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마을축제의 현황과 프로그램 발전방안 -이천 자채방아마을 한마당축제를 중심으로-

        최자운 ( Ja Un Choi ),김은자 ( Eun Ja Kim ),김상범 ( Sang Bum Kim ) 한국농촌지도학회 2011 농촌지도와 개발 Vol.18 No.2

        The study aims to find development plan of the Hanmadang festival in Jachaebanga village. First of all, Financing is the first major obstacle to opening a successful village festival. In order to host village festival, It``s important that smooth financing. It needs head north and diversify of the Banga table. Through proceeding by subscription, research a value-added food the village benefits can be better. Because Jachaebanga village located in capital area, The people who live in Seoul and Gyonggi area easily approachable. So, If induce a free visitors to reservation visitors, It will benefit not only village, but also visitors. Hanmadang festival program and another village festival program are evenly alike. Festival organizers must provide a differentiated festival program to reservation visitors. It needs merge the harvest program and society curriculum to amplify the synergy. Like a Turtle play, participation inducement to neighboring traditional culture organization can be of help to consist festival program. There simply aren``t enough people here to progress festival properly. In order to supply people to progress properly, Festival plan, Budgets allocations have to be determined by village officers.

      • KCI등재

        충북 제천시 봉양 용바위 신앙의 양상과 특징

        최자운 ( Choi Ja-un ) 남도민속학회 2016 남도민속연구 Vol.33 No.-

        본고에서는 충북 제천시 봉양읍 연박 2리 소재 용바위와 관련된 신앙 층위를 분석하고, 새로운 공동체의례가 생성된 요인을 분석하였다. 1980년대 초반까지 임신하지 못 하거나 아들을 낳고 싶은 여성들은 용바위 배꼽 부분에 가서 유감주술(類感呪術) 행위를 통해 그들의 바람이 이뤄지길 기원했다. 조선시대 단계(檀溪) 김해일의 처 여주 이 씨가 용바위에 치성을 드려 학고(鶴皐) 김이만을 낳은 역사적 사실은 이러한 행위에 힘을 실어주었다. 아울러, 하지(夏至) 넘어 비가 오지 않아 모를 심을 수 없을 때 연박 2리와 인접한 공전 1리 주민들은 용바위에 와서 부정화(不淨化) 방식의 기우제(祈雨祭)를 지냈다. 2015년 2월 용바위는 용신제(龍神祭) 속에서 30여년의 공백을 깨고 의례 대상으로 부활한다. 연박 2리 주민들의 노령화가 심화되고, 환경오염으로 인한 방문객이 감소되면서 마을 주민의 화합을 위해 온 마을 사람들이 한 자리에 모일 수 있는 용신제를 매년 정초에 거행하게 된다. 기자(祈子) 및 기우(祈雨) 신앙 때 용바위 신격은 자연신이었으나 새로운 공동체의례에서는 인격신으로 변화한다. 이는 그간의 신앙 경험을 통해 용바위가 사람들의 바람을 들어줄 수 있는 힘이 있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아울러, 기존 당고사에서 인격신을 모시지 않고 있는 것도 용신제 명명(命名)의 호재로 작용했다. 연박 2리 주민들은 마을 활성화를 위한 1단계로 용신제 개최를, 2단계로 용바위공원 조성 및 민속예술축제 참가를 구상했다. 의례와 유흥이 어우러진 용신제를 지내면서 마을 사람들 간의 결속을 다지는 한편, 용바위의 자연적 가치 및 전래 민속을 활용하여 방문객을 유치함으로써 시너지 효과를 최대한 발휘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러한 용바위 관련 활동이 가능한 것은 인근 마을에 비해 비교적 젊은 층이 많고, 대동계의 단합력이 좋았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paper discuss the meaning of the Yongbawi folk religion in Bongyang, Jecheon, Chungbuk province and hold cause of the new Community ritual. Women who long for pregnancy or give birth to baby boy do a homeopathic magic in Yongbawi. After pray for Yongbawi, Dangye Kimhaeil`s wife the Lee of Yeoju give birth to Hakgo Kimiman. This fact empowered women to wish. In case of Community belief, peoples who live in Gong-jeon 1-ri hold a Ritual for rain which dirty a Yongbawi. These traditions are disappeared because of modern times. Yongbawi reappeared as a ritual object in 2015. In order to unite The people of the Yeon-bak 2 ri hold a new Community ceremony. The reason why call new ceremony not The Dragon rock festival but The Sea God festival result from people`s various faith experience. In order to keep a peace and harmony villagers hold a ceremony. The main aim of the village god is look after village peoples. So, Peoples wished their guardian not a natural object, but a God. Especially, Because people did not enshrine God in ancestral village ritual is easy to make a new God. The Sea God festival in Yeon-bak 2 ri did not start itself. It make a connection with creation of a Yongbawi park and go to the folk festival. Through the activities which connected to Yongbawi peoples want to create a synergy effect. There are many Young people in village. peoples who live in Yeon-bak 2 ri work with perfect unity between native and foreigner. These two facts are the engine of the carry forward a activities.

      • KCI등재

        제천 오티별신제 농악의 기능과 의미

        최자운 ( Ja Un Choi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4 공연문화연구 Vol.0 No.29

        본고에서는 그간 한 번도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충북 제천 오티별신제 내 농악을 중심으로, 지역 내 다른 사례들과의 비교를 통해 이 마을 축원농악의 기능 및 특징 등을 살펴보았다. 제천 오티리 별신제 때 농악대가 치는 가락은 길가락, 삼채, 서낭대 내릴 때치는 가락, 축원 및 송신 때 치는 가락, 자진삼채, 이채, 마무리 가락, 칠채 등 8가지이다. 이곳에서는 제의 장소로 이동할 때, 제물 진설할 때, 서낭제 지낸 뒤 신탁 확인할 때, 그리고 허재비놀이 때 등 별신제 전반에 걸쳐 농악이 연주된다. 오티별신제 농악은 개별절차에 따라 하나의 세트로 연주되는 경우가 많다. 당 앞에 도착했을 때는 대체로 삼채-이채 또는 삼채-자진삼채를 연주하고, 서낭대 강신 기원, 축원, 그리고 송신 때는 서낭대강신 기원 가락과 축원 및 송신 가락을, 그리고 개별 제차를 마무리할 때는 삼채-이채 혹은 삼채-이채-마무리 가락을 친다. 충북지역 공동체의례 내 축원농악을 검토한 결과, 산, 마을, 고개, 마을 입구 등 사람들의 활동 공간 및 일상생활에서의 비중에 따라 신의 좌정처 및 직능이 정해지고, 사람들의 일상생활과 가까운 신격 및 개방적 의례일수록 신앙민들과 신과의 관계가 호혜적이며, 농악대가 역할할 수 있는 기회도 많았다. 각 마을굿 내 축원농악은 분위기 고조, 제장 정화, 사람들의 바람 전달, 신탁 확인 등의 기능을 하였다. 공동체의례는 신(神)에게 정성을 드리고 즐겁게 하거나, 사람들의 바람을 진솔하게 표현하여 원하는 바를 달성하기 위해 이루어진다. 농악대의 의례 수행을 중심으로 볼 때, 제천 오티별신제 농악은 서낭제 때 신과 신앙민 사이의 촉매 역할 및 허재비놀이의 오인(娛人) 기능을 한다. 이곳의 신격 및 의례방식, 그리고 가신의례와의 관계는 농악대가 의례 주체로 나서는데 긍정적으로 작용하지 못하였다. 그럼에도 이곳 농악은 의례 전반에서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 이유는 마을 사람들의 농악(쇳소리)에 대한 인식과 이곳 별신제 특유의 의례 구조가 상보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다. 그와 함께, 제차에 따라 작동하는 정형화된 농악가락의 역할도 빼놓을 수 없다. 제천 오티별신제 농악이 공동체의례 내 농악 변화의 층위를 오롯이 보여주는 사례 중 하나라는 것, 그리고 이러한 특징이 우리나라 축원농악 연구에 중요한 자산이 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Jecheon Oti Byeolsinje nonak did not discussed in depth. we made a comparison between Jecheon Oti Byeolsinje nonak and another cases in chungbuk area and researched the function and meaning of the this village Ritual nonak. Jecheon Oti Byeolsinje nonak tune consist of Gilgarak, Samchae, spiritualistic pole tune, Praying and give a god send-off tune, Jajin Samchae, Ichae, finish tune and Chilchae. When move to places for Sacrificial Rite, when prepare a sacrificial offering, when receive an oracle, when Hujaebi play farmer’s band played musical instruments. Oti Byeolsinje nonak tunes are patterned in the individual ceremony. When farmer’s band arrived seonangdang they played Samchae-Ichae or Samchae-Jajinsamche. when receive an oracle spiritualistic pole tune, they Praying and give a god send-off tune. when finish the individual ceremony they play samchae-iche, samchae-iche-finish tune. The place of god and Divinity is set activity space which Mountain, village, hill, village entrance and the importance of the daily life. The Divinity who close living space and open ceremony are apt to the relationship people and the God mutuality reciprocal. Resultingly farmer’s band has abundant opportunity for play. Each the village Gut in Ritual nonak play roles in climax of atmosphere, purity, wish delivery and receiving an oracle. Divinity, way of religious servi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god ceremony and village god ceremony penalize independent activity of the farmer’s band. Nevertheless, this ritual nonak play a key role in ceremony. The awareness of the village people about nonak and the structure of the Byulsinje work on complementary the transmission of the nonak. It is also important that patterned nonak tune. Jecheon Otiri ritual nonak shows the aspect of transition in the Community rites.

      • KCI등재

        원주 매지농악을 통해 본 마을농악의 전승방식

        최자운(Choi Ja-Un),김은자(Kim Eun-Ja) 비교민속학회 2012 비교민속학 Vol.0 No.48

        산업화 및 고령화 등으로 농촌 공동화(空洞化)현상이 날로 심각해지고 있다. 이로 인해 마을에서 농악을 향유하고 전승할 사람이 부족하게 되었다. 농악의 바람직한 전승을 위해 무형문화재로 지정하여 농악을 전승하고 있지만 마을사람들과 분리되어 전승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고에서는 마을 만들기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마을에 소재한 무형문화재 지정 농악보존회 활동에 주목하였다. 먼저, 임실 필봉굿마을에서는 마을 주민 부족으로 대보름굿이나 필봉굿축제 때 마을은 장소대여의 기능, 마을 사람들은 부수적 기능밖에 하지 못했다. 강화 용두레마을의 경우 마을사업을 진행하는 주체들은 보존회를 외면하고 그로 인해 각자의 길을 걷고 있고, 진도 소포검정쌀마을에서는 소포걸군농악 공연 및 체험은 사람들의 열정으로 제대로 자리잡았으나 정작 마을 현장에서의 농악 전승은 사라진 상태이다. 그런데 원주 회촌마을은 농악이 실제 마을 및 방문객 대상 공연 등 다양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이 마을에서는 6?25 전쟁, 마을 주민 감소 및 제초제의 도입 등으로 몇 차례 농악 전승 위기를 맞았으나 마을 대동계 및 강성태 상쇠의 노력으로 그러한 위기들을 슬기롭게 극복하였다. 현재 회촌마을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매지농악보존회는 1990년대 초반부터 매지농악존회원으로 활동한 젊은 세대가 이끌어 가고 있다. 이들은 정부지원 문화사업 유치, 다른 갈래 음악과의 교류 등을 통해 전통적 형태의 매지농악이 살아남을 길을 모색하고 있는데, 가장 주목되는 것은 10여년이 넘게 마을 사람들과 긴밀한 관계를 꾸준히 유지해왔다는 것이다. 이러한 유대감이 있었기에 2000년대 이후 회촌마을 청년회가 재정비되고, 영농조합법인이 설립되면서 두 조직간의 연계를 통해 4차례의 마을축제를 정착시킬 수 있었다. 새마을운동 이전 회촌마을 사람들은 그들의 삶 속에서 농악을 향유하였지만 현재의 사람들은 더 이상 농악기를 연주하지 않는다. 그렇다고 해서 마을농악의 의미가 변질되거나 퇴색된 것은 아니다. 예전과 같은 방식은 아니지만, 단오서낭제 때 소지를 올리면서 보존회원들의 소지를 올려주는 것에서 보듯, 마을의 일원으로 간주되는 농악보존회 젊은 세대들이 마을 발전을 위해 마을과 연계하여 마을축제를 개최하면서 의례적 혹은 오락적으로 농악을 전승하고 있기 때문이다. 서로 추구하는 길이 다르다고 멀리했다면 다른 농악보존회와 마을과의 예처럼 벌써 각자의 길을 가고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이 마을에서는 마을 내 대동계 등의 주민조직과 농악보존회가 어느 한 쪽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균형을 맞추었고, 이것이 원동력이 되어 농악 전승의 원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현재 마을은 마을대로, 농악 보존회는 보존회대로 운영이 쉬운 것은 아니지만, 원주 회촌마을 사례를 통해 마을사람들과 농악보존회가 연계하여 의례성과 유희성을 적절히 조합된 마을농악 전승이 결코 불가능한 일이 아님을 알 수 있다. Farming villages are becoming hollow caused by industrialization and graying. So, There are a shortage of maintain tradition in a village. In order to preserve a Nongak,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appoint some Nongak of great artistic value as a intangible cultural asset. But, These Nongak which appointed intangible cultural asset are passing down separated from their hometown. In this paper inquired minutely activity of a Nongak preservation society which located in Rural community design. Wonju Hoechon village is quite unlike any other village which located in Nongak preservation society. The tradition of the village Nongak faced a serious crisis from Korean war, resident decrease and herbicide introduction. But, Every villager joined forces to get through these crisis. This village Nongak is handing down in ceremony and amusement space by Maeji Nongak preservation society. Today by the bring in a Government undertaking and hold a village festival, Hoechon village more economically developed. Hoechon villagers no longer play musical instrument. Nevertheless, The meaning of the village Nongak did not less meaningful. The Maeji Nongak preservation society has close links with Hoechon villager. On this account, The Nongak of the Hoechon village handing down well in many different forms. Hoechon villagers and The Maeji Nongak preservation society chased the another thing. But They understood each other, could transmit Nongak tradition well. Hoechon village-The Maeji Nongak preservation society alliance can set an example to another Nongak preservation society and village.

      • KCI등재후보

        강원지역 장례의식요 전승의 현재적 양상과 의의

        최자운(Choi, Ja-Un)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17 民俗硏究 Vol.0 No.35

        본고에서는 장례의식요 전승 양상이 상이한 강원도 횡성군 강림면, 홍천군 동면 좌운 2리, 그리고 화천군 사내면 광덕 3리 상황을 점검한 뒤 이 세 마을에서 상여 · 회다지소리를 전승할 수 있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첫 번째로, 꾸준한 매장(埋葬) 수요이다. 위 세 마을 역시 병원 영안실 혹은 전문 장례식장에서 장례를 치른다. 그럼에도 횡성 강림면에서는 외부 전문가를 초빙하여 뜻을 같이 하는 사람들이 소리를 배워서, 홍천 좌운 2리와 화천 광덕 3리는 마을 전래 소리 전통을 면면히 잇고 있다. 이곳 노인들은 매장을 제사나 조상 관념과 동일선상에서 이해한다. 상주들은 부모가 원할 경우 매장을 일단 하고 어느 정도 시간이 흐른 뒤 날을 잡아서 화장(火葬)을 하더라도, 일단은 부모의 뜻에 따르는 편이다. 두 번째로 전통 장례에 대한 마를 사람들의 우호적 태도이다. 횡성 강림면 상여 회다지 소리 동호회원들은 대부분 50~60대이고, 홍천 좌운 2리와 화천 광덕 3리에는 농업에 종사하는 50, 60대가 30가구가 넘는다. 이들은 상여를 메거나 회를 다지는 것에 적극적이다. 아울러, 토박이와 외지인과의 밀접한 유대관계 속에 귀농 및 귀촌 가구들의 전통 장례식에 대한 적극적 참여도 소리 전승에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세 번째로 60대 장례의식요 선소리꾼의 존재이다. 각 마을 선소리꾼들은 전통 장례식 관련 활동을 품앗이의 하나로 인식하는 경향이 강하다. 자신들이 장례의식요 선소리를 메기고, 여러 마을 일을 돕는 것은 개인적 보람이나 만족을 얻기 위해서가 아닌, 품앗이 전통에 기인함을 분명히 했다. 홍천 좌운 2리 및 회천 광덕 3리 선소리꾼은 공통적으로 상여 및 회다지소리를 할 때 상황에 따른 사설을 노래하지 않는다. 위 제보자들은 각 상황에 따라 자신들이 익힌대로 소리하는 것을 하나의 전통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소리에 대한 이러한 인식은 자신들이 지켜야 할 소산의 일부로 이해 가능하다. Functional character is a mark of the Korean Folk song. Almost the whole Folk song does not sung in field. Village people live in Hoengsung Gangrim-myun, Hongchun Jwaun 2-ri and Hwachun Gwangduk 3-ri in Gangwon-do Province passing down Funeral rites song. The purpose of this article analyze factor which hand down a Funeral rites song. First, There is steady Demand for burial. Three village peoples hold a funeral in a funeral hall. Because an advocate can not teach a song, peoples live in Gangrim-myun in Heongsung learned from an expert. Peoples live in Jwaun 2-ri in Hongchun and Gwangduk 3-ri in Hwachun maintaining song tradition. Old men identify burial with commemorative rites for ancestors or ancestors notion. Regardless of cumbersome, Chief mourner yield to their parents. Second, village peoples are in favor of Traditional funeral. Hoedaji-sori members in Hoengsung are the elderly citizens. There are more than 30 Farming folk household who in their 50s and early 60s live in Jwaun 2-ri in Hongchun and Gwangduk 3-ri in Hwachun. They are active in Hoedaji. Natives are bound up with Foreigners. The peasantry returned to the soil and the people return co rural are willing in all the social happenings in the village. Third, an advocate in sixties is being. Each advocates regard a traditional funeral as a exchange of labor. Personal satisfaction or purpose makes no odds co them. They put emphasis on the tradition of the exchange of labor. An advocates live in Jwaun 2-ri in Hongchun and Gwangduk 3-ri in Hwachun does nor enjoy singing according co circumstances. They would gladly follow the standard form.

      • KCI등재

        농촌체험관광 활성화를 위한 체험지구 기본계획 수립 -충남 금산군 부리면 어재리 금강 농바우마을을 중심으로-

        최자운 ( Ja Un Choi ),정대영 ( Dae Young Jeong ) 한국농촌지도학회 2010 농촌지도와 개발 Vol.17 No.4

        Rural Experiential Tourism is the medium that connect a town and country. Through the form of these Rural Experiential Tourism people live in country sell indigenous products and tourism services. Both people maintain friendly relations with their friendship based on mutual trust. The aim of space planing for experience and development of experience program is make visitors learn many valuable lessons in countryside. So, Two things must discussed closely related. Also it is necessary to mention people to conduct in there. Visitors who live in Gyonggi and Chungcheong province come to frequently Geumgang Nongbau village for a day. They enjoy going for a swimming and fishing in Geumgang. In order to activate specialized experience program,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number of those exclusively responsible for that experience program and organization visitors make stay overnight invillage. Also to enhancing village people`s income must have agricultural stand and activate village internet site.

      • KCI등재

        마산 내서전통민속문화예술보존회의 전승 활동과 특징

        최자운 ( Choi Ja-un ) 한국공연문화학회 2021 공연문화연구 Vol.- No.43

        경남 마산 내서전통민속문화예술보존회의 흐름은 세 단계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인 토대 구축기의 핵심은 본 보존회의 전신인 경남 창원군 내서면 호계리 농악대 활동이다. 호계리 농악대원들은 196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 지자체 단위 농악대회에 출전하여 수차례 수상한 바 있다. 1990년대에 들어 마을 사람 수가 줄어들면서 농악대 존립 자체에 위협을 받게 되자, 이곳 농악대원들은 1994년 내서면민으로 회원들을 확대하여 민속문화를 전승하는 보존회를 조직하였다. 두 번째 단계인 내적 성숙기에는 초대 보존회장을 맡은 백종기(1935)를 중심으로 회원들이 <광려산 숯일소리>와 <내서 정자소리>를 복원, 공연하였고, 20여년 간의 활동 끝에, <광려산 숯일소리>가 경남무형문화재 43호로 지정되었다. 세 번째인 외연 확장기의 키워드는 신입회원 확보이다. 농업노동요에 친숙하지 않은 이들의 가입을 유도하기 위해 보존회에서는 농악, 통속민요, 건강 무용 등의 수업을 진행함으로써, 자연스럽게 향토민요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아울러, 관내 초·중학생 대상 전수교육을 담당할 강사를 늘리고, 학생 수준에 맞는 교육 내용을 마련할 계획이다. 내서전통민속문화예술보존회가 수십 년간 활동을 이어올 수 있었던 원동력은 회원들의 책임감과 전승 종목에 대한 보완 노력이다. 먼저, 보존회 회원들은 소리를 익힌 경로에 따라 현장에서 소리를 익힌 1세대, 공연을 통해 소리를 배운 2세대로 나눌 수 있는데, 1세대 회원들은 호계리에서 나고 자랐거나, 이 마을로 시집온 사람들이다. 2021년 현재 공연 전면에 나서는 이들은 1세대 회원들이지만, 보존회를 실질적으로 이끌어가는 것은 2세대 회원들이다. 이들은 상황에 따른 선소리 구연, 전수학교 강사 활동, 공연 및 연습 일정 조율 등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1996년과 1997년에 각각 첫선을 보인 <내서 정자소리>와 <광려산 숯일소리>는 지금까지 수차례 명칭과 내용 변화를 겪었다. 1990년대 <광려산 숯일소리>의 이전 명칭은 <내서 숯꾼놀이>, <내서 숯꾼 일소리>이다. 전체 내용도 처음에는 산신제 거행, 숯굴 만들기, 나무 해오기, 숯굴에 불 붙이기, 숯을 장에 내다 팔기, 뒷풀이 하기로 구성되었으나, 2001년과 2017년에 명칭 및 순서가 바뀌고 새로운 소리도 삽입되었다. <내서 정자소리>의 경우 <광려산 숯일소리>에 비해 변화의 폭이 크다. 처음에는 거름 만드는 과정을 재현한 <내서 초군(草軍)놀이>로 시작했으나, 논농사 전 과정이 중심인 <내서 들일소리>를 거쳐, 2017년 여러 가지 향토민요로 이루어진 <내서 정자소리>가 만들어졌다. 보존회원들은 이미 틀이 갖추어진 프로그램에 안주하지 않고 내부 및 외부의 의견을 받아들여 그들이 전승하고 있는 공연 프로그램을 끊임없이 변화시켜왔다. 각 종목에 대한 수정과 보완 노력은 보존회가 지속될 수 있는 또 하나의 원동력으로 작용했다. The Aim of the this paper is to figure out impetus of the Naeseo Traditional Folk art Conservation Association. This Preservation Society derived from Hogaeri farmers' band. Through aging and hollowing out Hogaeri farmers' band got into a period of stagnation. In order to overcome slump villager and people of a township organized a conservation society in 1994. Members restored and directed folk song which from age to age for performance . < Gwangryu Mountain Sutilsori > are designated as cultural asset in 2017. Sutguldeong song is only song in inland area. This song are worthy of notice in < Gwangryu Mountain Sutilsori >. < Naeseo Jungjasori > which is consist of various agricultural work songs experienced two changes. Rice-planting songs are characteristic. Especially, Executive playing a central role harden foundation of the Preservation Society. The mainspring of activity is the sense of responsibility. Preservation Society laying emphasis on recruiting new members. Preservation Society is planning to develop curriculum for Jurisdictio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This Preservation Society is made up of First generation members and Second generation members. First generation members who are born and bred in Hogaeri have been good friends both in joy and in sorrow Early days of Preservation Society. So, They has a strong family bond. In order to induce membership Members are practicing Nongak, popular folk songs, dancing program. Second generation members are not conversant with a folk song. Nonetheless They have a strong mind on a member line.

      • KCI등재후보

        여성 구연 민요 내 모성(母性)의 표현 양상과 의미

        최자운(Choi, Ja Un) 돈암어문학회 2016 돈암어문학 Vol.30 No.-

        여러 기능의 모성(母性) 관련 민요를 시집살이의 흐름에 따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집와서 몇 년이 흘러도 생활이 나아질 기미가 없자, <흥글소리> 가창자들은 자신이 터놓고 이야기할 수 있는 유일한 존재인 어머니에게 그간의 고통을 털어놓는다. 이 소리에서 화자에게 현실적 위안이 될 아기는 등장하지 않으며, 친정어머니에 대한 부정을 통한 자기 탐색이 중심을 이룬다. 아이를 출산하면서 가정 내 며느리의 위상도 다소 상승한다. <자장가> 가창자는 품 안의 아기를 보며 삶의 희망을 얻는다. 그녀는 아이가 잘 자라 자신이 덕을 보았으면 좋겠다고 노래한다. 아이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가창자의 모성은 조금씩 자리 잡힌다. <사슴노래>에서 어머니의 자식에 대한 모성은 극대화된다. 화자가 처한 상황이 극단적이고, 그만큼 자식에 대한 책임감도 커진다. 그러나 모성은 어머니의 자존감 상승으로 이어지지 못한다. 가창자에게 가해지는 무자비함은 조금도 변함이 없기 때문이다. <다복녀민요> 가창자는 성인 여성으로 추정되는 작중 화자에 감정 이입한다. 화자는 다복녀의 어머니 찾기가 다복녀의 자립에 방해가 될 뿐이라고 여긴다. 시집에 와서 살아보니 아무리 친정어머니를 그리워해도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았던 본인의 경험이 다복녀가 어머니를 찾으러 가는 것을 반대한 이유가 되었다. 세월이 흘러 딸의 출가(出嫁)를 기점으로 본인의 가정 내 책무가 어느 정도 완료되고, 아들이 장가가 손자, 손녀를 낳게 되면서 가창자의 자존감은 비로소 완성된다. 딸을 시집보내고 얻은 사위를 보면서 부르는 <사위노래>와 아들을 장가보내 얻은 손주를 재우며 부르는 <자장가>는 모성과 동시에 자존감이 완전히 확립되어 부르는 노래라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It is importan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lk song which related to Maternal instinct and Patrilocal marriage. Although it has been years since Patrilocal marriage, The situation seems hopeless of improvement. 〈Heunggeul-sori〉 singers give voice to their mother. In this song do not show baby. Through grumble singers feel self exploring. After give birth to child, the position of the daughter-in-law in the home get better. So, Lullaby singers want to benefited from her child. Through interaction between baby Maternal instinct are forming. In 〈Deer song〉 Maternal instinct from mother to child maximizes. But, Maternal instinct did not assist their life. Because character are placed in an extreme situation, They feel great responsibility to their young. Maternal instinct did not connected rising self-esteem. Singers still continue to enduring hardship in the home. The singers who sing 〈Daboknyeo folk song〉 empathy to character who are estimated at grown-up woman. Character regard Daboknyeo"s attempt as disturbance to stand on her feet. Because Singers know by experience, they oppose to finding mother. After long years, Singers give their daughter in marriage. Marriage started the fulfill her responsibility. Since then Self-regard reach its peak. Son-in-law song are sung in wedding reception. When put a baby to sleep Lullaby are sung. The whole Maternal instinct and Self-regard are common to two songs.

      • 동해 망상농악의 연행 양상과 전승 동력

        최자운(Choi, Ja-un) 아시아강원민속학회 2021 아시아강원민속 Vol.35 No.-

        본 논문의 목적은 동해 망상농악이 전승될 수 있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과거 골안마을 사람들은 서낭제, 낙성연(落成宴), 그리고 질먹기 때 농악을 연행하였다. 골안마을은 논에 물대기가 수월하고, 마을 내 농토가 넓은 데다, 토질(土質)도 부드러워 논농사 여건이 양호했다. 이 마을은 인근 마을에 비해 자영농 비율이 높고, 비교적 부촌(富村)이었다. 이러한 경제적 배경은 왕성한 농악대 활동의 원동력으로 작용하였다. 2020년 현재 동해 망상농악보존회의 주요 행사는 정월 고청제 이후의 판굿과 지역 축제나 행사 때의 공연이다. 현재 서낭제를 지내는 3개 마을 중 샛말에서는 마을 사람들이 순번제로 돌아가면서 서낭제를 지낸다. 제물(祭物)은 마을 공동기금에서 구입한다. 모든 서낭제를 마친 뒤 두암 서낭당 앞 마당에서 판굿을 연행하는데, 무형문화재 지정 농악보존회 중 실제 의례가 곧 무형문화재 공개 행사인 곳은 전국적으로 많지 않다. 골안마을 사람들은 단합과 전래 농악 보존을 위해 1980년대 중반 농악대를 조직하였다. 이후 골안농악대는 2006년에 강원도 지정 무형문화재 지정을 목표로 괴란 고청제 농악보존회로 거듭났다. 이후 보존회원 확보를 위해 동해 망상농악보존회로 명칭을 바꾸었다. 2020년 현재 보존회 회원은 45명으로, 괴란동 주민은 25명, 동해시 거주자는 20명이다. 30대와 40대에 비해 10대와 20대 회원이 더 많다. 10대와 20대 신입회원의 가입 경로는 전수학교 경험과 가족 권유이다. 10대 보존회원 4명 중 여성 2명은 망상초교 괴란농악반 출신이고, 나머지 남성 2명은 보존회원인 부모님 중 한 분의 권유로 활동하게 되었다. 20대 회원 5명 중 1명은 망상초교 괴란농악반 출신이고, 나머지 4명은 가족회원이다. 10대와 20대 회원들은 공통적으로 망상농악에 대한 유대감이 강하다. It is the purpose of this paper to figure out transmission motivity of the Donghae Mangsang Nongak. This Nongak has a long history. Village people perform Nongak in village ritual, celebration of one’s completion of house and so on. Nongak activities which are related rice-field farming were in good order. Golan village was a wealthy village. There were many independent farmers. Economic backgrounds made driving force furious activities. Each village had its own traditional Nongak. After the liberation, Dooam Geumdan, Saetmal, Olmit village people worked together, They participated Nongak contest in Mookho. Since the 1980s, They formed a unified team. Donghae Mangsang Nongak was designated as cultural treasure in 2017. Most important activity of the Society for the preservation of Mangsang Nongak is Gochungje(告請祭) Pangut. Through the rotating system proceeding village ritual, people preparing sacrificial offering by the common fund. After the rite, village people playing a Nongak in a front yard of the Dooam shrine to the village deity. Society for the preservation are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asset advance religious service in practice are unusual. In order to plan for unity and preserve tradition village people organized Society for the preservation of Mangsang Nongak. Golan Nongak was the traditional organizational structures. Gochungje Nongak changed into the modernistic. From then on Members changed it’s name from Gochungje Nongak to Donghae Mangsang Nongak. Nongak members lay emphasis on unitary and horizontal running. Society for the preservation have a large Under 30s membership. Via specialized school and Family Encouragement, Members in their teens and 20s joining a Society. Members in their teens and 20s have a bond Society for the preservation of Mangsang Nongak.

      • KCI등재

        기획논문2- 주제: <주제: 전통공연유산의 지속과 변화> : 제천시 두학동 상풍마을 농악(農樂)의 변천 과정과 연희화(演戱化)

        최자운 ( Ja Un Choi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6 공연문화연구 Vol.0 No.32

        제천 두학농악의 기능은 의례(儀禮)와 노작(勞作), 그리고 유흥(遊興)으로 나눌 수 있다. 의례의 경우 동제에서 마을제사를 지내기에 앞서 마을 사람이 꽹과리를 한바탕 크게 쳤는데, 이는 섣달그믐 매귀(埋鬼) 전통의 흔적이다. 집터를 다지기 전에 동네 사람들은 쇠, 징, 장구 등을 요란하게 울리며 지신(地神)이 동하지 않게 하기 위해 터를 눌렀다. 이 두 사례에서 농악기는 단순 악기가 아닌, 정화(淨化) 및 구복(求福)의 도구로 작용한다. 상풍마을에서는 부잣집 아시 논을 맬 때 두레가 선다. 이곳에서 제초 효과가 비교적 적은 두레를 선호하는 것은 상풍마을의 노동 상황에서 그 이유를 찾을수 있다. 두레에서 농악은 핵심적 역할을 담당하였다. 전통 형태의 농악이 와해되어가는 상황 속에서 대회 참가를 위해 전통형태의 마당굿을 기반으로 판굿을 만들어 가는 과정은 광복 이후부터 1970년대 초반까지 마을농악대에 의해 전통농악과 판굿이 병행된 시기, 1970년대 초반부터 1990년대 후반까지 마을 사람들이 판굿 중심으로 농악을 전승하던 시기, 그리고 1990년대 후반부터 현재까지 제천 두학농악보존회에 의해 판굿이 전승된 시기로 나눌 수 있다. 농악경연대회 참가를 통해 조금씩 가다듬어진 두학농악 판굿은 태극진, 달팽이진, 십자진, 사방진, 상견례진·반상견례진, 팔방진, 새끼꼬기, 그리고 개인놀이로 구성된다. 두학농악이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며 수 십 년간 판굿을 전승할 수 있었던 요인은 상풍마을 사람들의 농악에 대한 적극적 인식, 마당굿과 개별악기 연주 숙련자 보유, 농악대 운영자인 영좌의 역할, 마지막으로 유봉원 상쇠의 영입이다. The function of the Duhak nongak(農樂) in Jecheon consist of Ceremony, Labor, and Entertainment. Before the commemorative rites for village god village people beat a small gong. This is a evidence of the drive away evil spirits in New Year``s Eve of the lunar year. Before harden house site village peoples beat musical instrument noisily. In order to press hard the god of the earth they play musical instrument. Musical instrument not a simple musical instrument, but a purify and wish tool. When weeding a rice paddy Durae organized in Sangpung village. Durae are less effective than communal sharing of labor in weeding effect. Nonetheless, Nongak carried out core function in Durae. In order to participate Nonngak concours, peoples made a Pangut. From independence to 1970s people combine traditional nongak and Pangut. Since then village people played Pangut. From 1990s Pangut was played by Duhak Nonngak Preservation Association. Through the participation Nonngak concours, Duhak nongak was regrouped. Finally this nongak prepared Taeguk-jin, Snail-jin, Cross-jin, Sabang-jin, Sanggyeonrae·Bans anggyeonrae-jin, Palbang-jin, Rope making and individual play. Duhak Nonngak promptly met the needs of the times. So, they could play Pangut. The feature of the Duhak Nonngak is that active cognition, highly skilled musician a patron and scouting a competent lea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