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창원(正倉院) [쇼소인] 금속공예의 연구 현황과 과제

        최응천,Choi, Eungchon 국립문화재연구원 2018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1 No.3

        쇼소인[정창원(正倉院)]은 일본 나라시내(내량시내(奈良市內)) 토다이지[동대사(東大寺)]의 후원 쪽에 위치하는 목조(木造)로 지어진 단독의 창고 건물을 가리킨다. 이곳에는 나라시대로부터 소장되기 시작한 약 9,000여점에 이르는 다종다양한 미술품과 문서를 소장하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정창원 유물이 주목받는 까닭은 8세기 일본의 공예, 조각, 회화는 물론 사산조 페르시아, 인도와 같이 실크로드를 통해 건너온 물품과 당시 통일신라와 중국 당대에서 유입된 유물을 동시에 살펴볼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수백여점에 달하는 생생한 문서가 잘 보존되어 있어 당시의 사회 제반 상황은 물론이고 문화 외교의 교류사 및 불교 교리의 변천까지 아우르는 역사적 고증 자료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우리가 주목하는 것은 이러한 정창원 소장 유물이 과연 어느 시기에 어느 곳에서 제작된 것인가에 관한 문제로서 이들 중에는 중국에서 만들어져 수입되거나 선물로 받은 것도 있겠지만 백제나 통일신라에서 만들어져 정창원에 소장된 유물이 다수 전해지고 있어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이처럼 중요성을 지닌 정창원 관련 연구가 그동안 어떻게 진행되어 왔는지 정리된 적이 없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국내 외 학자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정창원 금속공예의 연구 현황을 살펴보고 최근 한반도에서 출토되고 있는 금속공예품을 통해 이들이 지닌 정창원 유물과의 연관성을 검토해 보았다. 나아가 정창원 조사와 연구에 대해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한지 정창원 조사와 연구의 과제를 다음과 같이 정리한 내용이다. 1, 정창원 소장 유물 조사를 위한 국가 차원의 지원 및 창구의 일원화 2. 정창원 소장 유물의 체계적인 목록화 작업 및 데이터베이스화 3. 일본과 공동 조사 연구의의 적극적인 시행 및 정창원 관련 연구자의 초청 4. 정창원 유물과 국내 보물급 유물의 교류 전시 추진 5. 정창원 관련 서적의 출판과 지원을 통한 연구 저변의 확대. The $Sh{\bar{o}}s{\bar{o}}-in$(正倉院) is the detached storage building for Japanese treasures that belongs to $T{\bar{o}}dai-ji$ in Nara, Japan. The reason why $Sh{\bar{o}}s{\bar{o}}-in$ collections are drawing attention is that Japanese artifacts, sculptures, paintings, and other objects that were introduced through the Silk Road, such as Sasanian Persia and India, and those that were introduced from the Unified Silla and Tang China. In addition, hundreds of well-preserved documents of $Sh{\bar{o}}s{\bar{o}}-in$ collections play an important role as a historical reference material covering not only the social situation of the time but also the history of exchange of cultural diplomacy and the change of Buddhist doctrine. In particular, some of collections of $Sh{\bar{o}}s{\bar{o}}-in$ were made in China and may have been imported or received as gifts, but many of the artifacts made in Baekje and Unified Silla are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This paper examined the research status of $Sh{\bar{o}}s{\bar{o}}-in$ metal crafts of Korean and foreign scholars, and examined the association with the relics of $Sh{\bar{o}}s{\bar{o}}-in$ through metal crafts excavated from the Korean Peninsula. The research on the future direction of $Sh{\bar{o}}s{\bar{o}}-in$ collections sh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1. Systematization of state-level support and single window for the research of $Sh{\bar{o}}s{\bar{o}}-in$ collections 2. Accurate listing and database of $Sh{\bar{o}}s{\bar{o}}-in$ collections 3. The positive implementation of joint research with Japan and invitation of researchers related to $Sh{\bar{o}}s{\bar{o}}-in$ collections 4. The exchange exhibition between the Korean National Treasures and the $Sh{\bar{o}}s{\bar{o}}-in$ collections 5. Expansion of the research base through the publication and support of books related to $Sh{\bar{o}}s{\bar{o}}-in$ collections.

      • KCI등재

        일본 소재 한국 문화재의 연구 현황과 성과

        최응천,Choi, Eung-chon 국립문화재연구원 2014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7 No.3

        일본에는 우리나라 문화재가 다수 소장되어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도 시기별로 다양하게 이루어졌다. 해방 이후인 1945년부터 1980년대까지 일본 소재 한국 문화재에 대한 연구는 일본과 국내 모두 한국 문화를 소개하는 개설서가 증대되면서 자료 보고서 형식의 논고가 지속적으로 발표되었다. 분야별로 약간의 차이를 보이지만 불교회화에서 두드러진 성과가 나왔다. 조각은 일본 학자들에 의한 한국 불상 연구가 매우 활발히 이루어진 시기였으며 일반회화 분야에서 연구 논문 발표와 저술 활동이 국내와 일본 모두 증가하였다. 도자 분야는 다른 어느 분야 못지않게 관련 저서가 증가된 점이 주목된다. 1980년대 후반부터1990년대 말까지는 국내에서 소장학자의 연구가 활발히 개시되고 신 자료를 발굴하여 소개하는 개별 논고가 많아진 시기이다. 일본의 경우 소수 연구자들의 지속적 활동이 이어지며 국내의 경우 기존 학자에 이어 도일 유학생들에 의한 연구조사가 실시되었다. 나아가 조사 지역 및 연구 범위가 확대되어 연구자의 양적 증가가 이루어진 시기이기도 하다. 일본 소재 한국 문화재의 대여 전시가 활발히 이루어진 결과, 새로운 관심이 더욱 집중되기도 하였고 국가기관(한국국제교류재단)에서의 미흡하지만 처음으로 조사와 보고서 간행이 시작되었다. 2000년 초부터 현재까지는 1990년대 후반부터 이루어진 심화된 연구를 바탕으로 개별 작품에 대한 미시적 접근이 점차 이루어진 시기이다. 미술사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 논문 주제로 일본 소재 한국 문화재를 다룬 논문이 증가되었고, 연구가 확장되어 여러 방면에 걸친 연구 인력이 배출되었다. 그러나 일반회화, 불교회화, 소수의 불교공예 정도를 제외하고 연구 분야 간 차별화 현상이 심화되는 경향을 보이게 된다. 도자 분야는 국립문화재 연구소에 의한 본격적인 한국 문화재 보고서가 간행되어 소장처별로 체계적인 보고서가 간행된 점은 괄목한만한 성과이다. After independence, more introductory books on Korean culture were published in both Korea and Japan, along with various papers briefly presenting relevant materials. There ar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research field, however, a considerable number of articles about Buddhist paintings were published. Research on Korean sculpture was quite active among Japanese scholars. And numerous articles and publications on Korean painting were also presented in both Korea and Japan. Publications on Korean ceramics were increased as much as in other fields. From the late 1980's through late 1990's, research on Korean cultural properties continued to increase, as many young scholars began to conduct research very actively in Korea, producing many articles to introduce new materials. A small number of Japanese scholars also continued to research Korean cultural properties. The overall number of Korean researchers also increased, as existing scholars were joined by students who went to Japan to study and conduct research, thereby helping to significantly expand the area and topics of research. In this period, the exchange exhibi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were increased. Also the substantial research reports was began to be published by the national institution. From the early 2000 thrugh present, in all fields, research has progressed and improved since the late 1990's, with many individuals pursuing a microscopic approach to their artifacts and works. More graduate students have been focusing on Korean cultural properties in Japan as the subject of their master's or doctorial thesis in art history, and overall number of researchers in various areas has increased. In the field of Buddhist painting, painting, and Buddhist crafts some important books and articles have been published. However, research achievements have been somewhat uneven. In the area of ceramics, several significant examples of substantial research reports were published by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These publications are outstanding references that illustrate the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on Korean cultural properties in Japan.

      • KCI등재

        수다사지(水多寺址) 출토(出土) 고려시대 금속공예품의 성격과 명문

        최응천 ( Choi Eung-chon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6 강좌미술사 Vol.47 No.-

        강원도 평창 수다사지에서 발견된 금속공예품은 비록 3 점에 불과하지만 명문을 지니고 있어 수다사의 위치를 확인시켜준 결정적인 자료가 되었다. 또한 고려시대까지 계승된 수다사의 역사와 고려시대 금속공예 연구에도 귀중한 일조를 하고 있다. 우선 금고는 고려시대에 제작된 기년명 금고와의 양식 비교를 통해 12 세기 후반쯤 제작된 작품으로 추정된다. 형태와 문양은 뛰어나지 못하지만 직경 70cm 에 달하는 대형으로서 뒷면이 좁아지는 禁口形 금고의 12 세기 후반 자료로서 주목된다. 고면에는 주조 후 땜질과 같은 보수가 이루어져 당시 금속공예 기술사를 연구하는데 참고가 된다. 촛대는 상부의 촛농받침 부분인 단편이지만 1188 년이라는 제작년대와 강당용이라는 봉안장소를 확인시켜 주었다. 또한 이 시기 불교공예품을 중심으로 한 수다사의 불사가 이루어진 점을 밝혀주는 귀중한 금석문 자료이다. 새롭게 출토 사실이 확인된 발우에도 명문이 기록되어 佛前器란 발우의 새로운 명칭이 사용된 점과 촛대를 만든 이후 1199 년에 다시 불사가 이루어진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특히 弟子 安序라는 이름이 촛대와 발우의 명문에 빠짐없이 등장되고 있어 당시 수다사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였던 인물로 추측되어 앞으로 그의 행적에 대한 새로운 주목이 필요하다. 이 세 점의 수다사지 출토 금속공예품을 통해 고려시대까지 면면히 이어져 온 수다사의 면모를 분명히 밝혀볼 수 있었으며 이곳에 대한 발굴조사가 시행된다면 보다 확실한 유구와 규모, 중창 및 폐사의 시기까지 명확히 규명될 수 있을 것이다. The Buddhist metal crafts with inscriptions founded at Sudasa temple site were the important materials confirmed the location of Sudasa as well as study of history of Sudasa temple and metal crafts of Goryeo period. The large Buddhist gong up to 70 cm in diameter excavated at Sudasa temple site that is narrow back side. It is presumed to have been produced was been produced in late 12th century through comparison with the year-recorded the Buddhist gong. The candle stick remains only bobeche, but it has the important meaning in that it is engraved with the production year of 1188 and the enshrinement place for auditorium. The inscriptions engraved on newly excavated patra(bowl) provide the new term `Bulgeongi`(the vessel for Buddha) and the Buddhist projects of 1199. The Buddhist disciple `An Seo` engraved on the bobeche and the patra is presumed to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Buddhist projects of Sudasa temple. It is meaningful to be able to reveal the aspect of Sudasa temple which has been continuing until the Goryeo period through these three metal crafts excavated at Sudasa temple site.

      • KCI등재

        『三國遺事』에 보이는 미술사 자료의 분석과 검토

        최응천(Choi, Eung Chon)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21 美術史學 Vol.- No.42

        『三國遺事』에는 塔像編 뿐 아니라 다른 여러 편 속에서 다양하고 풍부한 분량의 미술사 관련 자료가 수록되어 있음이 확인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미술사 관련 자료를 분석해 보면 탑상편에는 사지의 창건과 연혁이 10건, 폐사지의 위치 확인이 3건, 불교조각의 제작시기와 조성배경이 11건이었고 불탑의 제작시기와 조성배경 6건, 계단과 불사리 신앙 3건, 불교공예 5건, 불교회화 4건, 박물관의 기원 1건으로서 모두 43건 정도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그 중에서는 불교조각이 가장 많은 수효를 차지하고 있었다. 기타 편에 수록된 미술사 자료는 사지의 창건과 연혁이 17건, 불교 건축이 2건이며 탑상의 조성이 13건, 계단과 불사리 신앙 2건, 불교공예 4건, 불교회화 5건, 고대 박물관의 기원 2건으로서 45건이 확인되며 그 중에서 사지 창건과 연혁 부분이 가장 많은 17건이었다. 기타 편에 보이는 미술사 자료는 탑상 편에 실린 내용과 중복되거나 유사하지만 부언 설명이나 강조하는 내용을 보태기도 하였고 일부에서는 탑상 편에 누락된 미술사 관련 내용이 보이는 점에서 새로운 검토가 필요하다. 첫째, 『三國遺事』에 보이는 미술사 관련 자료는 탑상 편만이 중요한 것이 아니고 탑상 편에서 제외되거나 전혀 언급되지 않았던 새로운 자료의 게재가 꽤 많은 곳에서 등장된다. 둘째, 『三國遺事』에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한 고대 사원의 창건시기와 조성 배경과 같은 연혁을 다룬 글이 도합 27편에 달한다. 여기에는 한 편에 몇 개의 사찰이 동시에 언급되기도 하지만 불교미술 뿐 아니라 불교사에서 사찰의 연혁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에서 가치가 크다. 그 다음 가장 중요하게 평가할 수 있는 불교조각과 불탑의 자료는 도합 30편에 이르며 상대적으로 불교조각의 관련된 자료가 월등히 많았다. 또한 탑상 편에서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부분 중 하나가 戒壇과 舍利信仰에 관련된 부분이다. 이들은 황룡사 구층탑에 봉안된 사리를 포함하여 신라 및 통일신라 사리기 및 사리신앙 연구에 귀중한 일조를 한다. 한편 불교공예에서 가장 중요한 범종을 다룬 皇龍寺鍾· 芬皇寺藥師· 奉德寺鍾 조에서는 지금은 사라졌지만 경덕왕 754년에 황룡사 종이 주조되었으며 크기 1장 3촌, 49만 7천 5백 81근이란 중량을 파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추하면 현존하는 성덕대왕 신종의 12만근보다 3배 이상의 금속이 소요된 점에서 366㎝보다 최소 두 배 가까운 크기였다고 추정된다. 통일신라 범종의 명칭에서 지금 龍鈕라고 불리는 종을 거는 고리 부분이 고래를 무서워 한다는 葡牢로 불리었으며 지금은 사라진 撞木의 모양을 고래 형상으로 만들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신라 사리기의 구성과 형태를 볼 수 있는 자료로서 어금니를 넣은 사리기의 구성이 안쪽에 침향으로 합을 만들고 그 바깥은 순금합, 다시 백은함과 바깥에 유리로 함을 만들고 바깥 겹은 나전함으로 중첩 봉안하는 방식을 구체적으로 기록하였다. 특히 함과 합을 구별한 것으로 보아 뚜껑의 유무에 따라 함과 합을 구분한 것으로 보이며 각 함의 폭이 크기를 줄여가며 중첩되도록 만든 것을 시사한다. 불교회화 자료는 비교적 적은 3편에 불과하지만 주로 千手千眼觀音, 普賢菩薩, 11面觀音과 같은 밀교와 관련있는 변화 관음상을 벽화 위주로 제작한 사실을 밝혀준다. 마지막으로 단편적이지만 신라 궁내에서 보물 창고의 역할을 한 天尊庫란 수장고 시설과 명칭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탑상 편 이외 편에서 보이는 미술사 자료를 분석해 본 결과 사찰과 창건과 연혁을 다룬것이 17편 정도로 가장 많았는데, 탑상 편에서 다루지 않은 중요한 사찰에 대한 정보가 담겨 있어 보다 집중적인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탑상 조성에 관련된 내용을 살펴보면 수효는 불교조각이 9편, 불탑이 4편으로서 탑상 편에 비해 적지만 良志使錫, 迎如師 布川山 五比丘, 大城孝二世父母 조는 『三國遺事』가 지닌 미술사적 가치를 가장 극명하게 보여주는 구체적인 자료이다. 불교조각의 경우 塑造像에 관련 기록이 많다는 것은 지금은 남아있지 않지만 당시에 소조상의 제작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진 점을 시사해준다. 또한 유가종의 개창주인 대덕 대현스님과 관련된 남산 茸長寺와 봉안된 미륵석조장육상은 『三國遺事』를 통해 그 실제가 입증된 대표적인 사례이기도 하다. 다음으로 戒壇과 舍利 信仰 관한 기록 가운데 금산사에 봉안되었던 사리를 나누어 金剛山 鉢淵寺에 나누어 줬다는 기록은 왜 지금 발연사에 금산사 계단과 동일한 계단이 설치되어 있는지 잘 보여주는 주는 자료이다. 두 편의 불교건축 자료 중에서 感恩寺 관련 기록과 불국사 창건에 관련된 내용은 751년 김대성에 의해 시작되었지만 최소 774년까지 이어지다가 이후 다시 국가에서 마쳤다는 점을 밝혀주어 최소 30여년이 넘는 시간이 걸렸음을 시사해 준다. 그러므로 불국사 석굴암 관련 제작 시기를 규명하는데 좀 더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불교회화는 그리 많지 않지만 벽 위에 53불과 聖衆 및 天神, 五岳神君을 그렸다는 구체적인 내용이 확인된다. 불교공예는 개별 설명이 없는 단편적인 六環杖, 水晶念珠, 철 솥, 石鐘에 관한 자료에 불과하여 아쉬움을 준다. 고대 수장고인 天尊庫에 관련된 기록 이전에 貴妃庫라는 국가의 보물을 보관하는 수장고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일연스님은 미술사 관련 내용이 중심을 이루는 탑상 편을 별도로 분류함으로써 그 중요성을 부각시키고자 했다. 그러나 미술사의 개념이나 구체적인 설명을 덧붙이는 전문적인 지식 보다는 전부터 전해오는 고대의 자료를 섭렵하고 이를 보완하는 목적이 더 컸던 것으로 볼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가장 많이 다루고 있는 부분은 황룡사와 황룡사 9층목탑, 그리고 자장과 관련된 여러 창사의 연기, 또한 스님이라는 신분상 매우 귀중하게 다룰 수밖에 없었던 불사리 신앙과 관련된 부분으로 파악된다.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Samgukyusa, 1285), compiled by a Goryeo monk named Iryeon, is one of the oldest extant books on Korean history. The chapter titled ‘Pagodas and Images’ (Tapsangpyeon) contains a wealth of information about the history of Korean art. A close examination of the chapter revealed that it contains information about forty-three references to Korean art history, including ten references to the foundation and chronology of Buddhist temples, three on the locations of closed temples, eleven on the production dates and backgrounds of Buddhist sculptural works, six on the construction dates and backgrounds of pagodas, three on ordination platforms and sarira worship, five on Buddhist arts and crafts, four on Buddhist painting, and one on the origins of museums. Of these references, the largest number of cases concerns Buddhist sculpture. The book also contains forty-five references to Korean Buddhist art history in its other chapters, including seventeen on the foundation and chronology of Buddhist temples, two on Buddhist architecture, thirteen on the construction of pagodas and images, two on ordination platforms and sarira worship, four on Buddhist arts and crafts, five on Buddhist painting, and two on the origins of museums.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chapters of the book requires a careful review for the purpose of classification, because some entries overlap with the information provided in the chapter on pagodas and images as they were intended to provide an additional explanation or to emphasize certain facts, while others contain information omitted from the aforementioned chapter. It seems that Iryeon wrote the chapter on pagodas and images in order to focus on information about the Buddhist art of his country, indicating that he was well aware of the importance of Buddhism’s artistic heritage. The intention behind the arrangement of the chapter seems to have been to bring together and supplement old materials rather than to introduce concepts related with art history or specialized knowledge. It is noteworthy that of the numerous Buddhist topics covered in the book, Iryeon was particularly interested in Hwangnyongsa Temple and its famous Nine-Story Wooden Pagoda, the Buddhist temples established by the eminent Silla monk Jajang, and the relics (sarira) of Shakyamuni Buddha, which must have been invaluable objects of worship for devout Buddhists like him.

      • KCI등재

        불영사(佛影寺) 소장 불연(佛輦)과 불전패(佛殿牌)에 관한 고찰

        최응천 ( Choi Eung-chon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7 강좌미술사 Vol.48 No.-

        경북 울진에 소재한 천축사 불영사에는 지금까지 알려진 1720년의 화재 이후의 불교미술품 뿐 아니라 그 이전에 만들어진 불교조각상을 비롯한 다양한 불교공예품이 확인되고 있다. 그 가운데 佛輦과 佛殿牌는 제작과 관련된 자세한 명문을 지닌 17 세기 불교 공예품의 귀중한 자료이다. 1670 년에 제작된 불연은 비록 약간의 손상이 있지만 두 점 한 세트가 완형으로 남아있는 조선후기 17 세기에 조성된 두 번째로 오랜 작품인 점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동시에 제작과 관련된 과정과 시주자, 정확한 조성 시기까지 기록되었을 뿐 아니라 목조 조각의 섬세함과 금속제 장식 등의 정교함이 돋보이는 조선시대 불연의 걸작이다. 특히 불연의 용도를 세밀하게 밝히고 있을 뿐 아니라 불연을 `鳳輦`이라 명칭한 유일한 사례이기도 하며 불연 제작 과정이 기록되어 당시로서도 매우 큰 불사였다는 점이 확인된다. 더욱이 불연에 부착된 거울이 그대로 남아있어 조선시대 사찰 소장의 거울과 불연과의 관련성, 용도 등에 관해 새로운 시각을 제공해 준다. 두 점이 남은 불전패는 그 조각이 뛰어나면서도 기록된 명문을 통해 1678 년 오어사와 통도사의 조각승들이 송악산으로 가던 중 울진 천축사 불영사를 방문하고 그곳에서 여름 한철을 체류하게 되면서 사찰의 부족한 공양물 가운데 불패 3 위와 전패 3 위를 조성하였다는 내용을 기록하였다. 당시의 제작자는 畵? 哲玄, 靈現, 卓眞으로서 조선 17 세기 목조각승(僧匠)의 새로운 이름이 확인되었다. 아울러 `세수패(歲樹牌)`의 기록으로 보아 현재 남아있는 패가 三殿牌의 중앙에 놓이는 主上殿下의 패인 것으로 추정되어 원래 불영사에는 3 개의 불패와 전패가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에 명문 중에 보이는 것처럼 寺宇가 잘 보전되어 전할 수 있기를 빌고 뭇 중생들이 이를 통해 감동하고 찬탄케 하고자 불전패를 조성했다는 이유를 분명히 밝히고 있는 점도 다른 곳에서 볼 수 없었던 불영사 불전패의 중요성이다. 이를 통해 佛殿牌가 사찰에서 보배처럼 매우 중요한 佛具로서 인식되었으며 佛牌와 殿牌를 분명히 별도로 구별해서 사용하였다는 사실을 분명히 파악하게 되었다. 불영사 불전패는 17 세기의 불전패 가운데 명문을 지닌 귀중한 사례이며 불패를 같이 조성된 것으로 추정해 본다면 현재 남아있는 불패 가운데 가장 이른 예가 되어 그 가치가 크다. 이처럼 불영사에는 화재를 면한 17 세기의 불교 조각품과 불교 목공예품이 비교적 잘 남아있다는 점을 통해 불영사가 최소 1670 년에 대규모의 시주를 모연하여 불연을 제작하였고 1677 년에 삼세불과 16 나한상을 조성했지만 그 바로 1 년 뒤인 1678 년에 사찰의 부족한 공양물 가운데 우선 불패 3위와 전패 3위를 제작한 것을 알 수 있어 이 시기의 불영사가 아직 사찰의 면모가 빈약했다는 점을 살펴볼 수 있다. 이후 명부전의 지장보살상을 비롯한 시왕상이 1688 년에 이루어지고 석가삼존상 1704년에 조성되는 등 17 세기 후반부터 18 세기 초에 걸쳐 불영사에서 이루어졌던 활발한 중건의 불사를 이러한 유물들을 통해 다시금 밝혀주고 있다. Of all the Buddhist crafts of Bulyeongsa temple the Buddhist palanquin and tablet are the important materials of 17th century that bear inscriptions related to the production. The Buddhist palanquins made in 1670 are the second oldest works in the late 17th century. There was a slight damage, but a set of two palanquins remained complete. The ink writings on the palanquin shows the production process, sponsor, and production year. In addition the delicate wooden carving and metal decorations are the important elements that make it stand out. Especially, it is the only case called Bongyeon(pheonix palanquin, 鳳輦) and it is important that the mirror adhered to this palanquin. The remaining two Buddhist tablets were made by the monk sculptors of Oesa temple and Tongdosa temple in 1678. According to inscriptions, they stayed for a while Cheoncuksa temple and Bulyeongsa temple, and they made three Buddhist tablets and three tablets to symbolizing king. This tablet were made with the name of Sesupae(歲樹牌), monk sculptors such as Cheolhyun(哲玄), Yeonghyun(靈現), and Thakjin(卓眞)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of this tablet. It is presumed that the remaining tablet is located in the center of altar for the King.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ree Buddhist tablet and three tablet for royal family were made originally. The Buddhist tablet including tablet for royal family of Bulyeongsa temple is the oldest work that was made in 17th century.

      • KCI등재

        황수영 박사의 한국 범종 연구와 성과

        최응천 ( Eung Chon Choi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4 강좌미술사 Vol.43 No.-

        황수영 선생이 평생에 걸쳐 집필한 한국 범종 관련된 자료소개나 논문은 대략 29 편 정도이다. 물론 여기에는 같은 종류의 범종을 중복해서 다른 곳에 소개하거나 여러 편을 묶어 고찰한 논고도 포함된다. 범종의 제작 년대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한국 범종의 기원과 형태 문제를 다룬 3 편의 글과 統一新羅鍾5 편, 高麗時代鍾18 편, 朝鮮時代鍾3 편과 연구 현황을 다룬 1 편이 확인된다. 그 가운데 高麗時代鍾연구가 가장 많은 수량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統一新羅鍾의 경우 일찍부터 알려져 왔고 많은 연구 현황이 이루어지 반면에, 당시 새롭게 알려지기 시작한 개인 소장 高麗鍾이나 새로이 출토된 高麗鍾은 선생 외에는 잘 파악할 수 없었기에 우선적으로 소개하고자 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선생의 범종 연구사에서 더욱 돋보이는 성과는 우리나라 최고의 鍾인 上院寺鍾이 安東에서 옮겨 진 것을 밝혀 上院寺鍾의 원 소재지 문제를 다룬 논문과 3 년 만에 소실된 禪林院址鍾의 현황과 명문, 출토 상황 등을 자세히 밝혀놓음으로써 자칫 사라질 뻔 하였던 統一新羅鍾의 귀한 사례를 일목요연하게 잘 정리한 세 편의 논고, 實相寺鍾의 중요성을 고찰한 글들을 통해 統一新羅美術에서 新羅鍾이 지니는 의미와 가치를 부각시킨 일이다. 또한 일본에 소재한 한국 범종의 중요성을 높이 평가하여 틈나는 대로 그들을 소개하고 명문을 실어 자료로 활용토록 하였다. 이러한 선생의 성과는 .韓國金石遺文.에 다시 정리되어 간행됨으로써 한국 범종 연구에 가장 중요한 기초 자료집 역할을 충실히 하고 있다. 아울러 선생에 의해 설립되어 이후 한국 범종 연구의 중심이 된 韓國梵鍾硏究會(현 梵鐘學會)와 .梵鐘.지의 창간을 들 수 있다. 이를 통해 미술사에서 유독 한국 범종 연구를 독립된 분야로 연구될수 있도록 가치를 정립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여기에 미술사에서 범종 연구지나 범종연구회의 경우 일본보다 한국이 훨씬 앞설 수 있게 된 계기를 마련할 수 있었던 것도 중요한 공로의 하나이다. 이처럼 한국 범종 연구에 있어 선생이 이룩한 한국 범종 관련의 업적은 다른 어떤 분야보다도 더욱 큰 의미와 가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Dr. Hwang Soo Young wrote 29 research papers including introduction of materials for Korean Buddhist bell throughout his lifetime. There are three articles which was dealing with the problem of the origin and form of Korean Buddhist bell, five articles related to Buddhist bells of Unified Silla dynasty, eighteens articles related to those of Goryeo dynasty, three articles related to those of Joseon dynasty, one article about the research status. Among the 29 research papers a study on Buddhist bells of Goryeo dynasty have accounted for most quantities. The outstanding achievements in his study about Korean Buddhist bell is to highlight the meaning and value of Buddhist bell of Unifed Silla dynasty through three articles related to the original location Buddhist bell of Sangwonsa temple, three articles about status, inscription, and excavated situation of Seonrimwon temple bell destroyed by fire, and one article dealing with the significance of Silsangsa temple bell. Also he appreciated the significance of Korean Buddhist bells located in Japan, and introduced them ever put to excellent advantage in resources. It is re-published from 『韓國金石文(Korean epigraphs left by a deceased)』 that played the most basic role for researching Korean Buddhist bells. Also the foundation of Research Group of Korean Buddhist Bell(now The Association of Korean Buddhist Bell) and journal Beomjong(Korean Buddhist bell) established by him played important role in boosting value as an independent field in Korean art history. In additionResearch Group of Korean Buddhist Bell and journal Beomjong became the important momentum to lead in studying Buddhist bells. Thus, his achievements of studying Korean Buddhist bell have the important significance and value than any other field.

      • 한국 범종 연구의 성과와 과제

        최응천(Choi Eung Chon) 동국대학교 박물관 2011 佛敎美術 Vol.22 No.-

        This study attempts to interpret new approach about problem of researching Korean Bell. First of all, I suggest new materials like yong zhong(甬鍾) and bo zhong(鎛鍾) as an origin of Korean Bell. In order to examine bell shape of Three Kingdoms period, I compared Chinese bell with inscription Taijian 7th with gilt bronze small bell excavated at Mireuksa temple site. I proposed that Korea accepted Chinese bell through another route which was different from Japanese bell systematically from the beginning on he basis of two types of the early Chinese bell style like southern Johyeong bell(祖形鍾) and nothern Hayeop Bell(荷葉鍾). Also I reviewed nationality and production period of Jogyesa temple bell that was obstacle on study of Three Kingdoms period bell. I studied unique aspect of Korean Bell divided into six elements such as dragon-shaped hook, sound pipe, lotus frame, lotus petal, heavenly maiden, and striking point focusing on Sangwonsa temple bell(上院寺鍾) that was typical style of Korean Bell. In addition I researched value and significance of Sangwonasa temple bell in Korean bell history. Also I analyzed stylistic characteristic and inscription of Yeonjisa temple bell(蓮池寺鍾) which showed new aspects within a century after Sangwonsa temple bell, and looked into position and meaning of Yeonjisa temple bell in Korean Bell history. Yeonjisa temple bell showed transitional style changed a pair of heavenly maiden into one change did not open to public in Japan. So I precisely described survey information to use research resource of studying Korean bell.

      • KCI등재

        기록문화재(記錄文化財)를 통(通)한 조선시대미술(朝鮮時代美術)의 도상해석학적(圖像解釋學的) 연구(硏究) 특집(特輯) : 조선 후반기 제1기(광해군-경종대) 불교공예의 명문과 양식적 특성 연구

        최응천 ( Eung Chon Choi ) 한국불교미술사학회(구 한국미술사연구소) 2012 강좌미술사 Vol.38 No.-

        전란 이후 이루어진 사찰의 복구와 중창 불사 가운데 17세기 초부터 梵鐘을 중심으로 가장 먼저 전개되었으며 불교공예품도 조선시대 전 기간 가운데 가장 활발한 제작활동을 한 부흥의 시기이다. 범종의 경우 僧匠의 활동을 시작으로 私匠이 등장하여 이제 각 지역별로 독특한 계보를 이루며 크고 작은 범종을 제작하였다. 나름대로의 독특한 범종의 형태와 특성을 구가해 나갔던 장인들의활약은 이후 조선후기 범종의 다양한 계보를 확립시킬 수 있었던 중요한 구심적 역할을 하였다. 金鼓의 경우 그 수량은 많지 않아도 조선시대 금고로의 완전한 확립을 이루는 다양한 변화 양상을 보여주면서 18세기 금고로의 이행 과정을 거치게 된다. 舍利器의 발견 예가 奉印寺 사리탑, 落山寺空中舍利塔처럼 매우 희소한 것은 탑이나 僧塔 등에 넣어지는 석조물의 건립이 적었다는 시기적상황과 무관하지 않다. 香완의 경우 비록 형태와 문양에서 격이 떨어지지만 通度寺 康熙13년명 향완(1674)이라는 대작을 완성한 뒤 그 화려한 전통은 종말을 고하게 된다. 17세기 雲板은 현재 리움미술관 소장 운판 한 점 밖에 확인할 수 없지만 龍身의 굴곡진 몸체를 운판의 외형으로 삼아 서로 마주보게 배치한 것은 운판의 조형에서 얽매이지 않고 한국적인 운판형태로 새롭게 수용·변화시킨 독창성이라 할 수 있다. 이 시기의 중요한 불교공예품의 자료로 靑谷寺 明鏡臺(1693)와 大芚寺 經欌(1630)과 같은 목공예품에서 찾을 수 있다. 이 두 작품은 조성 연대를 지니고 있으면서 동시에 세부 수법이 탁월한 불교 공예의 걸작이다. 특히 經欌의 문 안에 그려진 黃線描 四天王圖는 17세기 線描 佛畵의 유일한 자료라는 점에 그 가치가 지대하다. 아울러 17세기의 殿牌와 佛牌도 萬曆34年銘 殿牌(1606)년을 시작으로 다양한 양식과 함께 세부 조각이 탁월한 수작을 남기고 있어 조선 불교 공예 연구에 빼놓을 수 없는 자료로 검토되어야 한다. After Japanese Invasion and Manchu Invasion, Buddhist crafts were greatly increased based on Buddhist bell from the beginning of the 17th century. In case of Buddhist bell, monk craftsman led the creation of Buddhist bell in early 17th century, private craftsman who formed regional lineage made a various Buddhist bell after the middle 17th century. Buddhist Gongs of the 17th century shows the transitional process to Joseon metal drum and completion of typical style. In case of Sarira reliquaries, a small number of examples has been found. Because stone work of the building did not have much. Incense burners(Hwang-wan) of the 17th century were degraded in forms and patterns. After completing masterpiece of Tongdosa hwang-wan made in 1694, the form of silver inlaid hwang-wan was disappeared. The cloud-shaped plate of Leeum(Samsung museum of art) is the only example of the 17th century, but this work shows the newly established traditional form. The wooden works are the important art works in this period like wooden mirror of Cheonggoksa temple made in 1693 and wooden sutra case of Daedunsa temple made in 1630. Especially Four Guardian Kings painting drawn yellow color inside door of wooden sutra case of Daedunsa temple is the only drawing Buddhist painting material. Also the Buddhist tablet with inscription Manli 34th(1606) has important value in research of Buddhist wooden works of 17th century.

      • KCI등재

        기록문화재를 통한 조선시대미술의 도상해석학적 연구 특집 : 조선 전반기 불교공예(佛敎工藝)의 도상해석학적 연구 -명문과 도상적 특성-

        최응천 ( Eung Chon Choi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1 강좌미술사 Vol.36 No.-

        조선시대 전기까지의 불교공예품은 왕실 발원의 예가 많고 그 크기도 고려시대에 비해 대형화된 것은 당시 왕권의 확립 과정에서 등장된 기념비적 성격을 지닌다. 특히 조선 왕실 발원 범종의 명문에는 최상위 계층의 發願者와 監督者, 각 분야의 최고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제작자들이 분업화하여 종을 제작함으로써 고려 후기 범종에 보였던 중국종의 모방 차원에서 벗어나 조선시대적 범종으로 확립시켜 나가는 밑거름이 되었다. 16세기 중반 이후 왕실 발원 범종이 점차 사라지면서 민간과 절 발원의 범종 제작이 주류를 이루고 제작자도 官匠에서 점차 개인적인 私匠과 僧匠의 활동이 두드러지게 되면서 전통 방식을 따른 범종의 제작이 늘어나게 되었다. 조선 전기의 사리장엄구는 고려에 비해 사리 장엄 방식이 단순해지고 사리기의 종류와 양은 줄어드는 경향을 보인다. 왕실 발원의 사리기는 예가 많지 않지만 아직 그 제작 기술에서 뛰어난 기량을 보이고 있는 작품을 통해 사리 장엄의 전통이 꾸준히 계승되어온 점을 알 수 있다. 조선 전기의 향완은 고려시대 후기의 예들보다 둔중해지고 대부가 과장되며 梵字가 작게 축소된 도식화의 경향과 범자문의 내용에 새로운 변화가 보인다. 향완의 수가 급격히 줄어든 것은 은입사라는 기술과 고가의 재료라는 점에서 제약을 받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비록 한 점씩에 불과하지만 명문 있는 바라와 금강령을 통해 당시 지방 사찰에까지 미친 왕실 발원의 불사를 밝혀볼 수 있게 되었다. 아울러 기록으로나마 왕실 원찰에 사용된 燈籠, 幡蓋, 私幡 등과 같은 다양한 장엄구가 제작된 것과 조선시대의 金字經에 대한 자료를 확인할 수 있었다. 조선 전기의 불교공예는 비록 왕실 발원이란 한정된 계층과 작품의 다양성 면에서 고려 전기에 비해 풍부하지 않지만 당시로서는 최고의 전문가 집단을 동원하여 침체된 고려 후기 불교공예분야에 새로운 활력을 넣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몽고의 침입과 항쟁, 원나라의 지배하인 13세기 중엽 이후 오랜 기간 그 맥이 끊어졌던 한국 불교공예의 전통은 이러한 조선 전기 활발한 주조 활동을 통해 다시 금 그 전통을 되살리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를 통해 조선후기 한국 전통형 종이 다시 부활될 수 있는 중요한 기틀이 되었다. During the early part of the Joseon period, Buddhist craft works were frequently commissioned by the royal house. They were often larger in size than those produced during the Goryeo Dynasty, in part because they were made to convey the new ruling dynasty`s prestige. Buddhist bells, accounting for the largest category of surviving Buddhist craft items, were, for example, produced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top-notch specialists from each of the areas involved in the casting process. Early Joseon Buddhist bells went beyond the level in late Goryeo, consisting of simply copying Chinese bells, and laid the groundwork for the independent native tradition that was later forged. Although patronage for Buddhist crafts was limited, during this period, to the royal house, and works produced were not extremely varied, compared especially to the early Goryeo period, these works created by elite artisans are significant insofar as they breathed new life into this field, on a decline since the late Goryeo period. Starting from the mid-13th century, with the Mongol invasion and the subsequent Mongol rule, Buddhist crafts died out virtually completely. The lively casting activity in early Joseon, therefore, revived a moribund tradition on the brink of complete extinction. Contributions by early Joseon artisans can scarcely be exaggerated in terms of how instrumental they were in ensuring the renaissance of the Korean bell casting tradition in late Jose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