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성과 왕국: 『아서왕의 죽음』의 귀네비어와 모르간 르 페이를 중심으로

        최예정 한국중세근세영문학회 2011 중세르네상스 영문학 Vol.19 No.1

        This study aims to analyze political implications of the portrayal of Guenevere and Morgan le Fay in Malory’s Morte d’Arthur. Both women are represented as a queen and thus have a role to play in the establishment of a kingdom and a king’s sovereignty. However, most critics, as well as the characters in the work, seem not to be conscious of their role and power. This essay argues that Guenevere and Lancelot’s love is acceptable only as part of court politics, which expects the queen to contain otherwise menacing knights in the court. And the dissolution of the Arthurian kingdom is attributed to their adulterous relationship since the queen’s political and symbolic power have to be neutralized. In concealing the political dimension of queenship, the work reveals hidden patriarchal desire of Arthurian society, which places Guenevere in the familiar binary opposition of Mary and Eve. The same patriarchal desire is also found in the representation of Morgan le Fay. She embodies seemingly incompatible natures of the feminine. In the earlier part of the work she is a dangerous traitress although she is the nearest kin to Arthur and the wife of a faithful ally: she is diabolical, sexually voracious, and politically aggressive. When Arthur meets his death, however, she plays a role of caring, loving mother. This essay argues that such paradox originates from the assumption that a woman may become a queen, but not a king.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작가의 의도 읽기 : Reading the Author’s ‘entente’

        최예정 한국중세영문학회 1999 중세영문학 Vol.7 No.-

        The Legend of Good Women은 시 읽기와 작가의 위상에 관한 초서의 고민을 보여주는 시이다. 초서는 작가로서 자신의 시가 독자들에게 제대로 이해되기를 바라면서 동시에 그렇지 못할 가능성에 대해 염려하면서 이러한 염려를 God of Love와 Alceste의 문학평론을 통해 드러낸다. 이 두 인물들은, 시를 쓰는 작가의 의도를 무시하고 시가 독자의 기대를 재생산하기를 바라면서 시를 자의적으로 해석한다는 공통점을 갖고있다. 자의적이고 독자 중심적인 이들의 이러한 해석방식은 이들 두 명의 독자에게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사실상 어거스틴의 해석학에 기반을 둔 초서시대의 텍스트 공동체 전체의 해석방식이라는 점에서 중요성을 갖는다. 성경의 자구에 대한 축차적 해석이 독자를 신의 사랑, 자애의 영역으로 이끌지 않는다면 비유적으로 해석해야 한다는 어거스틴의 해석학은 텍스트의 의미창출에서 독자의 역할을 엄청나게 강화하는 결과를 낳는다. 교훈을 도출하기 위해 텍스트를 축자적으로 읽을 것인지 혹은 비유적으로 읽을 것인지를 선택하는 것부터 독자의 선택에 맡겨지기 때문이다. God of Love와 Alceste의 문학평론은 바로 이러한 독법이 빚어낼 수 있는 문제점을 적나라하게 드러낸다. 이들은 시를 쓴 시인의 의도 혹은 주제의식에 대해서는 관심을 보이지 않은 채 자신들의 구미에 맞게 시를 해석하고 자신의 해석이 곧 시의 의미라고 강요하면서 자신들의 해석을 통해 텍스트에서 어떤 교훈을 발견했다면 그것은 곧 자신들의 해석의 정당성을 보증한다고 믿고 있기 때문이다. God of Love와 Alceste의 이러한 독법은, 시에는 작가의 의도가 존재하며, 시는 작가의 의향의 산물이라는 점을 완전히 무시하고 있기에 가능하다. 이들은 초서가 그만의 주제의식, 시인으로서의 작가의식을 지니고 있을 가능성에 대해 전혀 생각하지 않는다. 초서는 한편으로는 이들의 자의적 독법의 문제점, 그리고 축자적 의미와 주제를 혼동하는 문제 등을 지적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자신의 시에는 작가의 의도가 존재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그는 중세문헌에서 사용되던 ‘머리말’ 형식, 그리고 성인전의 장르적 규범 등을 교묘히 변형시킴으로써 이러한 장르의 전통적 텍스트에서는 묻혀있던 작가의 존재를 표면 위로 끌어올린다. 특히 이 시의 성인전 부분은 작가의 의도가 언어의 섬세한 운용을 통해 은밀히 드러나는 좋은 예이다. 그는 표면적 의미, 그리고 그것과는 거리를 두고 작용하는 이면적 의미의 이중적 의미층을 설정함으로써 표면적으로는 진실한 여인과 거짓된 남자들로만 가득 채워진 글을 쓰라는 God of Love와 Alceste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것처럼 보이면서도 사실은 성인으로서는 매우 의심스러운 자질을 지니고 있고, 또 인물들간에도 사랑의 의미와 동기에 있어서 상당한 차이를 보이는 인물들을 창조하고, 또한 그러한 글을 쓰는 작가로서의 고민과 반항의 의지를 보이는 대목을 중간중간 삽입함으로써 독자들, 혹은 텍스트 공동체의 요구와는 독립되어 별개로 존재하는 작가의 의도의 존재를 독자들에게 분명히 보여준다. The Legend of Good Women은 초서가 자신이 속한 텍스트 공동체의 문제점을 폭로하고 독자의 자의적 해석과는 별개로 독립되어 존재하는 작가의 의도가 있음을 보여주는 시이다. The Legend of Good Women is a poem about reading and Chaucer’s authorship. Chaucer’s concern about the Problems involved in reading is manifested in Alceste’s and God of Love’s criticism of Chaucer’s poetry. The interpretation of these two figures represents the problem of the reader-centered(mis) interpretation which demands that Poetry should reproduce or repeat a reader’s own view of life without regard to the author’s intent. God of Love’s harsh criticism of Chaucer’s Poetry demonstrates expressly the problem of arbitrary reading. And Alceste’s criticism. although it sounds more generous and sympathetic to Chaucer than that of God of Love, retains the tyrannical voice and arbitrariness similar to those of God of Love. Their reading practice is typical of the text community of which they constitute a part. That this text community is based on Augustinian hermeneutics emerges clearly with such words as ‘corn’ and draf.’ The problems inherent in Augustinian hermeneutics which Places great emphasis on the will of a reader and admits of arbitrary interpretation insofar as it leads to the ‘realm’ of charity are dramatically represented in the literary criticism of God of Love and Alceste. One important common feature found in the view of poetry held by these two figures is that they do not take account of the possibility that there is an author’s ‘entente’. Chaucer draws readers’ attention to the author’s will which has been totally ignored in their view of poetry. The Legend of Good Women itself is an arch-example of the presence and operation of the author’s will in spite of all the limitations imposed by the tyrannical order of the text community. While Chaucer seems to be compliant to the demands of God of Love and Alceste, Chaucer, in fact, undermines the legitimacy of the view of poetry held by God of Love and Alceste through successful manipulation of the generic codes of hagiography. By doing so Chaucer inscribes his Presence and intent in the poem. The Legend of Good Women is a clever strategy with which Chaucer subtly, but clearly gives witness to the author’s ‘entente’.

      • KCI등재

        강사제도 시행이 대학 교양교육 환경에 미친 영향 - 교원 구성과 개설 강좌를 중심으로

        최예정,김지영,윤승준 한국교양교육학회 2020 교양교육연구 Vol.14 No.1

        This paper analyzes the changes in university general education focusing on the faculty composition and course establishment after the implementation of lecturer system. This paper i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conducted from Sep.24 to Nov. 8 in 2019 for the Current University General Education Survey funded by the Korea National Institute for General Education. This paper uses the data collected from 83 universities that answered the questionnaire for the Survey. The comparison between 2018 and 2019 of the number and the ratio of each type of faculty members shows that the number of the lecturers was considerably reduced after the enforcement of lecturer system on Aug,1 of 2019. It shows that the lecturer law, introduced to protect lecturers, fails to realize its original purpose and instead causes the unemployment of lecturers. The lecturer law thereby contributes to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other types of part time professors and non-tenure track full time professors. The study also shows that private universities responded more promptly than national universities. The law causes the reduction of the number of the general education courses, both in the total number of courses and the number of newly established courses, In conclusion, the introduction of the lecturer system in universities did not succeed in protecting lecturers nor developing the quality of general education in general. 이 논문은 강사제도의 시행 이후 대학 교양교육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교원의 구성과 과목 개설 중심으로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그 실상을 보고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를 위해 2019년 9월 24일~11월 8일까지 대학 교양교육 현황 조사 연구를 위하여 실시하였던 설문 결과를 토대로 한다. 일반대학 196개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던 설문에 성실하게 응답한 83개 대학의 응답 자료를 본 연구에 활용하였다. 강사법이 시행되기 이전과 시행되고 난 후의 교양교육 운영 현황을 알아보기 위하여 2018년 2019년 각 학기별 비교를 중점적으로 시행하였다. 그 결과를 살펴보면 비전임교원 가운데 특히 강사법으로 신분을 보호하고자 하였던 강사의 수가 가장 크게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대학 설립 유형별로는 국립대학보다 사립대학이 강사법 시행에 민감하게 대응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강사제도의 시행과 함께 각 대학은 초빙교원이나 겸임교원과 같은 비전임교원을 늘리고 강사를 줄이는 방향으로 대응하였는데, 정년트랙 전임교원의 강좌 수는 감소한 반면 비정년트랙 전임교원의 강좌수는 증가하였으며, 초빙교원과 겸임교원 등 비전임교원의 강좌 수는 증가하였으나 강사의 강좌 수는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교양교육과정에 개설된 교과목 수와 강좌 수 역시 국립대학과 사립대학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대학 규모별로도 모든 규모의 대학에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이와 같은 변화는 강사제도의 시행이 강사의 신분 안정과 처우 개선을 목적으로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으로는 그와 같은 목적이 전반적으로 실현되지 못하였음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계열필수과목으로서의 융합형 교양교과목 운영현황 연구

        최예정 한국교양교육학회 2011 교양교육연구 Vol.5 No.2

        본 발표문은 금년부터 호서대학교에 도입되어 전 신입생에게 필수과목으로 운영되고 있는 융합형 교양교과목의 운영현황에 대한 보고 및 중간평가이다. 이 시대가 요구하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보다 적극적인 참여와 능동적인 지식 탐구, 그 과정에서 학생들 상호간의 협업을 요구하는 새로운 종류의 수업 방식이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고 학생들의 핵심역량을 효과적으로 개발하기 위해서 호서대학교는 융합형 교과목을 전체 신입생의 필수과목으로 지정하고 운영하게되었다. 학교에서는 “진로지도와 자기관리” :크리에이티브 디자인“ ”과학기술문서작성과 발표“ 그리고 ”명저탐색과 글쓰기“라는 4개의 과목을 개발하였고 이 중 ”진로지도와 자리관리“는 전 학과에서 1학년 1학기에 개설해야 하며 나머지 3개의 과목 중 하나를 각 학과가 지정하여 신입생에게 1학년 2학기에 개설하도록 교양교육과정이 디자인되었다. 교수들의 자발적 의지에 의해 개설된 과목이 아니라 학교에서 과목을 개설한 후 학과에 위탁한 형식이기 때문에 교수들의 의지 고양, 인식 개선, 수업에 대한 지원 등이 절실한 과제였다. 교수들은 이러한 과목의 필요성에 공감하면서도 자신이 수업을 맡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있었으므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학교에서는 정책 연구 수행, 워크숍 실시, 교재 개발 및 교수용 자료 제작 배포, 중간 점검 및 사례발표 등을 통한 교육적, 행정적 지원을 강화하였고 이를 통해 많은 문제가 해결되었다. 그러나 향후 이러한 과목들이 보다 성공적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본교생의 필요에 맞는 교재를 지속적으로 연구, 개정하고, 교과목 담당 교수들에 대한 사전 교육을 강화하며, 팀 티칭을 좀 더 활성화시킬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교육방법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학생들의 강의평가 방식에 대한 개선도 요구된다. 강의에 대한 지속적인 평가와 피드백 등을 통해 교육의 질 관리를 지속적으로 해 나간다면 계열필수 과목으로서 융합형 교과목이 안착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This essay aims to report the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the convergence courses which are conducted as mandatory for all freshmen in Hoseo University from this year. It also tries to make a mid-evaluation of the achievement of those courses. This study clarifies the forces that lead the introduction of the convergence courses into the liberal arts curriculum for all freshmen. Then, it expounds the whole design of the curriculum with an analysis of the problems exposed so far and finally suggests the strategie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education in these courses. The convergence courses in this essay includes two types of courses. The first type is the interdisciplinary courses which integrates more than two academic disciplines. The second type is the courses which employ new teaching methods besides the traditional lecture style. It includes, by definition, online learning or blended learning courses. However, online or blended learning courses will be ruled out from the discussion, for they need a more detailed discussion on their own. Instead, this essay focuses on the courses which will help students to develop more than two core abilities, implementing new educational methodology such as problem based learning, project-based learning, and team-based learning. In Hoseo, “Career Planning and Self Management,” “the Creative Design,” “Exploration of the Classics and Writing,” and “Technical Writing and Presentation” fall into the category of the convergence courses. The instructors in charge of the convergence courses in the spring and fall semesters agree to the importance of these courses believing that these courses will help students to develop their academic capability and to enhance their interests in the majors. Another agreement they make is that educational and administrative supports are crucial to the success of these new courses, for they have difficulty in the development of a new type of undergraduate courses which they themselves have never experienced. Thus emerges the importance of the pre-education of the instructors on the educational methodology applicable in these courses, including team operation and teaching writing techniques. Workshops and presentations of successful examples will help the instructors to design the curriculum. The development of a textbook designed for Hoseo students will be of a great help too, in mapping out the specific goals of the courses and the sources available to teaching. And a further study on a students' evaluation form appropriate for this new type of courses will be needed for a more detailed and accurate analysis of the convergence courses.

      • 성체축일 순환극(Corpus Christi Cycle)과 '그리스도의 몸'의 의미의 정치학

        최예정 중세영문학연구회 2002 중세영문학 Vol.10 No.2

        This article purports to answer a questio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society through an analysis of the Corpus Christi Cycle. The main argument of this article is that the meaning of the "Body of Christ" which is the central figure in the Corpus Christ Cycle was not fixed at all but has always been changed in the course of history. The Corpus Christi Cycle is a good example of the complex and multiple signification of the Body of Christ. This article first surveys the historical origin of the Corpus Christ Feast. It examines the process of the transmutation of the meaning of the Body of Christ and reveals that the meaning of the Body of Christ was constructed as much by the practical need of the clergy as by the basic principle of Christianity. Once the Corpus Christi Feast was established as a public holiday by Rome, the Body of Christ came to have another meaning. As the clergy taught that the Body of Christ had a very special value and efficacy, the proximity to the Body of Christ during the Corpus Christi Procession became a visible sign of power and authority on the part of the lay people. In the cities where the civic oligarchy had achieved autonomy, the Body of Christ was appropriated by the civic oligarchy who desired to show off their religious leadership as well as their political and economical leadership. Through the performance of the Corpus Christi Cycle the civic government could prove that it could offer religious education to the lay people and that the city under the rule of the civic government had a good deal of religious fervor. On the other hand, as the city became the backdrop of the drama, the city itself played a role. When the play shows a scene which reminds of a royal procession in the same place where the king used to visit, the contemporary political reality is foregrounded rather than the biblical hermeneutics underlying the scene. Similarly, when the actors who are the guildsmen of the city make complaints about the hardships they suffer, the scene suggests to the audience the hardships they are experiencing in reality. Human body and the guildsmen's desire gets more attention than the Christ's Body and the message of its saving grace. In the Corpus Christi Cycle, the meaning of the Body of Christ is compromised by the politics of the three different agencies of the play: the clergy, the civic government and the guildsmen or the common citizens. And the Body of Christ comes to have a more complex and multi-layered meaning

      • 신의 목소리, 인간의 목소리 : 『첫번째 목자극』과 『두번째 목자극』에서 들리는 두 개의 목소리 The Voices in the First and the Second Shepherds' Plays

        최예정 한국중세영문학회 2001 중세영문학 Vol.9 No.2

        타운리 싸이클의『첫 번째 목자극』과『두 번째 목자극』은 두개의 다른 목소리, 현실과 초월, 삶의 고통과 구원의 기쁨이라는 영원히 해결하기 어려운 두 가지 영역의 목소리를 종교극이라는 형식 속에 담아내는 독특한 극이다. 신과 인간, 교회와 자자거리가 극이라는 공간을 통해 대등한 만남을 갖고 있다. 종교 교육이라는 거룩한 대의가 일반 신도들을 통해 수행된다는 중세 싸이클 드라마의 독특한 조건이 이러한 종교극을 가능하게 했다. 성직자가 주도하여 신학적 해석만이 목소리를 내는 극도 아니고, 그렇다고 해서 성직자들의 시선으로부터 자유로워져서 개인의 삶에 대한 인문주의적 해석을 시도하는 것도 아닌, 역사적으로나 문학사적으로 애매한 전이의 지점에 타운리 싸이클의 두 개의 목자극은 자리하고 있다. 그렇기에 이 극은 그 어느 한 쪽의 목소리만을 가지고 해석하는 것은 옳지 않다.『첫 번째 목자극』과『두 번째 목자극』은 두가지 목소리의 분열과 통합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현장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The first Shepherds' Plays and the Second Shepherds' Plays carries two different voices: divine voice and human voice. Actually the voice of reality which can be called horizontal voice does not seem to be reconcilable to that of transcendence which can be called vertical voice. And the realm of the suffering of life is far from that of the joy of salvation. But these two worlds are set together in the First Shepherds' Play and the Second Shepherds' Plays. The divine and the human, the sanctity of church and the secularity of marketplace meet each other in the space of drama. This is made possible by the seemingly paradoxical situation that religious education is conducted by lay people. These two plays provides the space in which lay people can give voice to their own concerns and interests. The meaning of the First Shepherds' Play and the Second Shepherds’ Play is found in the fact that these two plays keep the two distinctive voices alive. Vertical voice does not repress horizontal voice, and human voice does not distort divine voice. These two voices are sometimes overlapped or intertwined. At other times human voice diverges from divine voice. The coexistence of these two different voices is a distinctive characteristic of these two play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