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구성주의 협동학습을 활용한 미술교육의 연구

        최윤철 ( Yun Cheol Choi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1 예술교육연구 Vol.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교육에서 구성주의 협동학습의 이론을 활용하여 민주 시민 의식의 소양을 습 득시켜보고자는 취지에서 시도되었다. 그동안의 미술교육이 인간의 정서발달에 기여해 온 사실들은 여 러 연구를 통하여 드러나고 있다. 이는 유아교육이나 아동교육에서 미술교육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면서 성숙과정에 큰 영향력을 끼치고 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아동미술교육은 주로 아동의 발달단계에 따른 표현위주의 미술교육이 주류를 형성해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표현위주의 미술교육은 지나친 개별표 현으로 지향되면서 적잖게 개인주의 성향을 초래하는데 기여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미래의 미술교 육은 개별화된 개성표현위주의 교육 비중을 낮추고, 구성주의 이론을 적용한 협동제작으로 함께 성취감 을 만족할 수 있는 교육내용으로의 전환이 절실하다. 특히 이러한 협동제작은 남을 위한 배려나 협조에 의한 성취로 이어지면서 민주적 시민의식의 소양을 길러주는데 유리하며, 나아가 글로벌 리더로서의 자 질을 함양할 수 있는 교육적 효과도 크다고 판단된다. 또한 다양한 협동학습 프로그램을 통한 미술교육 은 오늘날 만연해가고 있는 개인주의를 보완해 가정해체나 사회 및 국가의 결속력 약화 및 인류애의 상 실 등의 여러 문제점들을 억제시켜주는 효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구성주의 협동학습을 이용한 교 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으로 개별 표현에 의한 학습자의 부담도 덜고, 미술교육의 흥미도 유발할 수 있어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ttempted in the intent to encourage the refinement of democratic citizenship consciousness utilizing the theory of constructivism cooperative learning in the fine arts education. It`s been proven that fine arts education has been contributed to the human`s emotional development in many studies. That`s because the fine arts education takes up a large portion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hood education and has large effects on maturation stage. The expression-oriented fine arts education related to the developmental stage of the children has formed the mainstream of fine arts education so far. But this kind of expression-oriented fine arts education has been headed for the excessive individual expression that it impacted on individualism in part. Therefore, the fine arts education in the future should be reduced the portion of individualized expression-oriented education and changed to the education contents that can reach a sense of accomplishment through constructivism cooperation production. Especially this kind of cooperation production can lead the consideration for others and achievement that it is considered to foster the democratic citizenship and have educational effects of global leader. Also the cooperative learning through the various programs probably can relieve the problems like family disorganization, weakened of social and national cohesion and the loss of humanism. Constructivism Cooperative Learning relieve the burden on students by individual expression through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training program, Interest spark in fine arts education is necessary to should be utilized actively.

      • KCI등재

        한국전통회화에서 사용된 부감법에 대한 연구

        최윤철 ( Yun Cheol Choi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1 기초조형학연구 Vol.12 No.4

        한국전통회화에서 가장 많이 활용된 기법은 부감법(俯瞰法)이라 할 수 있다. 부감법은 위에서 밑으로 내려다 본 시각상(視覺象)을 표현한 회화기법이다. 서양미술의 원근법과는 구별되지만, 자연과 사물을 투시하며 2차원의 평면에 기술한다는 점은 유사하다고 하겠다. 부감법은 동양과 한국전통회화에서 사용된 기법으로 시점과 관련 있는 기법이다. 부감법에 대한 기원은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이미 선사시대 제작된 반구대 암각화에서 유사한 표현들이 보인다. 그리고 조선시대 김홍도의 풍속화나 궁중기록화의 건축그림에서 시도된 부감법은 안악 3호분벽화에서 유사한 흔적을 찾을 수 있다. 따라서 부감법의 기원은 선사시대부터 시작되어 고대국가를 걸치면서 세련된 기법으로 발전해 조선시대에 완전하게 정착되었다. 부감법이 한국전통 회화의 기법으로 발달된 것은 한국인들의 독특한 시각상을 충실하게 반영하였기 때문이다. 선사 시대부터 계속적으로 지속된 부감법은 자연과 사물에 대한 자신의 관심과 주제를 표현하는 한국의 전통 회화의 방법입니다. 그러나 아쉽게도 조선시대 후기에 지나친 형식주의에 빠진 부감법은 새로운 시대 시지각의 변화를 무시하면서 결국 외면 받게 된다. 본 논문은 한국전통회화의 부감법에 대한 고찰을 통해서 한국인들의 시각상과 한국전통 회화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돕고자 한다. One of the most frequently used painting method in South Korea`s traditional painting is bird`s-eye view. Bird`s-eye view expresses the vision looking down from the top. It is distinguished from the Perspective in Western Art which makes vanishing point but it can be said to be similar aspect depicting the nature and object on the two-dimensional plane using projection. Bird`s-eye view is a unique method used in the Orient and Korea`s traditional painting related to view point. The origin of bird`s-eye view is not well known, But it was already found present in the Petroglyphs of Bangudae made in prehistoric times which is the oldest existing work of art. And bird`s-eye view method used in Kim Hong-Do`s genre painting and Royal Court recorded painting can be found on the wall painting of Anak Tomb No. 3. Starting from the prehistoric times, bird`s-eye view was developed as a sophisticated technique and was established completely in Joseon dynasty. Bird`s-eye view was developed as Korea`s traditional painting method as it reflected Korean`s unique vision. Bird`s-eye view which has lasted continuously from the prehistoric times was a method of Korea`s traditional paintings expressing their interests and themes on nature and objects. Unfortunately, it was ignored as it was fallen into formalism in the late period of Chosun dynasty and refused to adopt the change of vision from the new era. This study is for the right understanding of Korean`s vision and Korea`s traditional painting by considering bird`s-eye view method.

      • 행실도 판화의 무덤에 대한 연구

        최윤철 ( Yun Cheol Choi ) 단국사학회 2009 史學志 Vol.41 No.-

        조선시대는 그 이전의 어느 시대보다 더욱더 공고히 유교의 틀을 확실히 다진 나라라고 볼 수 있다. 조선시대의 유교는 국가적 통치이념으로서 사회를 안정화 시키는데 일익을 담당하며 사회문화 전반에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조선왕조는 性理學을 통치이념으로 정립시키고자 建國初期부터 많은 노력을 하고 있었다. 특히 對民敎化政策의 일환으로 三綱五倫을 널리 유포시키기 위해서 行實圖 刊行이 조선 초기부터 말기까지 계속해서 시도된다. 行實圖 판화의 무덤에 대한 연구는 조선시대의 무덤의식과 유교윤리의 이해에도 도훔이 된다. 따라서 조선시대의 제작된 行實圖 版畵는 精神史的인 입장에서 조선의 유교적 가치관을 이해하는데도 반드시 필요한 연구라고 생각된다. 오늘날과 같이 多變化되어가고 있는 文化樣相과 다양성이 요구되고 있는 시점에서 과거문화의 主體的 受容이야 말로 未來文化의 창조에 씨앗이 될 수 있다. 특히 조선시대의 行實圖 版畵의 무덤에 대한 고찰은 조선의 儒敎文化를 이해한다는 次元에서도 필요하지만, 무엇보다도 禮制와 五禮의 입장에서도 반드시 연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本 硏究論文이 行實圖 版畵의 무덤에 정확한 이해를 도와서 조선시대의 문화를 올바르게 이해하는데 공헌하기를 기대해본다. Joseon Dynasty was the nation that made the frame of Confucianism more firmly than any other nation former times. The national government doctrine, Confucianism of Joseon Dynasty, had much effected on the whole society and culture, bearing a part of establishment of the society. Joseon Dynasty had made an effort to establish metaphysics as its government doctrine since at the beginning of the foundation of the Dynasty. Especially to spread Samgang Oryun widely as a link to education policy for the people, the publishment of Haengsildo had been attempted continuously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of Joseon Dynasty. This study on the Grave of Haengsildo print helps the study of Confucian ethical educative book and ceremoniese of Grave.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the Haengsildo print produced in Joseon Dynasty is the necessary study so that we could understand the Confucian view of value of Joseon Dynasty in a mental history position. Accepting the past culture subjectively will be certainly a source of creation of culture of the future in these times of today required multi-changing cultural aspect and cultural diversity. Especially, the consideration on the Grave of Haengsildo print of Joseon Dynasty is needed in the respect that we can understand Confucian culture of Joseon but above all things it is necessary to study it in the position to with the ceremonies and five courtesies. Lastly it is expected that this thesis will be able to help understand the Grave of Haengsildo print exactly and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culture of Joseon Dynasty correctly.

      • KCI등재

        조선시대(朝鮮時代) 행실도(行實圖) 판화(版畵)의 위계표현(位階表現)에 대한 연구(硏究)

        최윤철 ( Yun Cheol Choi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1

        조선왕조는 성리학을 통치이념으로 삼으면서 대민교화정책의 일환으로 행실도의 편찬에 힘썼다. 조선시대 행실도의 편찬 동기는 삼강오륜을 바탕으로 한 실천적인 유교윤리관의 확대 보급을 위해서이다. 초기 행실도의 판화 수록은 편찬 당시 한자를 모르는 백성들을 위해서 세종의 하명으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행실도 판화는 삼강오륜의 실천적 행실들을 충실하게 담아내고 있다. 삼강오륜을 내용으로 하는 행실도 판화에서 연장자나 상급자의 유교적 위계표현들은 몇 가지 조형적 특징을 보여준다. 구체적 사례로는 “상대적으로 크게, 곧은 자세, 앉은 자세, 판화의 상단, 건물과 군막 내부, 우마나 마차에 탄 묘사, 가림막 배려”등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조형적 특징은 이미 유교의 전래와 더불어 시작되었으며, 이것은 고구려의 고분벽화를 통해서 확인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미 오래전부터 시도된 유교적 위계표현들은 조선왕조가 유교신분사회로 지향되면서 행실도 판화로 구체화 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이것은 초기『삼강행실도』부터 후기『오륜행실도』까지 모든 행실도 판화에서 꾸준히 지속되면서, 유교적 신분사회의 정착에 기여했다. 마지막으로 부족하지만 이 논문이 행실도 판화를 체계적으로 이해하는데 필요한 자료가 되기를 기대해본다. The Joseon Dynasty made efforts to compile the Haengsildo as a part of the civilian educative politics, regarding the metaphysics as its governmental doctrine. The motive of compilation of the Haengsildo in the Joseon Age was to spread and diffuse a practical view of the Confucian ethics based on the Three Bonds and the Five Moral Rules. The early recording of the print on the Haengsildo was accomplished by King Sejong`s order for the people who couldn`t understand the Chinese characters at that time. Therefore, the Haengsildo Prints express faithfully the practical behaviors of the Three Bonds(Samgang) and the Five Moral Rules(Oryun). In the Haengsildo Prints that express the Three Bonds and the Five Moral Rules, the expressions of the rank to the elder or the senior show several manufactual characteristics. Concrete examples are that they are described relatively bigger, in an upright posture, in a sitting posture,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rints, inside the structure and the military camp, in description of riding on the oxen or horses or in the carriages, and with screen to consider them, etc. This manufactural characteristic had been begun already with the introduction of Confucianism, which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wall painting in the old tomb of Koguryeo. Therefore, it is more likely that the Confucian expressions of the rank that had been tried already long time ago were embodied in the Haengsildo Prints as the Joseon Dynasty intended the Confucian positional society. And this contributed to the settlement of the Confucian positional society, continuing in all the Haengsildo prints from the early 『Three Bonds Haengsildo』 to the late 『Five Moral Rules Haengsildo』. Lastly, though this is somewhat unsatisfactory, I expect that this thesis will be necessary materials for understanding the Haengsildo Prints systematically.

      • KCI등재

        원근법과 명암법의 관념적 활용 사례 연구

        최윤철 ( Yun Cheol Choi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1 기초조형학연구 Vol.12 No.6

        회화사에서 가장 큰 과학적 혁신은 르네상스시기에 시도 된 원근법(遠近法)과 명암법(明暗法)을 꼽을 수 있다. 원근법과 명암법은 회화에서 2차원의 평면(平面) 위에 3차원적인 시각상(視覺象)을 표현해주며 과학적 혁신으로 인정받았다. 공간적 깊이와 입체감의 표현 기법으로 사용된 원근법과 명암법은 르네상스 이후부터 근대 회화까지 꾸준하게 활용되면서 이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시도되었다. 그러나 선행연구자들의 연구논문들은 평면 위에 3차원적 시각상을 기술하는 과학적인 기법차원에서 연구된 것이 대부분이다. 회화의 과학적 혁신입장에서의 원근법과 명암법에 대한 연구도 중요 하지만, 이들 기법들이 작가의 주제의식과 관념적으로 활용된 점도 가볍게 취급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들 기법들이 인간의 3차원적인 시각상을 기술해주는 단순한 과학적 혁신뿐만 아니라, 작가의 주제 의식인 종교나 도덕적 이상을 부각시키기 위한 관념적 기법으로 활용되었음을 르네상스 회화의 사례 연구를 통해서 증명하였다. 또한 르네상스 이후 회화의 연구를 통해서도 단순한 기법차원에서 벗어나 관념적으로 활용한 사례를 보여주면서 확장된 개념의 원근법과 명암법에 대한 다양한 인식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원근법과 명암법의 다양한 활용사례에 대한 연구는 앞으로도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회화기법의 연구는 서양 회화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In the history of painting, perspective and chiaroscuro introduced in the Renaissance era are one of the most scientifically innovative methods. Perspective and chiaroscuro were recognized as scientific innovation to express three-dimensional vision on a two-dimensional plane. For expressing the spatial depth and a three-dimensional effect, perspective and chiaroscuro were utilized continuously from the Renaissance era to modern era and studied actively. However most of the former studies covered perspective and chiaroscuro from the viewpoint of the scientific innovation depicting the three-dimensional vision on the plane. The study of perspective and chiaroscuro from the viewpoint of the scientific innovation is important though but the respect of being utilized as the subject of consciousness and conceptual technique should not be ignored. It was proved that these methods were utilized not only as an scientific innovation for depiction of human`s three-dimensional vision but also as an conceptual technique to highlight the subject of consciousness; a religion or moral ideal. Also through the study of the painting after the Renaissance era, various expanded concepts of perspective and chiaroscuro were suggested showing the cases used as not just a technique but a conceptual way. Case studies of the diverse utilization of perspective and chiaroscuro should be continued. These painting techniques will help better understand Western paint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