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치과의 BSC도입에 대한 인식도 분석

        최승미 부산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47

        배경 : 의료법 및 건강보험법 개정 등 정부 정책의 잦은 변화, 대형병원 증축의 경재 심화 및 수익성 악화, 환자 중시의 의료서비스로의 개념 확산, 정보기술 발전 및 인터넷 보급의 확대, 의료시장 개방, 경제의 성장과 더불어 의료산업의 발전에 따라 효율적인 병원경영이 필요하게 되었다. 조직이 보다 효율적으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여러 구성원들의 행동을 올바른 방향으로 인도할 이정표인 조직의 사명, 비전, 장기적인 전략 등을 제시하고 이를 달성할 수 있는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추어야 하며 이를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피드백 하는 성과평가시스템이 요구된다. 중소치과의 경우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으나 적절한 경영방법을 찾지 못하여 성장의 한계에 다다른 경우가 많아 여러 경영기법 중 BSC시스템을 치과에 도입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방법 : 첫째, 문헌연구를 통한 국내외 병원의 BSC도입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둘째, 치과에서의 BSC 도입 타당성 고찰을 위한 치과종사자들의 인식 설문조사 하였다. 부산/경남 소재의 중소치과를 무작위 선정하여 설문지 배포 150부 중 83부 회수하였고, 인터넷 커뮤니티 (치과 의사 커뮤니티, 치과 위생사 커뮤니티, 의료경영 실무자 커뮤니티)를 통한 설문 배포 하여 62부 회수하여 총 145부의 설문분석을 하였다. 결과 : 치과종사자들의 대부분이 내/외부적인 압박으로 장기적인 성장을 위해 경영기법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그 기대효과로 업무의 효율성 증대를 꼽았다. 이는 BSC의 4가지 관점 중 내부프로세스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BSC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내부프로세스 관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경영기법의 도입으로 기대하는 효과 역시 업무의 효율성 증대를 비롯하여 매출증대, 고객만족, 직원의 마인드개선으로 BSC의 4가지 관점과 통하고 있다. 그리고 앞서 말한 바와 같이 BSC는 전사적 관리체계이고 정해진 틀이 있는 것이 아니라 조직의 전략과 사명에 맞게 적용할 수 있는 유연성이 있는 전략도구이기 때문에 대규모 병원보다 진료의 특성상 중소병원이 많은 치과에서의 도입에서 더 성공적인 결과를 가지고 올 수 있다고 생각한다. 결론 : 치과가 성장하고 발전하기 위해서는 외부환경의 변화와 함께 내부적인 변화가 필요하다. 특히 의료 기관에 대한 정책변화를 통한 경영개선을 기대하기 어려운 현실에서 치과계 내부적 혁신이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BSC는 도입과정이 복잡하고 오랜 시간과 많은 인력의 투자가 요구되지만, 세계적으로 다양한 조직에서 그 성과를 인정받고 있는 전략적 관리체계이다. 따라서 중소치과에서 성장의 동인으로서 BSC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검토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 고령화사회에 대비한 페키지 여행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

        최승미 경기대학교 대학원 1995 국내석사

        RANK : 247631

        고도 産業社會의 도래로 생활수준 향상과 醫學技術의 발전은 高齡化 속도를 선진외국과 거의 비슷한 수준에 달하게 하여 觀光環境에 큰 변수로 등장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환경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준비가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미흡한 실정이다. 高齡觀光者들은 현재 觀光市場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 시장에 대한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심층적으로 다루지 않고, 사회복지적인 차원에서 머무르고 있기 때문에 자주, 자발적인 觀光行動者로서 파악하려는 시각은 형성되어 있지 않고 있다. 이러한 産業化, 都市化, 核家族化 등 일련의 사회변화로 인한 高齡者의 생활양식과 가치관 변화, 건강상태와 경제력 향상과 같은 현저한 변화를 감안해 볼 때 새로운 硏究와 다양한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高齡化 社會에 대비하여 高齡者들의 旅行利用性向을 조사하여 향후 高齡觀光消費者의 욕구를 최대한 충족시킬 수 있는 고령자 전용의 旅行商品 開發과 고령자 觀光市場의 가치와 중요성을 환기시켜 관광사업체의 다양한 상품공급을 촉진시키는데 유용한 資料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안양시에 거주하는 55-65세 남녀를 대상으로 高齡者 페키지 旅行商品 開發에 필요한 의견을 조사하였다. 제1장에서는 硏究의 目的, 硏究의 方法, 硏究의 範圍를 논의하였다. 제2장에서는 高齡化社會의 槪念과 高齡化社會에서의 觀光의 중요성, 高齡者페키지 旅行商品의 理論的 考察, 先行硏究 動向을 기존 문헌연구를 통하여 고찰하였다. 제3장에서는 一般的 페키지 현황과 韓國의 高齡者 觀光市場과 現況을 문헌자료와 통계를 통해 살펴보았다. 제4장에서는 高齡化社會에 대비한 페키지 旅行商品을 위한 실증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에서 활용된 주요 요인은 인구통계, 사회경제적 요인, 고령자 여행선호도를 조사하였다. 제5장에서는 商品化計劃과 마케팅측면에서 對策을 논의하였다. 결론적으로 高齡者 계층은 더 이상 병약하고 보호만을 기다리는 비정상적인 집단이 아니라 스스로의 경제력을 지닌 社會의 구성원으로서 보다 積極的으로 사회활동과 폭넓은 참여를 통한 자기개발을 이루려는 정상적인 사회 구성원으로 변모해 가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高齡者들의 기본적인 욕구와 필요를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시설과 프로그램이 開發되어야 한다. 또한 觀光의 기회가 소수의 부유한 高齡層이 아닌 全體老人들에게도 공평하게 돌아갈 수 있도록 모두가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The travel industry is discovering a new love: elderly travelers. They constitute a perfect market for the travel industry because many senior have the time to travel, and are willing to spend an apprieciable amount of their income for this purpose. The older market also holds a large share of the country's discretionary income because their children are usually grown and their house payment are complete. Unfortunately, a lack of research seems to exist on the total senior market travel and related travel-specific variables. They concentrate on all forms of welfare of the aged in korea than specific applications to travel and tour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he developments of the old-aged people's travel products, on how the demographic variable factors affects the old-aged people's travel activities an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vel activity patterns of the old-aged for the aging society. I studied the related literature on this subject and conducted my research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of the ole-aged people who are 55-65 years old living in Anyang. The study is composed of six chapter as follow: The first chapter, the purpose and methode of this study and scope were reviewed. The second chapter is concered with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case studies. The main content was strssed on examining the concepts, and the basic frame-work was the establishment of ideology for the aging society and package tour of the old-aged. The third chapter make a comparative study silver travel markat between the actual of domestic as well as international old-aged people. The fourth chapter deals with the factual research plan. The questionnaire is consisted of 22 questions which are broken down 5 questions about demographic variable factor ,8 about propensity tour, 8 about preference degree. The fifth chapter tackles with the analysis of the actual servey result. The sixth chapter is related to the conclusion, and the summary of the study. As a result,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can be made: First, in an aspect of merchandizing, it is necessary to create a travel product that strengthens family relation, make an effort to overcome seasonally through developing a special tourist product according to each season, and enhance the quality of travel product by enforcing travel insurance system. Second, in an aspect of establishing marketing strategies, it is advision to develop advertising strategies focused on information provision, maintain to provide tourism information and post-services for potential customers, put an importance on price markering for elderly, nuture specialists in serving growing silver market.

      • 대학생의 자기애 성향과 분노표현양식, 방어기제유형의 관계

        최승미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성별에 따라 나타나는 자기애의 양상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내현적 자기애 성향자와 외현적 자기애 성향자의 분노표현양식과 방어기제유형의 차이와 그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필요성과 목적으로 본 연구에서 상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대학생의 자기애적 성향은 성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대학생의 자기애적 성향은 분노표현양식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 3. 대학생의 자기애적 성향은 방어기제유형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지역의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302명을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 척도(CNS), 자기애적 성격 검사지(NPI), 한국판 방어유형 질문지(K-DSQ), 한국판 상태-특성 분노표현 척도(STAXI-K)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는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연구 문제에 따라 t-검증, 상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자기애적 성향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 본 결과 외현적 자기애는 남자 대학생이 더 높았고, 내현적 자기애는 성별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대학생의 자기애 성향에 따라 내현적 자기애는 분노억제, 외현적 자기애는 분노표출과 상관관계가 높았다. 그러나 어떻게 예측하는지의 설명력을 살펴보았을 때는 내현적 자기애가 분노억제와 분노표출을 더욱 잘 예측하고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분노조절은 내현적․외현적 자기애에서 뚜렷하게 설명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자기애 성향에 따라 비교적 외현적 자기애는 적응적인 방어유형과 내현적 자기애는 부적응적인 방어유형과 높은 상관을 보였다. 특히 외현적 자기애는 부적응적인 방어유형인 미성숙형과 갈등회피형과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로 외현적 자기애 성향은 성별과 뚜렷한 상관관계를 보이며, 외현적 자기애보다 내현적 자기애가 일상생활에서 좀 더 부적응적인 양상을 보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examines differences in expressions of anger and defense mechanism type between covert narcissists and overt narcissis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1) to investigate some differences of narcissistic personality according to university student's gender, and 2) to find out with which specific problems the narcissistic personalities of university students are displayed in anger expression and defense mechanism type.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ducted 302 students enrolled in four-year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 They conducted a survey about Narcissistic Personality Inventory, Covert Narcissism Scal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Korean Version, Korean Defense Style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sed by means of factor analysis, t-test,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2.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In the examination of the differences in narcissistic personalities according to university student's gender, male students than female students shows higher grades in overt narcissism. But covert narcissism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on gender. 2) According to university student's narcissistic tendency, covert narcissism was strongest anger-out and overt narcissism was strongest anger-in. And anger-control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on overt․covert narcissism. 3) According to university student's narcissistic tendency, overt narcissism was found to be correlated with accommodative defense type and covert narcissism was found to be correlated with maladjustment defense type. Through this research, I found that overt narcissism was to be correlated with gender and covert narcissism was to be correlated with maladjustment life style. Last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were discussed in this study.

      • 공공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 영향요인

        최승미 강릉원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구필요성: 코로나19감염의 폭발적인 확산과 유행으로 감염병 관리를 위한 전담병원 부족의 문제점이 제기되었고, 공공의료 및 보건의료인력 확충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국내 신규간호사의 이직률은 2019년 45.5%로 2015년에 비해 11.6%로 상승하였고, 특히 병원의 규모가 작을수록 간호사의 이직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병원의 경우 83%가 300병상 미만이며, 공공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는 일반 종합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공병원은 인력 수급의 어려움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병원 간호사의 공공서비스동기, 병원조직문화, 직업존중감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공공병원 내 간호사의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의 기초를 마련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서 경기도에 소재한 의료원 6곳 중 4곳(이천, 안성, 수원, 파주)의 공공병원에 근무 중인 간호사 1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연구도구는 일반적 특성, 공공서비스동기, 조직문화, 직업존중감, 이직의도이다. 자료분석은 SPSS 25.0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공공서비스동기, 조직문화, 직업존중감, 이직의도 정도는 평균과 표준편차,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공공서비스동기, 조직문화, 직업존중감, 이직의도의 차이는 t-test,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사후검정은 Scheffé test로 하였다. 집단이 정규성 분포를 이루지 않은 경우에는 Mann-Whiyney U test와 Kruskal-Wallis test를 사용하고, 사후검정은 Bonferroni test로 분석하였다. 공공서비스동기, 조직문화, 직업존중감, 이직의도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고,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으로 연령은 평균 34.26±8.87세, 성별은 여자 116명(93.5%), 남자 8명(6.5%)이었으며, 결혼상태는 미혼 64명(51.6%), 기혼 60명(48.4%)이었다. 최종학력은 전문학사 28명(22.6%), 학사 90명(72.6%), 대학원이상 6명(4.8%)으로 나타났다. 직무관련특성으로 직위는 일반 간호사 98명(79.0%), 책임 간호사 8명(6.5%), 수간호사 이상 18명(14.5%)이었으며, 대상자의 현 근무지 임상경력은 평균 96.35±104.98개월, 3년 미만 51명(41.1%), 3년-10년 미만 40명(31.3%), 10년 이상 33명(26.6%)이었다. 대상자의 총 근무경력 평균 119.72±106.07개월, 10년 이상 48명(38.7%), 3년-10년 미만 45명(36.3%), 3년 미만 31명(25.0%)이며, 근무부서는 병동 61명(49.2%), 특수부서(응급실, 수술실, 중환자실) 49명(39.5%), 외래 및 행정 14명(11.3%)이었다. 평균연봉은 3천만원 미만 47명(37.9%), 연봉 3천만원-4천만원 미만 46명(37.1%), 연봉 4천만원-5천만원 미만 26명(21.0%)이고, 연봉 5천만원 이상 5명(4.0%)이었다. 근무유형에서는 3교대 근무자 90명(72.6%), 상근직 등 34명(27.4%)이었으며, 이직경험은 ‘있음’과 ‘없음’ 62명(50.0%)으로 동일하게 나타났다. 대상자의 공공서비스동기 수준은 평균 3.74±0.50점이었으며, 병원조직문화는 친화적 조직문화 3.63±0.59점, 진취적 조직문화 3.33±0.67점, 과업적 조직문화 3.32±0.67점, 보수·위계적 조직문화 3.58±0.53점으로 나타났다. 직업존중감 수준은 평균 3.99±0.43점 이었으며, 이직의도는 3.06±0.61점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이직의도는 연령(F=7.92, p=.001), 결혼상태(t=3.69, p<.001), 직위(χ=12.59, p=.002), 현 근무지 임상경력(F=8.21, p<.001), 간호사 총 근무경력(F=5.33, p=.006), 근무부서(χ=10.19, p=.006), 평균월급(χ=10.38, p=.021), 근무유형(t=4.07,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직의도는 공공서비스동기(r=-.30, p=.001), 친화적 조직문화(r=-.28, p=.002), 진취적 조직문화(r=-.34, p<.001), 과업적 조직문화(r=-.30, p=.001)와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한 결과 공공서비스동기(β=-.23, p=.046)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12.9%였으며,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5.57, p<.001).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를 통해 공공서비스동기가 공공병원 간호사들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공공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공공서비스동기를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체계적이고 정기적인 공무원 역량강화 프로그램을 통해 공공간호사가 국민의 건강에 대한 사회적 책임과 역할에 최선을 다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추후 공공병원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공공서비스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를 통해 공공서비스동기를 향상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 외상 후 성장 관련 변인의 탐색

        최승미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국내에선 아직 생소한 외상 후 성장 이론을 우리나라 상황에 적용하여 외상 후 성장 관련 변인을 규명하고 외상 후 성장의 임상적 가치를 검증해 본 것이다. 특히 그간의 외상 후 성장 관련 연구들에서 논란의 소지가 있었던 주요 변인들과 외상 후 성장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정신 건강을 비롯한 적응 지표들과 외상 후 성장과의 관련성을 바탕으로, 외상 후 성장 지각이 갖는 임상적 의의를 찾는데 주력하였다. 이를 위하여 다음의 세부적인 목적을 설정하였다. 첫째, 외상 자체의 특성과 인구학적 변인, 개인의 성격 특성 중 희망과 낙관성, 그리고 스트레스 대처 방식을 주요 변인으로 설정하고 각 변인들과 외상 후 성장과의 관련성을 탐색한다. 둘째, 관련 변인들이 외상 후 성장을 예측하는 정도를 평가한다. 셋째, 외상 후 성장의 임상적 의의를 살펴보기 위해 정신 건강 뿐 아니라 신체건강, 기능 수준, 삶의 질 등 적응의 다양한 측면과 외상 후 성장과의 관련성을 살펴본다. 넷째, 외상으로 인한 부정적인 경험으로부터 개인의 건강과 적응을 보호하는 조절 변수로서 외상 후 성장의 역할에 대해 검증해 본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들은 인구학적 변인의 경우, 연령과 종교였으며, 외상 관련 변인으로는 외상의 심각도에 대한 주관적 평가, 그리고 외상 경험에 대한 반복적인 사고였다. 즉, 젊은 사람보다는 나이든 사람에게서, 그리고 종교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서 성장 경험에 대한 보고가 많았으며, 또한 외상의 심각도를 높게 지각하고 그에 대해 반복적으로 사고하는 사람들에게서 외상 후 성장에 대한 보고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격적인 변인에서는 희망과 낙관성이 외상 후 성장의 지각과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스트레스 대처 방식 중 적극적 대처, 고집, 긍정적 비교와 해석, 종교적 추구, 자제 등의 변인이 외상 후 성장과 정적 상관을 보인 반면, 자기 비판은 외상 후 성장의 지각과 대체로 부정적인 관련성을 보였다. 둘째, 상관 분석을 통해 도출된 주요 변인들이 외상 후 성장을 예측하는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연령, 종교, 외상 경험에 대한 반복적 사고와 방안력, 낙관성, 그리고 종교 추구, 긍정 비교, 적극 대처 등이 외상 후 성장을 예견하는 주요 지표로 확인되었다. 셋째, 외상 후 성장을 지각하는 사람들에게서 우울 수준이 유의하게 낮았으며, 건강 평가에 있어서도 하위 요인인 활력, 정신 건강 모두가 외상 후 성장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반면 통증의 감소나 신체 기능의 향상, 사회적 기능의 향상 등의 하위 요인들과 외상 후 성장 사이에는 뚜렷한 관계성을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외상 후 성장의 지각이 외상으로 인한 부정적 경험으로부터 개인이 정신 건강을 보호하는 완충물로서 기능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조절 효과 분석을 실시한 결과, 외상 후 성장을 높게 지각하는 사람들의 경우, 외상 경험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외상 후 성장에 대한 지각 정도가 낮은 집단에게서는 외상 경험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외상 후 성장의 지각이 외상 경험으로부터 심적 안녕감을 보호하는 조절 변수의 역할을 담당함을 볼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갖는 임상적 의의 및 시사점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상 후 성장 개념이 아직은 생소한 우리나라에서 본 연구가 외상 후 성장을 소개하고 관련 변인을 규명하는 초기 시도라는 데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둘째, 기존 연구들에서 논란의 여지가 있었던 연령이나 성별 등 인구학적 변인들과 외상 후 성장과의 관련성에 대해, 다양한 연령 및 계층의 사람들을 포함시켜 일반화의 가능성을 좀더 높일 수 있었다. 셋째, 본 연구를 통해, 외상 후 성장의 지각이 외상 경험으로부터 심리적 안녕감을 보호하는 조절 변수로 작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던 바, 외상 후 성장이 갖는 임상적 가치가 보다 명확하게 규명될 수 있었다. 새 천년을 바라보며 심리학계의 가장 큰 화두로 떠오른 것은 인간의 내재된 본성, 즉 행복을 구현하고 긍정성을 실현하는 경향성을 회복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는 그간 외상 관련 연구나 치료에서 미처 돌아보지 못했던 인간의 긍정적인 본성과 실현화 가능성을 학문적으로 규명하고 임상 장면에도 적용되었으면 하는 바램으로 시작된 연구이다. 이를 기초로 우리 나라에서도 외상 후 성장 관련 연구가 좀더 본격화되고, 통합적인 치료 모델이 개발되어 활성화되기를 희망한다. 주제어: 외상 후 성장, 정신건강, 삶의 질, 스트레스 대처

      • 폴리 도파민으로 코팅된 다공성 PCL/PLGA 복합 나노섬유 지지체를 이용한 마우스

        최승미 부산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생체 면역조직에서는 면역조직 기질세포가 존재하며, 이들은 서로 연결된 3차원적인 그물구조를 형성하면서 그 사이의 공간에 면역세포와 접촉하면서 상호작용을 수행한다. 따라서 생체환경을 모사한 면역세포의 배양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면역세포들이 상호작용할 수 있는 3차원적 면역조직 버팀질세포 뼈대의 구축이 매우 중요한 의의를 지니고 있다. 또한 면역세포의 성장, 분화에 있어서 면역조직기질세포는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따라서 나노섬유 지지체에서 면역세포 배양을 위해서는 면역조직기질세포의 배양이 우선되어야 한다. PCL은 생분해성 고분자로 장기간의 임상실험 결과 생체에 독성이 없으며 생체친화성이 우수한 소재로 확인되어 PLGA 및 poly-L-lactide acid (PLLA) 등과 더불어 조직공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생체재료이다. 또한 PLGA는 봉합 및 인공피부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FDA의 승인을 얻은 제품으로서 생분해성 및 생체적합성이 입증되어 조직공학을 위한 재료로 사용된다. 통상적인 2차원 공동세포배양과 비교하였을 때 PCL 나노섬유 지지체에서 면역조직 버팀질세포가 방사형으로 부착되어 T 세포와 상호작용을 하는데 장점이 더 많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 PCL 및 PCL/PLGA 나노섬유 지지체를 이용한 면역조직 버팀질세포의 3차원 배양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였으며, 이는 향후 3차원적 면역세포 배양기술의 확보와 면역세포의 기능 측정 및 분석법 개발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T cell deficiency may occur in various clinical conditions including congenital defects, cell/organ transplantation, HIV infection and aging. In this regard, developing artificial thymus is recently attracting much attention. To achieve this aim, the development of techniques for 3D culture of thymic stromal cells in combination with thymocytes is necessary because it is known that thymocytes grown only in 3D thymic microenvironment can be differentiated fully to become a mature, immunocompetent T cells in contrast to thymocytes grown in 2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nanotechnology-based 3D culture technique for thymic epithelial cells (TECs), a main component of thymic stromal cells, using nanofiber scaffolds.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 revealed that the pores of both the PCL and PCL/PLGA nanofiber scaffolds were filled with TECs and thymocytes. Interestingly, TECs grown on poly-dopamine-coated scaffolds were higher in number compared to those grown on non-coated scaffolds. In addition, 3D culture of TECs was more efficient in PCL/PLGA scaffolds than PCL scaffolds in both poly-dopamine-coated and non-coated scaffold types. Taken together,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 an efficient 3D culture model for TECs using nanofiber scaffolds, and provide new insight into a novel platform technology to develop functional, biocompatible, three-dimensional scaffolds for 3D culture of thymocytes. This will eventually shed light on techniques for the in vitro development of T cells as well as the synthesis of artificial thymus.

      • 태국 특수학교의 진로·직업교육 운영 실태와 특수교육 관련 전문가의 인식

        최승미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peration status of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in special schools in Thailand and the perception of experts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to understand the needs of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o seek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study, in the case of the survey, a survey was conducted on special teachers at special schools in Thailand from May 3 to August 5, 2021, and the questionnaire was collected to 324 people from 45 schools. Among the retrieved questionnaires, five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ith insincere responses and missing values were excluded. A total of 319 copies were used as final research analysis data. The survey was divided into categories related to the status of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operation, awareness of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support for the implementation of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The total number of questions consisted of 27 questions. The interview survey was divided into questions on the status of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operation, awareness of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support for the implementation of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The total number of questions consisted of 21 questions.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ooking at the operation status of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Thailand does not have an official national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cours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r each special school,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at the school level was provided according to their area and the area of disability of students.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at the school level also had no specific guidelines or grounds for implementation. The number of hours per week of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also differed by school. In addition, compared to attempting various educational activities, there was a lack of guidelines for systematic educational activities.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chooses field-oriented teaching methods such as practical training,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a lack of connection with related institutions. Second,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awareness, both special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experts answered that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are very important to improve daily life functions and independent life function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ird, special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experts had various demands to support the implementation of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in special schools in Thailand. According to the respons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legal basis for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develop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establish an evaluation system, expand facilities and facilities, support special teachers' skills, and establish a community-centered integrated system.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ystematic career and vocational curriculum to improve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in special schools in Thailan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hare a common perception of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through teacher education. It is required to improve the level of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execution by expanding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for the implementation of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본 연구는 태국 특수학교 진로‧직업교육 운영 실태와 특수교육 관련 전문가의 인식을 조사하여 태국의 진로‧직업교육의 지원 요구를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하여 설문조사의 경우 태국 특수학교의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2021년 5월 3일부터 8월 5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45개 학교 324명에게 설문조사지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설문조사지 중 불성실한 응답과 결측값이 있는 설문 5부를 제외하고 총 319부를 최종 연구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설문조사지는 진로‧직업교육 운영 실태, 진로‧직업교육에 대한 인식, 진로‧직업교육의 실행을 위한 지원에 관한 문항으로 나누어 구성하였으며, 전체 문항 수는 27문항으로 이루어졌다. 면담조사지는 진로‧직업교육 운영 실태, 진로‧직업교육에 대한 인식, 진로‧직업교육의 실행을 위한 지원에 관한 문항으로 전제 문항 수는 21문항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직업교육 운영 실태를 살펴보면, 태국은 장애를 가진 학생들을 위한 국가수준 진로‧직업교육과정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특수학교별로 자신의 지역과 학생의 장애 영역에 따라 학교 수준의 진로‧직업교육을 시행하고 있었다. 학교 수준의 진로‧직업교육 또한 구체적인 지침이나 실행 근거가 없는 상태였다. 진로‧직업교육의 주당 시수 또한 학교별로 차이를 보였으며, 다양한 교육 활동을 시도하는 것에 비해 체계적인 교육 활동의 지침이 부족하였다. 진로‧직업교육은 실기중심의 훈련 등 현장 중심의 수업 방법을 택하고 있으나, 관련 기관과의 연계가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진로‧직업교육 인식에 관한 조사 결과 특수교사와 특수교육 전문가 모두 장애 학생들의 독립적인 생활을 위해 일상생활 기능과 자립생활 기능을 향상을 위한 진로‧직업교육은 매우 중요하다는 응답이 많았다. 셋째, 태국 특수학교 진로‧직업교육 실행 지원을 위해 특수교사와 특수교육 전문가들은 다양한 요구가 있었다. 응답 내용을 살펴보면, 진로‧직업교육의 법적인 근거 마련, 진로‧직업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 및 교수학습 방법 개선, 평가체제 구축, 시설 및 설비의 확충, 특수교사의 능력 개발 지원, 특수교사의 업무 경감 요구, 전문 교사 지원, 충분한 예산 지원, 지역사회 중심의 통합 시스템 구축 등이었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태국 특수학교의 진로‧직업교육 개선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진로‧직업교육과정의 개발, 교사 연수를 통한 진로‧직업교육에 대한 공통된 인식의 공유, 진로‧직업교육 실행을 위한 행‧재정적 지원의 확충을 통한 진로‧직업교육 실행 수준의 향상 등이 요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