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and Mythological Origin of ‘Lying’ Oral Narratives

        Choi Won-Oh(최원오)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0 동북아시아문화학회 국제학술대회 발표자료집 Vol.2010 No.5월

        본 논문은 한국의 구전설화 현장에서 다수 전승되고 있는 ‘거짓말’ 구비서사의 서사적 성격과 그 기원을 고찰한 것이다. ‘거짓말’ 구비서사는 표현의 묘미만을 살린 짤막한 작품에서부터 내용의 묘미까지를 살린 장편의 작품의 이르기까지 여러 층위를 포괄하고 있다. 그러나 그 길이에 상관없이 이들은 모두 ‘거짓말’ 구비서사로 포괄될 수 있다는 점에서, ‘거짓말’ 구비서사가 갖고 있는 독자적 성격을 해명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거짓말’ 구비서사에 대한 연구가 지금까지의 연구는 극히 미진하기도 하거니와, ‘거짓말’ 구비서사를 독립적인 것으로 보고 분석하려고 하지도 않았다. 이에 본 논문은 ‘거짓말’ 구비서사를 독립적 구전서사 형태로 보고, 그것이 갖고 있는 서사적 성격을 분석한 결과 일상적 · 목적지향적 · 역설적 · 논쟁적 성격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거짓말은 바람직한 언술 형태가 아님에도 사람들이 관심을 가질 만한(또는 긍정적 가치를 부여할 만한) 매력적 요소가 있다는 것’에 주목하여 볼 때, ‘거짓말’ 구비서사 속의 주인공은 신화에서 파악되는 ‘트릭스터’와 비교된다. 이것은 ‘거짓말’ 구비서사의 기원이 ‘말’에 권위를 부여하는 구술사회의 대표적 산물이라고 할 수 있는 신화에 있음을 보여준다. 다시 말해서 ‘거짓말’ 구비서사의 전승 담당층 내면에 자리하고 있는, 신화적 트릭스터에 대한 구술 문화적기억이 변형되어 나타난 것이라 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기술적 특이점`의 관점에서 본 신화적 상상력과 그 지향점: 동물적 상상력에서 식물적 상상력으로의 전환과 관련하여

        최원오 ( Choi Won Oh ) 영주어문학회 2017 영주어문 Vol.35 No.-

        본 논문은 제4차 산업혁명의 본격적 도래를 예견하는 개념인 `기술적 특이점`의 관점을 차용하여, 한국신화의 상상력 속에서 그것이 어떤 식으로 구현되고 있는가를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주지하다시피 `기술적 특이점`은 기술의 변화가 급속하게 이루어져 현재의 인간의 생활을 더 이상 되돌릴 수 없게 만드는 가상 지점을 뜻한다. 따라서 `기술적 특이점`은 이전과 이후의 경계가 획정되는 지점이기도 하다. 이것은 한국신화에서 동물적 상상력에 익숙한 `동물로서의 인간`이 이전의 상태에 경계를 지으면서 `식물적 상상력을 하게 되는 인간`(말하자면 신인류)으로 초월하려는 것과 일정한 상동관계에 있음을 암시해 준다. 그런데 기술적 특이점이 인간과 기계의 분별이 거의 없어지는 지점에서 태동되는 것처럼, `식물적 상상력을 하게 되는 인간` 역시 `동물로서의 인간`과 거의 분별이 없어지는 지점에서 태동하게 되는데, 한국신화에서는 그 추동적 역할을 한 것으로 `농경`을 얘기하고 있다. 그 점에서 `농경`의 도래가 보여준 방향성과 추동성은 `기술적 특이점`의 오랜 원형(原型)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the technological singularities are realized in the imagination of Korean myth through the viewpoint of `technical singularity` which is the main concep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s we all know, `technological peculiarity` is a virtual point that makes rapid change of technology and makes human life no longer irrevocable. Therefore, `technical singularity` is also the point where the boundary between before and after is decided. This implies that in the myth of Korean mythology `human beings as animals` are in a certain homogeneous relationship with those who are transcending `human beings with plant imagination` (that is to say, new humans). However, as the technical peculiarity emerges at the point where the distinction between human and machine almost disappears, the `human being planted imaginative power` also emerges at a point where it almost disappears from `human as animal`. In Korean mythology, agriculture plays an active role in eliminating discrimination. From this point of view, the direction and drift shown by the arrival of `agriculture` can be said to be a archtype of `technical singularity`.

      • KCI등재

        한성, 경성, 서울의 역사적 변천에 따른 공간 인식과 서울사람에 대한 인식 변화 -야담, 재담, 구술 자료 등을 중심으로-

        최원오 ( Won Oh Choi ) 한국기호학회 2009 기호학연구 Vol.26 No.-

        This paper examined, from the point of view of cultural semiotics, how the space of Hanseong, Gyeongseong, and Seoul has been understood according to the historical changes in the designation for the administrative region from Hanseong to Gyeongseong, and then from Gyeongseong to Seoul. It was determined that this understanding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defining the Seoulites of today. Hanseong, the capital of the Joseon Dynasty, was the political center of the nation, but Gyeongseo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transformed into a political and economic center for colonial rule. In the process, the city wall that served to divide the understanding of space into absolute categories of inside the city walls and outside the city walls was torn down. Gyeongseong was also divided into commercial areas, industrial areas, and residential areas under the pretext of urban development, and Koreans were gradually forced out into the poor areas on the outskirts of Gyeongseong. Thus the center of Gyeongseong was established as a space where colonial capital and new culture (modern culture introduced through Japan) were concentrated, while the outskirts were established as a residential space for Koreans who lacked these things. Yet as Gyeonseong was given the new administrative regional designation of Seoul after liberation and the Seoul region expanded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of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city, there was another important change in the spatial understanding of the city. That is, the terms north of the river(Gangbuk) and south of the river(Gangnam) created a new understanding of Seoul and Seoulites, and this understanding gradually became a fixed idea. In particular, Gangnam was perceived as playing the role of economic center, educational center, and new cultural(Western cultural) center when compared with Gangbuk, and an understanding of this very space of Gangnam as one that represented Seoul grew. This is not a new understanding, but one that should be considered an extension of the spatial understanding that had been drawn out in colonial Gyeongseong, as well as an extension of an understanding of the residents of colonial Gyeongseong, which firmly established and fixed the ideas of Gangnam residents versus Gangbuk residents and Seoulites versus country people.

      • KCI등재

        동북아 삼강(三江) 유역 소수민족의 영웅신화와 문화적 혼종화의 방향

        최원오(Choi, Won-Oh) 한국구비문학회 2021 口碑文學硏究 Vol.- No.63

        본 논문은 동북아 삼강 유역의 소수민족인 만족, 허저족, 어룬춘족, 다우르족 등에게서 전승되어 온 영웅신화를 ‘영웅신화 문화권역’으로 설정하고, 이를 토대로 한국의 구비설화 몇 편(지하국대적퇴치, 조마구, 재주 많은 의형제 등)을 검토한 것이다. 만족, 허저족, 어룬춘족, 다우르족의 영웅신화는 ‘영웅의 원정과 귀환’이라는 보편적 패턴과 ‘영웅과 악마(또는 악마적 성격의 적)의 대결’이라는 핵심 모티프를 공유한다. 뿐만 아니라 각 민족마다 이러한 내용의 영웅신화를 지칭하는 갈래 명칭을 가지고 있으며, 영웅의 적대자 또한 유형화된 캐릭터로서 설정되고 있다. 이것은 만족, 허저족, 어룬춘족, 다우르족 등 소수민족의 집거지인 동북아 삼강 유역이 ‘영웅신화 문화권역’을 이루고 있음을 말해 준다. 한국의 <지하국대적퇴치>, <조마구>, <재주 많은 의형제> 등의 설화는 모두 이러한 동북아 삼강 유역의 ‘영웅신화 문화권역’과 관련하여 이해될 수 있다. 주인공이 악마적 성격의 적대자와 대결한다든지, 이를 서사적으로 보다 풍성하게 만드는 보조자가 등장한다든지, 의형제 맺기가 연속적으로 이어진다든지 하는 것은 그 구체적 근거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만족, 허저족, 어룬춘족, 다우르족이 각각의 갈래 명칭으로 지칭되는 영웅신화를 지속시켜 왔던 반면, 한국에서는 일부 고소설 작품 및 일부 민담의 형성으로밖에 이어지지 못했음을 말해 준다. 중심 문화권역의 영웅신화에서 분리되면서 파편화된 구조나 실천들이 새로운 구조 및 문화적 실천의 산물들, 즉 영웅신화의 모티프가 파편화되어 나타나고 있는 민담, 또는 영웅적 주인공을 내세운 고소설 등을 만들어 낸 것이다. 그런 점에서 한국의 <지하국대적퇴치>, <조마구>, <재주 많은 의형제> 등의 설화는 동북아 삼강 유역의 ‘영웅신화 문화권역’ 과 관련하여 전승되고 있는 문화적 혼종화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sets the heroic myths handed down from the Manchu, Heze, Erunchun, and Daur ethnic minorities in Northeast Asia s Sanjiang Basin as a hero myth cultural zone, including some Korean oral tales (A Tale of Defeating Monsters in Underworld Nation, Jomagu, Talented Brother-in-law). The heroic myths of Manchu, Heze, Erunchun, and Daur share the universal pattern of the hero s expedition and return and the core motif of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hero and the devil (or an enemy of a demonic character). Furthermore, each ethnic minority has a branch name that refers to the hero myth with this content; the hero’s antagonist is also set as a tangible character. This shows that the Three River Basin in Northeast Asia, the home of minority ethnic groups such as Manchu, Heze, Erunchun, and Daur, constitutes the hero myth cultural zone. Korea s A Tale of Defeating Monsters in Underworld Nation, Jomagu, and Talented Brother-in-law can all be understood in relation to the hero myth cultural zone include the protagonist confronting the antagonist with a demonic character, the appearance of an assistant who enriches the narrative, and the continuous formation of the brother-in-law. However, this also shows that while the Manchurian, Heze, Erunchun, and Daur people have continued their heroic myths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names, it has led to the formation of some old Korean novels and folktales. The fragmented structures and practices that were separated from the hero myths of the central cultural area created new structures and cultural practices. The three Korean folk tales A Tale of Defeating Monsters in Underworld Nation, Jomagu, and Talented Brother-in-law are the products of cultural hybridization related to the hero myth cultural zone in the Sanjiang Basin in Northeast Asia.

      • KCI등재

        동북아신화에서의 ‘惡, 또는 부정적 존재들’에 대한 비교신화학적 이해

        최원오(Choi, Won-Oh) 한국문학회 2010 韓國文學論叢 Vol.54 No.-

        본 논문은 동북아신화에서 보이는 ‘악, 또는 부정적 존재들’의 기원과 그 의미를 비교신화학적 관점에서 살펴본 것이다. 특히 시베리아 바이칼 남동쪽에 위치한 부리야트에서 구비 전승된 <게세르> 신화를 중심으로 한국, 만족, 아이누 등의 자료와의 비교를 통해 주어진 문제를 고찰하였다. <게세르>는 티베트, 몽골, 부리야트 등지에서 전승되었거나 되고 있는 영웅신화 또는 영웅서사시의 하나로, 몽골의 <장가르>, 키르기스의 <마나스>와 함께 동북아 및 중앙아시아 지역의 신화적 세계를 잘 보여줄 수 있는 작품이다. 특히 부리야트의 <게세르>는 기존연구를 통해 고조선의 <단군신화>와의 유사성이 지적된 작품일 뿐만 아니라, 동북아의 샤머니즘적 세계관을 비교적 잘 간직하고 있는 작품으로 평가된다. 비교 고찰 결과 동북아 신화에 보이는 ‘악, 또는 부정적 존재들’은 ‘자연’을 재인식하는 단계(자연의 파괴적 힘을 객관적으로 인식하는 단계→악, 또는 부정적 존재로 은유화하여 주관화하는 단계→악, 또는 부정적 존재의 세계를 구성하여 독자적 세계로 구축하는 단계)를 거쳐 규정된 것이며, 그것은 ‘인간’ 또는 ‘인간의 나라’를 설명해 줄 수 있는 장(場)을 마련하기 위한 수단으로써의 의미를 가졌다. 인간이 자연의 파괴적 힘을 배제한채 살아갈 수 없는 것처럼 인간은 인간의 부정적 본성을 배제한 채 살아갈 수 없다. 그 결과 신화에서의, 인간적 본질을 성찰하기 위한 시도는‘자연의 재인식’이라는 방식을 통해 ‘악, 또는 부정적 존재들’을 형상화하는 것으로 제시되기에 이르렀다. 그 점에서 ‘악, 또는 부정적 존재들’이 인간처럼 일정한 지역의 땅을 지배하고, 인간처럼 생활하며, 인간처럼 사고하는 ‘인문적 존재’로 형상화 된 것은 그러한 인식의 극단적 표출이라고 하겠다. This study examined the origins and meanings of ‘evil or negative beings’ observed in Northeast Asian myths from a viewpoint of comparative mythology. For this purpose, we answered questions raised from comparison of myth Geser transmitted orally in Buryat located to the southeast of Lake Baikal in Siberia with materials from Korea, Manchuria, Ainu, etc. Geser is one of heroic myths or heroic epics transmitted in Tibet, Mongol, Buryat, etc., and together with Jangar in Mongol and Manas in Kyrgyz, it represents well the mythological world of Northeast and Central Asia. In particular, Geser in Buryat has been reported to be similar to the Myth of Dangun in Gojoseon by previous research, and is considered a work that preserves the shamanistic world view of Northeast Asia.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we found that ‘evil or negative beings’ observed in the myths were defined through the stages to recognize ‘nature’ anew (stage of recognizing the destructive power of nature objectively → stage of subjectivizing nature by metaphorizing it into evil or a negative being → stage of constructing a separate world with evil or negative beings), and they had a meaning as a means of laying a ground for explaining ‘humans’ or ‘the human world.’ Like humans cannot live with excluding the destructive power of nature, they cannot live with excluding the negative nature in them either. Accordingly, attempts to reflect the human nature recognized ‘evil or negative beings’ through ‘re-perception of nature.’ In this sense, it is the extreme expression of the recognition to describe ‘evil or negative beings’ as ‘humanistic beings’ who rule the land of a specific area like humans, live like humans, and think like humans.

      • KCI등재
      • KCI등재

        구비설화에 나타난 혐오감정의 두 양상, ‘식욕-음식’ 짝패와 ‘성욕-여성’ 짝패의 교차와 변주

        최원오 ( Choi Wonoh ) 한민족어문학회 2018 韓民族語文學 Vol.0 No.79

        본 논문은 구비설화에 나타난 혐오를 식욕과 성욕의 관점에서 고찰한 것이다. 혐오감정은 식욕이나 성욕처럼 인간의 가장 본능적 조건에서 검토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혐오감정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들 욕망과 결부되어 있는 구체적 대상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 욕망은 비가시적이기 때문이다. 필자는 그것을 ‘식욕-음식’의 짝패, ‘성욕-여성’의 짝패로써 설명하고자 했다. ‘식욕-음식’의 짝패와 관련한 혐오감정은 본능적 반응과 문화적 반응의 층위에서 나타나는데, 전자는 오염음식과 후자는 금지음식과의 관련성이 높다. ‘성욕-여성’의 짝패와 관련한 혐오감정은 본능적 반응과 윤리적 반응의 층위에서 나타나는데, 전자는 결혼 이전의 여성, 후자는 결혼 이후의 여성과의 관련성이 높다. 이때 전자는 여성을 창녀의 시선으로 바라봄으로써 혐오감정을 직접적으로 표출하고, 후자는 열녀(또는 성녀)의 시선으로 바라봄으로써 혐오감정을 이면적으로 표출하게 된다. 여성을, 한 인간으로서 존중받아야 될 대상이 아니라, 남성 중심의 사회, 또는 가부장제 하의 사회에서 ‘창녀’, ‘열녀’라는 이분법으로만 바라본 것이다. 그런 점에서 구비설화에서 파악되는 ‘열녀담론’은 ‘혐오담론’으로써 분석될 여지를 내재한다. 한편, ‘식욕-음식’의 짝패와 ‘성욕-여성’의 짝패는 상호 교차되고 변주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 문둥병 환자를 소재로 한 구비설화에서 이런 점이 잘 확인된다. 이들 설화에서 ‘식욕-음식’의 짝패와 ‘성욕-여성’의 짝패는 철저하게 문둥병 환자인 남편에 종속되며, ‘성욕-여성’의 짝패가 ‘식욕-음식’의 짝패와 동일시되기도 한다. 한 인간으로서의 여성이 아니라, 남편의 문둥병을 치료하기 위한 ‘음식’으로써 전이되고 있는 것이다. 이는 혐오감정이 다기적(多岐的)으로 분출되는 현상, 혐오감정 간의 위계상 권력 등을 이해하는 데 시사점을 준다. This paper examines the hate feelings to related the appetite and sexuality in the oral tales. It is noted that the hate feelings need to be examined in the human's most instinctive conditions, such as appetite or sexuality. However, in order to understand the hate feelings, it is necessary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specific objects associated with appetite and sexuality. Because the concepts of appetite and sexuality are invisible, I tried to explain these ideas as the suits 'appetite-food' and 'sexuality-woman.' The hate feelings of the 'appetite-food suit,' appears on the layer of instinctive reaction and cultural reaction in society. The former is highly related to the contaminated food and the latter is related to the prohibited food. The hate feelings associated with the 'sexuality-woman suit' appears on the layer of an instinctive response and an ethical response. The former is associated with the concept of women before marriage, and the latter with women after marriage. At this time, the former concept expresses the hate feelings directly by looking at the woman by the prostitute's gaze, and the latter expresses the hate feelings by looking at the gaze of the virtuous women (or the saint). Women are viewed not only as a person to be respected, such as a human being, but as a dichotomy of a "prostitute" or "virtuous women" in a male-centered society or a patriarchal society. In this respect, the 'discourse of the virtuous women,' which is understood in the oral tales, has a possibility to be analyzed as the 'discourse of hate.' On the other hand, the 'appetite-food suit' and 'sexuality-woman suit' are crossed each other and shows the variation. This is well figured out in oral tales as based on the leprosy patients. In these oral tales, the suits of the 'appetite-food' and 'sexuality-woman' are thoroughly dependent on the leprosy husband and 'sexuality-woman suit,' which are equated with the 'appetite-food suit.' It is not a woman as a human being, but a "food" for treating her husband's leprosy. This gives suggestions for understanding of the phenomenon that the hate feelings are divaricate, and that in this case, there is power of the hierarchy between the hate feelings.

      • KCI등재

        미국 민속학의 역사와 연구 관점

        최원오(Choi Won-oh) 비교민속학회 2012 비교민속학 Vol.0 No.47

        본 논문은 1940년대 이후 미국 민속학의 역사와 연구 관점을, 로즈메리 레비 줌왈트의 견해를 중심으로 하여 살핀 것이다. 그 과정에서 최근의 연구 경향을 덧붙여 설명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도출된, 최근의 연구 경향을 초점화화여 집중적으로 살피고, 그것을 전망하였다. 미국 민속학은 문학적 민속학, 인류학적 민속학의 연구사로 대별되는데, 최근에는 이러한 두 가지 관점을 융합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게 일고 있다. 또한 ‘구술 중심의, 추상적 분석 중심의’ 연구에서 ‘구술 중심의, 구체적 분석 중심의’ 연구로, ‘비구술 중심의, 구체적/실제적 분석 중심의’ 연구로 확장되고 있다. 그에 따라 문학적 민속학, 인류학적 민속학 연구가 쟁점이 되기보다는 구술 텍스트냐, 비구술텍스트냐의 문제, 그에 따른 콘텍스트의 포함 여부와 해석의 문제를 아울러 생각하는 연구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다. 연구자의 위치보다는 연구대상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research examined the history and research perspectives of folklore studies in the United States using the ideas of Rosemary Levy Zumwalt. In the process, recent research trends were also explained, and the ways in which these trends may develop in the future were discussed. Folklore studies in the United States have historically been divided into literary folklore studies and anthropological folklore studies, and recently there has arisen an active movement to join these two perspectives. Research has also expanded from a focus on abstract analysis of oral texts to concrete analysis of oral texts and concrete/practical analysis of non-oral texts. As a result, recent research has focused less on the difference between literary folklore studies and anthropological folklore studies and more on whether the texts are oral or non-oral, as well as whether to examine the context of these texts. It is clear that the focus is more on the subject of the research than the position of the researcher.

      • KCI등재
      • KCI등재

        판소리와 비교구비서사시학(比較口碑敍事詩學) 종교성을 중심으로

        최원오 ( Won Oh Choi ) 판소리학회 2008 판소리연구 Vol.26 No.-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of and position occupied by Korea`s pansori within the domain of world oral narrative poetry. The oral narrative poetry of various peoples around the world, like Korea`s narrative shaman songs (shamanic narrative poems), contain a great number of examples based on religious and mythological language and thinking, and these give birth to new forms of oral narrative poetry either through the creation of new forms based on the old or through the transformation of old forms into new. If works based on religious and mythological language and thinking represents one axis of the domain of oral narrative poetry, then the other axis consists of works based on socially critical and written culture language and thinking. Accordingly, religiosity, or its weakened form of mythological thinking, becomes an important standard when examining the domain or breadth of world oral narrative poetry. If we apply this standard to pansori, it falls somewhere in the middle of the spectrum in terms of position, and it has been permeated by written culture language and thinking in terms of mea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