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80-2010년대 원주시 사회복지 전개에 비친 송정부 활동의 함의: 사회체계이론 관점 중심으로

        최옥채(Choi, Okchai)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21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 No.78

        이 연구의 목적은 1980-2010년대 원주시 사회복지의 전개와 송정부의 활동을 살피고, 나아가 이 둘을 서로 견주어 송정부의 활동이 품는 의미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당시 원주시 사회복지의 전개와 송정부의 활동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이 두 자료를 결합,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원주시 사회복지 전개는 ‘사회개혁운동에 의한 사회복지의 분위기 전환과 촉구’, ‘도시 변신을 꾀하며 사회복지의 전달체계 확립과 기반 마련’, ‘시민조직의 연대와 사회복지 확장 촉진’, ‘중앙정부 지원에 힘입은 사회복지 통합화’, ‘지방정부들 간 경쟁속에 복지사각지대 예의주시’, ‘신구 조화를 추구하며 사회복지의 연계확대’로 나타났고, 송정부의 활동은 ‘학교와 민간 사회복지 현장에서 선도적 자리매김’, ‘연구, 교육, 봉사간 균형을 이룸’, ‘일본 성향이 짙은 저술과 번역’, ‘강원도와 전국에 뻗친 사회복지활동’으로 나타났다. 여기에서 송정부 활동의 함의는 ‘학교업무와 민관 사회복지 현장에 협력하며 인정받음’, ‘깊이 파고들지 못한 연구가 원주에 집중케 함’, ‘가정에 소홀함으로 시중의 조촐한 명성을 얻음’, ‘도움을 주고받으며 사회복지활동의 실핏줄이 됨’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지방 사회복지와 개인 활동에 관하여 논의,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search the development of social welfare in Wonju-City and Song Jungboo’s activities between 1980s and 2010s, and to exam the implications of Professor Song’s social work activities in the light of social welfare in Wonju-City. For the study, data on social welfare in Wonju-City and Professor Song’s activities has been collected, also combined and analyzed. The development of social welfare in Wonju-City is appeared as follows: changed and demanded atmosphere of social welfare by the social reform movement, preparing the base for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solidarity of citizen’s organizations and expansion of social welfare, consolidation of social welfare influenced by the central government, attention to blind spot of social welfare, and expansion of liaison in social welfare. Additionally, Professor Song’s activities are revealed as follows: pacesetting positioning, valance with study and education and serve, thick Japanism in books and translation, and social welfare activities throughout Gangwon-Province as well as Korea. Moreover, implications of Professor Song’s activities are resulted as follows: achievement of recognition by cooperation with workplace and social welfare agencies, concentration on Wonju-City by superficial study, cozy reputation instead of negligence of families, and being the small veins of social welfare by give and take helps. In addition, 5 topics including local social welfare and individual activities are discussed.

      • 저출산 시기 다자녀 부모의 결혼과 출산 경험

        최옥채 ( Choi Okchai ) 초록우산 어린이재단(구 한국복지재단) 2019 동광 Vol.114 No.-

        이 연구의 목적은 다자녀를 둔 부모의 결혼과 출산에 관한 경험을 바르게 이해하여 알리는 것이다. 다자녀 부모의 삶을 제대로 알아야 부모들은 물론 결혼과 출산을 앞둔 당사자들을 위해 합당한 개입이나 정책적 방안을 제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의도는 결혼과 출산에 직접 관련하는 당사자들에게 정부입장에서 출산을 장려하기보다는 이미 결혼하여 다자녀를 둔 부모의 삶에 초점을 맞추어 소개하는 것이 한층 더 유익하다고 생각해서이다. 이 연구는 질적연구로서 “다자녀 부모의 결혼과 출산 경험은 어떠한가?”를 연구문제 삼아 9쌍의 다자녀 부모에게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여기에서 얻은 자료를 바탕으로 결혼과 출산 경험에서 총 462개 개념을 생성하였고, 이 개념을 범주화하여 101개 하위범주와 16개 범주를 만들어내어 해석하였다. 아울러 결혼과 출산 각각의 7개와 9개 범주를 도해하여 각기 7개와 8개 맥락을 찾아 분석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다자녀 부모의 결혼·출산 경험과 관련하여, 다자녀 부모의 결혼이 이후 출산에 적지 않게 영향을 미친 점, 다자녀 부모의 출산에서 남편보다 부인이 더 많이 수고한 점, 다자녀 부모의 결혼과 출산 과정에서 사회복지실천의 개입 방안, 다자녀 부모의 결혼과 출산을 위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차원의 관련 정책 따위를 논의하였다. 아울러 다자녀 부모의 결혼과 출산에 관한 경험에 이어 이 부모들의 양육 경험을 살펴보는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marriage and childbirth experience of multi children’s parents. This purpose has been based on the life’s knowledge of parents of multi-child for resonable interventions and policies. This study has been planned to focus on the life of parents of multi-child rather than on the policy to facilitate childbirth. This qualitative study was designed by a research problem, such as what is the marriage and childbirth experience of multi children’s parents? As research participants, 9 parents of multi-child were interviewed deeply.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as follows: 462 concepts were created from source data, 101 subcategories were extracted from 462 concepts, finally 16 categories from 101 subcategories were interpreted. In addition, 7 and 9 categories, respectively, in the marriage and birth were illustrated by meaningful diagrams. Also, these categories resulted in 7 and 8 contexts. Finally,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some discussions as follows: the marriage experience of parents of multi-child influence in their experience of birth, wife’ s more painful efforts more than husband’ s efforts in the birth of multi-child, interventions based on social work for the marriage and birth of parents of multi-child, and policies to promote childbirth by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dditionally, a follow-up study is suggested to examine the caring experiences of the parents of multi-child.

      • 바우처사업 시행에서 드러난 문제점

        최옥채(Choi Okchai)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08 비판사회정책 Vol.- No.25

        보건복지부가 시행하는 바우처사업 현장에서 여러 문제점들이 불거지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바우처사업의 문제점을 한층 근원적으로 해결하는 데 필요한 자료를 찾아 제공하는 것이다. 즉 단발적이거나 얕은 수준의 조사와 연구를 지양하고 한결 깊고 치밀하게 연구하여 시초적인 바우처사업의 정확한 길을 안내하는 데 있다. 자료 수집을 위해 지역에서 사회서비스 담당 공무원을 비롯하여 기관의 실무자, 서비스 제공자 및 이용자를 3-5명으로 구성하여 ‘바우처사업 시행에서 드러난 문제점’이라는 주제로 표적집단심층 좌담을 실시하였다. 아울러 실무자와 이용자를 개별적으로 전화로 면접하였고, 한국장애인복지학회의 월례세미나에 참석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해석학적 관점을 바탕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지방별로, 기관별로, 사업별로 사업성과가 달라 일괄적으로 바우처사업을 단정하여 평할 수 없는 상황을 고려하여 즉각 고쳐야 할 일, 견디며 고쳐야 할 일, 견뎌야 할 일로 나누어 바우처사업의 발전을 위해 제언하였다. Many problems are emerged from the Voucher Schemes which have been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is study aims to provide proper proposals to solve those problems originally and effectively. This study, that is, is designed to guide the desirable ways for the Voucher Schemes not by single-shot and superficial research but by elaborate and deep examination. The data is mainly collected through Focus Group Discussions composed by 3-5 public servants, service providers, and customers. The Focus Group Discussions have been completed with the following theme: what are the problems emerged from the Voucher Schemes? Additionally, the data is gathered from individual interviews and a seminar held by Korea Academy of Disability and Welfare. The collected data has been analyzed by Hermeneutics Approach based on the Denzin's model. Although the Voucher Schemes can not be firmly evaluated because of different agencies and localities, the following three-leveled improvements and works are resulted to renovate the Voucher Schemes; 1) improvements which must be worked out immediately, 2) improvements which have to be worked out with endurance, and 3) works which could be sustained.

      • KCI등재

        한국 사회복지제도 형성과 전개의 특성

        최옥채(Choi, Okchai),정하나(Jung, Ha-Na)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2 社會科學硏究 Vol.28 No.3

        이 연구의 목적은 공공부조제도의 대표라고 할 수 있는「생활보호법」을 체계이론 관점에서 분석하여 한국 사회복지제도의 형성과 전개 과정의 특성을 파악하는 데 있다. “「생활보호법」은 형성과 전개과정에서 어떤 특성을 지니는가?” 라는 연구문제를 기반으로 진행하였고, 결과의 함의를 논의함과 동시에 논의 내용에 따라 제언하고, 연구의 한계를 밝혔다. 첫째,「생활보호법」이 일제와 미군정의 영향을 받았다는 점에 근거하여 한국 사회복지제도는 정치사회적으로 어려운 시기에 형성되었고, 특히 초기에는 정부가 국민을 달래기 위한 수단으로 시행되었음을 추측할 수 있다. 둘째,「생활보호법」제정 및 개정에 관료가 무분별하게 개입한 점에 근거하여 한국 사회복지제도는 관료의 개입에 의해 형성 및 전개되었음을 유추할 수 있다. 따라서 사회복지제도의 원활한 운용과 법제도가 품는 사회복지 가치가 충분히 발휘되기 위해서는 합당한 수의 전문 인력을 배치해야 한다. 셋째,「생활보호법」이 민간의 협력을 비롯해 시민세력의 영향을 받아 발전해왔음을 고려할 때 한국사회복지제도는 시민세력에 의해 발전해왔다고 추측할 수 있다. 따라서 사회복지제도의 제정 및 개정에 시민단체가 더욱 활발히 개입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생활보호법」은 이 법을 제정한 박정희 정부 이후 전두환 정부를 포함한 네 정부의 혼란한 상황을 거쳐 발전해 나아가면서 사회복지문화를 형성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앞으로 한국 사회복지문화를 더욱 상세히 규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다섯째, 이 연구는「생활보호법」에 한정함으로써 한국 사회복지제도의 형성 및 전개 과정에 드러나는 특성을 온전히 파악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생활보호법」외에도 사회복지서비스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formational and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social welfare system based on the Livelihood Protection Law and the perspective of system theory. Accordingly, this study has been produced with a theme, “What characteristics have been revealed as the Korean social welfare system has been formatted and developed?” The results are introduced by the implicative of discussions and suggestions including the insufficiency of this as follows. Firstly, it can be supposed that the Korean social welfare system was formatted during the period of difficult political and social environment. Specifically, the Korean system could be formatted to pacify a people in the beginning of the system. Secondly, it can be supposed that the Korean social welfare system was formatted by the intervention of the bureaucrat. For this reason, values and proper professional manpower of the system should be guaranteed for harmonious application of the social welfare system. Thirdly, it can be supposed that the social welfare system could be developed by citizens’ power. Therefore, mor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grope schemes promoting the citizen’s participation into social welfare system’s establishment and revision. Fourthly, the Livelihood Protection Law has built up the social welfare culture through the four governments. Forwardly, more studies should be coped to concrete the social welfare culture in Korea. Finally, this study is insufficient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social welfare system wholly because this study focused on the Livelihood Protection Law only. Consequently, various social welfare service laws should be studied beyond the Livelihood Protection Law for understanding the Korean social welfare system soundly.

      • 『동광』에 비친 1980-2010년대 한국 아동복지의 전개-사회사 관점 중심으로-

        최옥채 ( Choi Okchai ) 초록우산 어린이재단(구 한국복지재단) 2018 동광 Vol.113 No.-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사회복지학계의 소중한 사료인 아동복지 전문지 『동광』을 자료삼아 1980-2010년대에 전개된 한국의 아동복지를 사회사 관점에서 파악하는 것이다. 『동광』에 실린 논단과 논문을 시기와 사회복지의 대상에 따라 분석하고, 나아가 사회복지의 사업(서비스, 프로그램)에 중점을 두어 자료의 범주화로부터 주제를 이끌어내어 해석했다. 시기는 1980년부터 1982년, 1987년, 1993년, 2011년으로 나뉘어 각기 시점을 이루며 아동의 보육, 아동의 국내외 결연사업, 아동학대, 사회복지기관 운영의 심화, 아동의 기본권에 중점을 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은 아동, 청소년, 장애인, 아동의 부모, 노인, 사회복지기관으로 드러나 각기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한편 이 연구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사회복지의 사업(서비스, 프로그램)에 따른 범주화에서 이끌어낸 주제는 아동복지와 청소년을 위한 대책과 방안, 아동의 권리와 보호와 교육, 아동학대와 부모를 위한 이해와 방안, 장애아동과 장애인 재활, 프로그램과 기술의 개발과 적용, 사회복지관과 지역사회복지, 자원개발의 이해와 사회복지기관 운영 7가지였고, 이 주제로부터 각기 하위주제를 만들어 해석하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에 따라 논의하였고, 특별히 『동광』의 발전 방향으로 다른 학술지처럼 등급을 인정받기보다는 지금의 운영체제를 유지하고, 논문을 한층 더 엄격하게 심사하여 싣고, 『동광』의 강점이라고 할 수 있는 시의성과 지역성을 한결 도사려 나아갈 것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the development of Korean child welfare between 1980s and 2010s in the light of Children’s Light as the oldest professional journal of social welfare in Korea. To do so, all articles printed in Children’s Light are analyzed by periods and social welfare clients, furthermore themes extracted from the source material are interpreted by social welfare services or programs. The periods are divided into five parts from 1980(child care), from 1982(internal and external sponsorship program for children), from 1987(child abuse), from 1993(running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and from 2011(fundamental rights of children). Also, the clients are found out as follows; children, juveniles, handicapped person, children’s parents, the aged, and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Meanwhile, seven themes categorized by services or programs are revealed as follows; measures and schemes for child welfare and juveniles, children’s rights and care, understanding child abuse and schemes for children’s parents, rehabilitation of child with disability, development of program and skill, community welfare center and community work, and understanding on resource development and administering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In the wake of the results, some directions of development for Children’s Lights are especially suggested as follows; to keep up the present operating system rather than following the classified journals, to examine and insert articles more strictly, and to intensify the timing and locality which have been carried on as the strength of Children’s Lights.

      • KCI우수등재

        사회복지실천 가치로서 『성경』의 공의에 관한 탐색 - 공의의 용례와 성경해석학 중심으로 -

        최옥채(Choi, Okchai) 한국사회복지학회 2019 한국사회복지학 Vol.71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실천뿐 아니라 일상에서 정의로 일컫는 justice를 공의로 번역, 사용하는 『성경』을 기본 자료삼아 사회복지실천 가치로서 공의를 규명하는 것이다. 『성경』의 공의를 이해하기 위해 『성경』에 나오는 모든 공의의 용례를 찾아 성경해석학 입장에서 분석하는 것이 유익할 것으로 보고 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185개 개념을 추려 범주화하여 공의의 의미, 공의의 기능, 공의의 주체, 공의를 위한 자세 네 가지로 분류하고, 이것을 해석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공의와 정의가 혼용되고, 사회정의의 설명이 불분명한 점을 지적하였다. 아울러 사회복지실천 가치로서 한층 더 풍부한 공의의 의미를 확인했으며, justice와 righteousness를 각기 정의와 공의로 사용할 수 있다고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나아가 정의와 사회정의의 풀이가 사회복지학 측면에서 필요함을 제안하고, 끝으로 히브리어와 같은 원래 언어의 성경을 다루지 못한 점이 이 연구의 한계임을 밝혔다.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examine the meanings of righteousness as values of social work. The meanings of justice and righteousness are used in combination, in contrast, these two terms are distinguished for their meanings in the Bible. From the Korean Bible, 185 concepts on righteousness are categorized by meanings of righteousness, functions of righteousness, implements of righteousness, and efforts for righteousness. These categories are explained by the Biblical hermeneutics. Based on the results, some issues are suggested as follows: mingling of righteousness with justice, undefined explanation of social justice, revealing more various meanings of righteousness, explaining a new meaning of righteousness and justice, necessity of interpretation on justice and social justice in the light of social welfare studies, and a limitation of this study which has not put together the original Hebrew Bible.

      • KCI등재

        사회복지사의 성찰일지 작성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유영준(You, Young-Jun),최옥채(Choi, Okchai),용효중(Yong, Hyo-Joong)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7 社會科學硏究 Vol.33 No.2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가 성찰일지를 작성한 경험을 질적연구로 분석하였다. 성찰일지는 사회복지분야뿐만 아니라 여러 실천분야에서 성찰적 실천을 위한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연구참여자들은 다양한 실천현장에 종사하고 있었으며, 모두 9명이 참여하였다. 자료수집은 개별면접과 집단면접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총 5회 실시되었다. 분석결과 사회복지사들은 성찰일지를 처음 작성하면서 낯선 개념에 혼란스러움을 마주하였고, 직업에 대한 자신의 성찰능력이 부족함을 경험해야 했었다. 그러나 성찰일지 작성을 여러번 반복하면서 실천과정에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거나 부정적 감정이 해소되는 경험을 하였다. 또한 성찰일지를 작성하면서 능동적인 학습자로 변모해 가는 자신과 실천현장에 대한 이해의 폭이 확장되는 것을 경험하게 되었다. 이와 함께 성찰일지를 쓰는 작업이 사회복지조직 안에 정착하기 위해서는 성찰일지를 쓸 수 있는 충분한 시간, 타인과의 공유, 성찰의 내용은 실천으로 완성된다는 것을 경험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성찰일지가 사회복지사들의 성찰적 실천을 촉진시키고 성찰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Using a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 this study explored social worker usage experience with reflective journals, which has become a widely utilized tool for reflective practice within various settings. There were nine research participants engaged in several practical fields. Results showed that social workers appeared (1) to have low confidence with reflective journals due to a lack of familiarity, and (2) to realize their limited philosophical knowledge toward their special fields. However, they were able to progress from passive novices to active learners sufficiently enough to suggest an alternative way as they became more familiar with reflective journals. The creation of constructive surroundings, kind consideration with sufficient time, and sharing with other members should be facilitated through positive management strategies in order to facilitate the increased performance of reflective journals. Consequently, this study has reconfirmed the effectiveness of reflective journal writing for encouraging social worker reflective practice usage and for developing better abilities through it.

      • KCI등재

        아동·청소년의 또래동조성 관련 국내연구동향 분석: 2010~2019년 국내학술지논문을 중심으로

        김희진 ( Heejin Kim ),최옥채 ( Okchai Choi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1

        본 연구는 아동·청소년의 또래동조성과 관련한 최근의 국내연구동향을 살펴보아 아동·청소년의 또래동조성을 연구하고자 하는 이들에게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10~2019년까지 학술지에 발표된 아동·청소년의 또래동조성과 관련한 논문을 수집하였고, 최종적으로 83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매년 아동·청소년의 또래동조성과 관련한 논문이, 특히 사회과학 분야에서 꾸준히 발표되고 있었다. 둘째, 아동·청소년의 또래동조성 관련 연구는 주로 정규학교에 재학 중인 이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었다. 또한 대부분 양적 연구로 수행되었다. 셋째, 연구자들은 아동·청소년의 또래동조성 측정을 위해 대부분 특정 척도들의 번안·수정 척도를 사용하고 있었다. 넷째, 선행연구에서 아동·청소년의 또래동조성은 다양한 요인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기존 연구들이 특정 학술분야, 연구대상, 연구방법 등에 치중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방향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providing basic data for those who want to study peer conformity of child-youth by analyzing the recent domestic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at end, 83 articles were analyzed that related to peer conformity of child-youth published in journals from 2000 to 2019. The result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rticles related to peer conformity of child-youth were consistently published every year, and research mainly conducted in social science. Second, research related to peer conformity of child-youth was mainly conducted on students attending regular school. It was also mostly conducted by quantitative research. Third, researchers were mostly using a translated specific scales to measure peer conformity of child-youth. Fourth, according to prior research, peer conformity of child-youth is related to various factors. This showed that prior studies focused on specific academic fields, subject, methods, and so 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direction of further study was suggested.

      • KCI등재

        코로나19 상황에서 사회복지현장실습 지도자의 실습지도 경험: 전북지역 사회복지관 중심으로

        유현경(Hyunkyoung Yu),장남(Nan Zhang),신예림(Yerim Shin),최옥채(Okchai Choi)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1 사회과학연구 Vol.60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상황에서 실습지도자의 실습지도 경험을 분석하여, 실습지도 방안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아동, 청소년, 노인 전 생애주기에 있는 이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사회복지관에서 코로나19 발생 초기부터 지금까지 실습지도 경험이 있는 실습지도자 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으며, 질적연구방법의 하나인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총 46개 주제를 기반으로 16개 주제모음으로 범주화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5개 범주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5개 범주는 ‘어려워진 실습환경’, ‘난관 봉착’, ‘돌파구를 찾으려는 노력’, ‘역경 속 성장’, ‘코로나19 상황에서 거는 기대’로 나타났다. 연구참여자들은 코로나19로 실습을 진행할 때 힘들었지만 그러한 환경 속에서도 실습을 포기하지 않고 새로운 방법을 찾으려 노력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실습지도자에게 부여하는 자율성과 권한, 재난 상황에서 실습지도자들이 활용할 수 있는 명확한 지침, 실습지도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실습관련기관들의 소통에 대한 논의를 제안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data necessary for the practicum instruction measures, by analyzing the supervisors’ experiences in practicum instruction under the COVID-19 pandemic. Thus, this study conducted the in-depth interview with total eight supervisors who had experiences in practicum instruction from the early stage of the COVID-19 pandemic to the present, in social welfare centers for the users in the whole life cycle such as child, adolescent, and senior citizen. And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the Colaizz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which is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it was categorized into 16 subject groups based on total 46 subjects. Based on this, total five categories were drawn. Those five drawn categories were ‘Difficult practicum environment’, ‘Face with difficulties’, ‘Efforts to find a breakthrough’, ‘Growth in hardship’, and ‘Expectation in the COVID-19 pandemic’.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e research participants who made efforts to find a new method without giving up the practicum, even in the difficult practicum environment due to the COVID-19 pandemic. Based on such results of this study, this study suggested the discussions of autonomy and authority given to supervisors, clear guidelines to be used by supervisors in disaster situations,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for practicum empowerment, and communication of institutions related to practic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