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다문화 관점에서 본 고등학교 『동아시아사』 분석

        최아림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한국 사회는 다양한 문화를 배경으로 한 새로운 구성원들이 점점 늘어나면서 명실상부한 다문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변 화는 학교 교실의 학생 구성에서도 변화를 가져왔다. 다문화가정 출신 학 생들의 비율이 점점 더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발맞추어 중·고등학 교 교육과정에서는 다문화교육을 범교과 학습주제로 채택하기에 이르렀 다. 다문화교육과 역사교육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동아시아계 이주 민 자녀들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한국 사회의 상황을 고려하여, 고등 학교 동아시아사 교과서는 교육과정에서 다문화적 목표와 내용 요소를 포함시키고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동아시아사 교과서를 다문화적 관점에서 양적⋅ 질적 방법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선행연구와 교육과정에 대한 분석을 통해 다문화교육의 목표와 구성 요소를 추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분석 기준으로 활용하여 현행 교육과정의 동아시아사 를 단원별로 분석하였다. 먼저 양적 분석의 결과, 동아시아사 범위에 들어가는 국가별 언급 횟수가 매우 불균형하다는 점과 교과서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성별 또한 불균형하다는 점, 그리고 교과서 내용 서술에 활용된 참고문헌이 특정 국 가의 자료에 치중되어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양적 불균형, 즉 교과서에서 다루는 국가, 성별 그리고 참고자료 활용의 불균형은 단순히 특정 대상에 대한 기술 분량의 많고 적음에 그치는 문제가 아니다. 이는 곧 학생들이 다양한 배경 지식과 학습 경험에 노출될 수 있는 기회 자체가 제한적이며 불균형을 이룬다는 점에서 타문화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즉 특정 문화에 대한 지식의 결여와 불균형은 학생들이 이 결여와 불균형의 틈을 편견이나 관점의 불균형으로 대체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질적 분석의 과정에서 교과서의 일부 서술은 학생 들이 다문화적 관점을 기를 수 있도록 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즉 ‘편견의 제거’, ‘관점의 균형’, ‘문화의 다양성’ 그리고 ‘문화의 상호교류’를 고려하 면서 교과서 내용을 서술하였다. 이는 양적 분석에서 나타나는 서술 분량 의 불균형이 관점의 불균형과 편견을 초래할 가능성을 높인다는 것과는 상반되는 결과이다. 그러나 역사적 논쟁이 있는 부분은 교과서가 특정 국가의 입장에서 편 중되게 서술한 경우를 볼 수 있었다. 또한 전쟁의 피해에 대한 서술에서 라이따이한의 문제는 언급하지 않는 등 여전히 균형 잡히지 않은 시각에 서 서술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동아시아의 문화적 특징을 학생들이 이해 하기 쉽도록 생활 속의 비근한 소재들을 교과서 서술에 포함시킨 점은 주 목할 만하다. 또한 동아시아 문화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기술하는 데 머물 지 않고 그러한 차이점이 생겨나게 된 배경을 설명한 것 역시 학생들이 문화의 다양성에 대한 감수성을 키우는 데 유익한 서술이라고 할 수 있 다. 문화의 다양성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는 낯선 문화가 ‘틀린 문화’가 아 니라 ‘다른 문화’임을 학생들이 지적으로 그리고 정서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토대가 된다고 할 수 있다. 동아시아의 문화에 대한 서술이 이처럼 실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맺는 소재를 활용하여 구체적으로 제시된 것과는 달리, 같은 동아시아권에 속 한 북한의 문화에 대한 이해를 북돋울 수 있는 서술 내용은 찾아보기가 어려웠다. 분단 이후 서로 다른 문화적 가치를 추구해온 남북한의 상황을 고려한다면, 다문화적 관점에서 북한에 대한 편견을 제거하고 북한의 문 화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는 서술이 필요할 것이다. 이는 다문화가족 의 일원인 새터민에 대한 이해는 물론 통일에 대비하기 위해서라도 절실 한 문제이다. 그러한 이해는 남북한의 문화적 차이에서 오는 사회적 갈등 을 최소화하는 데 필요한 기초 지식과 인식의 토대를 마련하는 밑거름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교과서라는 매체가 갖는 특성상 서술 분량 에 제약이 따르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다문화적 관점이 반영된 교수. 학습 방안을 제시하였다. 즉 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다문화적 관점에서 구 성한 주제를 탐구하거나 토론 활동을 하는 수업을 제안하였다. South Korea has become multicultural society as number of people wit h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are increasing. As a result, the ethnic make-up of society as well as school has also changed. Public schools become more diverse and demands increased for multicultural education. Reflecting this social change, the government adopted multicultural education as a part of Korea’s national curriculum. Regarding multicultural education, history education is crucial in that it encourages students’ ability to understand different countries’ history and culture. East Asia History has its significance in terms of multicultural education of South Korea for the fact that many multicultural students are from East Asia. Therefore, learning East Asian history from balanced perspective could be beneficiary to understanding between multicultural groups in our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ree different high school East Asian History textbooks from multicultural perspective using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The followings are the summary of the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n terms of offering different perspectives on a given subject, textbooks must be more diverse in using bibliographic references and sources from different countries in East Asia. This could help students to have balanced perspective on different issues of history. Furthermore, textbooks must increase the contents for Vietnam’s history and culture to provide different perspectives. Second, in order to help students overcoming cultural bias towards countries and nations, textbooks offer relatively fair description about given groups of people such as nomadic people and Japanese people. However, by omitting and overly simplifying many historical female figures in history, it fails to help students overcoming bias towards women. Third, in order to enhance students understanding of cultural diversity, textbooks offer contents that explain about common culture of East Asia as well as unique and distinct culture of different countries. However, they do not provide up-to-date portrayal about current cultural changes and interactions in East Asian countries these days. In conclusion, students-centered and research-bas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should be examined as one of effective strategies to teach history from multicultural perspectives.

      • 초등학교 1, 2학년 아동의 조음교대운동 특성

        최아림 호남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조음교대운동(DDK)은 연구개, 혀, 입술 등의 조음기관 근육들의 운동속도와 규칙성을 알아보는 것으로 구강운동능력과 운동 협응 능력을 평가하여 조음기관의 기능을 알아본다. DDK 평가는 아동 및 성인의 조음기관 운동 능력을 알아보는 데 유용하며 DDK의 규준데이터와의 비교를 통해 아동 및 성인의 발음 능력을 평가할 수 있다. 특히 아동기에는 신체적 발달과 함께 구어 능력이 발달하는 중요한 시기이다. 현재 국내에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DDK 규준데이터가 거의 없는 실정이며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의 DDK 수행력을 알아보고 규준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1, 2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학년 및 성별에 따른 DDK 속도와 규칙성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대상자는 광주광역시에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초등학교 1학년(남자:45명, 여자:50명)과 2학년(남자:47명, 여자:52명), 총 19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가과제는 AMR 과제 ‘퍼’, ‘터’, ‘커’와 SMR 과제 ‘퍼터커’를 수행하였다. Motor speech profile(Model 5141, KAYpentax)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AMR의 속도와 규칙성을 측정하였고 Praat(v6.0.3.6)의 파형 분석을 통해 SMR의 속도를 측정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21.0)기술통계를 통해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알아보았고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을 통해 학년과 성별에 따른 AMR과 SMR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AMR 속도는 ‘퍼’, ‘터’, ‘커’ 모두 학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가 있었으며 2학년 집단에서 AMR 속도가 더 빨랐다. 그리고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학년과 성별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AMR 규칙성은 ‘퍼’, ‘터’, ‘커’ 모두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여학생 집단에서 AMR이 더 규칙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규칙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학년과 성별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SMR 속도는 ‘퍼터커’ 모두 학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2학년 집단에서 SMR 속도가 더 빨랐다. 그리고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학년과 성별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초등학교 1, 2학년 아동의 DDK 수행력이 학년과 성별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임상현장에서, 학령기 아동의 조음기관 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기본 자료를 제시하였다. 차후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DDK 수행력을 속도, 규칙성뿐 만 아니라 조음정확도, 말 명료도 등과의 상관을 알아봄으로써 조음평가에서 DDK 수행력의 활용성을 알아볼 필요가 있다. Diadochokinesis (DDK) aims to identify the oral motor speed and regularity of articulatory organs such as soft palate, tongue, and lips and can determine the functions of articulatory organs by evaluating the oral motor ability and the motor coordination ability. The DDK evaluation is useful to determine the motor ability of articulatory organs in children and adults and can assess the articulatory ability through comparing with normative data from DDK. In particular, the childhood is an important period when the spoken ability develops together with physical development. However, there are few DDK normative data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a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DDK performance ability in low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 and provide normative dat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eed and regularity of DDK in first- and second-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The subjects were a total of 194 students in first- (45 males, 50 females) and second-grade (47 males, 52 females) in elementary school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s evaluation tasks, AMR task 'pʌ’, ‘tʌ’, and ‘kʌ’ and SMR task ‘pʌtʌkʌ’ were performed. The speed and regularity of AMR was measured using Motor speech profile (Model 5141, KayPENTAX) and the speed of SMR was measured using waveform analysis in Praat (v6.0.3.6). In statistical analysis, mean valu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determined by SPSS (21.0)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e difference between AMR and SMR by grade and sex was determined by Two-way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y grade in AMR speed for ‘pʌ’, ‘tʌ’, and ‘kʌ’ and the AMR speed was faster in second grade group.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y sex and no interaction effect by grade and sex was found. Second, AMR regularit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ʌ’, ‘tʌ’, and ‘kʌ’ according to sex and was found to be more regular in female student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gularity by grade and no interaction effect was found according to grade and sex. Third, the SMR speed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ʌtʌkʌ’ by grade and was faster in second grade group.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y sex and no interaction effect was found according to grade and sex.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DDK performance ability in first- and second-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was slightly different according to grade and sex. This study presented basic data for evaluating the function of articulatory organs in school-aged children in clinical setting. In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availability of DDK by investigating DDK performance ability in terms of its correlation with articulation accuracy and speech intelligibility as well as speed and regularit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도자 공예 교육의 현황과 학습 지도 방안 연구

        최아림 전남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 시대에서 중요하게 대두하는 교육 목적 중 하나는 창의성 교육이다. 다양한 교과에서도 미술 교육은 창의성을 증진을 위한 독자성을 가진 교과 중 하나이다. 하지만 예체능은 입시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교육목적과는 모순적으로 중요성을 인정받지 못 하고 있다. 현 시대에는 다원적 가치를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다른 분야와 타 영역과의 경계를 허물어 직면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문제해결력이 중요시 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해결력을 기르기 위한 역량으로 창의융합능력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창의성을 기르기 위한 미술 교육으로 3차원의 조형적 성격의 자유로운 표현 활동이 가능한 도자 공예 교육을 학생들의 실제적 삶과 연계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 할 수 있는 창의적 제작의 기초적인 교육으로 제시하여 학생들의 창의역량을 기를 수 있는 도자 공예 프로그램으로 수업 지도안을 계발하였다. 현 교육과정의 출판사 별 교과서 분석과 다양한 박물관, 미술관, 체험학교에서 진행되고 있는 체험프로그램 분석으로 개선점을 파악하고 도자 공예 교육의 지도 방법을 제시하여 수업 지도안 개발에 효율성을 더하였다.

      • 패러디 그림책 읽기에서 나타난 유아의 상호텍스트적 반응과 의미구성

        최아림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5-year-old children's intertextual responses to the stories of parody picture books and their constructing meaning.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First, what were children's intertextual response to the parody book reading? Second, how do children construct the meaning through the intertextual responses to the parody-book read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our 5-year-old children (two boys and two girls) in an afterschool class of K kindergarten at K district in Seoul for four weeks from August 22nd to September 23rd. Two sets of picture books (two had original stories and two had parody of the corresponding original stories) were selected. One original picture book was read to the children in the first week, and the corresponding parody picture book was read to the children next week. The whole process picture book reading with children’s responses was simultaneously recorded in audio tape and video tape, and the on-the-spot notes and research journals were written. The data were transcribed and analyzed based on the literary response categor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intertextual responses to the parody-book reading were categorized into ‘association,’ ‘comparing,’ ‘using text,’ ‘extending schema' and ‘connecting images of the original and parody picture books’. Second, the meanings constructed through the intertextual responses to the parody-book reading were , getting out were ‘experiencing cognitive conflict,’ ‘getting out of the good and evil concept,’ and ‘thinking from the different perspectives'. Children understood the parody stories by comparing these books to the original books while enjoying the parodies and feeling conflicted by the differences from the original books. Moreover, children changed their understanding on the characters in the parody-books, which led them to recognize the diversity of the characters by breaking away the stereotypes on good and evil. Lastly, they constructed the meanings by sympathizing the characters’ emotions and feelings, which allowed them to think from the different perspective. 본 연구의 목적은 패러디 그림책 읽기에서 나타난 만 5세 유아의 상호텍스트적 반응과 의미구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패러디 그림책 읽기에서 나타난 유아의 상호텍스트적 반응은 어떠한가? 둘째, 패러디 그림책 읽기의 상호텍스트적 반응을 통해 어떤 의미를 구성하는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한 K구 K유치원의 방과후과정반 만 5세 유아4명(남아 2명, 여아 2명)이다. 본 연구는 2016년 8월 22일부터 9월 23일까지 4주간 실시하였으며, 매주 한 권의 그림책 소개하였으며, 참여관찰을 하는 과정에서 유아들의 상호텍스트적 반응과 의미구성에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였다. 패러디 그림책 읽기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반응에 대한 전 과정은 동영상 녹화와 동시에 오디오 녹음을 하고, 현장노트와 연구일지를 작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전사 및 문학적 반응범주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패러디 그림책 읽기에서 나타난 유아의 상호텍스트적 반응은 문학적 반응범주를 기준으로 ‘연상하기’, ‘비교하기’, ‘텍스트 활용하기’, ‘스키마 확장하기’, ‘그림텍스트 연결 짓기’로 범주화 되었다. 둘째, 패러디 그림책 읽기의 상호텍스트적 반응을 통한 의미구성은 ‘인지적 혼란과 갈등 경험하기’, ‘선과 악에 대한 관념에서 벗어나기’, ‘다른 관점에서 생각해보기’를 통해 새로운 의미를 구성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유아는 패러디 그림책 읽기를 통해 원작 그림책에 기대어 패러디 그림책을 비교하였고 패러디를 이해하면서 즐기기 시작했다. 또한 패러디 그림책에 등장하는 인물에 대한 인식변화를 보이며 선과 악의 고정된 인물관을 해체하여 인물들의 다양성을 인정해주었다. 마지막으로 패러디 그림책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입장에서 감정과 느낌을 공감하여 다른 관점에서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짐으로써 새로운 의미를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패러디 그림책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상호텍스트적 반응과 의미구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는 유아문학교육에서 패러디 그림책의 가치와 유아의 상호텍스트적 반응을 통한 의미구성을 밝힘으로써 그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유아교육현장에서 근무하는 교사들이 패러디 그림책을 들려줄 때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보다 다양한 패러디 그림책의 유형을 유아들에게 들려주거나 상호텍스트적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의 상호작용을 포함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진다면 보다 정확하고 구체적인 결과와 시사점을 얻을 수 있게 될 것이다.

      • 중국의 한국 농산품 수출 무역에 관한 연구

        최아림 우석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A Study on Chinese Agricultural Export to South Korea Cui Yalin Department of International Business Graduate School of Woosuk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Kim,Jong Tae China and Korea are neighboring country. They have close geographical position and share the most extensive culture heritage, so the communication also has a long history. Since the two countries established diplomatic relations in Angust 1992, rapid development are achieved in politics, economy, society, culture and military and security fields by leaps and bounds. Bilateral trade and economic cooperation has been maintained a rapid and stable, healthy growth, with cooperation scale unceasingly expands, the cooperation areas continued to expand, increasing levels of cooperation. China's reform and opening一up policy and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make economic exchanges enlarge gradually. Close geographical distance, similar culture and economic complementary become the base of bilateral economic and trade cooperation of rapid development. Korea trade of value grows from 6.3 billion dollars at 1992 to 156.23 billion dollars at 2009. Now China is the largest trade and investment object country for Korea while Korea is China's third largest trading Partner , the third largest export object country and the second largest import source country. In the development of overall economic and trade cooperation, Korea agricultural trade has developed rapidly. However, in general the development of Korea agricultural trade is out of satisfactory. Korea agricultural value of trade is growing gradually, but the agricultural value of trade in the share of Korea import and export trade is low and declines year by year. For example in 2005, Sino一Korea import and export trade is 111.93 billion dollars while the agricultural value of trade 153.053 billion dollars, the agricultural value of trade in the share of Korea import and export trade15 only 2.73%. China is in the deficit position on Korea trade but has kept larger surpluses in Korea agricultural trade. Therefore Korea takes trade protection means frequently and led to trade fric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which influenced the normal and stable development of the economic and trade cooperation. Korea is narrow in land area, poor in natural resources, small in the market scale and its dependence on the international market and economic resources is quite high. Korea is a traditional agricultural country, but since the 1960s, it committed to the development of export一oriented economy and become one of the most advanced industrial countries in the world within only 20 years. Now Korea's domestic market demand for agricultural products mainly rely on imports. This text will base on the theory of international trade including the comparative advantage theory, analyze the comparative advantages of agricultural products of the two countries through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data. It turns out that China's agricultural product export to Korea has a lot of space. Korea implements excessive protection policies on agricultural and it become one of the most not opened country on agricultural market. A series of tariff barriers and technical standards, safety and sanitation measures non一tariff barriers and Korean traditional thought all become restricting factors for China's agricultural product export to Korea. China's agriculture has been in the state of "negative protection' for a long time, Plus our own existing problems in the agricultural products influenced the healthy development of China agricultural trade. This text will formulate corresponding policy recommendations to solve the existing problems so as to adapt to the needs of the continuous, healthy and stable development for Korea agricultural trade. since the economic globalize and the all一round development of bilateral trade and economic cooperation, Korea agricultural trade has a broad prospect.

      • Q방법을 적용한 한국 성인들의 스포츠이미지 유형별 특성

        최아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국사회 성인의 스포츠 활동에 관한 생각, 태도, 즉, 한국사회 스포츠 이미지를 유형화하고 그들의 심리행동 특성을 구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Q 방법론을 적용하여, 20대부터 50대에 걸친 성인 4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총 74개의 스포츠 관련 Q 문항을 선정하여 스포츠에 대한 자신의 주관적 행동 양식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과정을 거쳐 최종 한국 성인의 스포츠 이미지를 유형화 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국사회에서의 스포츠에 대한 이미지는 스포츠에 대한 믿음과 신뢰와 적극성이 내재된 '나는 그렇게 생각한다'와 스포츠에 대한 의구심과 소극적인 성향이 내재된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의 맥락으로 구분되었다. 2) 스포츠 이미지에 대한 각 유형들이 경험한 주관적 인식의 하위유형의 심리적 참조점은 완결성, 관계, 자유, 열의라는 4가지 기준으로 구분되었으며, 각 구분에 따라 상하위로 대비되어 최종 8가지 유형의 스포츠이미지로 구분되었다. 3) 이들은 각각 '스포츠계 팔방미인형' , '스포츠계 여고생형' , '스포츠계 모범생형', '스포츠계 연예인형' , '스포츠계 부르주아형' , '스포츠계 자기수양형' , '스포츠계 열성형' , '스포츠계 사회동조형'으로 명명되었다.

      • Follistatin -like protein 1 (FSTL1) secretion during exercise

        최아림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21 국내석사

        RANK : 247615

        심혈관계 건강과의 연관성을 인정받고 있는 호르몬인 FSTL1 의 운동 중 분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유산소 운동을 통한 실험으로 확인 하고, 유산소운동이 심혈관계 건강증진에 기여함을 마이오카인인 FSTL1 의 관점에서 해석하고자 함. 지속적인 중강도의 유산소 운동 수행에 무리가 없는 건강한 만 19-40세의 남성 중 BMI 18.5-22.9kg/m2의 lean group 7명과 BMI 25-29.9kg/m2의 obese group 8명으로, 총 15명을 대상으로 모은 개 인에게 설정된 중강도 유산소 운동(300Kcal 소모)을 Tread mill test 로 시행함. 모든 대상자들은 운동시작 전 인체계측 및 8시간 금식 유지한 상태에서 TC, Tg, HDL-C,LDL-C을 포함한 생화학적 특징 조사를 시행하였고, 운동 시작한 후, 운동중간, 운동직후, 운동완료 회복기 30분, 1시간, 2시간 지점에서 각각 공복혈당과 FSTL1 을 채 혈을 통해 측정함. 운동 전구간에서 FSTL1 의 평균값은 obese group 에 비해 lean group 에서 높게 측정되었지만, 통계학적인 유의미성은 없었음. 1) 상관성분석: 운동중간지점 FSTL1과 Bwt, DBP 은 통계적으로 유의미 한 상관성을 보임(r=-0.582,r=-0.55/p=0.023,p=0.034). 운동직후의 FSTL1 과 Bwt, DBP도 유의미한 상관성을 보임(r=-0.524,r=-0.666/ p=0.045,p=0.007). 회복기 30분의 FSTL1 과 Bwt, body fat mass, visceral fat area, SBP, DBP는 유의미한 상관성을 보임 (r=-0.718,r=-0.621,r=-0.711,r=-0.588,r=-0.683/ p= 0.003,p=0.013,p=0.003,p=0.021,p=0.005). 회복기1시간의 FSTL1과 Bwt, visceral fat are 는 유의미한 상관성을 보임 (r=-0.621,r=-0.514/p=0.013,p=0.05). 운동회복기의 Post AUC FSTL1 은 Bwt,SBP,DBP 와 유의미한 상관성을 보 임.(r=-0.546,r=-0.611,r=-0.606/ p=0.035,p=0.015,p=0.017). Total AUC FSTL1 은 Bwt,visceral fat area, DBP 와 유의미한 상관성을 보 임 (r= -0.625,r=-0.575,r=-0.59/ p=0.013, p=0.025,p=0.021). 2) 다중회귀분석: Anthropometric measure 와 FSTL1을 독립변수로 한 분석에서는, 운동전,운동중간지점,회복기2시간FSTL1,은 독립적으로 DBP 에 영향을 줌(p=0.034, p=0.048, p=0.014/ B=-0.554,B=-0.737,B=-0.675). Lipid profile 과 FSTL1을 독립변수 로 한 분석에서는,운동중간지점,운동직후,회복기30분FSTL1이 DBP에 독립적 영향을 줌(p=0.023,p=0.049,p=0.031/ B=-0.601,B=-0.667,B=-0.751). 회복기와 운동전구간 FSTL1 AUC 는 각각 DBP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줌(p=0.044,p=0.039/ B=-0.615,B=-0.615). Anthropometric measures 와 blood pressure 그리고 FSTL1 은 서로 유의미한 상관성을 보임. Anthropometric measures의 FSTL1 에 대한 독립적 영향력은 확인하지 못함. 운동중과 후의 FSTL1 은 DBP에 독 립적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해석되며, 이는 유산소운동의 심혈관계 건강 증진에의 효과를 해석하는데 마이오키인은 FSTL1 을 통해 해석 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The benefits of aerobic training on cardio-metabolic health seem to be partly mediated by the cumulative effects of repeated, acute bouts of exercise-induced changes in several hormones and molecules such as the so-called myokines and adipokines, which are released from muscles and adipose tissue, respectively, to the blood and exert endocrine or paracrine effects in other cells, tissues or organs. Follistatin-like-1 (FSTL1) is a novel adipo-myokine that has been demonstrated in recent years to be associated with metabolism and insulin sensitivity. Also in heart, FSTL1 has been regarded as cardio-protective molecule upregulated in heart injuries including myocardial infarction, pressured overload-induced hypertrophy and ischemia/reperfusion injury. FSTL1 is also considered as an angiogenic factor, suggesting that FSTL1 might be an important factor in cardiovascular system. Recently, it has been reported that FSTL-1 facilitates adipocyte apoptosis, and in obese individuals, circulating FSTL-1 levels were found to be lower than those in nonobese individuals. Therefore,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factors that could affect the release of FSTL1 during exercise and finally investigate the cardio-protective effect of aerobic exercise through the aspect of myokine FSTL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