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작업치료사의 건강보험수가에 대한 인식, 교육요구도, 실천사항의 관계

        최요한 東新大學校 2019 국내석사

        RANK : 1871

        <초 록> 작업치료사들의 건강보험수가에 대한 인식, 교육요구도, 실천사항의 관계 최요한 동신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지도교수 : 오 명 화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들의 건강보험수가에 대한 인식, 교육요구도, 실천사항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광주·전남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작업치료사 256명을 대상으로 2018년 8월 6일부터 9월 17일 까지 건강보험 수가에 대한 인식, 교육요구도, 실천사항에 관한 설문을 자가 기입방식으로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건강보험수가에 대한 작업치료사들의 인식을 알아본 결과 ‘진료비 삭감률에 대해 잘 모르겠다’고 응답한 사람이 75.0%로 대체로 인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요구도는 교육이 ‘필요하다’라고 나타났으며, 작업치료 행위료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가장 높았다. 실천사항은 ‘대체로 못한다’고 나타났으나 ‘경과기록지에 내용을 잘 기록하고 있다’라는 항목은 실천수준이 ‘보통’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요구도와 실천사항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교육요구도와 실천사항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p<.05)를 보였지만, 상관계수가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건강보험수가에 관한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건강보험수가에 대한 인식과 아울러, 건강보험수가 관련 실천사항 수행에 변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opulation pharmacokinetics of a novel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 SD-2007 and it's metabolic conversion to apicidin

        최요한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855

        The aim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quantitatively determine and compare the pharmacokinetics of SD-2007 and its active metabolite, apicidin following i.v. and oral administration of SD-2007, and to develop population pharmacokinetic models to describe the pharmacokinetics of SD-2007 and its active metabolite, apicidin. SD-2007 was injected intravenously at a dose of 4 mg/kg (2 ml/kg) into the femoral vein. SD-2007 exhibited high Cl (141.4 ? 20.0 ml/min/kg) and high Vz (12.2 ? 4.4 l/kg) after i.v. injection in rats. Only a small fraction of SD-2007 was converted to apicidin in the systemic circulation (fm = 8.3%, calculated by non-compartmental methods). The terminal half-life of SD-2007 (1.0 ? 0.4 h) was comparable to that of the metabolically converted apicidin (1.4 ? 0.3 h) and that of apicidin itself (0.8 ? 1.1 h) (Shin et al., 2006). SD-2007 was orally administered (40 mg/kg) in rats.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SD-2007, the peak concentration was achieved relatively quickly (Tmax 0.7 ? 0.6 h). In contrast, the Tmax was delayed for apicidin (2.4 ? 0.8 h), which was prolonged compared with Tmax after i.v. injection of SD-2007.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SD-2007, conversion of SD-2007 to apicidin during gastrointestinal absorption or absorption of pre-systemically converted apicidin was relatively slow. The absolute oral bioavailability of SD-2007 was low (F = 6.3%). For apicidin, however, the apparent bioavailability of apicidin (fm,app) was higher (21.4%) than the absolute bioavailability of SD-2007. The population pharmacokinetic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described all concentration vs. time profiles of apicidin and SD-2007 well and visual predictive checks showed an excellent predictive performance for i.v. and oral administration of the population pharmacokinetic model. In this study, we applied population pharmacokinetic model using the MC-PEM algorithm in S-ADAPT to quantify the rate and extent of absorption and metabolism. To summarize, the proposed population pharmacokinetic model successfully described the pharmacokinetic of SD-2007 and apicidin and captured the time course and extent of different metabolic conversion processes. 본 연구는 SD-2007을 랫트에 정맥 및 경구 투여한 후 SD-2007과 그 활성 대사체인 아피시딘의 약물동태를 규명하고 이를 기반으로 SD-2007 및 아피시딘의 약물동태를 설명할 수 있는 집단 약동학 모델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수행되었다. SD-2007을 4 mg/kg 의 용량으로 랫트에 정맥 투여 하였을 때 SD-2007의 전신 클리어런스는 141.4 ? 20.0 ml/min/kg 그리고 분포용적은 12.2 ? 4.4 l/kg 이었다. 정맥 투여 된 SD-2007은 일부만 전신 순환계에서 아피시딘으로 변환되었다 (fm = 8.3%). SD-2007의 소실속도 반감기 (1.0 ? 0.4 h)는 대사적으로 변환된 아피시딘의 소실속도 반감기와 유사하였다 (1.4 ? 0.3 h). SD-2007을 40 mg/kg 의 용량으로 랫트에 경구투여 하였을 때 SD-2007의 최고혈중농도 도달시간 (Tmax)은 0.7 ? 0.6 h 이었다. 한편, 아피시딘의 최고혈중농도 도달시간은 SD-2007을 정맥 투여 하였을 때 보다 지연되었다 (2.4 ? 0.8 h). 경구로 투여된 SD-2007이 아피시딘 대사체로 전환되는 과정은 느리게 일어났다. SD-2007의 절대생체이용률은 6.3%로 낮은 반면, 아피시딘의 겉보기생체이용률은 21.4%로 상대적으로 증가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집단 약동학 모델을 이용하여 SD-2007을 정맥 및 경구 투여한 후 SD-2007과 아피시딘의 시간-농도 곡선을 예측하였다. 경구 투여된 SD-2007은 체순환 컴파트먼트로 흡수되거나 초회 통과 효과에 의해 아피시딘으로 변환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S-ADAPT의 MC-PEM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흡수 및 대사의 속도와 정도를 규명하였고, 비-컴파트먼트 분석법을 사용하여 얻은 결과와 비교하였다. 요약하면, 본 연구에서 개발된 집단 약동학 모델은 아피시딘과 SD-2007의 체내동태를 설명하고 SD-2007의 흡수 및 아피시딘으로의 대사에 관한 속도와 정도를 규명하는데 적합하였다.

      • 다차원 배낭 문제를 위한 아이템별 셀프 어텐션 기반 강화학습

        최요한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55

        The Knapsack Problem, one of the combinatorial optimization problems, involves objects with individual weights and values and a knapsack with a defined weight limit. The goal is to find a combination of items to place in the knapsack such that the total value of the items inside does not exceed the weight limit and their overall value is maximized. As an NP-hard problem, the Knapsack Problem has no known method for finding the optimal solution within polynomial time. Potential applications of solutions to this problem include logistics and warehouse management, manufacturing and production planning, resource allocation, and scheduling. Recently, attempts have been made to solve the Knapsack Problem using reinforcement learning. However, many proposed approaches are dependent on the number of items in the problem, requiring individual model training for each set of items. This paper proposes a Markov Decision Process and a neural network structure that exploits the scale-invariance of the Knapsack Problem and is independent of the number of items. First, the Knapsack Problem is modeled as a sequential decision-making problem; then, its state is defined in a matrix form rather than a vector. This state is divided into an unordered sequence with elements equal to the number of items and given as input to the Item-wise Self-Attention, which decides which item to select. The neural network model is trained using the Double DQN reinforcement learning algorithm. Experiments are conducted with varying numbers of items and constraints. As a result, the method proposes and tests the performance of an approach applicable to the extended Multi-dimensional Knapsack Problem, independent of the number of items. The method's generalization performance, a key strength, is evaluated to demonstrate its scalability, reusability, and generality. Furthermore, its superior performance compared to other related research methods is shown. 조합 최적화 문제 중 하나인 배낭 문제는 각각 무게와 가치를 가지는 물건들과 정해진 무게 제한이 있는 배낭이 있을 때, 배낭의 무게 제한을 초과하지 않으면서 배낭 안에 있는 물건들의 총 가치가 최대가 되도록 배 낭에 넣을 물건의 조합을 찾는 문제이다. 배낭 문제는 NP-hard 문제로서 다항 시간 내에 최적해를 구하는 방법이 알려지지 않은 문제이다. 이러한 배낭 문제에 대한 해결책은 물류 및 창고 관리, 제조 및 생산 계획, 자원 할당 및 스케줄링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최근 배낭 문제를 강화학습을 통해 해결하려는 시도가 있다. 하지만 여러 연구가 배낭 문제의 물건 개수에 종속적인 방법들을 제안하여 주어진 물건의 개수가 바뀔 때마다 개별적으로 모델을 학습해야 한다는 단점을 가졌다. 본 논문은 배낭 문제가 가지는 규모 불변 특성을 활용하여 물건의 개수 와 무관한 마르코프 결정 과정과 신경망 구조를 제안한다. 우선 배낭 문제를 순차적 의사결정 문제로 모델링한 다음, 배낭 문제의 상태를 벡터가 아닌 행렬 형태로 정의한다. 이 상태를 물건 개수만큼의 요소를 가진 순서가 없는 시퀀스로 분할하여 아이템별 셀프-어텐션에 입력으로 주어 어느 물건을 선택할지 결정한다. 여기에서 신경망 모델을 강화학습 알고리즘인 Double DQN으로 학습하고, 물건의 개수 및 제약 조건의 개수를 바꿔가며 실험을 진행한다. 결과적으로 배낭 문제를 확장한 문제인 다차원 배낭 문제를 물건의 개수와 관련 없이 학습 및 사용 가능한 방법을 제안 하고 실험을 통해 성능을 테스트한다. 추가적으로 제안하는 방법의 강점 인 일반화 성능을 테스트하여 해당 방법이 확장성, 재사용성, 일반성을 가지는 것을 보인다. 그리고 관련 연구의 방법보다 성능이 우수한 것을 보인다.

      • 정규근로자와 비정규근로자 간의 빈곤격차에 대한 연구

        최요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1855

        본 박사학위논문은 정규근로자와 비정규근로자 간에 고용계약형태의 차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빈곤위험의 차이와 관련된 주제들을 탐색하였다. 노동시장의 양극화 경향, 비정규고용의 만연, 그리고 노동시장유연성과 관련된 정책적 논의들은 정규계약과 비정규계약이 개인과 가구의 경제적 웰빙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인지에 대한 명료한 이해를 요구한다. 이에 본 연구는 관련된 주제들을 탐색함으로써 이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정규-비정규(정규근로자와 비정규근로자 간에 고용계약형태의 차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빈곤격차, 정규-비정규 빈곤격차의 기혼여성과 기혼남성 간의 차이, 정규-비정규 빈곤격차의 지속성의 세 제목의 주제들을 탐색하였다. 각 주제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제에서는 정규-비정규 빈곤격차에 대한 두 개의 세부주제를 탐색하였다. 먼저, 정규근로자와 비정규근로자 간에 고용계약형태의 차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빈곤위험의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탐색하였다. 비정규계약은 정규계약에 비하여 낮은 임금수준과 높은 실업위험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인적자본, 능력, 동기 등이 동일하다고 하더라도 비정규근로자는 정규근로자에 비해 높은 빈곤위험을 경험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정규-비정규 빈곤격차가 정규계약과 비정규계약 간의 시간당임금, 주당근로시간, 근로월수의 차이 중 어떠한 요인에 의해서 주로 발생하는지를 탐색하였다. 이에 대한 탐색은 정규-비정규 빈곤격차가 발생하는 기제를 이해하는데 기여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일반적으로 1년 단위로 측정되는 빈곤지위에 대응하는 연간근로소득이 시간당임금, 주당근로시간, 근로월수로 의하여 포착된다고 가정함으로써 이를 탐색하였다. 이는 각 요인들에 의하여 설명되지 않는 정규-비정규 빈곤격차의 잔여부분에 대한 모호함을 최대한 감소시킴으로써, 각 요인들의 영향을 보다 정확히 포착하는데 기여한다. 둘째 주제에서는 정규-비정규 빈곤격차의 기혼여성과 기혼남성 간의 차이를 탐색하였다. 주로 가구의 이차소득자로 기능하는 기혼여성의 비정규고용에의 참여는 주로 가구의 일차소득자인 기혼남성의 비정규고용에의 참여에 비하여 가구의 빈곤위험의 완화에 보다 효과적일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탐색은 가구의 이차소득자들의 잔여적인 노동시장참여의 촉진을 통하여 빈곤문제에 대응하고자 하는 정책입안자들에게 중요한 함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의 탐색을 위하여, 본 연구는 정규-비정규 빈곤격차의 기혼여성과 기혼남성 간의 차이가, (a) 기혼여성이 주로 가구의 이차소득자이고 기혼남성이 주로 가구의 일차소득자이기 때문에, 그리고 (b) 기혼여성과 기혼남성 간에 정규-비정규 근로소득격차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혼여성과 기혼남성의 정규-비정규 연간근로소득격차와 정규-비정규 빈곤격차를 모두 추정하고 이를 비교함으로써, 특히 기혼여성이 주로 이차소득자이기 때문에 정규-비정규 빈곤격차가 더 작을 수 있는 경향이 존재하는지를 탐색하였다. 셋째 주제에서는 정규계약과 비정규계약 간에 발생하는 현재의 빈곤격차가 가까운 미래에도 지속되는지를 탐색하였다. 정규계약과 비정규계약 간의 현재의 빈곤격차가 분명히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이것이 정규계약과 비정규계약 간의 빈곤격차가 지속성을 가짐을 함의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위 주제에 대한 탐색만으로는, 정규계약과 비정규계약 간에 발생하는 경제적 웰빙의 차이에 대한 통합적인 이해를 가지는 것은 어렵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정규-비정규 빈곤격차의 지속성을 탐색함으로써 정규-비정규 빈곤격차에 대한 통합적인 이해를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한편으로는 정규계약과 비정규계약 간에 존재하는 인적자본축적의 차이와 실업위험의 차이로 인하여 정규계약과 비정규계약 간의 빈곤격차는 강한 지속성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비정규계약이 정규계약이나 더 나은 일자리로 이행하는 징검다리로 기능할 수 있고, 정규계약 또한 현실의 노동시장에서는 노동시장참여수준을 반드시 지속시키거나 개선시키지 않을 수 있으므로, 정규계약과 비정규계약 간에 발생하는 빈곤격차는 일시적일 가능성 또한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는 정규계약과 비정규계약 간의 현재와 가까운 미래의 빈곤격차를 모두 추정하고 이를 비교함으로써, 본 연구의 마지막 주제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실증연구의 분석대상으로서, 본 연구의 정책적 관심의 주 대상인 우리나라(한국)를 선택하였다. 분석자료로는 장기간의 패널자료를 포함하는 한국노동패널을 선택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개인의 미관측 이질성을 통제하는 고정효과접근을 사용하였다. 가구의 빈곤지위는 균등화중위가구소득의 60%를 빈곤선으로 사용하여 구분하였으며, 또한 비정규계약 내의 이질성의 고려를 위하여 비정규계약을 1년 이상 비정규계약, 1년 미만 비정규계약, 일용계약의 세 배타적 범주들로 구분하여 추가적인 탐색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발견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정규계약은 정규계약에 비하여 빈곤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정규계약의 빈곤위험은 정규계약보다 6.2%p 높게 나타났으며, 연간근로소득은 15.2% 낮게 나타났다. 또한 비정규계약 내의 이질성이 크게 나타났다. 1년 이상 비정규계약의 빈곤위험은 정규계약보다 2.9%p 높았고 연간근로소득은 6.4% 낮았으며, 1년 미만 비정규계약의 빈곤위험은 정규계약보다 8.3%p 높았고 연간근로소득은 22.0% 낮았으며, 일용계약의 빈곤위험은 정규계약보다 7.5%p 높았고 연간근로소득은 23.9% 낮았다. 둘째, 비정규계약의 빈곤위험은 정규계약에 비하여 높게 나타나기는 하였으나, 실업과 미취업은 물론 비임금근로의 빈곤위험보다도 크게 낮았다. 먼저, 실업과 미취업의 빈곤위험은 정규계약보다 각각 41.1%p, 37.1%p 높았으며, 비임금근로의 빈곤위험은 정규계약보다 13.6%p 높았다. 따라서 비정규계약은 정규계약에 비하여 높은 빈곤위험을 초래하기는 하지만, 다른 경제활동상태들과 비교하여서는 빈곤위험을 완화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규-비정규 빈곤격차가 시간당임금, 주당근로시간, 근로월수 중 어떠한 요인에 의해서 주로 설명되는지를 살펴본 결과, 여성의 경우에는 정규-비정규 빈곤격차가 시간당임금과 주당근로시간에 의해서 주로 발생하며, 남성의 경우에는 시간당임금에 의해서 주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월수의 영향은 다른 요인들에 비하여 작았다. 이러한 성별 간의 차이는 여성에게서 정규계약과 비정규계약 간의 주당근로시간의 차이가 남성보다 훨씬 뚜렷한 반면, 시간당임금의 격차는 여성보다 남성에게서 더 뚜렷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주당근로시간이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더 뚜렷하게 나타난 원인은, 여성의 근로동기가 남성보다 가구의 소득상황에 더 의존적일 수 있고, 또한 여성의 근로동기가 정규계약과 비정규계약의 참여여부와 연관되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정규-비정규 시간당임금의 차이가 여성보다 남성에게서 더 뚜렷하게 나타난 이유는 주로 잔여적인 업무를 담당하는 비정규계약보다 주로 핵심적인 업무를 담당하는 정규계약에서 성별임금격차가 더 크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넷째, 기혼여성의 비정규고용에의 참여가 기혼여성이 주로 가구의 이차소득자이기 때문에 가구의 빈곤위험을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는 경향에 대한 증거는 매우 부분적으로만 발견되었다. 1년 이상 비정규계약의 경우에만, 정규-비정규 연간근로소득격차가 기혼여성 145만원, 기혼남성 116만원으로 기혼여성이 더 컸음에도 불구하고, 정규-비정규 빈곤격차는 기혼여성 1.9%p, 기혼남성 4.1%p로 기혼여성이 더 작게 나타났다. 따라서 기혼여성이 주로 가구의 이차소득자이기 때문에, 정규-비정규 빈곤격차가 기혼남성보다 기혼여성에게서 더 작을 수 있는 경향이 발견되었다. 다만, 1년 미만 비정규계약과 일용계약에서는 이러한 경향이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따라서 종합적으로는 기혼여성의 비정규고용에의 참여가 기혼여성이 주로 가구의 이차소득자이기 때문에 가구의 빈곤위험을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는 일관된 증거를 발견하지는 못하였다. 한편 이는 비정규고용에 참여하는 기혼여성의 근로소득의 절대적인 수준이 매우 낮은 것에 일부 기인한 것일 수 있다. 다섯째, 정규-비정규 빈곤격차의 지속성은 개인의 미관측 요인을 통제하였을 때에는 상당히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개인의 미관측 요인을 통제하는 경우에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동시장의 이중화를 발생시키는 요인이 정규계약과 비정규계약 간의 고용계약형태의 차이가 아닐 수 있음을 함의한다. 여섯째, 남성의 정규계약과 비임금근로 간의 빈곤격차는 정규-비정규 빈곤격차와는 달리 2년 후에도 지속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비임금근로의 빈곤위험은 비정규계약보다도 상당히 높았다. 이는 우리나라의 많은 자영업자들이 높은 빈곤위험에도 불구하고 자영업에 투입된 고정비용 등으로 인하여 다른 경제활동상태로 쉽게 이행하지 못하고 장기적으로도 빈곤의 덫에 빠질 수 있음을 함의한다는 측면에서, 본 연구의 중요한 결과 중 하나로서 주목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의 결론에서는 이러한 발견들에 기초한 함의들과 연구의 한계에 대하여 논하였다. The dissertation explores several topics concerning the poverty gap between temporary and permanent contracts. A clear understanding of whether temporary and permanent contracts are important determining factors of economic well-being of individuals and households is required with the tendency of labor market polarization, the prevalence of temporary employment, and the policy discussions associated with labor market flexibility. So, this study tries to contribute prior understanding by investigating three topics. They are summarized by the following titles: the temporary-permanent poverty gap, the difference in the temporary-permanent poverty gap between married women and married men, and the persistence of the temporary-permanent poverty gap. The details of each topic are as follows. In the first topic, I explore two detailed issues for the temporary-permanent poverty gap. First, I examine whether there exists the difference in poverty which is caused by the difference in contract types between temporary and permanent workers. Since temporary contracts could experience a wage penalty and higher unemployment risk than permanent contracts, temporary workers may experience a higher poverty risk than permanent workers even when they have same characteristics such as human capital, ability, motivation, and so on. Next, I examine what factors among hourly wage, weekly working hours and working months mainly generate the temporary-permanent poverty gap. Examining this issue may contribute to understand the generating mechanism of the temporary-permanent poverty gap. For this, I investigate this issue using the assumption that yearly earnings are captured by hourly wage, weekly working hours and working months. Since this approach substantially reduces the ambiguity about the residual portions of the temporary-permanent poverty gap which is not explained by three factors, it may contributes to capture the effects of each factor more exactly. In the second topic, I examine the difference in the temporary-permanent poverty gap between married women and married men. Because the labor market participation through temporary employment among married women who are mainly secondary earners may be more effective to reduce household poverty risk than that among married men, the investigation of this topic can provide important policy implications for policy makers who want to reduce poverty rates by increasing residual participation on the labor market participation among secondary earners. To examine this issue, I assume that the difference in the temporary-permanent poverty gap between married women and married men is generated due to (a) that married women are mainly secondary earners and married men are mainly primary earners as well as (b) that the temporary-permanent earnings gap can be different between married women and married men. So, through estimating both the temporary-permanent yearly earnings gap and the poverty gap among married women and married men, respectively, and comparing these gaps between them, I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 tendency that the temporary-permanent poverty gap is lower among married women than married men especially because married women are mainly secondary earners. And in the third topic, I examine whether the temporary-permanent poverty gap in present is persistent in near future. Even if the temporary-permanent poverty gap in present clearly exists, it does not necessarily imply that the temporary-permanent poverty gap is persistent. So, just by investigating the above topics, it is difficult to hav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difference in economic well-being between temporary and permanent contracts.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enhanc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temporary-permanent poverty gap by examining the persistence of the temporary-permanent poverty gap. In one hand, the temporary-permanent poverty gap may be highly persistent due to the difference in human capital accumulation and unemployment risk between temporary and permanent contracts. But in the other hand, because temporary contracts can be functioning as a stepping-stone to permanent contracts or better jobs and temporary contracts could not necessarily maintain or improve the level of labor market participation in a real labor market, it is also possibile that the temporary-permanent poverty gap is temporary. So, this study investigates the last topic through estimating and comparing both the temporary-permanent poverty gaps in present and near future. As data source, I use the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which is a representative annual panel survey in South Korea. And I use a fixed-effects approach to control for individual unobserved heterogeneity. The 60 percent of median equivalised household income is used as the poverty line and the additional analyses are carried out by classifying temporary contracts into temporary contracts of one year or more, temporary contracts of less than one year, and casual contracts to consider the internal heterogeneity of temporary contracts. The main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emporary contracts appear to increase poverty risk compared to permanent contracts. Temporary contracts have 6.2 percent point higher poverty risk and 15.2 percent lower yearly earnings than permanent contracts. And the internal heterogeneity among temporary contracts exist. Temporary contracts of one year or more have 2.9 percent point higher poverty risk and 6.4 percent lower yearly earnings than permanent contracts. Temporary contracts of less than one year have 8.3 percent point higher poverty risk and 22.0 percent lower yearly earnings than permanent contracts. And casual contracts have 7.5 percent point higher poverty risk and 23.9 percent lower yearly earnings than permanent contracts. Second, although temporary contracts have higher poverty risk than permanent contracts, they have much lower poverty risk than non-wage employment as well as unemployment and out of labor force. Compared to permanent contracts, unemployment and out of labor force have 41.1 percent point and 37.1 percent point higher poverty risk respectively, and non-wage employment has 1364 percent point higher poverty risk. So, I find that temporary contracts incur higher poverty risk than permanent contracts but they are poverty-reducing factors compared to other economic status. Third, upon examination of what are major causes of the temporary-permanent poverty gap among hourly wage, weekly working hours and working months, I find that the temporary-permanent poverty gap is explained largely by hourly wage and weekly working hours among women and is largely by hourly wage among married men. The effect of working months appears to be slight. This difference between women and men seems to be due to that while the temporary-permanent weekly hours gap is more clear among women than men, the temporary-permanent hourly wage gap appears more clear among men than women. The reason of the former is that the willingness to work of women may rely more heavily on household income than men and could be correlated with contract types. And the reason of the latter is that the gender wage gap may be bigger among permanent contracts which mainly takes central tasks of firms than among temporary contracts which mainly takes residual tasks of firms. Fourth, the evidence that the labor market participation through temporary employment among married women may reduce poverty risk effectively because married women are mainly secondary earners is found very little. Only in the case of temporary contracts of one year or more, although the temporary-permanent yearly earnings gap is bigger among married women (1,450,000 won) than married men (1,160,000 won), the temporary-permanent poverty gap is smaller among married women (1.9%p) than married men (4.1%p). So, the tendency that the temporary-permanent poverty gap is lower in married women than in married men because married women are mainly secondary earners. However, I cannot ever find this tendency for temporary contracts of less than one year and casual contracts. Therefore, conclusively, I find no evidence that the labor market participation through temporary employment among women can effectively reduce poverty risk because they are secondary earners. It may be partly due to that the absolute level of earnings among married women is very low. Fifth, whereas the persistence of the temporary-permanent poverty gap exists substantially when not controlling for individual unobserved factors, it barely exists when controlling for these factors. It implies that the factor causing the dualization of labor market may not be the difference in contract types between temporary and permanent contracts. Sixth, differently with the temporary-permanent poverty gap, the poverty gap between permanent contracts and non-employment appears to be persistent after two years. Also, the poverty risk of non-employment is much higher than temporary contracts. In the respect that this could imply that the self-employed could not easily translate into other economic status maybe due to the high fixed cost of self-employment and then they could fall in the poverty trap in long-term, this finding needs to be paid attention as one of important results of this study. In the conclusion, I discus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based on the above findings.

      • 벌교만에서 점착성토사의 3차원 지형변화 수치실험

        최요한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1855

        To predict changes in the marine environment of the Beolgyo Bay, Jeonnam Province, where cohesive tidal flats cover a broad area with Beolgyo Stream, this study conducted 3-D numerical simulations with EFDC Model involving tidal flow and cohesive sediment transport. Furthermore, various field observations, including of tide, tidal flow,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s, bottom sediments, and water depth,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model and obtain input data for it. In particular, geologic parameters related to the evaluation of settling velocity and critical shear stresses for erosion and deposition were observed, and numerical tests for the representation of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proper values for the empirical coefficients in the sediment transport module. According to the simulation results, the tidal flow was particularly prominent in the tidal channel. Therefore erosion occurred mainly along the tidal channels. In contrast, in the weak flow area, deposition and moderated erosion were predicted. In coastal waters, changes in the flow environment can produce changes in the sedimentary environment, which in turn can affect the local marine ecosystem. The numerical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will enable systematic prediction of changes to flow and sedimentary environments. 점착성의 간석지가 넓게 존재하는 벌교 천 하 구역에서 조석, 조류 및 점착성 퇴적물이동에 관하여 EFDC 모형을 이용한 3차원 수치실험을 수행하여, 이들의 해양환경변화를 예측하였다. 이를 위하여, 퇴적물이동모듈에서 침강속도와 한계전단응력의 산정과 관련한 각종 지질 량을 획득하기 위한 현장조사를 수행하였고, 침식퇴적공식에 관한 경험적 상수의 적정 값을 얻기 위하여 부유 사 농도의 수치적 재현 정도를 시행착오 법으로 검토하였다. 이들 검증결과를 토대로 벌교 천의 유량 및 유사 량이 고려된 이 해역의 년간 지형변화를 기술하였다. 실험결과, 수로에서 강한 유속의 영향으로 침식이 가속되며, 상대적으로 유속이 느려진 영역에서 퇴적되는 결과를 보였다. 연안에서 유동환경의 변화는 퇴적환경의 변화를 초래하고, 이는 해양생태계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치모형을 사용하여 유동과 퇴적환경의 변화의 체계적인 예측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 팀원-팀장간 조직가치 부합이 팀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최요한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팀원-팀장간 조직가치 부합이 팀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전국 473개의 기업에 재직 중인 10,019명(팀장 3,143명, 팀원 6,876명)의 근로자로 평균 나이는 33.61세였다. 연구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주관으로 수행된 인적자본 기업패널(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중 3차(2009)년도 조사의 데이터를 활용한 것으로, 자기보고식 검사지를 통한 방문 면접조사로 수행되었다. 분석에 사용한 통계분석은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의 인구학적 배경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연구에서 사용된 변인들의 일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신뢰도 분석을 사용하여 Cronbach's Alpha 값을 확인하였다.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대한 관련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팀원과 팀장들이 조직의 ‘인재 우대’, ‘커뮤니케이션과 신뢰 관계’, ‘혁신적 기업문화’,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대해 갖는 태도의 평균은 중간 이상으로 비교적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팀원과 팀장의 조직가치 중 ‘인재 우대’와 ‘커뮤니케이션과 신뢰 관계’가 부합할수록 팀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은 높았다. 셋째, 팀원의 근속년수, 월소득, 성별, 금융업 소속 여부, 조직 가치 중 ‘인재우대’와 ‘커뮤니케이션과 신뢰 관계’ 부합은 팀원의 직무만족의 변량 중 7.0%를, 조직몰입의 변량 중 11.8%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팀원과 팀장의 조직가치 중 ‘인재 우대’에 대해 부합할수록, ‘커뮤니케이션과 신뢰 관계’에 대해 부합할수록 팀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은 높았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eam member'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onal commitment and how it was affected by value fitness of team member and team leader. For this study, HCCP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data were used. Data from 10,019 workers(3,143 team leaders, 6,876 team members) in South Korea were selected. They responded to questionnaires on organizational valu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On the average, team members and team leaders perceived their organization's 'giving preference to talented people', 'communication and confidence', 'innovative company cultur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cceptive. The mean of their scores was above the mid poin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demonstrated that team member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affected in order of by value fitness of 'giving preference to talented people' and 'communication and confidence' of team member and team leader. The regression equation explained 7.0% of variable of job satisfaction and 11.8% of variabl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 다양한 Bleed 조건이 초음속 흡입구 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수치적 연구

        최요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55

        본 논문에서는 유동 제어장치중의 하나인 Bleed 유동 제어장치가 초음속 비행체 엔진 흡입구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된 수치적인 연구에 대해 다루고 있다. 수치해석을 통해 Bleed 유동 제어장치를 직접적으로 모사하기에는 너무나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경계조건의 형태로 Slater가 2009년에 모사하였던 모델을 사용하였다[3]. 채택된 경계조건 모델과 해석에 사용한 해석자가 타당한지를 입증하기 위해 검증 문제를 해석하였다. 검증된 Bleed 경계조건을 Nagashima가 1972년에 실험하였던[5] 초음속 흡입구(Supersonic inlet) 형상에 적용하여 흡입구 성능이 향상됨을 확인하였으며, Center body와 Inner cowl 두 곳에서의 Bleed 유동 제어장치에 대해 초음속 흡입구가 최적의 성능을 갖도록 하는 Bleed 조건을 찾아내기 위해 Kriging-EI 기법과 GA 기법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유동의 박리(Flow separation)의 영향이 가장 작을 경우 종단충격파가 흡입구 내부에서 가장 면적이 좁은 목(Throat) 부근에 위치할 때 흡입구의 성능이 최대가 됨을 확인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나온 여러 경우에 대한 물리적인 해석을 통해 최적의 성능을 갖게 되는 경우의 원인과 물리적인 특성을 분석하였다.

      • 기독교 청년들의 우울증과 기독교 신앙과의 상관관계 연구

        최요한 총신대학교 목회신학전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기독 청년들의 우울증에 대한 이론적 근거와 조사를 바탕으로 기독 청년들에게 나타나는 우울증의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극복하는데 기독교 신앙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그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우울증으로 고통 중에 있는 이들을 돌봄에 있어서 인간을 총체적 상황에서 고려하여 청년들의 우울을 해결하는데 있어서 교회가 그들에게 무엇을 제공해야 하는 것인지 제언한다. 더 나아가서 우울증 이외의 다양한 이상심리나 정신질환으로 고통 받는 현대의 많은 사람들에게 목회자들이 준비해야할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는 우울증에 대한 이해, 우울증의 원인에 관한 이론, 기독교 청년들의 일상생활 우울증에 대하여 문헌연구를 하였다. 선행된 문헌연구를 기초로 하여 설문지를 통해 본 논문의 실제적 연구를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로는 자료 분석에서 보았듯이 기독교 청년들의 우울증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신앙생활과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일들이다. 이를 극복하기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대응이 필요하다. 먼저 성경공부와 기도를 통해 그들의 영성의 깊이를 더해가야 하며, 청년회원들과의 교제를 통해서 주님의 사랑 안에서 하나 되어 그들의 아픔을 서로 돌아보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wishes to analyze theoretical basis and cause of the melancholia that appear to Christian young mans with investigation about melancholia of Christian young adult and the interrelation how Christian belief acts overcomes this. So, premise these who is among torment vaporously whether it is that to solve gloom of young mans considering mortality in general circumstance in attention church must offer something to them. Care of soul persons wish to supply basic data to prepare to modern many people suffering of various abnormal mentality or mental disease except the melancholia furthermore. I made a literature study about comprehension about the melancholia, doctrine about cause of the melancholia, everyday life melancholia of Christian young adult by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and I made a practical study of paper seeing based on preceded literature study through questionnaire. By sequence of this study in everyday life than in data analysis as factor that exert melancholia effect of Christian young adult religious life and occurred works be. Need following confrontation serving to overcome this. First, need turn around each other their pain because is united in Lord's love with young adult through social intercourse as must add depth of their divine nature through Bible study and pray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