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심환지(沈煥之)의 정치 생애와 벽파 의리

        최성환 ( Choe Seong-hwan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9 大東文化硏究 Vol.105 No.-

        심환지의 정치적 생애는 조정에서 김귀주 가문을 대변하고 홍봉한 가문을 배척한 것으로 요약된다. 그는 일찍부터 노론 남당계 청류의 영수였던 김종수와 정치 의리를 공유하면서도 외척인 김귀주 가문에 한층 경도되어 있었다. 노론 벽파는 정조의 추왕 시도에 적극적으로 반대해 왔다. 영조대 후반 이래 김종수·심환지가 이끌었던 벽파는 추숭 반대론자로 익히 알려져 있었고, 순조대 초반에 노론·소론·청남 일각의 추왕 추진 세력 제거를 주도했던 정파이기도 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조 말년의 노론 벽파를 추숭 반대세력으로 일괄 규정할 수는 없다. 이때 김종수·심환지 등은 정조의 추왕 계획에도 내밀하게 호응하였기 때문이다. 순조 초에는 정순왕후가 황극의 역할을 대행하였으나, 그는 이를 철저히 노론 벽파를 위주로 운용하였다. 김귀주계 벽파의 영수인 심환지는 정순왕후에 편승하여, 정조로 인하여 제어되고 있었던 노론 벽파의 지론을 거침없이 관철시켰다. 살육을 동반한 환국이 조정을 다시 갈라놓았다. 이에 대한 광범한 반발은 정순왕후의 사후 노·소론 시파의 정치 보복을 초래하였다. 심환지는 김종수와 더불어 역적이 되고 관작이 추탈 되었으며, 김귀주계 벽파는 정국에서 완전히 배제되었다. 심환지는 정조대에나 순조대에나 노론 김귀주계 벽파의 정치 의리에 투철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그는 정조의 선세자 추왕 의사를 봉행하고자 하였고, 정순왕후의 선세자 추왕 세력 배척에도 앞장섰다. 그 결과 정조대 후반 화평의 정치에 기여했던 심환지는 순조대 초반 살육의 정치를 주도한 것으로 기억되었다. 이를 심환지 개인의 처신만으로 설명할 수는 없다. 정조에서 정순왕후로 황극이 교체된 것은 심환지의 정치적 일생을 뒤집어 놓았다. 일견 모순되어 보이는 심환지의 정치 생애는 황극의 작용 여부가 대신을 비롯한 신하들에게 얼마나 큰 영향을 끼치는지 잘 보여준다고 하겠다. Shim Hwan-ji(沈煥之)'s political career is summed up as representing the Kim Gwi-joo(金龜柱) family in the imperial court and rejecting the Hong Bong-han(洪鳳漢)'s family. He had earlier shared his political loyalty with the Noron(老論) Namdang(南黨) Cheongryu(淸流) but was more inclined toward the Kim Gwi-joo family. Since the late era of King Yeong-jo(英祖), Kim Jong-soo(金鍾秀) and Shim Hwan-ji have been well known for opposing the king, and they were also leading the elimination of the king's forces in the early days of King Sun-jo(純祖). But It can't be defined Noron Beyocpa(僻派) as opposing from the king in early parts of King Jeong-jo(正祖). At that time, Kim Jong-soo and Shim Hwan-ji responded to King Jeong-jo' plot secretly. The early times of King Sun-jo, Queen Jeong-sun(貞純王后) acted as agent of Hwang-geuk(皇極), but she became to operate the government mainly Noron-Beyopa. Shim Hwan-ji rode on the Queen Jeong-soon, and carried out the political principles of the No-ron's Kim Gwi-joo. Even the slaughter, the imperial court had been re-devided. So the widespread backlash caused political retaliation by No-ron and So-ron(少論)'s Si-pa(時派) after the queen's death. Shim Hwan-ji and Kim Jong-soo became a traitor and was lost government official, and Kim Gwi-joo was completely excluded from the political situation. The replacement of the Hwang-geuk from King Jeong-jo to Queen Jeong-sun has upset Shim's political life. Shim Hwan-ji's seemingly contradictory political career shows how much influence Hwang-geuk's actions have on his subjects, including his deputy.

      • KCI등재

        ‘정조 - 심환지 어찰’과 조선후기 정치사 연구의 전망

        최성환(Choe Seong-hwan) 한국역사연구회 2011 역사와 현실 Vol.- No.79

        It appears that Jeongjo continued to maintain a personal correspondence with a leader of the major political party, in an attempt to make an impact on the dynamics between political forces of the time. The letters exchanged between King Jeongjo and Shim Hwan-ji could be considered as a prime example. The second half of King Jeongjo's reign can be characterized as a period in which several policies were employed in order to help the King abdicate his throne to his successor in the Gapja/甲子 year, and also resolve the issue of posthumously recognizing Prince Sado's status as a 'late king.' It was not until the 20th year of his reign that the exchange of letters between Jeongjo and Shim began. This shows that Jeongjo took Shim's actions and position very seriously, so it was never an odd thing to do for themselves, exchanging letters for many years and discussing issues of personnel matters and also of the "Euli(義理)" politics("moral principles"). It seems that Jeongjo sought to exalt Shim to the highest position of the No'ron(老論) party, in an attempt to 'reform' the existing "Euli Politics." His efforts to exchange views with a well-known political opponent like Shim, exemplifies how the highly developed mechanism of Joseon politics founded upon Neo-Confucianism unfolded itself. Therefore, future studies of the nature and role of their efforts, and not to mention their letters made to each other, should examine the broader picture of politics that existed at the time.

      • KCI등재

        영·정조대 채제공의 정치 생애와 정치 의리

        최성환 ( Choe Seong Hwan ) 한국실학학회 2017 한국실학연구 Vol.0 No.33

        채제공에 대한 연구는 영·정조대 청남 세력의 정치적 동향을 이해하기 위해서 필수적이다. 그동안 정치사에서 채제공계 남인에 대한 연구는 노론 정권과 맞서다가 희생된 남인이라는 대결 구도가 당연하게 전제되었다. 이로 인하여 채제공이 견지한 정치의리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은 채, 정조시기 淸南 세력의 정치 의리는 노론의 신임의리와 대비되는 남인의 임오의리 확립을 강조하는 차원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설명은 신임의리를 확립한 영조와 이를 공고히 다진 정조에게 모두 깊은 신뢰를 받았던 채제공의 정치 의리를 제대로 평가할 수 없게 한다. 영조의 신임의리는 노론이라는 특정 정치 세력의 정치 의리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었고, 정조 역시 신임의리의 확고한 계승을 바탕으로 `영조의 임오의리`를 수정하여 `정조의 임오의리`를 정립하였다. 이러한 의리에 대해서는 당색을 불문한 합의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러한 시각에서 영·정조대 채제공의 정치 의리를 재평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채제공이 강조하고 정조 역시 인정하였던 채제공의 `三大義理`에 주목하여 그의 정치 역정을 조망하였다. 삼대의리란 정조가 채제공의 일생을 평가하면서 인정한 세 의리, 즉 신임의리, 무신년의 의리, 임오의리를 말한다. 본 논문은 채제공의 정치의리 표방과 확립 과정을 해명함으로써 노론·소론위주의 탕평 정국에서 청남의 독특한 입지를 설명하였다. The study of Chae Jae-gong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political trends of the King Young-jo and King Jeong-jo of Chosun dynasty. In the meantime, the study of Chae Jae-gong and his Namin party in the political history has been premised on the confrontation that was against the Noron party`s administration. Therefore, Cheongnam party`s political justice has been explained in terms of emphasizing the Namin`s Imoh-Euli compared with Noron`s Sinim-Euli without analysis of Chae Jae-gong`s justice. However, these explanations made it impossible to properly evaluate the political will of Chae Jae-gong, who had been deeply trusted by both Young-jo, who established Sinim-Euli and Jeong-jo, who made harder. The Sinim-Euli of Yeongjo was not limited to the political ideology of the particular Noron`s political power, and Jeong-jo also set up his Imoh-Euli revised the Yeongjo `s justice based on the firm succession. There was consensus on this principle, regardless of the factional strife From this point of view, it is necessary to reevaluate the Chae Jae-gong`s politic justice in the Young-jo and Jeong-jo. For this purpose, this paper looks at Chae, Jae-gong`s political pilgrims focused on his `three grand Euli` emphasized by himself and acknowledged Jeong-jo. The three grand Euli are Sinim-Euli, Musin-Euli and Imoh-Euli which were mentioned and evaluated by Jeong-jo through Chae Jae-gong`s life. This paper explains the unique position of Cheong-nam in the Tangpyeong situation centered on Noron and Soron by clarifying the process of claiming to advocate and the process of establishment Chae Jae-gong`s political justice.

      • KCI등재

        영ㆍ정조대 충역 시비와 황극의 역할

        최성환 ( Choe Seong Hwan ) 한국사상사학회 2020 韓國思想史學 Vol.0 No.66

        주자는 황극=대중설에 기반한 한대(漢代) 이래의『서경』 「홍범」편 해석을 황극=의리설로 재해석하였을 뿐 아니라, 이전까지 죄악시되던 붕당관에서 탈피하여 군자당이 군주를 적극 설득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주자의 정치론에 따르면, 붕당에 속한 신하들라도 군주와 더불어 정치의리를 적극적으로 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주자의 정치론을 모범적으로 구현한 것이 조선후기의 붕당과 탕평정치이다. 주자의 황극론과 붕당론을 기준으로 영조와 정조대 탕평 정치의 특징을 더 분명히 이해할 수 있다. 영조대 전반기에는 황극을 대중(大中) 곧 중도적 타협으로 이해하였기 때문에 노ㆍ소론 의리의 절충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수 차례의 혼란을 겪다가 절충은 실패하였고, 영조 31년에는 결국 영조의 정통성에 대한 의구심을 완전히 불식하고, 노론의 충과 소론의 역을 확정하는 것으로 귀결되었다. ‘대중’ 탕평이 의리 탕평으로 전환된 것이다. 그러나 충역 의리에 대한 영조의 자신감은 점점 강해져서, 끝내 자신의 후계자를 죽이는 임오화변의 비극으로 이어졌다. 영조대 후반기에는 황극이 독단적인 군극(君極)의 경향을 강화시켰다. 정조는 영조의 황극을 계승하였으나, 주자의 황극론에 입학하여 천극=의리에 기반한 군극을 실현하고자 노력하였다. 정조는 영조가 독단으로 확정했던 ‘영조의 임오의리’를 수정하고, 이에 수반되는 추왕(追王)과 종통 변경까지 시도할 수 있었다. 정조대에는 군주가 천극=군극=황극이라는 중심을 잡고 있었기 때문에, 선명한 의리론을 내세운 붕당들의 경쟁과 군주에 의한 조정 그리고 이전에는 소외되었던 정치 세력까지 가세한 변통이 가능했다. Zhu Xi not only reinterpreted the interpretation of _Seo-gyeong(書經)_ 「Hongbeom(洪範)」 based on ‘Hwanggeuk(皇極)’ = ‘Grand middle(大 中)’ theory, but also argued that virtous men’s faction should actively persuade the monarch by breaking away from having considered faction as a sin ever. According to Zhu Xi's political theory, it is possible for even the officials in faction to actively discuss political principles with the monarch. It was the ‘faction politics’ and ‘Tangpyeong(蕩平) politics’ of the late Joseon Dynasty that exemplifyed Zhu Xi's ideals of politics. Based on Zhu Xi's theory, the characteristics of King Yeongjo and Jeongjo’s ‘Tangpyeong politics’ can be more clearly understood.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reign of King Yeongjo, the Hwanggeuk was understood as a ‘Great middle’, and thus attempted to compromise the rightiousness of ‘Noron(老論)’ and ‘Soron(少論)’. However, the compromise was unsuccessful after many confusion, and in 31st year of King Yeongjo's reign, it resulted to complete elimination of doubts about the legitimacy of King Yeongjo, and confirmation of the loyalty of Noron and the treason of Soron. The ‘Great middle Tangpyeong’ has been converted to ‘Rightiousness Tangpyeong(義理蕩平)’. However, King Yeongjo's confidence in the rightiousness grew stronger, leading to the tragedy of the ‘Imohwabeon(임오화변)’, which eventually killed his successor. In the second half of the reign of King Yeongjo, the Hwanggeuk strengthened the tendency of arbitrary ‘Gungeuk(君極)’. Although King Jeongjo succeeded in King Yeongjo's ‘Hwanggeuk’, he went after the ‘Hwanggeuk’ theory of Zhu Xi and tried to realize the ‘Gungeuk’ based on ‘celestial pole(天極)’ = righteousness. King Jeongjo was able to modify ‘Yeongjo's Imo-righteousness(壬午義理)’, which was confirmed by King Yeongjo on his arbitrary decision, to ‘Jeongjo’s righteousness(壬午義理)’ and even attempet to carry out ‘chuwang(追王)’ and change the Order of royal family. Since King Jeongjo was active on the fair axis of celestial pole(天極) = Gungeuk = Hwanggeuk, it was possible to make changes by the competition of factions and the coordinating of the king joining marginal political forces.

      • KCI등재

        이건창 가문의 당론과 『당의통략』 서술

        최성환 ( Choe Seong-hwan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8 大東文化硏究 Vol.104 No.-

        조선후기 당쟁사 서술을 대표하는 저술인 이건창의 『당의통략』은 ‘소론에 치우치기도 하지만 대체로 공정한 서술’이고 ‘비교적 不偏不黨한’ 당론서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그러나 당파성을 지닐 수밖에 없는 당론서를 공정성이라는 잣대로 평가하는 것은 온당한 접근법이 아니다. 필자는 본 논문에서 『당의통략』이 전제하는 당론의 실체를 부각시켰다. 이는 『당의통략』을 폄하하려는 것이 아니다. 조선후기 정치사의 정당한 이해를 위해서는 『당의통략』의 시각을 절대화하기보다는 훌륭한 당론서들 가운데 하나로 다루어야 하기 때문이다. 조선후기 정치사의 전체상은 조선왕조실록과 같은 正史를 중심에 놓고 제당파의 당론서들을 두루 참조한 후에 그려질 수 있을 것이다. 필자의 분석에 의하면, 『당의통략』은 조선후기 양명학을 계승한 소론 준론 탕평파의 시각에서 조선후기 정치사를 정리한 당론서이다. 아울러 집권 노론 주자학파에 대한 이건창의 부정적 인식은 강화 양명학 특유의 동기주의적 眞假論에 의하여 강화되었다. 그러나 이건창 가문의 소론 준론 탕평론은 영조대의 정치 현실에서는 힘을 발휘하지 못하다가 결국 패퇴하고 말았다. 현실의 성패가 역사 평가의 유일한 잣대는 아닐 터이지만, 『당의통략』을 기준으로는 조선후기 당쟁사의 전개를 합리적으로 설명할 수 없다. 이는 『당의통략』에서 당쟁망국론이 강조될 수밖에 없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건창이 견지한 가치 기준과 정치 현실의 괴리는 『당의통략』을 객관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 반드시 유의해야 할 점이다. Dang-ui-tong-nyak, a book written by Lee Kun-chang representing the writing of the party's history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is considered to be "fair narratives, but mostly fair descriptions" party essay. However, it is not a proper approach to evaluate the party essay on a fair basis. In this paper I highlighted the substance of party theory that is predicated by party politics. For a legitimate understanding of the political history of the late Joseon Dynasty, it should be treated as one of the great party's theories rather than absoluteizing the party's view. According to the author's analysis, Dang-ui-tong-nyak is a book of the political history of the late Joseon Dynast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ang-Pyong. Lee was consistent with his very negative account of the ruling party No-ron. This was reinforced by his unique motiveism made by Yang-Myong-hak, his family studies in Gang-hwa-do. In real politics, however, Soron-Junron-Tangpyongron failed to show its strength in argument and failed to win. We should distinguish the value standard of Lee Kun-chang from a political reality. Dang-ui-tong-nyak has perspective of Soron-Junron-Tangpyongron, that's why it is not reasonable to explain the evolution of the party's history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is is a point that must be careful to objectively understand the political maneuvering of the par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