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페르시아 왕의 개인적 오만과 아테네의 패권주의 - 헤로도토스와 투키디데스에 보이는 오만(hybris)의 개념 차이를 중심으로

        최자영 ( Che Jayoung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 구 한국서양고대사학회 ) 2012 서양고대사연구 Vol.30 No.-

        헤로도토스의 『역사』(페르시아 전쟁사)가 신화를 대거 포함하여 설화적으로 기술하는 반면, 투키디데스의 투키디데스의 『역사』(펠로폰네소스 전쟁사)는 전쟁사, 정치사를 중심으로 하고 또 더 분석적, 비판적 혹은 객관적이고 과학적 시각에서 기술한 것으로 평가되어 왔다. 그런데 이런 획일적 논의는 두 가지 측면에서 비판의 대상이 된다. 하나는 헤로도토스도 투키디데스와 같이 전쟁사를 중심으로 했고 비판적, 객관적 시각을 갖추고 있었다는 점, 다른 하나는 투키디데스 자신도 반드시 과학적, 객관적 진실만을 적은 것이 아니라 신화적, 비극적 구성, 혹은 우연(tyche)의 작용 등을 작품 속에 반영하고 있다는 점이다. 헤로도토스와 투키디데스는 각기 다른 전쟁을 주제로 역사를 기록하면서 당면한 전쟁의 규모가 큰 데 놀란 점에서도 유사성이 있다. 그런데 대규모 전쟁을 조장하는 인간의 오만(hybris)에 대한 이해에서 양자 간에는 차이점이 있다. 헤로도토스의 『역사』의 주제는 페르시아 왕 크세르크세스의 오만에 대한 신의 징벌이라고 한다면, 투키디데스는 전쟁의 숨은 원인이 아테네의 세력 성장에 대한 스파르타 인의 두려움 때문이라고 적고 있기 때문이다. 멜로스 대담에서 아테네 사신의 입을 통해 노골화되는 힘의 패권주의는 투키디데스 『역사』의 서두에 보이는 아테네의 힘의 성장에 대해 스파르타가 느꼈던 불안과도 통하는 것이다. 페르시아 왕이 요구하는 ‘땅과 물’은 직접 지배에 의한 수탈의 강화를 초래할 수도 있겠으나 그것은 노골적 힘의 지배 원리에 바탕을 두는 것과는 다르다. 헤로도토스의 마르도니오스가 아테네 인에게 항복을 권유하면서 펴는 공존과 평화의 논리는 투키디데스에 보이는 극단적 패권주의의 추구와는 다르다. 다시 말하면, 헤로도토스가 지적한 크세르크세스 왕의 오만은 지배 권력 그 자체에서가 아니라 그것이 적정 범위를 넘어섰다는 점에 있다. 그러나 투키디데스의 멜로스 대담에서 절제 없는 패권주의를 추구하려 한 아테네 인의 오만은 비효율적인 지배영역의 범위와 무관하게 지배 권력의 질 자체에 있었던 것이다. 이런 힘의 지배는 순리에 따르거나 논의를 통해 선택될 수가 없으며, 군사력에 바탕을 둔 일방적 강요에 의해서만 성립 가능한 것이다. 또 이런 패권주의는 적정하거나 지배영역과 무관하게 어떤 규모에서도 일어날 수 있는 것으로 아테네가 멜로스 섬 사람들에 대해 강요한 복종이 바로 그러하다. 투키디데스의 『역사』의 주제가 교훈을 주는 영원한 유산이라면 그 교훈은 권력 및 무력의 성장이 사회적으로 초래하는 부작용이다. 무력은 해적의 방어, 안전의 확보를 위해 필요한 것이었으나, 지나친 힘의 논리, 극단적 패권주의의 추구로 이어질 때 인간사회는 공멸의 길로 치닫는다. 투키디데스가 경계한 것은 바로 사려분별의 지경을 넘어서서 지나칠 정도로 힘에 대해 갖는 인간의 맹신과 방종, 극단적 군사적 패권주의의 추구라고 하겠다. 이런 차이점은 양자가 살았던 시대상의 차이를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다. 즉 헤로도토스가 주제로 한 페르시아 전쟁 당시에는 없던 군사적 패권주의가 투키디데스에서 나타나게 되는데, 그 배경은 페르시아 전쟁 이 후 델로스 해상동맹의 결성으로 그리스 세계에는 전에 없던 군사력의 조직화가대규모로 이루어지게 되고 이런 것이 결국은 아테네의 군사적 패권주의를 조장하는 데 기여하게 되었다는 점과 연관 지을 수가 있겠다. 이런 변화는 아테네 뿐 아니라 스파르타에게도 같이 적용된다. 펠로폰네소스 전쟁에서 아테네가 패배하고 델로스 해상 동맹이 붕괴된 후 스파르타가 에게 해의 패권을 대신 이어받으면서, 도시국가 간의 패권다툼은 결국 그리스 사회 전체를 질곡의 도가니로 몰아갔다. The demand of Persian king for ‘earth and water’ might possibly be deteriorated to the intensified exploitation of direct domination, but it is basically different from the concept of naked domination of power. When Mardonios tried to persuade the Athenians into surrendering to the Persian king, Xerxes, he argued for coexistence and peaceful life, which differs from the extreme pursuit of hegemony approved by the Athenian envoys in the Melian Dialogue. Their arguments for power domination is more or less connected with the the growth of Athenian hegemony, against which the Spartans were feeling uneasiness. According to Thucydides, the cause of the Peloponnesian War was the Spartans' anxiety against the increasing power of the Athens. The ‘hybris(arrogance)’ in Herodotos frequently refers to the individual, Xerxes, while that of Thucydides to the systematic, collective selfishness based on the militaristic domination of Athens. That is, the ‘hybris’ of Xerxes does not concern the monarchic domination itself, but his excessive desire to occupy territory of overdue, ineffective scale, leading to the invasion so far to Hellas. The monarchy is not so bad in itself, having strong points as well as the weak, the situation being applicable likewise to the case of democracy and oligarchy. This is proved in the Herodotos’ own account(III.80~83), where, having discussed relative merits of each polity, the seven Persian rebels conferred at last to take the rule of monarchy for the Persians. The Athenian ‘hybris’(arrogance) of seeking after militaristic hegemony as presented in the Melian Dialogue in Thucydides, however, is not primarily related to width of territorial domination, but could be applicable even in small area. And militaristic ruling could never be realized by mutual consent, but just by coercion. The precepts of eternal value Thucydides intended to leave for us, in my opinion, referred to the side effects caused by the growth of militarism. Military power is inevitable to defend against enemies as well as pirates, but inordinate pursuit of power as well as militaristic hegemony results sooner or later in the self destruction of human society. The difference presented in the concepts of ‘hybris’ between the two historians reflects the difference of social environments in which each historian got along. After the Persian War, the Delian League around the Aegean Sea was organized under the hegemony of Athens, to respond against the possible invasion of the Persians. And the creation of the Delian League provided a momentum for the growth of mercenary marine soldiers, causing a great change in the Greek society which was previously based for the most part on the citizen soldiers. Furthermore, the militaristic hegemony was sought after not only by the Athenians, but also the Spartans who took over the hegemony of the Aegean sea after the final victory against Athens in the Peloponnesian War. The pursuit of militarism of each state led the whole Greek society to the whirlpool of mutual conflicts in the 4th Century.

      • AHCISCOPUSKCI등재

        헬레니즘 시대 의술에서 보이는 이질적 경향 : 다양성 대(對) 획일성, 시간적 지연(자연성) 대 신속성(효율성), 인술(仁術) 대 세속적 성공의 대립

        최자영(CHE Jayoung) 대한의사학회 2008 醫史學 Vol.17 No.1

        It is a one-sided view to find the greatness of Hippocrates just in seeking after scientific medicine(medicina scientia) and sublating superstitious treatment. The scientific medicine did not begin with him, and the succeeding generations of him were not one and the same in opinions. For example, there were the confrontations between the school of Kos and that of Knidos in the very age of Hippocrates, as well as the opposition of rationalism and empiricism. The school of Kos was alleged to succeed the tradition of Hippocrates, taking into consideration individual physical conditions and being based on the principle of various clinical methods of physical therapy assuming chronical extension. On the contrary, the school of Knidos tended to define the diseases in simple aspects, paying no much attention to the difference of physical conditions and developmental stages of illness. Futhermore, the latter grasped the diseases rather in the point of individual organs than the disorder of physical state of the body. It can be said that the anatomical knowledge was more useful for the school of Knido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schools can also be found in what purpose the medicine sought after. While Hippocrates attached much importance to physical therapy and made the people including the poor as object of medical treatment. there were doctors in no small number, we can suppose, in pursuit of money, power, worldly glory. As time passed, however, the two schools gradually got similar to each other, the difference of them reduced as well as the tradition of Hippocrates faded. The opposition between rationalism and empiricism in the Hellenistic Age shared, in some aspect, the difference of Kos and Knidos. According to Celsus, the conflict between rationalism and empiricism did not refer to pharmacy or anatomy, but just to diet. The rationalism materialized various methods of therapy considering environmental elements as well as individual physical conditions, but the empiricism in reality tended to expedite simplification of treatment. This tendency of simplification of the latter corresponded to the contemporary need of society, that is, speedy and effective treatment for the wounded in war or for epidemic in the army, farms of collective labour or much crowded cities. The bigger the groups were, the more the methods of treatment got simplified, individual conditions not much accounted. Then, the empiricism came to be united with anatomy, as the anatomy, being much developed in the process of curing the wounded in war, goes with simplification of medical treatment in the hospital of large scale. It can be said that the origin of simplified definition of diseases goes back far to the school of Knidos. On the other hand, in Hippocrates the drugs were in contrast to the diet. While the diet was to help health and rehabilitate physical conditions, the drugs were to result in strong effects of change. The drugs like as poison, eye-salve, ointment were to be made use of for rapid, effective change of physical state or for the treatment of a concrete, limited part of the body, These drugs were also much developed in the Hellenistic Age of the state of chronic war. In initial stages, the toxical drugs as well as the anatomy and surgical operations must have been developed on peaceful purpose, such like as'theriaca' detoxicating(antidoting) animal's poison, or for easing childbirth. With the increasement of social inequality and unexhausted human desire, however, the toxical drugs or anatomical knowledges got to be used for undesirable purposes. Thus, we can not estimate Hippocrates simply in the point whether he developed scientific medicine or not. The great fame of Hippocrates could be found rather in his method of medical treatment as well as the principle of medicine, as he believed that the medicine should not be exploited for worldly power or wealth but for the convenience of all the people. He pursued healthy life m

      • KCI등재

        고대 그리스 사회에 대한 한국 중등 교과서의 오류 및 최병조 교수의 촌평에 대한 두 가지 제언 -『고대 그리스 법제사』 개정판 출간에 즈음하여-

        최자영(Jayoung Che) 한국서양고전학회 2019 西洋古典學硏究 Vol.58 No.2

        한국에서는 고대 그리스 폴리스 사회에 대한 여러 가지 오해가 만연해있다. 터무니없이 잘못된 지식이 광범하게 펴져있는 주요 원인은 해방 후 반세기 이상 중등 · 고등 교육의 교과서에 잘못된 내용이 기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중등 교사는 물론 대학 교수들도 그릇된 지식을 가지고 있어서 고대 그리스 사회에 대한 왜곡이 심각하며, 역사뿐 아니라 사회과학 전반에 걸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 왜곡되고 있는 사례의 예를 몇 가지 소개하도록 한다. 아울러 최병조 교수가 『서양고전학연구』 제35집, 189-219쪽에 실은 글 가운데 일부에 대해 필자의 의견을 재논평 형식으로 싣는다. 최교수의 글은 필자가 쓴『고대그리스법제사』중 부록 VIII, 『학설휘찬』(Digesta)에 그리스와 로마 법 사이의 연관성을 보여주는 총 30여 개 발췌문에 관련한 논평이었다. 여기서는 필자가 여전히 미진하다고 생각하는 두 가지 점만 간단하게 지적하기로 한다. 하나는 ‘proxenetika (hermeneutikon)’에 관한 것, 다른 하나는 그리스 전치사 ‘epi’의 용법에 관련한 것(210-211쪽)이다. 동시에 이 글이 나온 지 이미 10년이란 세월이 흘러서, 개정판 출간에 즈음해서야 그 내용을 검토 반영하게 된 데 대해 양해를 구한다. 그 때 최교수는 로마법에 관련하여 필자가 사용한 부적절한 용어, 책명, 라틴어 번역에 보이는 오류까지 수정 의견을 내주었다. 그 세심함은 돈으로 헤아릴 수가 없는 것이다. 그런 세심한 배려 때문에 이번 개정판 출간으로 이 책은 한층 더 그 격조가 높아지는 계기가 될 것이며, 그 때문에 감사의 정을 전한다.

      • KCI등재

        고대 그리스 중서부 아카르나니아와 아이톨리아 코이논(koinon)의 정치적 변천과정

        최자영 ( Che Jayoung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 구 한국서양고대사학회 ) 2015 서양고대사연구 Vol.42 No.-

        펠로폰네소스 전쟁 시기에 아카르나니아는 물론 아이톨리아 지역에서도 폴리스들은 독자적 노선을 걸었다. 느슨한 관계의 코이논은 일관성 있는 대외정책을 추진할 만큼 응집력이 없었다. 그러나 4세기 이후 그리스에 용병 제도가 만성화되고 군사적 충돌이 가중되면서 이들 지역의 폴리스 간에도 강압에 의한 지배 피지배 관계가 증가하고 그에 따라 코이논의 응집력도 강해지게 된다. 한편, 펠로폰네소스 전쟁시기에 보이는 폴리스 내의 이른바 과두파와 민주파 간의 정치적 갈등도 시민의 자유나 도시의 독립이 전제가 되었을 때에 가능한 것이었다. 반면 후대 군국주의가 팽배하고 코이논 내의 강한 폴리스나 코이논에 자체에 대한 외세의 압력이 강화될 즈음이 되면 폴리스 자체의 독립은 물론 그 내부의 정치적 갈등도 함께 사라진다. 응집력이나 억압의 정도뿐 아니라 공동체 운영의 원리도 시대에 따라 차이가 있다. 기원전 5세기 말 투키디데스(3.105)는 아카르니아 인과 암필로키아 인이 한 때 암필로키아의 수도 올파이에서 공동의 재판소(koino dikasterio)를 가지고 운영했다고 전하고 있는데, 이렇게 재판의 기능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공동체는 후대의 군사적인 기능을 중심으로 발달하게 되는 공동체와는 성격이 사뭇 대조적이라고 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반드시 강압적 무력을 전제로 하는 것이 아니므로 그 재판은 중의에 따라 진행될 가능성이 많으나, 후자의 경우는 강자나 행정권자의 발언권이 더 강화될 소지가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마케도니아의 그리스 정복이나 로마의 영향력이 강화되어가는 가운데서도 아이톨로-아카르나니아 각 지역에서는 과거 폴리스 자유 시민의 전통이 여전히 사라지지 않았다. 대내외 적으로 독자적 행보는 다소간 이어졌고 지향성의 차이에 따른 갈등이 끊이지 않고 계속되었다. 이런 갈등은 로마가 완전히 그리스를 속주로 하는 2세기 중엽에 이르기까지 노정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서로 이웃하고 있으나 아카르나니아 코이논이 아이톨리아보다 상대적으로 더 분권적, 민주적이었고, 그에 비해 아이톨리아는 더 응집성이 강했던 것으로 보인다. 아이톨로-아카르나니아 지역에서 무력충돌과 군국주의가 헬레니즘 시대에 들어서 팽배하기 전 이미 그 단초는 펠로폰네소스 전쟁을 통해 표출되고 있었다. 아테네와 스파르타가 서로 갈등하고 또 그에 준하여 기타 도시 내에서도 파가 갈려서 서로 갈등한 것이 그것이다. 한편으로 스파르타는 농업 경제를 바탕으로 빈부의 차이, 각종 특권층과 비특권층의 구분이 있었던 것이고 그들 간의 사회적 격차는 날이 갈수록 심화되었다. 다른 한편, 아테네가 추구했던 해상 상업과 델로스 해상제국에서도 스파르타와는 다른 형태의 억압과 불평등이 날로 가중되어갔다. 아테네와 스파르타, 나아가 그 중 어느 한 편에 편승하려고 하는 그리스의 폴리스 시민들은 서로 자신에게 유리한 쪽을 편들었고, 자신의 승리를 위해 양 편 모두 군사력의 증대에 의지함으로써 사회 전체가 만성적 군국주의가 팽배하는 만성적 갈등을 빚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던 것이다. The city states (Poleis) in Aitolia and Akarnania frequently took an independent standpoint during the Peloponnesian War. Decentralized koinon could not exercise a cohesive enough power to seek after a consistent and unitary foreign policy. Since the 4th century B.C., however, the development of mercenary forces and increased military collision enforced cohesiveness among the city states, which was accelerated by the need of self-protection or the need for military conquest against others. During the Peloponnesian War which spanned the end of the 5th century, the city states of Akarnania were comparatively much more mobile than those of the Aitoliain. The latter, however, especially Naupaktos, the harbor on the north seaside of the Corinthian Gulf, mostly took the side of Athens. However, in contrast, Leukas, the island neighboring with Akarnania on the west coast of Greece, was ever hostile to Athens. Meanwhile, in Kerkyra (Corfu), north of Leukas, the conflict was more fiercely developed than at any other place, between the democrats supporting Athens and the oligarchs on the side of Sparta as well as Corinth. Since the fourth century, however, intense discords between different political factions inside city state gradually disappeared. Instead of these, the relation among ‘koina’engaging mighty foreign or inner despotic powers rose as a matter of concern. At that moment, the liberty of citizens in weak or small scale city states gradually disappeared, and professional political authorities based on military power appeared on the scene. The individual foreign policy of each city state as well as the political antagonism between the so called oligarchy and democracy was able to unfold under the circumstances presupposing its independency. With the lapse of time however the increase of militaristic initiatives enfeebled the independence not only of Aitolo-Akarnanian city states but others also. Inversely the initiatives of strong city states among a koinon or exterior powers outside of a koinon prevailed to violate the independence of weaker city states, which resulted in stamping out political conflict inside of the polis as well. Not only degree of cohesion or oppression of power but also the operation mechanism of communities differed according to the epoch. According to Thucydides (3.105), a common court (koinodikasterio) was ever held in Olpai, the capital city of Amphilochia, by the community including Akarnania and Amphilochia. The organization composed for judicial affairs formed a striking contrast to that managed for political hegemony or military affairs which developed in the later period. This is why the former could be run on the basis of public opinion which did not necessarily premise any high-handed authority, while the latter tended to enforce the initiatives of the stronger or uppermost administrators, resulting in the development of despotism as well as militarism. The traditional freedom of Greek citizens, however, did not readily disappear, even if they were threatened by the increasing power of Macedonia and Rome. The tension between the independence of Greek city states or the liberty of citizens on the one hand, and the oppressive military power embodied by despotic dictators of each city itself or foreign conquerors on the other, lasted persistently even to the 2nd century B.C. when Rome annexed the Greek mainland as an administrative province. Even if neighboring with each other, and not to speak of the precedence in the period of formation of polis or koinon, Akarnania seems to have been more democratic and decentralized in comparison with Aitolia. Probably the divergence was due to the social mobility of Akarnania in which agricultural land could never be possessed, as there were developed city states colonized by the Corinthians who were occupied in overseas commerce, and its geopolitical location found itself along the coast between Greece and Southern Italy as well as Sicily. The social mobility of Akarnania is proved by the examples of Leukas and Oiniadai which used to act independently of other Akarnanians.

      • KCI등재

        고대 그리스 서사시와 유대인 성경의 정의·노동·전쟁 개념에 보이는 문화적 접변 -헤시오도스의 노동과 나날을 중심으로-

        최자영 ( Che Jayoung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 구 한국서양고대사학회 ) 2012 서양고대사연구 Vol.31 No.-

        하블록에 따르면 헤시오도스의 이상적인 사회에서는 땅이 저절로 풍요를 가져다 준다. 그러나 그것은 자발적인 기능의 배분에 의해 이루어지는 유토피아이다. 헤시오도스에게 노동이 없는 낙원은 존재하지 않으며, 땅은 노동 없이 저절로 먹을 것을 주지 않는다. 크로노스가 지배하던 황금의 시대에도 노동은 있었으며, 다만 그것이 잘 배분되어져 있었을 뿐이다. 헤시오도스의 이상은 제우스가 아니라 그 아버지 크로노스의 치세인 황금 종족의 시대이다. 그리고, 그 후 상계하는 4 종족은 타락으로만 점철한것이 아니다. 4 번째 영웅 시대의 종족은 그 전보다 더 우수하고 정의롭다. 이들은 전쟁터에서 죽게 되는데, 전쟁의 원인도 일면 정의, 질서 등과 무관한 것이 아니다. 또 그 가운데 일부는 저 먼 땅 끝 축복의 땅으로 가서 크로노스의 치하에서 살고 있다. 판도라의 상자가 열린 다음 과로, 질병, 빈곤, 탐욕, 사기 등이 난무하면서 제우스가 정의의 수호자가 되었다. 그런데 이 제우스의 정의도 궁극적으로는 노동의 공정한 배분을 통하여 편안하고 즐겁고 풍요로운 생활을 실천하는 데 있다. 히브리인 성경에 보이는 가끔은 ‘무자비한’ 전쟁의 신도 공동체 존립에 필요한 가치관을 투영하고 있으며, 그 투쟁의 대상은 삶의 터전이 되는 땅, 생계에 필요한 양, 사랑하는 여인 등 경우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또 외적뿐 아니라 한 공동체 내부인의 반사회적 행위도 규제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리스 서사시와 성경의 연관성은 개인전의 형태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헤시오도스가 노동과 나날 에서 언급한 트로이아 전쟁은 개인전이 자주 이용되었는데, 이것은 중무장 보병같은 조직적인 군사력이 아직 발달되기전, 전체 집단의 희생을 최소화하기 위한 한 장치였던 것으로 생각해볼 수 있겠다. 개인전의 전사(promachos)들이 활약한 그리스의 서사시와 유대인들의 성경에 보이는 사회는 훗날 알렉산드로스 제국, 나아가 전 지중해를 석권하게 되는 로마제국과도 다른 점이 있다. 후자의 경우 직업 전사들인 용병의 조직적 군사력에 의지하여 군국주의와 전제적 권력을 지향한 위정자들이 대두되는 한편, 공동체가 붕괴되면서 사회계층의 분화, 사회적 불평등이 심화되기 때문이다. 헤시오도스의 『노동과 나날』에 나오는 판도라는 유대인 성경의 실낙원의 주제와 상당히 유사성을 갖는다. 판도라 때문에 모든 질병, 고통, 재앙, 노고 등이 인간을 피곤하게 만들었다. 낙원에서 쫓겨난 인간도 산고와 노고의 짐을 지게 되었다. 그러나 그 때까지만 해도 전쟁에 대한 언급은 없다. 결론적으로, 정의로운 삶은 노동에 의한 평화로운 삶과 밀접하게 연관된다는 점에서 헤시오도스의 『노동과 나날』과 『구약성경』은 공통점이 있음을 보게 된다. 다만 『구약성경』에서는 신의 정의가 개인 뿐 아니라, 그리스의 서사시에 비해볼 때, 공동체 집단을 대상으로 구체화되는 경우가 더 많다. 이것은 원심적인 권력 구조의 고대 그리스와 동방적, 가부장적 권력구조의 히브리 인들의 사회구조적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이해가 가능하겠다. 그리스와 근동은 그 지리적 근접성으로 인해 상호간 문화차용이 없지 않았겠으나, 그 구체적 적용에 있어서는 사회적 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다고 하겠다. E.A. Havelock supposed the ideal condition of the Golden Age of Hesiod as a spontaneous provider. It is a social utopia, however, of distributed functions voluntarily performed. It has to be kept in mind that Hesiodos never suggested the paradise without labour. Even in the Golden Age when Kronos governed, work should be carried out, but well divided to everybody. The ideal land of Hesiodos was not ruled by Zeus, but his father Kronos whose reign was of Golden Race of men. Four races following the Golden Age were not just on the process of uninterrupted degradation, as the fourth race of heroes, it is said, was superior and righteous. Even if considerable part of them were to die during the war, the cause of war more or less related to the realization of justice or revenge. Moreover a few of them got to be assigned to the isles of the blest at the ends of the earth. There the glebe yields them its fruit twice a year under the reign of Kronos. Zeus came on stage as a protector of justice, just after the box of Pandora opened and hard labour, disease, poverty, avarice and malice got disseminated. Then, the ultimate purpose of his justice was to realize the convenient and abundant life by fair division of labour. Inexorable wars and punishment described in the Bible used to speak for the standard of values necessary for the survival of community. The purpose of war could be getting back territory, sheep, or woman. Moreover, not only the enemy of outside but, now and then, anti social behaviors in a community should be checked by the sway of God or gods.. The similarity between the Greek epics and the Bible could be found in the group of people, ‘promachoi’, fighting in front of the main body of troops. In the Works and Days Hesiodos referred to the Trojan War, where individual warriors, ‘promachoi,’ were frequently described. The ‘promachoi’ seemed to be a device averting mass sacrifice, prevailing in the stage military forces in full kit (hoplites) were not fully developed. The society of the Greek epics or the Hebrew Bible the ‘promachoi’ played more or less a role were dissimilar to those of the Empire of Alexander or Rome. In latter cases, militarism and despotic political power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professional mercenary forces, and the values of community got deteriorated and social differentiation and inequality intensified. The story of Pandora in the Works and Days of Hesiodos is quite similar to that of lost paradise in the Bible. Every disease, pain, disaster and hard labour from the box of Pandora put the humankind into the yoke. In similar way, those banished from the Paradise got shackled by the pain of delivery and hard labour. In both cases, however, war was not referred to. In conclusion, common factors could be found in Hesiodos’ Works and Days and the Hebrew Bible, as in both cases the justice of humankind was ultimately connected with the peaceful life committed by work. In the Bible, however, the justice of the God used to be realized against a whole community for having betrayed the God's will, which was utterly unfamiliar to the ancient Greek society. This difference, it could be said, originated in the different social structures, as the oriental Hebrew was more patriarchal and group oriented than the Greek of decentralized social structure. There could be interrelations beween Greece and the Near East as they were geographically contiguous, but practical applications in detail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ir own social circumstances.

      • KCI등재
      • KCI등재

        지중해 사회의 명예의 개념과 리시아스의 변론문 <에라토스테네스의 살해를 변호하며>

        최자영 ( Che Jayoung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 구 한국서양고대사학회 ) 2014 서양고대사연구 Vol.39 No.-

        헤르만(G. Herman)은 고금을 막론하고 지중해에서는 남편이 자신의 아내와 간통한 남자를 죽이는 것은 지중해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관습으로서, 에우필레토스가 자신의 아내와 간통하는 에라토스테네스를 죽인 것도 예외가 아니라고 한다. 그러나 에우필레토스가 살인한 동기는 간통에 기인한 무모하고 즉흥적인 감정이 아니라, 냉정하게 계산된 행위였던 점에서 지중해적인 명예와 수치의 가치관에서 예외적인 경우라고 주장한다. 그리고 이런 에우필레토스의 행위는 기원전 4세기 아테네가 다소간 집권적인 공권력이 발달된 사회였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 글에서는 에우필레토스의 행위가 오히려 지중해적인 명예의 개념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고 본다. 그는 간통하는 자를 죽이는 것은 나라의 법으로도 인정되는 것이라고 주장하기 때문이다. 에우필레토스는 에라토스테네스를 죽인 사실은 인정하나 ‘살인죄(phonos)’로 처벌받아서는 안 된다고 말한 사실에 대해, 헤르만은 에우필레토스의 살인이 간통에 대한 사적 보복이 아니라 국가의 법을 대행하는 징벌자로서, 가해자가 아니라 오히려 피해자로서의 입장을 표방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사람을 죽인 행위(kteinai, apokteinai)’가 반드시 유죄가 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 그리고 사람을 죽여서 유죄가 되는 경우에만 ‘phonos’의 용어가 쓰이기 때문이라는 점을 밝히려 했다. 에우필레토스의 경우는 간통 현장에서 현행범을 죽인 것이므로 정당방위 살해로서 인정되어 ‘유죄의 살인’ 즉 ‘phonos’에 해당되지 않음을 뜻한다. 에우필레토스가 에라토스테네스를 죽인 것은 이른바 ‘지중해의 보편적인 명예와 수치의 가치관’에서 크게 벗어나는 것이 아니다. 자신의 아내와 간통한 자를 자기 손으로 처벌하고 그 정당성을 주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에우필레토스의 살인 행위는 기원전 4세기 아테네 공권력의 집권 여부 와는 무관하며 전통적인 아레오파고스 의회로부터 공인된 아테네 사회의 관습법에 관련된다. Euphiletos admits killing Eratosthenes. He pleads, however, that since he killed Eratosthenes after catching him in the act of adultery with his own wife, this was a case of justified homicide. According to G. Herman, the killing of a paramour by a deceived husband is, in Mediterranean societies, past and present, a commonplace occurrence. And prima facie there is nothing in the speech to suggest that Euphiletos's case diverged from this pattern. Herman suggested, however, that actually Euphiletos was an exception from the common practice of self-help in the Mediterranean world. Because Euphiletos wanted to dispel the impression that the killing of Eratosthenes was an act of private vengeance. Herman maintained that Euphiletos did not treat Eratosthenes violently merely to vent his anger, or to vindicate his wounded masculine pride; quite to the contrary, he was at pains to suppress as much as possible the issue of honor, and applied self-restrained, controlled violence in a dispassionate effort to enforce civic justice, and furthermore he held that communally sanctioned violence is not violence at all. Even if he admits killing Eratosthenes, Euphiletos maintained that he should be acquitted of the crime of murder. From this fact, Herman explained that Euphiletos tried to prepare the ground for the central paradox of his rhetoric, namely, that he did not, in fact, kill Eratosthenes, but executed him. However, the reason is not, in my opinion, because he legitimately executed Eratosthenes, or he assumed himself a victim rather than an offender, as Herman insisted. Instead, my argument is that killing(kteinai, apokteinai) does not inevitably refer to the 'crime of murder (phonos),' but whenever any person is found guilty, then he is described as 'phonos (guilty murderer).' That is, the word 'phonos' does not simply mean murderer, but also guilty. Euphiletos could simply be a killer, not 'phonos,' as the law provided for the right to kill an adulterer whom he had surprised in the act, provided that he did not premeditatedly devise the murder. The killing of Euphiletos was not an exception to, but in keeping with, the traditional custom of self-help in the M editerranean world, since he constantly asserted that killing an adulterer caught in the act of intercourse with his own wife was a justified homicide. Different from Herman's view, the killing by Euphiletos does not refer to a public execution authorized by the state authority in the 4th century, but to the customary law of justified homicide which has been sanctioned by the traditional Aropagos council.

      • KCI등재

        정교(콘스탄티노플과 로마)와 동방 단성론간의 정치·사회적 갈등

        최자영 ( Che Jayoung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 구 한국서양고대사학회 ) 2012 서양고대사연구 Vol.33 No.-

        단성론(monophysitismos)은 5세기경에 출현하여 동방(근동)의 이집트, 팔레스타인, 아르메니아 등에서 풍미했으며, 다소간 비잔티움 제국과 로마의 정교와 대립하게 된다. 이들은 451년 칼케돈 공회의의 결정에 반대하는 입장에 있었다. 그러나 정교와 단성론자들을 함께 껴안으려는 제논의 통일령이 482년 반포될 때까지만 해도 단성론자들은 독자적인 위계조직의 성직 및 교회를 구성하지 않았던 것으로 간주된다. 그런데 유스티니아누스가 등장하여 여러 게르만 종족들에게 빼앗겼던 지중해 연안의 땅을 다소간 회복(Reconquista)하면서 상황이 변화했다. 그는 제국의 정치적 통합을 위한 기반으로 정교를 이용하려했기 때문이다. 그와 함께 콘스탄티노플 수도에서는 배타적 성직자와 특권 귀족들의 야합이 이루어지고, 또 이들이 동방(오리엔트)의 고위성직을 차지하면서 토착민과의 갈등을 빚게 되었다. 뿐 아니라 수도 자체에서도 황제와 원로원 귀족 및 고위 성직자들 사이에 갈등이 일었다. 보편적 지배권을 확립하려는 비잔티움 황제는 운신의 폭을 넓히기 위해 정교와 단성론자들 간의 화합을 지향했으나, 특권을 지향한 콘스탄티노플의 원로원 귀족, 또 로마 및 콘스탄티노플 정교 성직자들은 배타적 입장에서 정교 이외의 다른 종파를 이단시했다. 또 황제가 단성론을 지지한 것도 참다운 종교의 자유보다는 보편적 지배 권력의 확립에 이용하여, 지역정권에 대한 정치적인 간섭 및 제반 경제적 착취를 수반하는 것이었다. 비잔티움 제국의 혹세정책과 정교의 강요는 아랍 이슬람 교도가 동방으로 진격할 즈음 동방의 단성론자들로 하여금 이슬람의 세력을 받아들이게 하는 주요 동인이 되었다. 단성론에 대한 박해는 보편적 로마-비잔티움 제국의 이념이 상대적으로 더 개방적인 것에서 배타적, 특권적 권력층의 것으로 변질되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이런 변질은 기독교뿐 아니라 황제의 역할 및 제국의 이념 자체에서도 볼 수 있다. 즉 디오클레티아누스의 이교에 대한 관용이나 콘스탄티누스 대제 때 에우세비오스에게서 보이는 보편적, 평화적 로마제국 개념으로부터 유스티니아누스 대제 및 그 이후에는 공격적, 군국적제국주의가 더 강화되어가는 것으로 변질되는 것이 그러하다. 보편적 기독교의 이념은 온 세계, 즉 이교도에 대한 전도까지를 포함한 것이며 헬레니즘-로마적 전통, 더 멀리는 더 멀리는 구약의 전통으로까지이어진다. 이 이념이 반드시 이교도와 이단의 박해나 갈등을 전제로 한 것이 아니다. 기독교 전도가 정치적 압박과 군사적 정복이 아니라 평화와 설득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에서 보편적 기독교 이념은 이단뿐 아니라 이교에 대한 포용을 뜻한다고 하겠다. Monophysitism appeared in the 5th Century to spread widely in the Middle-Eastern area including Egypt, Palestine, Syria, Armenia, etc. After the Ecumenical Council of Chalcedon of 451 denigrated Monophysitism as a heresy, it took a stand more or less against the Orthodox doctrine of the Eastern as well as the Western Church. Until the period, however, when the ‘Enotinkon (Unification)’ was announced by the Emperor Zenon to put together the Orthodox and the Monophysites, the latter had not yet constituted a hierarchy of priests and churches. Then, the situation came to change due to the ‘Reconquista’ of Justitnian the Great who made an effort to gain the lost territory from the Goths around the Mediterranean Sea and beyond it. He took advantage of religion as a basis for political unification of the empire. And with this as a turning point, the exclusive priests and the prerogative aristocrats of Constantinople formed a coalition, and appropriated the high ranking officials in the Oriental provinces. This resulted in creating feud with the aborigines. In the Capital, Constantinople, itself, discord was bred between the emperors on the one hand, and the senatorial aristocrats and high ranking priests on the other. In order to establish ecumenical rule of power, the Byzantine emperors frequently depended on the conjugation of the Orthodox and the Monophysites, while the aristocrats and the Orthodox priests of Rome and Constantinople continued accusing the Monophysites of heresy. Moreover, even in cases where Monophysitism was tolerated, the covert purpose of the Byzantine emperors was never to allow the liberty of religion, but to take advantage of it for the enlargement of their rule of power, accompanying the political interference in and economic exploitation of the regional community. The heavy burden of tax as well as the Orthodox doctrine coerced by the Byzantine Empire motivated the Oriental Monophysites to surrender more or less readily to the invading Muslims. Persecution against Monophysitism definitely proves the transition of the Byzantine Empire from a relatively more open society to an exclusive, privileged one. This kind of degeneration is disclosed itself not only in the religion of Christianity, but in the concept of the emperor's or the empire's function. That is, Diocletianus' tolerance of Paganism and the concept of the ecumenical, peaceful Roman Empire advised by Eusebios in the period of Constantine the Great transformed gradually to intensify the trend of offensive, militaristic imperialism in the epoch of Justinian the Great and thereafter. The ecumenical Christian ideal refers to the evangelism of the whole word including the pagans and heretics. The ecumenical ideal of rule, peace, or philanthropy goes back to the Hellenistic-Roman tradition, and further to the Bible. The ideal of Christian universality does not necessarily premise a conflict with pagans or persecution against heretics, but tolerates both of them, pagans as well as heretics, regarding the point that the evangelical work should be carried forward by peaceful and philanthropic persuasion and not by political oppression and military attack.

      • KCI등재

        Interchanges and Conflicts between the Carthage-Phoenicians and the Greeks in the Ancient Mediterranean World

        Che Jayoung(최자영)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2010 서양고대사연구 Vol.26 No.-

        기원전 5세기 페르시아 전쟁, 펠로포네소스 전쟁 등을 기회로 하여 지중해 세계에는 군사조직의 비중이 증가하게 되었다. 군국주의의 팽배는 다음 차례 로마의 패권의 성장에 기여하게 된다. 포에니 전쟁에서 로마가 카르타고를 제압한 것이 그 결정적 계기가 되었으며, 지중해는 로마의 패권에 기초하여 의무, 법, 질서, 나아가서는 획일적 기독교가 지배적인 사회로 발돋움하게 된다. 로마가 지중해의 패권을 장악하기 전, 지중해의 상권을 장악한 것으로 알려진 카르타고??페니키아 인과 그리스 인의 이해관계는 획일적인 민족성으로 구분 대립한 것이 아니었다. 오히려 소규모 도시(폴리스)로 나뉘어져 있던 이들은 구체적인 경제적 이해관계 혹은 정치체제 및 이념으로 대립했다. 그런 가운데 그리스 인과 카르타고??페니키아 인들은 복잡한 이합집산의 양상을 연출하였다. 한 지역의 도시 공동체가 언제나 하나의 단일한 종족으로만 구성되었다고 규정하기도 어려우며, 서로 간에 자연스럽게 혼혈이 이루어졌다. 이런 현상이 가장 명백하게 노정되는 것이 로마의 패권이 성립되기 전의 시켈리아와 그 주변 지역이다. 로마 패권의 성장은 종족적으로 로마 인의 지중해 팽창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로마가 주도하는 군국주의(imperium)의 사회적 확산, 또 그에 기초한 사회적 불평등의 확산을 뜻하는 것이라면, 그 전의 지중해 사회는 군사적 조직이 사회에서 갖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적은 만큼 덜 획일적이었던 것으로 규정할 수 있겠다. 이런 사회에서는 소규모의 갈등이 개진된 것이 사실이나, 그 대신 교류와 평화가 차지하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더 크다는 점도 간과할 수 없겠다. 다시 말하면, 포에니 전쟁(264~146 B.C.)으로 로마가 지중해의 패자로 등장하기 전의 지중해는 여러 종족과 도시들이 서로 교류하고 갈등하는 장이 되었으며, 다핵성, 다양성, 자유의 가치관이 후대보다 더 강했던 것이라 하겠다. 군사조직에 기초한 로마의 지중해 통일은 현실화되었으나, 그것을 필연적인 역사의 흐름으로 보기 어렵다. 카르타고와 로마의 패권 다툼에서 로마가 아니라 카르타고가 승리했더라면, 로마 대신 카르타고의 패권이 지중해에 등장하게 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카르타고가 가지고 있었던 소규모 도시국가, 시민이 갖는 자유의 원리가 여전히 획일적 군국주의, 의무, 법, 질서를 대신하여 지중해 세계에 존속했을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겠다.

      • KCI등재

        지젝의 평등민주주의에 대한 반론으로서의 절차민주주의

        최현실(Choi, Hyeon Sil),최자영(Che, Jayoung)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8 社會科學硏究 Vol.34 No.4

        지젝은 두 가지 폭력에 반대한다. 하나는 자본주의의 객관적, 구조적 폭력이며, 다른 하나는 공산주의 국가에서 자행된 가시적 폭력이다. 근본적으로 그는 자본주의 체제에 반대하지만, 공산주의 국가의 폭력에 의해 야기되는 범죄에 대해서도 비판적 시각을 가지고 있었다. 지젝은 국가권력에 의한 획일적인 공산주의에 반대하고 평등-민주주의적 코뮌(공산)주의를 지지한다. 지젝의 코뮌(공산)주의는 개별 혹은 소집단들에 의한 자생적 폭력을 기반으로 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평등-민주주의적 성격을 가진 것이며, 프롤레타리아 혁명 전선의 개별화, 다변화를 뜻한다. 지젝은 자본주의의 폐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코뮌(공산)주의의 수립에 관심을 기울이는 동시에 그 방법으로서 폭력적 저항을 지지했다. 여기에서 지젝은 ‘신적 폭력’의 개념을 도입한다. 신적 폭력이란 체계적 폭력에 대응하는 대중들의 폭력적인 자기 방어이며, 지배계급이 없는 국가를 지향한다. 이를 위해서 지젝은 정치적 대표의 최소화와 민중의 정치참여 확대를 주장한다. 그러나 지젝에 따르면, ‘평등민주주의’는 민주주의적 절차보다 중요하고, 혁명적-민주주의는 오직 테러를 통해서만 ‘제도화‘ 될 수 있다. 그래서 지젝은 혁명적인 진리-사건이 폭력을 수반해야 하는 당위성에 대해 옹호한다. 그러나 지젝이 범한 근원적인 오류는 자신이 절대적 ‘진리’인 것으로 간주하는 ‘평등-민주주의를 향한 프롤레타리아의 폭력적 혁명’이라는 개념이 사실 피상적인 개념으로서 구체성을 결여하고 있다는 데 있다. ‘사회적 총체성이 불가능한 지점’이라든가, 혁명적 주체가 ‘몫 없는’ 자들이라는 개념도 추상적이고 획일적이기 짝이 없다. 지젝이 지향했던 ‘마르크스’ 주의도 그 자체로서 다양하게 번안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자본주의가, 그 내용에서 획일적이지 않으며, 다양한 스펙트럼으로 전개되고 있는 것과 같다. 또 지젝이 옹호하는 테러는 프롤레타리아를 혁명적 주체로 전환시키는 데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로서 다수의 평등 대신 소수의 이익을 위한 독재정권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는 약점을 배태(胚胎)하고 있다. 동시에 지젝이 정당화한 ‘방어적 폭력’의 개념, 더 나아가 혁명적인 진리를 위한 폭력은 이에 저항(안티테제)하는 상대로부터의 또 다른 폭력을 불러올 뿐, 궁극적 해결책이 되지 못한다. 지젝은 “‘평등 민주주의’는 민주주의적 절차보다 상위에 있고, 오직 혁명적-민주주의의 테러의 형태로만 ‘제도화될‘ 수 있다”고 했으나, 사실은 절차야 말로 평등의 내용에 우선해야 한다. 평등의 이상이나 혁명을 위한 테러는 서로 다른 민중의 뜻을 현실적으로 수렴하여 구체적인 방안을 이끌어내지 못하기 때문이다. 후자는 오직 절차 민주주의를 통해서만 가능하다. Zizek is against two types of violence. One is objective and structural violence of capitalism and the other is visible violence committed in communist countries. He was basically against the capitalism, but he also had a critical view of the crimes caused by the violence of the communist state. Zizek opposes unifying communism by state power and supports equal-democratic communism. Zizek"s communism represents "equal-democratic nature" in that it was based on spontaneous violence by individuals or small groups, which means individualization and diversification of the proletarian revolution front. Zizek paid attention to the establishment of communism as an alternative to the harmful effects of capitalism and at the same time supported violent resistance for overcoming them. Zizek introduced the concept of "Violence of the God, which is a violent self-defense of the public in response to systematic violence, aimimg at a state without a ruling class. To this end, Zizek argues for the minimization of political representation and the expansion of political participation by the people. But according to Zizek, "equality-democracy" is more important than democratic procedure, and revolutionary-democracy can only be "institutionalized" through terror. So, Žižek advocates revolutionary truth-event that should be accompanied with violence. But the fundamental fallacy of Zizek is that the concept of "proletarian violent revolution toward equality and democracy", which he defines as absolute truth, is a superficial concept lacking specificity. The presuppositions of "the situation that social wholeness is impossible", or that the revolutionary subject is those who are bereft of their share" are also abstract and standardized concepts. The "Marxism", which was pursued by Zizek, can also be diversified into various versions. The same context can also be applied to the concept "capitalism", which could never be standardized, being adapted to various contents according to actual situations. Furthermore, the terrorism advocated by Zizek has a fundamental weakness, as it could not only apply to transforming the proletariat into a revolutionary subject, but to a dictatorship for minority interests instead of multiple equality. At the same time, the concept of "defensive violence" as well as the violence for revolutionary truth justified fundamentally by Žižek, is not the ultimate solution, as it used to call for another violence from the opponent. Zizek insisted that "equality-democracy" is above the democratic procedure and can only be "institutionalized" in the form of revolutionary-democratic terrorism. Contrary to him, however, actually the procedure must precede the substance of equality, as, the ideal of equality or terror attacks for democracy cannot materialize a proper measure in detail harmonizing different desire of the people, and the latter only be concluded through procedural democr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