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술치료의 치료요인 범주화 연구 -미술치료서비스 제공자를 대상으로-

        최은영 ( Choi Eun-yeong ),이영숙 ( Lee Young-sook ),손병문 ( Son Byeong-mun ),오지은 ( Oh Jee-eun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9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8 No.2

        본 연구에서는 미술치료서비스 제공자들이 범주화한 미술치료 치료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개념도 방법으로 현장에서 미술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10명의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이영숙, 최은영과 공마리아(2017)이 도출한 66개의 최종 진술문을 사용하여, 각각 카드로 제작한 후, 연구참여자가 각 카드를 유사성에 따라 분류하고, 각 진술문에 대해 미술치료 치료요인으로서 중요도를 5점 척도로 평정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다차원척도법과 위계적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술치료서비스 제공자들의 미술치료 치료요인은 개념도 상 2차원 6개로 범주화되었다. 2개의 차원은 ‘내적경험의 공유와 외현화’, 그리고 ‘창조성과 안정화’이며, 6개로 범주화된 치료 요인은 ‘표현의 용이성과 안전한 치료환경’, ‘상징화를 통한 다양하고 새로운 문제해결 시도’, ‘시각적 외현화를 통한 자기이해’, ‘창의적 치료경험’, ‘치료자와의 미술작품 공유’, ‘감각기억활성화를 통한 문제접근 용이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 치료요인을 미술 치료서비스 제공자를 통해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범주화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art therapy therapeutic factors categorised by art therapy service providers. The concept mapping method was conducted to 10 participants who were providing art therapy services on field. 66 final statements derived by Lee et al.(2017) was used, each of them was made with a card, and each statement was classified by a research participant according to its similarity, and its importance as a therapeutic factor for art therapy was leveled on a five-point scale. Data processing was done with multidimensional scaling method and hierarchical clustering analysis. The results found that categorization of the therapeutic factors of art therapy by art therapy service providers was divided into six two-dimensional categories on a concept map.The two dimensions were ‘creative and stabilizing’ and ‘sharing of internal experience and externalizing.’ The six categorised therapeutic factors were ‘ease of expression and safety treatment environment’, ‘trying various and new problems solving through visualization’, ‘self-understanding through visual externalization’, ‘experience of creative treatment’, ‘sharing art works with the therapist’ and ‘ease of problem access through sensory memory activ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categorized and classified therapeutic factors of art therapy systematically by art therapy service providers.

      • KCI등재

        온라인 수업에 참여한 간호대학생의 딴짓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최은영,윤지영,박신영,Choi, Eun-Young,Yun, Ji-Yeong,Park, Shin-Young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9

        본 연구는 온라인 수업에 참여한 간호대학생의 딴짓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자료수집은 3개 대학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304명을 대상으로 2020년 4월 20일부터 4월 30일까지 구조화된 자가 보고식 설문지 작성을 통해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6.0 program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딴짓은 흥미도(r=-17, p=.003), 이해도(r=-19, p=.001), 필요도(r=-12, p=.031), 학습동기(r=-12, p=.046), 자기조절효능감(r=-11, p=.040), 학습자신감(r=-14, p=.017), 강의만족도(r=-22, p<.001), 강의몰입(r=-24, p<.001)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학습자신감(β= -.20), 토론 및 발표선호정도(β= .19), 강의몰입(β= -.15), 강의만족도(β= -.15)이 딴짓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F=9.95, p<.001), 모형의 설명력은 10.6%였다. 본 연구를 통해 온라인 수업에 있어 간호대학생의 딴짓을 감소시키기 위한 교수학습방법 및 프로그램의 개발을 제언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other behaviors taken by nursing students during online lectures. The study subjects were 304 nursing students in three universities. Data were collected between April 20 and 30, 2020, using by completing structured self report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26.0 program. In correlation analysis,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other behaviors, interest(r=-17, p<.01), understanding(r=-19, p<.01), needs(r=-12, p<.05), learning motivation(r=-12, p<.05), self-regulation efficacy(r=-11, p<.05), learning confidence(r=-14, p<.05), lecture satisfaction(r=-22, p<.01), lecture flow(r=-24, p<.01). I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learning confidence, prefer to discuss & present (β=.19), lecture flow(β=-.15), lecture satisfaction(β=-.15)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that explained 10.6% of variance of other behaviors taken by nursing students during online lectures. Thus, we suggest to develop that teaching methods and programs to reduce other behaviors taken by nursing students during online lectures.

      • KCI등재
      • KCI등재

        중도시각장애인의 적응 도움요인에 관한 범주화 연구

        최은영(Eun-Yeong Choi),주상욱(Sang-wook Joo),이영숙(Young-Sook Lee),박혜정(Hye-Jeong Park),손은경(Eun-Kyung Shon)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20 재활복지 Vol.24 No.1

        본 연구는 중도시각장애인의 적응 도움요인을 범주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D시에 거주하고 있는 중도시각장애인 10명이다. 개념도 방법을 사용하여 연구참여자들의 진술문을 토대로 분석한 결과, 중도시각장애인의 장애 적응 도움요인에 대한 핵심문장은 최종 67개로 정리되었다. 이를 각각 카드로 제작한 후, 연구참여자가 각 카드를 유사한 문항끼리 분류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다차원척도법과 위계적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도시각장애인의 적응에 도움이 되는 요인은 개념도 상 2차원 7군집으로 범주화되었다. 2개의 차원 중 1은 ‘개인’ 대 ‘집단’으로 명명하였고, 2는 ‘심리적 자원’ 대 ‘사회적 자원’으로 명명하였다. 이 두 개의 축 안에서 중도시각장애인의 적응 도움요인은 ‘사회활동을 통한 자기효능감’, ‘특수교육에서의 진로·재활과정교육’, ‘자조집단으로부터의 도움’, ‘시각장애인과의 관계를 통한 장애 관점 변화’, ‘마음돌보기’, ‘가족·주변인으로부터의 정서적 지지’, ‘종교활동과 적응적 대처행동’의 7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는 중도시각장애인의 적응 도움요인을 당사자를 통해 분류하고 범주화하여 실질적이고 직접적인 개입방법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classify helpful factors for adaptation of people who acquired visual impairment. The participants were 10 acquired visual impairments living in D City. An analysis on the statements, submitted by the study participants, through concept mapping has summarized a total of 67 key sentences on helpful factors for adaptation of people who acquired visual impairment to their loss. 67 cards on which each of the sentences was written, allowing study participants to classify the each card into similar questions. In the case of data processing of this study,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ing were carried out.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Helpful factors for adaptation of people who acquired visual impairment were categorized as seven clusters in two dimensions on concept mapping. One of the two dimensions was named ‘individual’, ‘group’, and the other was named ‘psychological resources’, ‘social resources’. In the two axes, helpful factors for adaptation of people who acquired visual impairment were classified into seven clusters: ‘self-efficacy through social activities’, ‘career and education about rehabilitation processes in special education’, ‘help from self-help groups’, ‘changes in perspectives on disability through relationships with the visually impaired’, ‘caring for one’s own mind’, ‘emotional support from family and neighbors’, and last, ‘religious activities and adaptive coping behavior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making people who acquired visual impairment themselves classified and categorized helpful factors for their adaptation in order to provide them with an understanding of practical and direct intervention methods.

      • A Study on Patient Breathing Technique during Pulmonary Artery Embolism CT

        최은영(Eun-Yeong Choi),김명진(Myeong-Jin Kim),김형태(Hyung-Tae Kim) 대한CT영상기술학회 2019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Vol.21 No.2

        목적: 폐동맥색전증은 전체 병원내 사망의 5-10%를 차지하며 치료하지 않을 경우 치사율이 30%에 가까운 위험하고 치명적인 질환이다. 본 연구는 환자들의 호흡법 즉 숨을 깊게 들여 마시고 참는 Valsalva manoeuvre 방법과 숨을 들여 마시지 않은 상태에서 숨을 참는 방법을 비교하여 보다 정확하고 검사실패를 줄이기 위한 폐동맥색전증 CT검사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8년 1월부터 9월까지 폐동맥색전증 CT 검사를 위해 내원한 환자 6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성별과 연령에 구분을 두지 않았다. CT장비는 Aquilion One(Canon Medical, 320channel, Japan)을 이용하였다. 측정은 오름동맥와 폐동맥로 설정하였으며 ROI는 평균 100 mm2으로 각각 3회씩 측정하여 평균값을 기록하였다. 결과: 연령에 따른 오름동맥 HU 값은 60세 미만과 60세 이상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폐동맥의 HU값 60세미만 356.9 60세 이상 437.3이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호흡법에 따른 오름돔맥 HU 값은 깊게 숨을 들여 마시고 참는 방법과 숨을 들여 마시지 않고 그냥 숨을 참는 방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폐동맥의 HU 값은 깊게 숨을 들여 마시고 참는 방법은 387.8 숨을 들여 마시지 않고 그냥 숨을 참는 방법은 441.6이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로 비추어 폐동맥색전 CT 검사시 호흡에 대한 방법을 숨을 깊게 들여 마시고 참는 Valsalva Manoeuvre방법보다는 숨을 들여 마시지 않고 그냥 참는 Shallow Breathing방법을 이용하여 검사하는 것이 도움되리라 생각되고, 특히 연령이 낮을수록 호흡법에 대한 인지 즉 Shallow Breathing방법에 대한 설명을 확실히 하는 것이 폐동맥색전 CT 검사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Purpose: The advance of MDCT(multi detector computed tomography) shortened examination time, greatly contributing to the diagnosis of PAE(pulmonary artery embolism). This study intends to contribute to more precise CT scanning of PAE by comparing two methods of patients breathing: holding breath after inhaling(valsalva manoeuvre) and holding breath without inhaling(shallow breathing). Method: The gender and age-blind study targeted 65 patients who came in for PAE CT scanning from Jan to Sept, 2018. Aquilion One was selected as CT scanning equipment. The measuring mode was set to ascending aorta and pulmonary Artery, and scanning was conducted three times for each with the average ROI being 50-60mm2. Result: The ascending aorta HU value for people below 60 is 355.0 and the value for people aged 60 or above is 365.1, showing no sta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pulmonary artery HU value, on the contrary, showed a sta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356.9 for people below 60 and 437.3 for people aged 60 or above). Breathing did not result in a sta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or the HU value of ascending aorta(Valsalva Manoeuvre: 362.7 and Shallow Breathing: 361.8). However,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or the HU value of pulmonary artery(valsalva manoeuvre: 387.8 and shallow breathing: 441.6). Conclusion: The result showed that, for PAE CT scanning, shallow breathing is better than valsalva manoeuvre. And giving young patients thorough instructions on shallow breathing should be helpful.

      • KCI등재
      • KCI등재

        <특집논문2> 인도불교의 중국적 변주-반야와 현학, 그리고 유학 : 반야신앙의 전승과 유포에 대한 일고찰 -한역 반야경전을 중심으로-

        최은영 ( Eun Yeong Choi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5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1

        대승경전 가운데 법화경은 강력하고 다양한 신앙의 체계를 갖춘 법화신앙을 만들어냈고, 정토경은 아미타불이 있는 서방정토에 극락왕생하게 하는 정토신앙으로 대중화되었음은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본고는 법화신앙과 정토신앙과 같이 동아시아 불교에서 반야경을 중심으로 반야신앙이 형성되고 유포될 수 있었는지를 검토하고자 한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 반야경의 내용에서 신앙적 요소가 있는지 검토하고, 한역된 이후 동아시아 불교에서 신앙의 형태로 전개될 수 있는 요소를 반야경전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서 세 가지 측면에서 동아시아 불교에 있어서 반야신앙의 성립의 요건들을 조망하였다. 먼저 반야경전에서 핵심적으로 설명되는 반야바라밀이 신앙적 요소로 쓰여졌는지 분석하였다. 이 속에서 반야바라밀이 반야경전을 대신하여 쓰여진 경우와 현실적 이익과 공덕을 얻는 대신주로 설명될 경우에, 신앙적 성격이 두드러짐을 알 수 있었다. 다음은 반야경전 자체를 존숭하여 서사하고 수지독송하는 형태에서 신앙적 측면을 찾을 수 있었는데, 이는 『마하반야초경(摩訶般若초經)』의 성립과 연관성이 있다. 원본인 『도행반야경』과 비교할 때 『마하반야초경』은 경전을 서사하고 수지독송하는 복덕이 많음을 밝히는 내용으로 편집됨을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반야바라밀이 현세적 이익을 얻는 대신주로서 수용되는 것이 신앙적 면모와 많은 관계를 갖고 있다고 보기 때문에, 이러한 대표적 모습을 보이는 『반야심경』을 중심으로 여러 가지 역사적 전거들을 검토해보았다. 이처럼 반야경의 신앙적 요소를 밝히고 그것이 동아시아 불교에서 전승되고 유포되는 상황을 확인하여, 반야신앙이 전개될 요소가 있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반야신앙은 경전 내용에 근거하여 경전의 서사와 수지독송을 통해서 전승되는 측면과 『반야심경』의 경우 경전 자체가 다라니로 신앙되고 있었음을 고찰할 수 있었다. This article purports to investigate if there has been the formation of the faith in Prajna within East Asian Buddhism as the faith in the Lotus Sutra or in the Pure Land. To do so, it examines if there are elements of faith in the content of the Prajna Sutras, searching for the elements with the potentiality to develop into the form of faith in East Asian Buddhism since the translation of the Sutras into Classical Chinese. In doing the above examination, this article surveys the requirement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Prajna faith within East Asian Buddhism through the following three aspects. Firstly, it analyzes if the term of Prajnaparamita, which is explained as the essential concept in the Prajna Sutras, has been used as an element of faith. By this analyzation, in the case of the usage of Prajnaparamita to represent the Prajna Sutras or in the case of the explanation of it as being a greatly mysterious and magical word for this worldly gain and merit, its characteristic of faith is confirmed. Next, its characteristic of faith could be found in the manner of revering, copying, holding dear, and reciting the Prajna Sutras for themselves, which is ascertained to have been closely related to the composition of the Mohebanruochaojing (摩訶般若초經). Lastly, in the context of the premise that the appropriation of Prajnaparamita as a greatly mysterious and magical word for this worldly gain is connected deeply with the dimension of faith, various textual sources around the Heart Sutra (般若心經) have been investigated through historical facts. Thus, the existence of the elements for the development of faith in Prajna could be confirmed by the clarification of the elements of faith in the Prajna Sutras and the examination of the representative situation of its development in East Asian Buddhism. Above all, the faith in Prajna could be ascertained in the aspect of its transmission through copying, holding dear, and reciting Scriptures, in addition to the situation of a scripture becoming the object of faith by itself as a dharani (陀羅尼) as in the case of the Heart Sut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