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방기 국정 국어교과서에 나타난 민족의 상상

        최양우(Choi, Yang-woo) 한국어문학회 2017 語文學 Vol.0 No.135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ways in which Korean language textbooks reflect and convey nationalist sentiment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of Korea. During this period, since promoting national ideology was one of the important policies adopted b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education and Korean language textbooks were often employed to propagate the state ideology. On the basis of this premise, this study analyzes how the discourse of nationalism was constructed and formulated in the educating methods and materials contained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produced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deal with national discourse in three aspects. First, they are intended to deepen the sense of national identity among students by illuminating the excellence of hangŭl and adopting a new method of teaching consonants and vowels separately rather than introducing syllables. Secondly, the textbooks appealed to people’s imagination by presenting the materials that emphasizes affection for and pride of the Korean language. Thirdly, they placed emphasis on the nation’s heritage by including articles on Korean customs, relics, and history. As such, the Korean textbooks were designed to convey the nationalist sentiment to Korean readers.

      • KCI등재

        해방기 국어교과서와 청년담론

        최양우(Choi Yang-woo) 국어문학회 2017 국어문학 Vol.64 No.-

        이 논문의 목표는 해방기에 편찬된 국정 국어교과서인 『중등국어교본』을 통해 해방기 청년담론의 구체적 모습을 밝히는 것이다. 해방기에 국어는 민족어의 지위를 가지게 되고, 민족정체성과 동의어가 된다. 이와 같은 상황 속에서 국어교과는 새로운 민족국가 구성원의 양성이라는 임무를 맡았으며, 국어교과서는 그 임무를 수행하기 위한 도구였다. 이런 전제 하에 이 연구는 『중등국어교본』에 수록된 글을 통해 당시 정책주도세력이 형성하고자 했던 청년담론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중등국어교본』에 수록된 글을 살펴보면 당시의 청년담론은 세 가지 방향으로 드러난다. 첫째, 새로운 민족국가 수립의 기초인 전통과 문화를 복원하고자 했다. 이것은 민족어인 국어와 한글, 그리고 민족의 과거인 문화, 역사, 유적 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나타났다. 둘째, 민족공동체 재건의 주역이 갖춰야할 미덕을 제시했다. 『중등국어교본』은 다양한 글을 통해 진취적 성향 노력, 공동체에 대한 헌신, 사회적 윤리 준수를 강조하고 있었다. 셋째, 민족공동체를 순수한 단일공동체로 제시했다. 『중등국어교본』은 당시 좌우 이념대립이란 현실을 무시하고 단일한 민족공동체의 모습만을 청년세대에게 보여준다. 이는 이데올로기적으로 순수한 글과 자연의 아름다움을 다룬 글을 통해 이루어졌다.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tangible aspects of the young generation discourse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through the national Korean textbooks published in that period.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the Korean language gained the status of national language and became synonymous with the national identity. Based on this assumption, this study examines the young generation discourse that policy-led entities sought to shape through the middle school Korean textbooks. Looking at the text in the middle school Korean textbooks, the young generation discourse at that time may be revealed in three directions. The first direction was to restore tradition and traditional culture, which is the basis of establishing a new nation state. The second direction was to present the virtues that leaders of reconstructing national community should have. The third direction is to present the ethnic community in pure 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