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시?도체육회 직원의 주도적 성격, 다양성 수용도, 지식공유, 그리고 혁신행동 간의 관계

        최순혁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시·도체육회 직원의 주도적 성격, 다양성 수용도, 지식공유, 그리고 혁신행동 간의 관계를 검증하며, 이를 통해 생활체육과 엘리트체육의 연계 방안에 기여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국 17개 시·도체육회 직원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불성실한 설문지 40부를 제외한 총210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조사는 2018년 1월부터 3월까지 진행하였으며, 시·도체육회 직원 업무회의 방문 및 이메일을 통하여 설문지를 배포·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통계분석 방법은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측정도구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셋째, 주요 변인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주요 변인 간 상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주요 변인 간 구조적인 영향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주도적 성격, 다양성 수용도가 지식공유를 통해 혁신행동에 직·간접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기 위해 부트스트랩 검증을 실시하였다. 상기 통계분석을 진행하기 위해 SPSS 22.0 및 AMOS 22.0을 활용하였고, 유의수준 5%를 기준으로 통계적 유의성 여부를 판단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로는 첫째, 주도적 성격은 지식공유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다양성 수용도는 지식공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주도적 성격은 혁신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다양성 수용도는 혁신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다섯째, 지식공유는 혁신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직원들이 주도적 성격을 가질 수 있도록 적극 권장하고, 다양성 수용도를 높이는 방향을 고려해야 하며, 지식공유를 통해 혁신행동에 이르는 길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finding a connection between sport-for-all and elite sport through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among the local sports council member’s proactive personality, openness to diversity, knowledge sharing, and innovation behavior. The survey was conducted on 250 members of 17 local sports councils, and a total 210 of question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ept 40 unsuccessful questionnaire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January to March of 2018, an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by visiting to local sports council and sending email. The statistical analysis method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frequency analysis was used analyz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co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tools, and Cronbach's α coefficient was calculated to verify the reliability. Third,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major variables,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among the main variables. Fourth,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influences of major variables. Fifth, the bootstrap method was used to verify the influence of proactive personality and openness diversity directly or indirectly on innovation behavior through knowledge sharing. SPSS 22.0 and AMOS 22.0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judged based on the significance level of 5%.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oactive personality has not an effect on knowledge sharing. Second, openness to diversity has an effect on knowledge sharing(+). Third, proactive personality has an effect on innovation behavior(+). Fourth, openness to diversity has an effect on innovation behavior(+). Fifth, knowledge sharing has an effect on innovation behavior(+). In conclusion, it is important to encourage members to take proactive personality, to increase openness to diversity for finding ways to reach innovation behavior through knowledge sharing.

      • 치과 의료서비스의 환자만족도와 병원재이용 의사에 관한 연구

        최순혁 한양대학교 기업경영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치과 병·의원 및 의료 인력 의 증가는 치열한 경쟁을 가져왔다. 한편 경제성장에 따른 소득의 증대와 국민들의 의료 서비스에 대한 지식의 증대, 그리고 의료 서비스와 관련된 소비자 보호운동의 확대 등 치과 병·의원의 서비스품질에 대한 욕구가 다양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의료 서비스 시장도 전통적인 공급자 중심에서 소비자 중심으로 전환되면서 고객들의 편의시설, 친절도 및 진료의 질에 대한 각종 정보를 바탕으로 치과 병·의원을 선택하게 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고객만족을 통한 고객의 유지가 재구매와 좋은 구전을 일으키게 되어 신규소비자의 획득까지도 기대 할 수 있다. 치과 의료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대두되었고 치과 의료 환경이 기존과 비교해 크게 달라졌다. 변화한 치과 의료 환경으로 인해 소비자들이 더 많은 선택대안을 갖게 되어 만족여부에 따라 다른 대안으로의 이동이 보다 수월해졌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치과 의료업계, 특히 비교가능성이 더욱 높은 개인 치과 병·의원에서 고객을 유지하기 위한 문제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는 의료 서비스에서의 고객 유지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여겨지는 변수들에 대한 실증적인 분석을 실시하여 고객의 지각된 서비스품질에 대한 평가가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고객만족이 고객유지, 즉 재이용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에 의해 치과 병·의원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이를 확보하기 위하여 내원환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치과의 시설과 환경, 절차의 편리성, 의료진의 기술, 직원의 친절도, 환자에 대한 관심, 진료결과의 6가지 요인으로 분류하고 환자가 지각하는 서비스품질과 만족도를 조사하고 이러한 만족도가 재이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통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경기도 안양소재의 치과병원 내원환자로 하였으며, 177(남85,여95)명을 연구의 대상으로 하며, 20대에서 70대에 까지 다양한 연령대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2년 4월23일부터 4월29일까지 7일 동안 실시하였으며, 자료수집 방법은 연구자와 연구보조원들이 직접 치과 병·의원을 방문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대상자에게 자기기입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이를 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의료 서비스 수준이 환자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객의 입장에서 긍정적 성과인식이 환자만족에 강한 인과관계를 맺고 있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둘째, 환자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의료 서비스 구성요인들의 영향 관계를 살펴본 결과 치과의 시설과 환경, 치과이용 절차의 편리성, 의료진의 기술과 신뢰성, 진료결과가 좋을수록 유의수준 0.001에 유의하므로 고객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환자의 만족도는(치과의 시설과 환경, 치과이용 절차의 편리성, 의료진의 기술과 신뢰성, 진료결과) 서비스 사후 행동인 재이용의도와 좋은 구전은 진료결과 가 좋을수록 고객의 재이용의도 와 좋은 구전 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이용의사와 이용권유 의사를 증가시키는 것은 치과의 경영에 성패를 좌우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치과 병·의원이 환자의 재이용률 을 높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하며, 양질의 의료 서비스 제공을 통하여 만족도와 서비스 가치, 재이용 의사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서비스 품질 향상에 대한 치과 고객의 욕구는 날로 커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치과 고객을 만족하게 하여 재이용의도, 나아가 충성도를 높일 수 있는지에 대한 치과의 노력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 네덜란드 간척지의 신도시 알미르의 도시조직 변화에 관한 연구

        최순혁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process of the change of urban structure in Almere, a new city of reclaimed land in the Netherlands, which has been continuously planned and constructed from the middle of the 1970’s until now and analyze the change of urban design by times in order to draw suggestions that can be reflected afterwards in urban planning and the newtown development in Korea, in particular, the ones of reclaimed land. The newtown of Almere was the ‘bed town’ of Amsterdam, the neighboring historic city, from the middle of the 1970’s when the city was started to be planned and constructed till the 1980’s. However, it is not a bed town of Amsterdam any more but growing continuously as a self-sufficient city as the target population of the city has been adjusted presently up to 400,000 by 2030 which is far above the initially planned population of 250,000. This was possible because the plan of the newtown was based on improving the life quality of its citizens beforehand and had a goal to create city environment with high quality, for example, the variety and agreeableness of public space and residential environment. In particular,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reclaimed land, unique landscapes are being planned in the city space such as open spaces like water and green spaces, and especially, the water spaces are changing to a familiar space that citizens can approach to actively as a daily life and are also becoming the image and identity of the city of Almere. Moreover, it was possible to draw an active and flexible outline of the city plan to get rid of the old problems of the city found out from experiences from the new city to be constructed by planning and designing the city step by step with a long-term view for about 30 years from 1975 until now. They have planned and constructed the city according to the periodic demand and need as they did not start to develop the large-sized land all at once within a short period but started from a small thing and observed the process of it and then went into the next stage so as to control the rate and content of the development.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precisely the residential areas of Almere planned and constructed in different periods based on the four elements of city structure: the land use, blocks created by building structure and public space, traffic network and street network, and open space. Based on that, the result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were gained and can be summarized in three points as stated below. First, the development of new cities made locally afterwards need be performed in a gradual and progressive manner, not in a collective way, in order to respond to the social change actively as well as flexibly. The reason is that the method of gradual development makes it possible to experience and observe the city constructed beforehand in real and get the city development better directional afterwards. Second, the urban structure, that is, the street network, building structure, green and water spaces should be closely related to one another and planned densely in the city structure. The reason is that the dense street network and small-sized blocks can provide the citizens with various routes in the urban space and diverse activities that can possibly occur in the city. Third, open spaces including water and green spaces should be planned as a space that people can approach to easily in the urban space and experience in daily life. In particular, planning the water space as an element of street space or ‘in front of a house’, not just as an artificial lake in the urban central park, will enhance the variety and quality of city environment. As seen from the street network change or green network change, the water space is being planned having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urban space or urban structure. The three suggestions stated above that can be reflected in planning and developing newtown in Korea, especially, the ones of reclaimed land from now on are the sensible content that anyone would agree. However, they have been gained from the case study of Almere, so it can be said that they have great practical meanings. 본 연구는 1970년대 중반부터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계획?건설되고 있는 네덜란드 간척지의 신도시 Almere 도시조직의 변화과정을 살펴보고, 시간의 흐름에 따른 도시디자인의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앞으로 우리나라의 신도시 특히, 간척지의 신도시 계획 및 개발에 있어서 반영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Almere 신도시는 도시가 계획 및 건설되기 시작한 1970년대 중반부터 1980년대 까지 인접한 역사도시인 암스테르담의 ‘배후도시(Bed Town)’였다. 하지만 현재에는 당초 신도시 계획인구인 250,000명을 넘어 2030년까지 계획인구 400,000명으로 상향 조정 될 정도로 더 이상 암스테르담의 배후도시가 아닌 자급자족형 도시로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이는 신도시 계획에 있어서 먼저 도시민의 삶의 질을 생각하는 도시계획이 밑바탕이 되었으며, 공공공간 및 주거환경의 다양성과 쾌적성 등 질 높은 도시환경을 창조하려는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한 것이었다. 특히 간척지의 특성을 반영하여 물 공간과 녹지공간의 오픈스페이스를 통한 특징적인 Landscape을 도시공간에 계획하고 있으며, 앞으로 물 공간이 생활의 일부로써 적극적으로 다가갈 수 있는 친숙한 공간으로 변화되고 있고, Almere 도시의 이미지와 정체성이 될 수 있도록 도시를 만들어 가고 있다. 또한 1975년부터 현재까지 약 30년간 도시를 장기적인 관점에서 단계적으로 계획?건설함으로써, 경험을 통하여 얻어진 과거의 문제점이 앞으로 계획될 도시에서 해결될 수 있도록 적극적이고 유연한 도시계획의 틀을 만들 수 있었다. 동시 다발적으로 단기간 내에 대규모 토지를 개발하지 않고, 작은 것에서부터 시작하여 그 과정을 관찰하고 다음 단계에 접어드는 방식으로 개발 속도와 내용을 조절하면서 시대적 수요와 필요에 따라 도시를 계획하고 건설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른 시기에 계획?건설된 Almere 도시의 주거지역을 도시조직 구성요소인 토지이용 (Land Use), 건축물에 의한 블록과 공공공간 (Building Structure and Public Space), 교통망 및 가로망 (Traffic Network), 오픈 스페이스 (Open-Space)의 네 가지 항목을 바탕으로 세부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얻은 연구의 결론 및 시사점을 다음의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 째, 앞으로 국내의 신도시 개발은 사회적인 변화에 적극적이고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일괄적인 개발방식이 아닌 단계적이고 순차적인 개발방식이 되어야할 것이다. 단계적 개발방식은 먼저 건설된 도시를 실제로 체험하고 관찰함으로써 앞으로 계획?건설될 도시가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하기 때문이다. 둘 째, 도시조직 즉, 가로망을 비롯한 건축물, 녹지 공간 그리고 물 공간 등이 서로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도시조직 안에서 조밀하게 계획되어져야 한다. 조밀한 가로망과 작은 단위의 블록은 도시 공간 내에서 다양한 이동경로를 제공하게 되며 도시에서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셋 째, 물과 녹지의 '오픈 스페이스(Open Space)'는 도시공간 안에서 사람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고 또한 일상생활에서 체험될 수 있는 공간으로 계획 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물 공간을 도시공원 내의 인공호수 뿐만 아니라 가로공간의 요소나 ‘집 앞’의 물 공간을 계획함으로써 도시환경의 다양성과 질을 높일 수 있다. 즉, 가로망의 변화와 녹지 네트워크의 변화에서 볼 수 있듯이 물 공간 또한 도시공간 혹은 도시조직 사이에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계획되고 있는 것이다. 앞으로 우리나라의 신도시 특히 간척지의 신도시 계획 및 개발에 반영될 수 있는 위의 세 가지 시사점은 누구나가 공감할 수 있는 상식적인 차원의 내용이다. 하지만 Almere 도시의 사례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것이므로 실증적인 차원에서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 신체적 증상과 통증이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최순혁 원광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in and physical symptoms on depressive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Methods: The demographic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177 elderly people living in a small city, excluding 30 who did not respond properly, were analyzed. In this study, we used Alcohol Use Disorder Identification Test(AUDIT-K),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SGDS-K), Patient Health Questionnaire-15(PHQ-15), and Geriatric Pain Measure-Korean Version(GPM-K), Multidimensional Scale Perceived Social Support(MSPSS),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Scale (WHQQOL-BREF). Student-t test and chi-square test were used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depress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Pearson’s correlation test was performed. Results: Of the 147 elderly people, 43 (29.2%) showed depressive symptoms. Among demographic factors for depressive symptoms, there were differences in age(p=0.004), income(p=0.024), marital status(p=0.017), and chronic disease(p=0.002). Among psychological factors, there were differences in MSPSS(p<0.01), GPM-K(p<0.001), PHQ-15(p<0.001), and WHOQOL-BREF(p<0.001).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ge(p<0.05), income(p<0.05), MSPSS(p<0.01), GPM-K(p<0.01). Education, pain, physical symptoms, and social support are all important factors that affect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which accounted for 40.0% of the elderly. Conclusion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ain and physical symptoms on the depressive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Active intervention is required to improve the pain and physical symptoms of the elderly in the future.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신체 증상과 통증이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방법: 일 소도시에 거주하는 177명의 노인 중에서 적절하게 응답하지 않은 30명을 제외한 147명의 자료를 분석하여 인구통계학적, 심리학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심리학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Alcohol Use Disorder Identification Test(AUDIT-K),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SGDS-K), Patient Health Questionnaire-15(PHQ-15), Geriatric Pain Measure-Korean Version(GPM-K), Multidimensional Scale Perceived Social Support(MSPSS),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Scale(WHQQOL-BREF)을 사용하였다. 우울증상의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Student-t test와 chi-square test를 사용하였고 Pearson’s correlation test를 이용한 위계적 회귀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147명 중 43명 (29.2 %)에서 우울 증상이 나타났다. 우울 증상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요인 중에서는 연령(p=0.004), 연소득(p=0.024), 결혼여부(p=0.017), 만성 질환의 유무(p = 0.002) 에서 차이가 있었고, 심리학적 요인 중에서는 MSPSS(p<0.01), GPM-K(p<0.001), PHQ-15(p<0.001) 및 WHOQOL-BREF(p<0.001)에서 차이가 있었다. 또한 노인의 삶의 질은 연령(p<0.05), 연소득(p<0.05), MSPSS(p<0.01), GPM-K(p<0.01)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학력, 통증, 신체 증상, 사회적 지지 모두 노인의 삶의 질에 중요한 영향을 주는 요인들이며, 이들은 노인의 삶의 질 중 40.0%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우울 증상과 삶의 질에 대해 통증과 신체 증상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향후 노인의 통증과 신체 증상을 개선하기 위해 적극적인 개입이 요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