 중심으로 재구성하였다. 이것은 시간과 공간의 중심을 한국의 하늘과 땅과 인간으로 삼은 것이다. 결론적으로 『홍연진결』은 역사성, 민중성, 근대성, 주체성, 창의성을 담고 있다. This thesis is about the principle and meaning of HongKuk(洪局) in HongYeonJinKyeol(洪烟眞訣).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HongYeon-JinKyeol(洪烟眞訣) is based on two main principles, Yin-Yang(陰陽) FiveElements(五行). As you can see, the name of HongYeon(洪烟) perceive the importance of Five Elements(五行) and Hong-Byeom(洪範). Second, The character of Popular YeokHak(易學) is inherent in the construction principles of HongYeon-JinKyeol(洪烟眞訣). Specifically speaking, as follows: First, It consists Cheonban-Jiban of a number and the main point is Jiji(地支)-oriented. This means respecting Yin(陰) and it is common feature In modern Korean Popular YeokHak(易學). Second, the rules of Hangul is used in method of reasoning. This means the character of Popular YeokHak(易學). Third, HongYeon-JinKyeol(洪烟眞訣) was reconstructed around Korea. The center of the time and space in HongYeon-JinKyeol(洪烟眞訣) is Korea. In conclusion HongYeon-JinKyeol(洪烟眞訣) contains Historicity, Modernity, Popularity. Identity, Creativity.

      • KCI등재

        "일반 : 실용과 과학에 기초한 星湖 李瀷의 縫針六合이론 -『易經疾書』의 先甲後甲·先庚後庚의 해석과 연관하여"

        최정준 ( Choi Jeong Jun ) 한국실학학회 2017 한국실학연구 Vol.0 No.34

        지지육합에 관해 조선 후기 실학자인 성호(星湖) 이익(李瀷)은 ‘봉침육합(縫針六合)’이라는 새로운 이론을 제시하였다. 지지육합에 관해 전통적으로 가장 많은 지지를 받았던 이론은 천문에 기초한 것이었다. 이익은 이와 달리 고대 예악에서 사용된 율려에서 육합의 실용적 유래를 찾았다. 더 나아가 나침판에 근거해 봉침육합이론을 제시하였다. 봉침육합이론은 『周易』의 고괘(蠱卦)를 해석하는 과정에서 제기된 것으로, 이익은 『易經疾書』에서 고괘(蠱卦)를 해석하는데 필수적인 방법으로 사용하였다. 이익은 당대의 과학적 지식을 토대로 자침편차에 착안하였다. 이익은 육합이론에 관한 전통적 견해를 답습하지 않고 다른 관점에서 재구성하였다. 실용과 과학에 기초한 봉침육합이론은 전통적 이론을 비판적으로 계승한 하나의 모범으로 평가할 수 있다. About six-combination of Ji-ji(地支), Silhak(實學) scholar in the Joseon Dynasty, Lee-Yik(李瀷) proposed a new theory, six-combination of BongChim (縫針六合). About six-combination of Ji-ji(地支), The traditional theory supported by the majority is based on astronomy. Instead Lee-Yik(李瀷) find practical origin in Yul-Lyeo(律呂), Ancient Chinese classics. furthermore he proposed a new theory, six-combination of BongChim(縫針六合) based on Compass board(羅針板). BongChim(縫針六合) theory was brought up in the course of interpretation of Ku(蠱) in Iching(易經). Lee-Yik(李瀷) used BongChim(縫針六合)theory by essential way of interpretation of Ku(蠱). Lee- Yik(李瀷) pointed out magnetic declination On the basis of Scientific knowledge. About six-combination of Ji-ji(地支), Lee-Yik(李瀷) did not follow the Traditional view. Instead, he reconstitute From another point of view. BongChim(縫針六合) theory based on practical and science is a model as critical succession to a traditional theory.

      • KCI등재

        아베 타이잔(阿部泰山)의 12운성(運星) 이론 고찰

        최정혜 ( Choi¸ Jeong-hea ),최정준 ( Choi¸ Jeong-jun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인문학연구 Vol.- No.48

        본고는 일본 명리학자 대표인 아베 타이잔(阿部泰山)의 12운성(運星) 이론에 관한 연구로서 12운성 개념(槪念)과 활용(活用) 및 견해(見解)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12운성은 포태법(胞胎法) 혹은 절태법(絶胎法) 이라고 불리면서, 특히 12운성의 12가지 과정은 인생(人生)의 생로병사(生老病死)나 물상(物象)의 생성소멸(生成消滅)과 긴밀한 연관이 있고, 그 구체적 명칭 또한 시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구체적으로 역학의 발달사 관점에서 12운성은 한대(漢代) 괘기역학(卦氣易學)의 12벽괘(辟卦) 이론이 송대(宋代) 이후 명리서에 등장하면서 그 명칭과 개념이 명리학적으로 재정립된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대표적 명리서인 『연해자평』에서는 12운성을 시결(詩訣) 등으로 상세히 설명하고 있으며, 명대(明代)의『명리정종』이나『삼명통회』 그리고 청대(淸代)의 『명리약언』, 『자평진전』, 『적천수천미』에서도 12운성은 줄곧 등장한다. 다만 아베 타이잔은 천간(天干)의 오행(五行)이 12지지(地支)를 만나 순환하는데, 천간 그 자체의 왕쇠(旺衰)를 변별한 것이 12운성이라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12개의 이름은 차용해서 붙인 것에 불과하며, 본질적으로는 천간의 강약을 보기 위한 것으로 이해하고 있으며, 지지는 음양이 일정한 상도(常道)로 순환하기 때문에 길흉(吉凶)은 천간의 동적(動的)인 것에서 비롯된다는 것이다. 이런 천간지지의 동정(動靜)의 차별성은『자평진전』〈논음양생사(論陰陽生死)〉의 12운성 개념에서 영향을 받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12운성의 명칭을 재정립한 것과 관련하여 두 가지의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하나는 그가 명리학사적 관점에서 보면 『명리약언』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는 점이다. 또 하나는 그가 실제 상담자의 위치에서 12운성의 명칭이 사람들의 심리에 미칠 영향을 고려하여 그 명칭을 개칭하였다는 점이다. 한편 『삼명통회』의 〈논오행왕상휴수사병기생십이궁(論五行旺相休囚死並寄生十二宮)〉에서 말한 12운성의 선악(善惡)을 세 종류로 분류한 사귀(四貴), 사평(四平), 사기(四忌)는 사주 천간의 왕쇠를 찾기 위한 것이며, 이에 12운성이 생왕(生旺)해서 반드시 길(吉)이고, 휴수사절(休囚死絶)해서 나쁜 것이 아니므로 12운성 이름에 메여서는 안 된다는 부분을 그대로 수용한 것을 알 수 있다. 이 외에도 12운성의 네 가지 활용법과 관련해서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첫째, 명리고전의 월지(月支) 중심 사고를 그대로 계승하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각 명리고전에 내재되어 있는 12운성의 활용방법을 종합하고 통합하여 유기적으로 활용하였다는 점이다. 셋째, 현재 한국에서 광범위하게 활용 변통되고 있는 12운성은 아베 타이잔과 상호 영향관계성도 적지 않다는 점이다. 그리고 토(土)의 동궁설(同宮說)과 관련해 볼 때, 아베 타이잔은 오행역(五行易) 및 육임신과(六壬神課)의 장생(長生)은 수토(水土)를 쓰는 반면, 사람은 태양과 함께 운명을 논하니 명리에서는 ‘화토동궁설(火土同宮說)’을 쓴다고 주장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과정에서 알 수 있듯이, 중국 명리학 고전을 통합적으로 받아들임과 동시에 자기 나름대로의 상담방편으로서의 개칭을 시도한 아베 타이잔의 명리이론에 관한 고찰은 일본명리를 살펴보기 위한 기초연구로서의 의미가 있으리라 본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theory of the 12-Unseong(運星) of Abe Taizan(阿部泰山), the representative of the Japanese Myeongli(命理) scholar, and intends to examine the concept, use, and views of the 12-Unseong(運星). 12-Unseong is called Potaebeop(胞胎法) or Jeoltaebeop(絶胎法), and in particular, the 12 processes of 12-Unseong are closely related to the birth(生), the age(老), the sickness(病), the death of life(死), and the creation and annihilation of objects, and their specific names also appear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imes. Specifically, from the perspective of developmental history of The Changes(易學), it is reasonable to view the 12-Unseong as the name and concept of gwaesang- science of changes(卦氣易學) that were re-established myungriologically as the theory of 12-Byeokgwae(辟卦) of the Han-Dynasty(漢代) appeared in Myeongri book after the Song-Dynasty(宋代). In 『Yeonhae Japyeong(淵海子平)』, which is a representative myeongri book, the 12-Unseong is explained in detail. Also『Myeongri Jeongjong(命理正宗)』 and 『Sammyeong Tonghoe(三命通會)』 in Ming-Dynasty(明代), and 『Myeongri Yakwon(命理約言)』, 『Japyeongjinjeon(子平眞詮)』, 『jeokcheonsucheonmi(適天髓闡微)』 in the Qing-Dynasty(淸代), the 12-Unseong appears all the time. However, it can be seen that Taizan Abe thinks that 12-Unseong circulate the ohaeng(五行) of the cheongan(天干) meet the 12 jiji(地支), and cheongan(天干) itself’s wangsoe(旺衰) is different. In other words, the 12 names are merely borrowed, and they are essentially understood to show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cheongan(天干). And because Jiji(地支) is yin-yang(陰陽) cycle through a constant phase, it is thought that the Gilhyung(吉凶) comes from the dynamics of cheongan(天干). This distinction of cheongan(天干) and Jiji(地支) can be seen to be influenced by the by the concept of 12-Unsoung in『Japyeongjinjeon(子平眞詮)』’ < Noneumyangsaengsa(論陰陽生死) >. Also, two meanings are implied in relation to the re-establishment of the name of 12-Unseong. One is that he was greatly influenced by 『Myeongri Yakwon(命理約言)』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history of Myeongri. Another is that he renamed the name considering the impact of the name 12 on the psychology of people when he sees the actual counselor’s position. On the other hand, it can be seen that the part mentioned in < lonohaengwangsanghyususabyeong-gisaengsib-igung(論五行旺相休囚死並寄生十二宮) > of 『Sammyeong Tonghoe(三命通會)』, Sagi(四貴), Sapyeong(四平), and Sagi(四忌) classified into the good and evil(善惡) of the 12-Unseong are in order to find the Saju(四柱) of cheongan(天干)’ wangsoe(旺衰). The 12-unseong are always not Gil(吉) because they are Wangsaeng(生旺) and always not bad(凶) because they are Hyususajeol(休囚死絶).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it accepted that should not be tied to the name, 12-Unseong. In addition, there ar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in relation to the four ways of using the 12-Unseong. First, it inherits the Wolji(月支) centered thinking of the Myeong-classic. Second, it is that it organically used the method of use of the 12-unseong contained in each Myeong-classic by combining and synthesizing it. Third, it can be seen that the influence of Taizan Abe, which is currently widely used in Korea, is significant. Furthermore, in relation to the Tou(土)’ Donggung theory(同宮說), Taizan Abe asserts that the ohaeng-yeog(五行易) and the longevity of yug-imsingwa(六壬神課) use water and soil(水土), whereas People discuss fate with the sun, so in Myeongri, ‘Hwato-donggung theory(火土同宮說))’ is used. Therefore, as can be seen from this review of Abe Taizan’s theory of myeongri, As he accepted the classics of Chinese Myongri in an integrated way and at the same time tried to change the name as a counselor in his own way, I think that it will have meaning as a basic study to examine JapaneseMyeungri in the futur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