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근대 학교체육교육 모형의 변천과정 분석을 통한 반성적 체육교과교육 모형의 탐색

        최의창 ( Euichang Choi ) 건국대학교 교육연구소 1999 교사와 교육(구 교육논집) Vol.2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 model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in which reflective practice is emphasized. This was pursued through the examination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models developed and practiced in the last 100 years. The models of gymnastic systems and new physical education during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were identified and examined. For the years since 1940s, the ideas of movement education, kinesiological and concept-based physical education, social-responsibility, and sport education were examined. It was found that each of these models has both strengths and weaknesses. It was contented, however, that the models all limited in recognizing the nature of sport and other physical activities as cultural heritage into which we need to be introduced. It was also suggested that the models do not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radition and practice(meant as MacIntyrian terms of practice and tradition) aspects of sports. In this study, a model was proposed that stresses the initiation into sport and physical activities as practice and a mode of life. The goals, content, method, and teacher` image were briefly described in the last section.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reflective model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needs to be developed in the near future.

      • 전문체육인의 한가지 이상과 그를 위한 교육

        최의창 ( Euichang Choi ) 건국대학교 교육연구소 1998 교사와 교육(구 교육논집) Vol.22 No.-

        There is a great amount of request for qualified sport professionals in our society. Such social trends as modernization, higher income, and leisure time increase allow people to have more interests in sport activities and pursue them in real life. As the trends become more strong, the demand for sport professionals who deliver various services for them is also increasing. Thus studies have been done what are the most effective ways of preparing them.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theoretical discussions on the characters and competences of an ideal sport professional who carries the job with great competence and style. This study is an attempt to open the discussion on the characters and competences of the ideal sport professional. In this study, four types of sport professionals are classified and characteristics of each are outlined: the ironman-ruler, the expert-ruler, the ironman-nobleman, and the expert-nobleman. They are classified on the criteria of expertise(knowledge, motor skill etc,) and character(virtue etc.). The ironman-ruler is the one who has little expertise and does rude behavior. The expert-ruler has proficiency, but is authoritative and rude in his nature. The ironman-nobleman is the one who does not have expertise in sports but shows good sides of human character. The last type is the expert-nobleman, who has expertise in sports and does humanly good behaviors. It is argued in this study that the expert-nobleman is the most desirable kind of sport professional. Professionals who can work for the field of sport and physical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need to have both expertise in knowledge and skills and human virtues. This study concludes with the proposal for the revitalization of liberal education in the preparation of sport professionals as the expert-nobleman.

      • KCI등재후보

        “뉴 호모 루덴스”의 교육 : 생애주기 문화예술교육과 홀리스틱 무용교육의 방향

        최의창 ( EuiChang Choi ) 상명대학교 글로벌문화예술교육연구소 2020 문화예술융합연구 Vol.1 No.1

        일상과 현장에 보다 근접하는 예술을 위하여 문화예술교육의 진흥은 이미 본 궤도에 올랐다. 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무용교육에 대한 접근이 본격적으로 진행되어 온지도 십여 년이 훌쩍 넘었다. 정책적 지원은 매년 더해지고 있으나, 철학적이고 개념적인 차원의 방향지음과 그에 근거한 실천적 모형은 아직까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21세기 한국사회에서 요청되는 새로운 무용교육의 방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생애주기와 총체적 접근의 관점에서 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무용교육의 목적을 살펴본다. 우선, 스포츠교육 분야에서의 최근 동향을 스포츠 리터러시, 운동소양과 운동향유력, 그리고 장기적 운동발달을 중심으로 알아본다. 다음으로, 최근 무용교육으로 제시된 댄스 리터러시와 인문적 무용교육의 철학과 모형을 살펴본다. 이에 근거하여 “문화예술소양 가득한 뉴 호모루덴스로 성장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무용교육의 특징을 5가지로 요약하여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이 새로운 목적을 성취시키는 무용교육을 “홀리스틱 무용교육”으로 명명하고 핵심적 특징을 3가지로 제안한다.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ACE) is now well established in Korea, at least in policy terms. The promotion of ACE has been increasingly well supported for the last 15 or 20 years. Dance Education(DE) as ACE is also being welcome in schools and communities. It is surprising to recognize that the philosophies and models for DE as ACE are not well articul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philosophical and conceptual idea for DE as ACE. First, some new understandings in the sport pedagogy area, such as sport literacy, long term athlete development, and Humanitas-Oriented Physical Educaiton are introduced. Second, based on this understanding, a conceptual understanding of dance literacy and Humanitas- Oriented Dance Education is provided. And then, the idea of “educating the New Homo Ludens”(NHL) as the goal of 21st century DE as ACE is suggested. Five characteristics are identified as the foundation for the new DE. It is argued that the DE in which NHL is educated should also be “holistic” in its nature and direction. It should be integrated in the three areas(school, community, elite dance area), the three dimensions(understanding, performance, creation), and the three parts (physical, intellectual, and emotional). In order to this triple integrations be possible, it is suggested that the concept of dance literacy is crucial.

      • 융복합적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적 접근과 체육교과의 시도

        최의창(Euichang Choi)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2014 교육연구와 실천 Vol.80 No.-

        창의성과 인성이 통합된 융복합적 인재양성은 체육교과에서는 새로운 접근이 아니다. 체성을 주로 담당하는 체육은 지성(창의성)과 덕성(인성)을 함께 추구함으로써 지덕체가 조화로운 전인적 교육을 이루는 교과목표를 성취하기 때문이다. 융복합 인재양성은 체육교과에서 “전인교육”(whole person education)을 실현해내려는 노력으로 이해할 수 있다. 체육교과에서 융복합 인재(融複合人才)란 전인적 인재(全人的人才) 즉, 지덕체가 균형있게 발달된 전인과 동일특성을 지닌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 체육에서의 융복합 인재는 통상적 의미에서의 전인을 말하며, 융복합 인재를 키우는 데에 있어서 체육교과가 할 일은 창의인성교육을 제대로 해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체육교과에서는 아직 창의인성교육에 대한 본격적인 이론적 논의를 진행시키지 못해온 감이 적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체육교과에서의 융복합적 인재 육성이라는 주제를 체육교과에서 창의인성을 어떻게 다루어야 할 것인가를 중심으로 풀어보고자 한다. 우선, 교과교육에서 창의인성 융합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가에 대한 두 가지 입장(교과구분파괴적 융합과단일교과중심적 융합)에 대해서 알아본다. 후자의 관점을 지지하는 교육철학적 토대인 “실천전통교육관”과 교과교육에의 적용을 위한 기본원칙을 살펴본다. 몇 가지 교육적 아이디어를 활용하여 단일교과내에서 창의인성을 실제로 융합하는 것에 대한 개념적 이해를 더한다. 마지막으로 체육교과에서 개발된 한 가지 수업모형의 개념과 실천 사례를 소개함으로써 구체적인 이해를 돕는다. There is a strong current in Korean education. It is the current of an integrated talent who are well educated in several areas such as language, science, arts and mathematics. How do we educate such an integrated talent is a very hot issue for the last several years. It has been generally agreed that an integrated talent can be developed through an integrated education. Thus there has been a resurgence of integrated approaches to education. In the process, the theme-centered approach in which traditional subject boundaries are dismissed or disappeared has made a great support. In this study, I examine an alternative to this new orthodoxy. I find the practice view of education and subject area can be a fruitful ground for the alternative approach. It is based on the idea of the single subject-centered integration which a subject such as sport is understood from many subject perspectives. Sport as a practice can be viewed and played from arts, music, science, 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 Sport is the core content of physical education, and in PE students can do reading, writing, playing, appreciating as well as practicing. This approach can be more realistic in school settings where students and teachers are more accustomed to the subject-oriented learning and teaching. I introduce an example in PE. The model of Hanaro Teaching is an integrated teaching and learning model in which sport are learned through various subject-related experiences.

      • KCI등재

        스포츠교육에서의 철학적 탐구: 전통, 현황 그리고 전망

        최의창 ( Euichang Choi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8 체육과학연구 Vol.29 No.3

        [목적] 스포츠교육에 관한 철학적 탐구는 오랫동안 미진하게 진행되었으나, 지난 2000년대 이후 미국을 넘어 영국과 유럽에서 본격적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새로운 관심을 받게 되었다. 본 연구는 지난 50여년간 스포츠교육 분야에서 진행된 (교육)철학적 탐구를 포괄적으로 돌아봄으로써, 두드러진 특징과 장단점을 찾아내어 한국 스포츠교육학에서 전개되어야 할 발전 전망을 살펴본다. [방법] 철학적 연구의 특성상 학술논문과 저술을 중심으로 하는 문헌의 분석과 개념의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철학적 탐구의 층위를 철학자의 전문철학적 차원, 이론가의 이론개념적 차원, 실천가의 사색성찰적 차원으로 삼분하여 각각에 해당하는 과거의 연구, 현재의 연구, 앞으로의 전망을 살펴보았다. [결과] 첫째, 전문철학적 차원에서는 스포츠교육철학자들의 철학적 탐구와 스포츠철학자들의 교육적 탐구가 진행되었다. 둘째, 이론개념적 차원에서는 스포츠교육 연구의 본질 검토, 스포츠교육론과 모형의 제안, 수업/코칭 교수학습론의 검토, 체육교사/코치의 교육 및 전문성 발달, 체육교육과정 이슈와 정책의 분석에 대한 탐구가 실행되었다. 셋째, 사색성찰적 차원에서는 체육교사/교수/코치의 현장실천가 연구와 스포츠코치/감독의 스포츠체험 자기성찰이 실천되었다. [결론] 국내 스포츠교육학에서의 철학적 접근은 첫 번째 차원에서는 여전히 전망이 밝지 않으나, 두 번째와 세 번째 차원의 전망은 매우 밝다고 할 수 있다. [Purpose] Philosophical inquiries into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pedagogy(PESP) have not been active until lately. A renewed interested has grown as scholars in UK and European countries have begun philosophical analysis since 2000. This study purports to review the philosophical studies in PESP during the last 50 years, and to forecast the future of SP in Korea based on its strength and weakness. [Methods] Literature review is adopted as the main method, as the philosophical study requires the conceptual analysis on the ideas. The past research, current main studies and future prospects are analyzed according to the three layers of the professional, the theoretical, and the personal dimensions. [Results] First, in the professional dimension, the philosophical inquiry by the SP philosophers and the educational inquiry by the sport philosophers are identified. Second, in the theoretical dimension, the exploration on the nature of research in PESP, the suggestions of PE models, the examination of teaching-learning in PE, the promotion of teacher/coach educa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he analysis of PE curriculum issues and policies are actively produced. Third, in the personal dimension, the practitioner research by PE teacher/professor/coach and the self-study of sport coaches have are begun to be conducted. [Conclusions] For the prospect of PESP in Korea, it can be said that study in the first dimension would not be bright, where as those of the second and the third would be very good for the near future.

      • KCI등재

        한국체육 개혁의 방향과 스포츠교육의 역할 - 스포츠교육이 이끌어가는 한국체육 4.0을 지향하며 -

        최의창(Euichang Choi)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20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7 No.1

        지금 한국체육은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아니, 성장통이라고 하는 것이 보다 정확할 것 같습니다. 1988서울올림픽대회 이후 급격한 발전이 만들어낸 불순물에 의한 신체부조화 현상입니다. 새로운 세대와 새로운 시대를 위한 새로운 한국체육의 재탄생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그리고 그것을 위한 스포츠교육의 새로운 역할 정립이 요구되는 시점입니다. 이 글은 이 한국체육 격변의 시기에 “한국체육 개혁의 방향과 스포츠교육의 역할”에 대한 한 중견연구자의 개인적 의견 제시입니다. 우선, “한국체육 개혁의 방향”의 의미를 규정하여 밖으로 뻗어나는 향외적 개혁과 안으로 파고드는 향내적 개혁으로 구분합니다. 그리고, “스포츠교육의 역할”의 뜻을 살펴보면서 한국체육 개혁의 방향지음에 스포츠교육이 주체적 역할과 종속적 역할을 할 수 있음을 해석합니다. 이 해석의 바탕 위에서 스포츠교육이 주체적 역할을 담당하면서 이루어지는 향외적 개혁과 향내적 개혁의 의미를 살펴봅니다. 마지막으로 스포츠교육의 이상을 추구하는 한국체육을 “한국체육 4.0”이라고 규정하고 최우선적으로 변화되어야 하는 것들에 대해서 살펴봅니다. Korean Sport(KS) is in turmoil now. Many negative happenings in the elite sport sector have occurred this year only. Ministry of Culture, Sport and Tourism has launched a special task force to reform KS. Reform ideas for the transformation of KS have been proposed, and some pros and cons on them are now being suggested. In this context, the role that sport education(SE) has to play should be clearly identifi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relation between the reform of KS(RKS) and the role of SE(RSE). First, the general meaning of RKS is explained, and the two forms(the introvert and the extrovert) of reform are identified. Second, the general meaning of RSE is presented, and the two forms(the independent and the subordinate) of SE’s roles are suggested. I emphasize the role of sport education(and sport pedagogy) should be the leading one in which SE is the goal, not the mean. Based on these ideas or clarifications, I explain the meaning of the introvert reform and the extrovert reform in which SE plays the independent role. Finally, I call the Korean sport that SE takes the leading role as Korea Sport 4.0. And I suggest some fundamental and urgent innovations that needed to be implemented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

        메츨러 트랩 벗어나기: 새로운 스포츠교육론들의 탐색과 그 지형도 그리기

        최의창(Euichang Choi)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21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8 No.1

        “신체활동을 가르치고 배우는 전 과정”(목적, 내용, 방법, 대상 등)에 관련된 개념적, 실천적 아이디어를 논의하는 스포츠교육론은 스포츠교육학에서 핵심적 위치를 차지한다. 지난 이십년간 마이클 메츨러의 “체육교수모형”의 개념틀은 이 논의를 진행시키는 대표 패러다임으로 자리잡았다. 하지만 이제는 재검토가 필요한 시점에 와 있다. 스포츠교육학의 다음 단계로의 발전을 위해서는 반드시 스포츠교육론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접근이 필요하며, 우리가 넘어야 할 첫 번째 고개는 바로 메츨러의 개념틀로 국한되어버린 모형기반 사고방식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체육교수모형 논의에 포함되지 않는 새로운 스포츠교육론의 아이디어들을 선별하여 소개하고, 넓어진 지평에 근거하여 스포츠교육론의 새로운 지형도를 대략적으로 그려보는 것이다. 우선, 스포츠교육론의 개념을 폭넓게 규정하면서 기존 아이디어들을 정리하며 살펴보도록 한다. 이어서 새롭게 제안되어 개념적, 실천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여러 스포츠교육적 이론과 모형들에 대해서 소개하도록 한다. “스포츠교육론사분면”(Sport Pedagogy Quadrant)이라는 아이디어를 활용하여 소개된 스포츠교육론들이 전체 속에서 각각 상대적으로 어디에 위치하고 속해있는지를 알아본다. 그리고 새로운 접근이 현재 우리에게 당면한 주요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에 어떤 실천적 시사점을 제언하는지 살펴보며 마무리한다. Sport pedagogy(SP) refers to the discourse and practice on the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physical activities(goals, content, and methods etc.). It stands firmly as one of the central topic areas in Sport Pedagogy Studies. Mike Metzler’s “Instructional Models in Physical Education”(IMPE) introduced in 1999 has been the main character in this SP discourses. Although the idea of IMPE has contributed to the academic and practical spheres in SP, it is time for a re-examination. It has become a kind of trap for both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especially in Korea. To think about and act on SPs beyond the eight models have become difficult, or worse impossib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some new possible SPs emerged for the last two decades in diverse fields such as sport philosophy, sociology and psychology. It would widen the horizon of current SP territory extending our sights beyond the IMPE. Based on this extended horizon of SP, a typological map is drawn in order to locate the each SP. The idea of Sport Pedagogy Quadrant is introduced for the purpose of arranging SPs in each of the four quadrants. It is suggested that this attempt to recruit new pedagogical ideas and practices in the discourse of SP would give new insights for the solution of several problems that Korean sport is now confronting hardly, such as content relevance for the sport instructor licensing subject, the prevention of violence in sport coaching, and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teaching methods in the COVID―19 situation.

      • KCI등재

        체육교사의 지속적 전문성 개발 활동에 관한 체계적 문헌 분석

        이옥선(Okseon Lee),최의창(Euichang Choi),정현수(Hynusoo Jung),윤기준(Keejoon Yoon)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7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수행된 체육교사의 지속적 전문성 개발(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CPD)관련 연구들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연구 방향 및 과제를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체계적 문헌 분석(systematic review)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2007년부터 2016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연구물은 Parker & Patton(2016)의 효과적인 체육교사 CPD 특성을 기반으로 한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CPD 참여 동기, 형태 및 세부 활동, 효과의 세 가지 영역으로 재구조화하여 논의한다. 첫째, 교사들의 CPD 참여 동기를 여타의 촉진 및 저해요인과 달리 전문성 개발의 전제조건으로 이해해야 하는 점을 주장한다. 둘째, 효과적인 CPD의 특성으로 도출된 키워드인 비공식, 구체적 사례 공유, 긍정적 유대관계를 구체적으로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교사들이 전문성 개발의 효과를 교수 실천의 변화 중심으로 인식하고 있는 경향을 지적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한다. 이를 바탕으로 세 영역에 대한 후속 연구의 방향 및 연구 설계에 대해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physical education(PE) teachers’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CPD) and explore future directions for PE-CPD research. PE-CPD studies published 2007-2016 were retrieved and selected based on the exclusion and inclusion criteria. The selected studies were reviewed and coded based on an analytical framework which was developed through Parker & Patton’s (2016) effective PE-CPD characteristics. The findings are categorized into: i) motivations to engage in PE-CPD, ii) CPD types and specific activities, and iii) CPD impacts. Firstly, teachers" motivations to engage in PE-CPD work as a premise of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should be understood as an independent factor that distinguish from oth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actors. Secondly, three key factors of informal, sharing pedagogies, and supportive professional relationships for effective PE-CPD are discussed in detail. Lastly, teachers’ narrow conceptualization on the impacts of PE-CPD as change of teaching pedagogies is discussed and recommend the need to expand boundary of teacher professionalism beyond pedagogical improvement. Drawing on the findings and discussion, implications for undertaking future PE-CPD research are suggested.

      • KCI등재

        춤으로 행복해지기 : 성인의 무용향유 체험방식에 대한 질적 탐구

        권선영 ( Sunyoung Kwon ),최의창 ( Euichang Choi ) 한국무용과학회 2017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4 No.2

        본 연구는 무용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학습자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무용을 즐기고 누리는지를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그리고 무용을 향유하는 방식이 그들의 행복한 삶과 어떠한 관련을 갖는지를 탐색하였다. 참여자들의 무용향유체험에 담긴 내적 속성과 의미를 파악하는 일에 주목하기 위해 현상학적 체험연구(van Manen, 1990)에 근거하여 약 18개월간 연구를 진행하였다. 전형적 사례 선택 기법(Miles & Huberman, 1994)을 통해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대표적인 사례 두 팀(`삼삼오오`팀, `춤꽃마실`팀)과 일반적인 발레강좌팀을 선정하였다. 이 세 팀의 참여자들로부터 학습자 18명, 교육자 6명을 연구 참여자로 최종 선정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면담(심층면담과 그룹면담), 수업관찰, 자기보고식 일지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자료의 분석은 Wolcott(1994)가 제안한 기술, 분석, 해석의 순환적 과정의 큰 틀 속에서 van Manen(1990)이 제시한 현상학적 체험 연구에서의 자료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무용향유체험의 방식은 크게 `기능적으로 향유하기`, `유희적으로 향유하기`, `공헌적으로 향유하기`의 세 가지 방식으로 나타났다. 이 세 가지 방식은 연구 참여자들의 삶의 맥락에 따라 유기적으로 순환 및 확장하는 특징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무용향유 체험에 대한 보다 장기적인 연구와 공동체적 관점에서의 후속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dance participants savor dance in various ways. To focus on understanding the internal attributes of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s and the meaning behind it, this study was conducted a total of one and a half year of research from July 2015 to December 2016 with phenomenological experience method based on interpretative paradigm. And through traditional case selection (Miles & Huberman, 1994), this study took three cases, of whom two (`3355` team and `Chumkkonmasil` team) were represented as the best practices in the field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and the other one was a general ballet class team. And considering six conditions of research participant selection proposed by van Kamm (1966), 18 learners and 6 educators were selected as main informants out of three team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by in-depth interview, group interview, class observations, and self report journals, and the analysis of the data was conducted in the recursive process of descript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proposed by Walcott (1994). As the findings, there were the three ways of dance savoring: technical savoring, playful savoring, and contributive savoring. These three ways of savoring are ones that participants can make more meanings and find happiness in their life, and at the same time, these methods appeared to be reciprocal and cyclical. Lastly,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examine dance savoring experience more intensively and in the long term. Secondly, it is necessary to study not only the individual dance savoring experience but also the community dance savoring experience.

      • KCI등재

        체육교사 전문직 정체성 - 무엇으로 구성되는가?

        박준혁 ( Junhyuk Park ),최의창 ( Euichang Choi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023 체육과학연구 Vol.34 No.2

        [목적] 전문직 정체성 형성과정은 전문인의 능력과 함께 심성을 다룬다는 점에서 여러 전문인 교육에서 핵심적인 개념이자 목표로서 인정받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직 정체성에 대한 포괄적인 논의와 전문직 정체성 형성을 목표로 하는 전문인 교육의 특징적인 모습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체육교사 전문직 정체성 매트릭스(PIMPET)’를 제안하여 체육교사가 형성하게 되는 전문직 정체성의 모습을 조망해 보는 데 있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전문직 정체성과 전문직 정체성 형성과정에 대한 문헌들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체육교사 전문직 정체성 매트릭스를 고안했다. [결과] 전문직 정체성 형성과정에 대한 이해와 이를 핵심 목표로 삼는 전문인 교육과정의 특징을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평가의 세 가지 주제로 구분하여 제시했다. 또한, 체육교사 전문직 정체성 매트릭스의 두 축을 구성하는 능, 지, 심의 세 가지 핵심자질 그리고 수업, 학생, 행정의 세 가지 직무영역에 따른 아홉 가지 영역을 바탕으로 체육교사가 형성하게 되는 전문직 정체성의 모습을 드러내었다. [결론] 체육교사 전문직 정체성 매트릭스를 통해 체육교사가 형성하는 전문직 정체성의 포괄적인 모습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전문직 정체성 개념이 체육교사 전문성에 대한 인식과 체육교사교육에 주는 함의를 제시했다. PURPOSE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PIF) has become a core concept in various professional education fields as it emphasizes professionals’ dispositions as well as abilities. This study provides an overview of PIF and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professional education programs that highlight PIF. Through this overvie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Professional Identity Matrix for Physical Education Teacher (PIMPET)’, which helps identify PE teachers’ Professional Identity (PI). METHODS This study suggests a guideline to understand PE teachers' PI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urrent literature on PI and PIF.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PIF-based professional education programs were described according to three criteria: teaching content, method, and assessment. On the PIMPET framework, the components of PI formed by PE teachers can be categorized into nine domains which encompass the three identity dimensions (competence, knowledge, and disposition) and the three task areas (teaching, student, and administration). CONCLUSIONS The PIMPET framework allows for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PE teachers’ PI and provides implications for the professionalism of PE teachers and PE teacher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