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웨딩코디네이션 실태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최서진 남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웨딩 코디네이션 실태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최서진 지도교수 : 김춘득 남부대학교 대학원 향장미용학과 본 연구는 최근 5년 이내 예식을 진행한 신부들이 웨딩헤어와 웨딩메이크업, 웨딩드레스, 웨딩포토 등 웨딩 코디네이션 실태와 만족도에 관해 조사하고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소비자들의 신뢰도와 만족도를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조사는 신혼 여성 307명을 대상으로 2016년 8월 15일부터 9월 15일까지 최근 5년 이내 예식을 경험해 본 적이 있는 신혼 여성을 대상으로 총 320부의 설문지 중 307부를 연구 분석 자료로 사용하여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조사 대상자 307명의 빈도분석결과 일반적 특성으로 연령은 30대가, 최종학력은 대졸이, 월 평균 소득은 200~300만원 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예식을 진행한 지역은 시 단위 > 수도권 > 군 단위 > 해외 순으로 나타났고, 웨딩 코디네이션 중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은 웨딩헤어와 웨딩메이크업 > 웨딩드레스 > 웨딩 포토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웨딩 헤어와 웨딩메이크업 실태에 관해 분석한 결과 진행 장소는 연령이 20-30대이거나 예식지역이 수도권인 경우 메이크업 전문샵에서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연령이 40대 이상이거나 예식지역이 시 단위인 경우 웨딩홀 내 뷰티샵에서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식진행 장소를 선택한 이유에 대해서는 시 단위 예식자는 입소문을 통해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수도권의 경우 브랜드나 웨딩업체소개를 통해 선택한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셋째, 웨딩 헤어와 웨딩 메이크업 만족도에 관해 분석한 결과 리커트 5점 척도로 측정된 헤어와 메이크업 만족도는 평균 3.81로 조사되었으며, 메이크업 연출 시 최신 트렌드에 비해 결점커버, 색상, 자연스러움을 가장 고려하는 경우, 가격이 20-30만원 미만인 경우 상대적으로 웨딩 메이크업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결과로 먼저 Bartlett의 단위행렬 점검 결과 χ²=1381.885(Sig.=0.000)이므로 변수들 사이에 요인을 이룰만한 상관관계가 충분하고, KMO의 표본적합도 점검결과 KMO 값이 0.896으로 나타났으며, 공통성 등을 점검한 결과 웨딩 헤어와 웨딩 메이크업 만족도 적재 값이 ±.40 이상으로 나타나 타당성이 확보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신뢰도 .60 이상으로 나타나 신뢰할만한 수준인 것으로 볼 수 있다. 넷째, 웨딩드레스 실태에 관해 분석한 결과 시 단위의 경우 웨딩홀 내 드레스샵에서 준비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수도권의 경우 드레스 대여샵에서 준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웨딩 코디네이션 중 드레스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우 드레스 대여샵에서 준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드레스 비용은 시 단위가 50-100만원 미만, 수도권의 경우 100-150만원 미만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웨딩드레스 만족도에 관해 분석한 결과 리커트 5점 척도로 측정된 전반적인 웨딩드레스 만족도는 평균 3.80로 나타났으며, 연령이 20-30대, 가격이 50만원 미만이거나 150만원 이상의 경우 상대적으로 웨딩드레스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웨딩드레스 만족도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으로 Bartlett의 단위행렬 점검 결과 χ²=941.063(Sig=.000)이므로 변수들 사이에 요인을 이룰만한 상관관계가 충분하고, KMO의 표본적합도 점검결과 KMO 값이 0.845로 나타났으며, 웨딩드레스 만족도의 요인 적재 값이 ±.40 이상으로 나타나 추출되어 타당성이 확보되었으며, coefficient Alpha 값이 .60 이상으로 신뢰할만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웨딩 포토 실태에 관해 분석한 결과 웨딩 포토를 진행한 장소는 대체적으로 웨딩홀 내 스튜디오에서 진행하였고, 촬영비용은 100-200만원 미만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웨딩 포토 만족도에 관해 분석한 결과 리커트 5점 척도로 측정된 전반적인 웨딩 포토 만족도는 평균 3.75로 나타났으며, 비교적 월평균소득이 많을수록 웨딩 포토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웨딩 포토 만족도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으로 Bartlett의 단위행렬 점검 결과 χ²=803.572(Sig=0.000)이므로 변수들 사이에 요인을 이룰만한 상관관계가 충분하고, KMO의 표본적합도 점검결과 KMO 값이 0.854로 나타났다. ‘웨딩 포토 만족도 요인의 적재 값이 ±.40 이상으로 나타나 추출된 요인은 타당성이 확보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coefficient Alpha 값이 .60 이상으로 신뢰할만한 수준인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 결과 웨딩 코디네이션 실태는 예식지역에 따라 진행 실태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웨딩 코디네이션 만족도는 가격이 적정선일 때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예식을 진행하는 소비자인 예비신랑신부는 다른 소비기관에 비해 일회성의 성격이 강해 재방문의 경우가 희소하기 때문에 소비자 만족도는 간과되어질 수 있다. 그러나 결혼식은 일생일대의 중요한 순간으로써 소비자는 상당히 많은 정보를 받아들이고 비교하여 신중히 선택하게 된다. 이로 인한 소비자의 높은 만족은 구전 효과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긍정적인 구전효과는 좋은 마케팅의 수단으로 작용한다. 실제로 본 논문에서 예비신부들이 뷰티샵을 결정할 때 경험자의 입소문으로 결정하는 비중이 높았던 것처럼 구전효과는 나비효과를 불러일으킨다. 따라서 고객 한 사람 한 사람 모두를 만족시키기 위해 업체의 서비스 및 종사자의 세심한 친절과 배려가 요구된다.

      • 음운변동이 일어나는 의미 단어와 무의미 단어에서의 음운규칙 적용 여부에 따른 단어 재인 시 성인의 ERP 성분 분석

        최서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Hangul(Korean language) is a shallow orthography language which spelling-to-sound has a strong consistency. However, there is phonological change which occurs between syllables by phonological rules. Korean children begin to recognize and apply phonological rules before the second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they acquire knowledge of phonological rules throughout elementary school and develop reading and writing skills. According to the Dual Route Model (Coltheart, 2006), the words and non-words using phonological rules activate visual and phonologic pathways, respectively. The words are directly linked from orthography to meaning, while non-words or unfamiliar words activate the phonologic route that process grapheme-phoneme conversion. It is difficult to apply phonological rules to children and adults with dyslexia who have impaired phonologic pathways. They show a great difficulty in processing non-words which need to utilize a phonologic rout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damaged phonological route of the reading disorder group and to study the activation process for the neurological proof of the effective intervention and the therapeutic effect for the reading disorder grou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rom ERP analysis to establish neurological research background, for real time processing of phonological pathway activation in application of Korean specific phonological rules and word/non-word recognition. A total of 28 normal adults aged between 20 and 38 years, who had sufficient experience of applying phonological rules in words, were included. The phoneme judgment task was used to see whether the phonological rule is applied correctly by comparing the pronunciation of auditory word after the visual word was presented. All the stimuli used in the task were two syllable words with phonological rules, with 102 words and 102 non-words. The phonetic rules were applied with auditory stimuli in half of the words, and the other half of the pronunciation was read without applying the phonetic rules. A total of 204 questions were divided into 4 conditions according to the meaning of word and the application of phonological rules. 51 semantic words read by applying the phonological rules, 51 semantic words read without reading by applying the phonological rules, 51 non-words read by applying the phonological rules, and 51 non-words read without applying the phonological rules. The correct response rate (%), the response time (ms), and the average amplitude (㎶) of ERP were measured during the evaluation of the naturalness of the pronunciation. In the behavioral analysi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rrect response rate and the response time depending on the meaning of the word and the application of the phonological rules. Compared to the meaningless words, the words pronounced by applying the phonological rul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both correct response rate and the response time than the ones without phonological rules. This supports the dual route model. It means that in the meaningless word, the ratio of feeling unnatural on reading without applying the phonological rule is lower than in the meaning word. There was a secondary interaction effect between word meaning and phonological rules. In reaction time, no secondary interaction effect was observed. Regardless of the meaning of the words, the gap of the reaction time was similar between applying phonological rules and not applying them. To analyze the ERP components, average amplitudes were compared between 150~300ms, 200~350ms, and 350~500ms time windows. Significantly smaller amplitude of the word than the non-word appeared in 150~300ms and 200~350ms latency windows after auditory stimula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whether phonological rules were applied. The difference in the meaning of the words indicates that the lexical information approached when the visual stimulus is recognized, has continued to be influenced even after the auditory stimulus is presented. In semantic words, the waveform was smaller when pronounced with the phonological rule, than by not applying rule. This suggests that the P200 and N250 components are observed when the prime and the target stimulus are phonologically consistent. In addition, the effect of the secondary interaction between the meaning of word and the application of phonological rules was significant. This seems to be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word and non-word. In the 350~500ms time window, the word had a larger waveform than the non-word. This result is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that pseudo-words cause larger amplitude than words. This is because the tasks used in this study are not lexical decision tasks and the subjects do not focus on semantic judgment. It is assumed that the waveforms related to the semantic processing are disturbed. After the auditory stimulation, the semantic word must bring back the phonological information in the phonetic lexicon, so it is thought that the semantic processing is in progress along with the phonological processing, and that it has continuously influenced the waveform. Words and non-words go through different phonologic routes while word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regularity of the grapheme-phoneme,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judgment time, but the phonological pathway was sha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ful in the following research areas, such as the word recognition and phonological development in children, and the word recognition of the elderly with decreased judgment and low processing ability. It may also be useful in neurologically verifying the therapeutic effect of the reading disability groups. Due to the nature of the task, complicated processes and judgments were made and it was difficult to identify the waveforms that clearly showed the grapheme-phoneme conversion.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xamine the phonological pathway activation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by direct comparison investigation. 한글은 자소와 음소가 일대일로 대응하는 표층표기체계 문자이지만 음절단위에서는 음운규칙에 의해 음운변동이 일어나는 음운변화 현상을 가지고 있다. 한국 아동들의 경우 음운규칙의 인식 및 적용이 2학년 이전부터 시작하여 초등학교 전반에 걸쳐 음운규칙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며 읽기 및 쓰기 기술을 발달시키게 된다(임유진 & 배소영, 2008; 김미배 & 배소영, 2011). 이중경로모델(Coltheart, 2006)에 근거하면 음운규칙이 적용되는 의미 단어와 무의미 단어는 각각 시각경로와 음운경로의 다른 경로를 활용한다. 의미 단어는 철자정보가 곧바로 심성어휘집의 의미정보로 도달하는 반면 무의미 단어 혹은 저빈도 단어는 자소를 음소로 변환시키는 음운경로를 활성화시키는 과정을 거친다. 음운경로가 손상된 난독증 아동이나 실독증 성인의 경우, 자소-음소 변환이 이루어져야 하는 음운규칙 적용에 어려움을 겪으며, 또한 음운경로를 활용해야 하는 무의미 단어 처리 시에 더 큰 어려움을 겪는다(Wagner, & Torgesen, 1987; Landerl et al., 1997; Ripamonti et al., 2014). 따라서 읽기장애군의 효과적인 중재와 치료효과를 신경학적으로 증명하기 위해서는 읽기 장애군의 손상된 음운 경로를 밝히고 그들의 활성화 과정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ERP 분석을 통해 한국어 특징적인 음운규칙의 적용과 의미 단어와 무의미 단어 재인에서의 음운경로 활성화에 대한 실시간 처리과정을 살펴볼 수 있는 기초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읽기장애의 음운경로와 처리과정에 대한 신경학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의미단어의 음운규칙 적용 경험이 충분히 쌓인 만 20세 이상 38세 미만의 정상 성인 28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과제로는 시각 단어 재인 후 연이어 들려주는 청각 단어와의 음운 비교를 통해 음운규칙이 올바르게 적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는 단어판단과제를 사용하였다. 과제 문항에 사용된 단어는 모두 음운규칙이 포함된 2음절 단어였으며, 의미 단어가 102개와 무의미 단어가 102개에 대해 청각자극으로 각각 음운규칙을 적용하여 읽거나 적용하지 않고 읽은 발음을 절반씩 제공하였다. 따라서 총 204개의 문항은 단어의 의미 유무와 음운규칙 적용 여부에 따라 4가지 조건으로 나누어졌으며, 음운규칙을 적용하여 읽은 의미 단어 51개, 음운규칙을 적용하여 읽지 않고 표기 그대로 읽은 의미 단어 51개, 음운규칙을 적용하여 읽은 무의미 단어 51개, 음운규칙을 적용하여 읽지 않고 표기 그대로 읽은 무의미 단어 51개가 포함되었다. 피험자들이 청각적 구어 자극으로 제공되는 발음의 자연스러움 여부를 판단하는 동안 정반응률(%), 반응시간(ms), 그리고 구간별 평균진폭(㎶)을 측정하였다. 먼저 행동분석 결과, 단어의 의미 유무와 음운규칙 적용 여부에 따라 정반응률과 반응시간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의미 단어가 무의미한 단어에 비해, 그리고 음운규칙을 적용하여 읽은 단어가 음운규칙을 적용하지 않은 단어에 비해 정반응률이 높았고 반응시간이 빨랐다. 이러한 결과는 성인을 대상으로 한 음독 연구(이광오, 1996)에서 나타난 결과와 같은 양상이었다. 이는 익숙한 단어를 보았을 때는 자소와 음소를 연결시키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 단어 자체의 어휘목록에 접근하지만 새로운 단어를 보았을 때는 철자와 음운을 먼저 연결시키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는 이중경로모델을 입증한다. 또한 정반응률에서는 단어의 의미 유무 및 음운규칙 적용 여부 간 이차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정반응률의 경우, 이해숙 & 김정오(2003)의 연구에서 음운규칙이 적용되는 단어를 읽을 때 참여자간 발음의 차이가 컸고, 단어보다 비단어에서 읽기 방식의 차이가 더 많이 나타났다는 결과와 같은 맥락으로 볼 수 있다. 반면 반응 시간의 경우 이차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단어의 의미 유무에 관계없이 음운규칙을 적용할 때와 적용하지 않을 때의 반응속도 차이가 비슷했다. 다음으로 ERP 성분을 분석하기 위하여 150~300ms, 200~350ms, 그리고 350~500ms 구간에서 각 조건의 평균 진폭을 비교하였다. 먼저, 청각 자극 제시 후 150~300ms 구간과 200~350ms 구간에서 의미 단어가 무의미 단어에 비해 모두 유의미하게 작은 진폭이 나타났으나, 음운규칙 적용 여부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단어의 의미 유무에 따른 차이는 시각적으로 제시된 단어자극을 재인할 때 접근한 어휘 정보가 청각 자극이 제시된 이후에도 계속적으로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이중경로가설에 의하면 의미 단어를 처리할 때는 시각 단어 재인 시 이미 심성어휘집의 의미 정보에 도달한 후 청각 자극 재인 시 음운정보를 비교하기 위해 음운경로를 다시 활성화시켜야 한다. 반면 무의미 단어는 의미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의미에 대한 처리가 필요 없이 자소-음소 변환 경로 내에 머물러 있음으로써 음운 정보에 대한 활성화가 덜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의미 단어만 따로 살펴보았을 경우, 음운규칙을 적용하여 읽은 조건에서 적용하지 않고 읽은 조건에 비해 더 작은 파형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점화 자극과 목표 자극이 음운적으로 일치하는 경우에 더 작은 파형이 나타난다는 선행연구(Newman & Connolly, 2004; Ashby et al., 2009; Kwon et al., 2011)와 일치한다. 또한 단어의 의미 유무와 음운규칙의 적용 여부 간의 이차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였고 이는 의미 단어와 무의미 단어 간의 차이에서 기인하였다. 의미 단어에서 음운규칙 적용 조건과 비적용 조건의 차이가 무의미 단어에서의 차이보다 유의미하게 큰 것이다. 즉, 의미와 무의미 단어가 각각 음운규칙 적용 여부에 따른 점화효과를 다르게 받고 있는 것을 뜻한다. 청각 자극 제시 후 350~500ms 구간에서는 무의미 단어보다 의미 단어에서 더 큰 파형이 나타났다. N400은 문장 내에서 의미적 오류가 있거나(Kutas & Hillyard, 1980) 점화 자극과 의미적 혹은 음운적으로 연관이 없는 경우(McPherson, Ackerman, Holcomb, & Dykman, 1998), 어휘판단과제에서는 의미 단어에 비해 무의미 단어(Smith & Halgren, 1986)가 활성화 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의미 단어가 무의미 단어보다 큰 진폭을 보인 것은 선행 연구를 토대로 예상한 것과 상반되는 결과로, 이는 본 연구에서 사용된 과제가 의미 판단 과제가 아니므로 피험자들이 의미 판단에는 중점을 두지 않았기 때문에 의미처리 관련 정보가 덜 활성화 된 것으로 추측해 볼 수 있다. 그러나 음운규칙 적용 여부에서는 주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에 N400이 유발되는 처리과정을 순수하게 음운적인 영향만으로 해석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며, 표기나 음운적으로 일치한 경우 N400 진폭이 유발되는 선행연구(Meng et al, 2007; Kwon et al, 2016)의 결과와도 상반된다. 이는 본 연구 과제의 특성 상 청각 자극이 제시된 이후에는 무의미 단어와 달리 의미 단어는 심성어휘집에서 음운정보를 역으로 가지고 와야 하기 때문에 음운 처리와 의미 처리가 동시에 진행되게 되며 파형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음운적 혹은 의미적 처리과정을 순수하게 비교한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동일하지 음운처리와 의미처리가 복합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음운적 혹은 의미적 처리과정을 순수하게 비교한 선행연구들과 동일하지 않은 것 같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정상 성인의 경우 의미 단어와 무의미 단어를 재인 할 때 음운 경로는 다르지만, 자소-음소의 규칙성에 따라서는 판단시간에서 차이가 나타날 뿐, 음운 경로는 다르지 않음을 시사한다. 나아가 본 연구는 음운 규칙이 충분히 발달되지 않은 아동의 단어 재인과 음운경로 발달 과정, 인지능력 노화에 따른 노인의 단어 재인, 그리고 읽기 장애 아동의 단어 재인 연구를 위한 기초 데이터로써 기능할 수 있으며, 읽기장애 군의 치료효과를 신경학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첫째, 과제의 특성상 단순한 자소-음소 전환과정뿐만 아니라 시각 단어를 재인했을 때의 음운과 청각 단어를 재인했을 때의 음운을 비교하여 분석하는 과정이 포함됨으로써 복잡한 처리 및 판단이 이루어져 자소-음소의 전환과정을 순수하게 보여주는 파형을 파악하기 어려운 것이며, 둘째, 음운 규칙이 적용된 단어만을 사용함으로써 음운 규칙이 적용되지 않은 단어를 기초선으로 활용한 비교분석이 어려웠다는 것이다.

      • 놀이치료자의 발달수준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에 의해 조절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최서진 숙명여자대학교 심리치료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놀이치료자의 발달수준, 마음챙김, 심리적 소진 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규명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소재한 아동 전문 상담기관, 복지관 내 놀이치료실, 병원 내 놀이치료실, 대학부설 놀이치료실 등에서 근무중인 놀이치료자 204명이었으며, 상담자 발달수준 척도(KCLQ), 마음챙김 척도, 심리적 소진 척도(MBI), 직무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과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조절된 매개모형은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모두 포함하는 통합적 모형이므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그리고 조절된 매개효과를 차례대로 검증하였다. 각 단계에서 부트스트래핑을 통해 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변인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놀이치료자의 발달수준, 마음챙김, 심리적 소진 간에는 모두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절변인인 직무스트레스와 마음챙김 간에는 유의한 부적 상관이 확인되었지만, 독립변인인 발달수준과는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심리적 소진과 발달수준, 마음챙김, 마음챙김과 직무스트레스 간에는 유의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발달수준과 마음챙김, 심리적 소진과 직무스트레스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놀이치료자의 발달수준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마음챙김의 부분매개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놀이치료자의 발달수준과 마음챙김 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직무스트레스 수준이 낮거나, 평균인 집단에서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스트레스 수준이 높은 집단에서는 조절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넷째, 발달수준이 마음챙김을 통하여 심리적 소진에 이르는 경로에서 직무스트레스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직무스트레스 수준이 낮거나, 평균인 집단에서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스트레스 수준이 높은 집단에서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놀이치료자의 발달수준과 심리적 소진 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 수준에 의해 조절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놀이치료자 심리적 소진의 경감을 위하여 발달수준과 마음챙김 수준을 높이는 것뿐만 아니라,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감소시키는 것 역시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In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mindfulness moderated by job str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velopment level and psychological burnout of play therapists. The 204 play therapists working at child counseling centers and play therapy rooms in welfare centers, hospitals and universities around Seoul and Gyeonggi-do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They have responded to the survey on Korean Counselor Level Questionaire(KCLQ), Mindfulness Scale, Maslach Burnout Inventory(MBI), Job Stress Inventory. For the data analysis, SPSS 25.0 and SPSS PROCESS Macro were used. Also, We validate the effect through bootstrapping at each stage. The main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development level, mindfulness, and psychological burnout of play therapists are significantly related. and job stress and mindfulness are also significantly related. Secon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mindfulness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velopment level and psychological burnout of play therapists. Third, when job stress is low or average, the control effect of job stress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velopment level of play therapists and mindfulness. Fourth, when job stress is low or average, the mediating effect of mindfulness controlled by job stress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velopment level of play therapists and psychological burnout. As a result, this study shows that it is not only important to increase the level of development and mindfulness of play therapists but also reduce job stress to reduce psychological burnout.

      • 칠곡 캠프캐럴 고엽제에 대한 중앙지와 지역지의 뉴스 보도 비교 분석 : 동아일보, 한겨레 신문, 경북일보를 중심으로

        최서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환경 이슈에 대한 일간지의 보도 경향을 파악하고 중앙지와 지역지 간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대상으로 삼은 주제는 2011년 5월에 발생한 칠곡 캠프 캐럴 고엽제 매립에 대한 보도이며 매체는 중앙지는 동아일보와 한겨레 신문을, 지역지로는 경북일보를 선택하였다.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중립적인 논조를 보였고 프레임에 있어서는 갈등, 책임, 정보제공의 비율이 높았다. 한편, 시간이 흐름에 따라서는 게재면이 종합면에서 사회면으로 변하였으며 주된 정보채널은 정부와 전문가였다. 또한 중앙지는 편중된 논조인데 반해, 지역지는 상대적으로 중립적인 논조를 보였고 자치단체가 정보채널로 나타나는 특징을 보였다. 그리고 중앙지에 비해 갈등프레임이 적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is about news trend of environmental issues and has compared the metropolitan newspapers with local ones. The subject is defoliant buried at Camp Carroll, Chilgok-Gun and the media analysed are the Dong-A Ilbo, the Hankyoreh as metro, and the Kyongbuk Ilbo as local. As the result, the overall tone of the press is neutral with the main frames of conflicts, attribution of responsibility and information based on the high ratio. In the view of time history, the articles had moved from general section to social section and the sources mainly consisted of the government and experts. Meanwhile metropolitan newspapers were somewhat biased but local one was on neutral tone and had the local government as the source, with the less conflict frame compared to them.

      • 탄소중립 관련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정부 의제와 언론 의제 분석

        최서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631

        한국의 과학기술 발전에 있어서 국가연구개발사업을 빼놓고 말 수 없다. 과학기술정책 중 하나인 국가연구개발사업은 정부의 과학기술 정책 방향을 반영하고 있다. 과학기술정책에 있어 대표적인 공식 참여자인 정부와 비공식 참여자이지만 강력한 힘을 가진 언론은 양면성을 가진 관계이다. 이에 본 논문은 정부와 언론이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해 어떻게 다루었으며, 탄소중립과 관련된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해 어떠한 속성을 부각하였는지를 의제설정이론 중심으로 분석하고 두 의제 간 어떠한 상관관계가 나타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라 총 5개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 문제 1은 정부와 언론은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어떠한 의제를 구축했는가, 연구 문제 2는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해 정부와 언론 의제 간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연구 문제 3은 정부는 탄소중립과 관련된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해 어떠한 속성의제를 구축하며 시기별, 정권별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 연구 문제 4는 언론은 탄소중립 정책에 대해 어떠한 속성의제를 구축하며 시기별, 정권별로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 마지막 연구 문제는 탄소중립과 관련된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해 정부와 언론의 속성의제는 어떤 상관관계를 보이는가이다. 이를 위해 2020년부터 2023년 8월까지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 경향신문, 매일경제, 한국경제 총 7개 신문과 정책브리핑 자료를 대상으로 내용 분석을 수행하였고 정부와 언론 간 의제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국가연구개발사업 전체에 대한 정부와 언론 모두 탄소중립, 바이오헬스 등을 주요 의제로 구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기별 분석에서는 2020년부터 강조되던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탄소중립 이슈는 2023년에 정부와 언론 주요 의제에서도 모두 20% 미만으로 나타나 다른 시기에 비해 보도 비중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와 언론의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의제를 대상으로 매체 간 의제설정 효과 분석 결과 정권별에서는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정부 의제와 언론 의제가 상호 간 강한 영향력을 끼치며 의제설정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기에 따른 정부와 언론의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주요 의제 대상 매체 간 상관 분석에서는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정부와 언론 의제에서 매체 간 상호 의제설정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탄소중립 관련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정부와 언론 속성의제를 살펴본 결과 정부는 정책활동과 경제성을 크게 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권별로는 문재인 정부에서는 정책활동이 41.0%로 가장 비중이 높고 다음으로 경제성이 29.0%로 나타났다. 윤석열 정부에서는 경제성이 42.6%, 정책활동이 29.8%로 나타나 정권별로 동일 이슈를 대상으로 속성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탄소중립 관련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언론 속성의제에서는 민간 활동, 국제정세, 정책활동 순으로 나타났다. 정권별로 언론은 정권에 상관없이 민간 활동을 가장 부각하였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문재인 정부 시기 언론은 민간 활동 다음으로 정책활동을 강조한 것에 반해 윤석열 정부 시기에는 국제정세를 보다 부각하는 차이가 나타났다는 점이다. 정부와 언론 속성의제 대상으로 매체 간 의제설정 효과를 분석한 결과 정권별로는 문재인 정부 시기 정부 속성의제가 윤석열 정부 시기 언론 속성 의제설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기별 분석 결과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정부와 언론 속성의제 사이에는 매체 간 의제설정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2022년에 일부 매체 간 의제설정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탄소중립 관련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정부와 언론 두 매체 간 의제설정에서 언론의 속성의제가 정부의 속성의제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탄소중립과 관련된 국가연구개발사업을 대상으로 정부와 언론 속성의제를 파악하고 시차 상관 계수를 활용하여 매체 간 상관관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부가 과학기술정책을 수립하고 추진하는 과정에서 언론과 정부가 어떠한 관계성을 맺어야 하는지를 알게 해주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It cannot be said that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s are the only factor in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Korea. The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 which is a part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reflects the direction of the government's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The government, a representative official participant in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and the unofficial participant but powerful media are two-sided. Therefore, this paper analyzes how the government and the media coverd national R&D projects and what properties were highlighted for national R&D projects related to net zero carbon emission, focusing on agenda setting theory, and what correlations appear between the two agendas. A total of fiv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Research question 1 is what kind of agenda the government and the media have established for national R&D projects, research question 2 is what kind of correlation is there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media agenda related to national R&D projects, research question 3 is what kind of attribute agenda the government establishes for national R&D projects related to net zero carbon emission, what kind of difference is shown by period and regime, research question 4 is what kind of attribute agenda the media establish for the net zero carbon emission policy, what kind of difference is shown by period and regime, and the last research question is what kind of correl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media's attribute agenda for national R&D projects related to net zero carbon emission. For the study, from 2020 to August 2023, a total of 7 newspapers and policy briefing data were analyzed and agenda setting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media was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both the government and the media for the entire national R&D project were found to establish net zero carbon emission and biohealth as major agendas. In the analysis by period, the carbon neutral issue for national R&D projects, which had been emphasized since 2020, was found to be less than 20% in both the government and the media in 2023, indicating that the proportion of reporting decreased compared to other period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genda-setting effect between media for the national R&D project of the government and the media, it was found that the government agenda and the media agenda for the national R&D project had a strong influence on each other, and the agenda-setting effect appeared in each regime.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edia subject to major agendas of the government and the media on national R&D projects according to the period, it was found that the mutual agenda-setting effect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media appeared in the government and media agendas from 2020 to 2022.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government and the media's attribute agenda for net zero carbon emission national R&D projects, it was found that the government greatly emphasized policy activities and economic feasibility. By regime, policy activities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 at 41.0% in the Moon Jae In government, followed by economic feasibility at 29.0%. In the Yoon Suk Yeol government, economic feasibility was 42.6% and policy activities were 29.8%, confirming that differences in attributes appeared for the same issue by regime. In the media attribute agenda for national R&D projects related to net zero carbon emission, private activities, international circumstances, and policy activities appeared in order. By regime, the media most emphasized private activities regardless of regime. What is noteworthy here is that during the Moon Jae In government, the media emphasized policy activities after private activities, whereas during the Yoon Suk Yeol government, there was a difference that highlighted the international situation mor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setting the agenda between the media on the government and the media attribute agenda, it was found that the government attribute agenda during the Moon Jae In government had an effect on the media attribute agenda setting during the Yoon Suk Yeol government. As a result of analysis by period,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of setting the agenda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media attribute agenda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media from 2020 to 2022. However, in 2022, it was found that the agenda setting between some media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media attribute agenda affected the government's attribute agenda in the agenda setting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media for net zero carbon emission national R&D projects. This study identified the government and media attributes agenda for national R&D projects related to net zero carbon emission, and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media using the lag correlation coefficient. As a result, it will be helpful in letting the government know what kind of relationship the media and the government should have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nd promoting science and technology policies.

      • 위험감수 정도에 따른 설명가능 인공지능의 추천 설명 방식 제안과 검증 : 금융, 이커머스, 음악 서비스 중심으로

        최서진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With the development of AI, problems such as black boxes continu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at the explanatory method of AI is different for each field divid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risk-taking. In this study, experienced user in the fields of finance, e-commerce, and music were selected as interviewees. The survey and in-depth interview were conducted a face-to-face interviews, and the analysis of results was conducted using Glaser's grounded theory, a qualitative analysis method. After that in finance(the degree of risk-taking : low), what if explanation was preferred. It proposed a recommended explanation with detailed explanation based on personal information and various comparison functions. In e-commerce(the degree of risk-taking : a little high), why explanation was preferred. It proposed a quick recommendation explanation based on accurate data. In music(the degree of risk-taking : high), explanation based on society was preferred. It proposed a convenient, fast, or detailed information-based recommendations. This study classified recommended services according to risk-taking decisions, confirmed that the preferred explanation was different for each field, and suggested the direction of the explanation method. After that, a survey was conducted on 109 people to verify the proposal. As a result, in the case of finance, the preference verification of the proposal and the ‘what if’ explanation method was significant. In the case of e-commerce, the verification results of proposals and preferences were inconsistent, and in the case of music, the verification of preferences between proposals and ‘social base’ and ‘what if’ explanations was significant. The results of a study, financial, e-commerce, and music recommendation servic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risk-taking, and the preferred explanation methods were different for each field, and the direction of the explanation method was proposed and verified. This is intended to be a reference when plann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explanation that can be explained in practice or other studies in the future. 인공지능 기술이 발전하며 인공지능의 블랙박스, 필터버블과 같은 문제가 지속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설명가능 인공지능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었다. 하지만 분야별로 선호하는 설명방식이 다르다는 연구는 부족했다. 본 연구의 목적은 Blais와 Weber가 제시한 위험감수 의사결정에 따라 구분된 분야별 추천 서비스에서 설명가능 인공지능의 추천 설명 방식이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금융, 이커머스, 음악 분야에서 설명가능 인공지능 적용 추천 설명 방식 경험을 상세하게 이해하기 위해 관련 추천 서비스 경험자를 인터뷰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1시간 30분 정도의 대면인터뷰로 심층 인터뷰와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인터뷰 결과 분석은 정성적 분석 방법인 글레이저의 근거이론을 토대로 진행했다. 설문과 심층인터뷰를 분석한 결과, 위험감수 의사결정 횟수가 적은 금융의 경우 ‘what if’ 설명 방식이 선호되었다. 이에 '본인 정보 기반의 자세한 설명과 다양한 비교 기능이 적용된 추천 설명 방식'을 제안했다. 위험감수 의사결정 횟수가 비교적 높은 이커머스의 경우 ‘why’ 설명 방식이 선호되었다. 이에 '정확한 데이터 기반의 빠른 추천 설명 방식'을 제안했다. 위험감수 의사결정 횟수가 가장 높은 음악의 경우 ‘사회적 기반’ 설명 방식 선호가 높았고 '편리하고 빠른 추천과 상세한 정보 기반 추천 니즈가 공존하는 추천 설명 방식'을 제안했다. 이후, 제안을 검증하기 위해 109명의 인원에게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그 결과 금융의 경우 제안안과 ‘what if’ 설명 방식에 대한 선호도 검증이 유의미했고 이커머스의 경우 제안안과 선호안의 검증 결과가 불일치했으며 음악의 경우 제안안과 ‘사회적 기반’과 ‘what if’ 설명의 선호도 검증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위험감수 의사결정에 따라 금융, 이커머스, 음악 추천 서비스를 구분하고 분야별로 선호되는 설명 방식이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고 설명 방식 방향을 제안했다. 이는 추후 실무나 타연구에서 설명가능 인공지능 기반 설명을 기획할 때 참고가 되고자 한다.

      • 청소년의 자동적 사고가 불안에 미치는 영향: 메타인지의 조절효과

        최서진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자동적 사고와 메타인지가 불안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고, 청소년의 자동적 사고와 불안의 관계에서 메타인지가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 서울 및 충청 지역에 소재한 5개 중, 고등학교에 재학 중이거나 2개 사회복지관을 이용하는 중학교 1, 2, 3학년생과 고등학교 1, 2학년생 총 25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청소년의 자동적 사고 중 신체적 위협 인지, 우울 인지, 부정적 메타걱정, 긍정적 메타걱정의 순으로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자동적 사고가 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메타인지는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자동적 사고의 하위 변인인 신체적 위협 인지가 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메타인지의 하위 요인인 긍정적 메타걱정과 부정적 메타걱정은 각각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동적 사고의 하위 변인인 우울 인지가 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긍정적 메타걱정과 부정적 메타걱정은 각각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청소년의 자동적 사고가 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메타인지의 하위 요인인 인지모니터링과 SPR신념은 조절효과를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의 자동적 사고가 메타인지 하위 요인 기준에 따라 불안에 미치는 영향력이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 메타인지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적 개입방법을 모색하고,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ve influence of automatic thinking and metacognition on anxiety, and to examine whether metacognition exhibits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omatic thinking and anxiety among adolescent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255 students attending five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Gyeonggi, and Chungcheong areas, in addition to two social welfare center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irst found that among adolescents' automatic thinking, physical threat perception, depression perception, negative meta-worries, and positive meta-worries affect anxiety in that order. Second, metacognition was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automatic thinking on anxiety among adolescents. Specifically, positive meta-worries and negative meta-worries, which are sub-factors of meta-awareness, were found to have moderating effects on the effects of physical threat perception, which is a sub-variable of automatic thinking. In addition, positive meta-worries and negative meta-worries were found to have moderating effects on anxiety in regard to the effect of depression perception, which is a sub-variable of automatic thinking.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cognitive monitoring and SPR beliefs, which are sub-factors of metacognition, did not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automatic thinking on anxiety among adolescents. This suggests that the influence of adolescents' automatic thinking on anxiety may differ depending on the level of meta-cognitive sub-factors.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anxiety, an effective therapeutic intervention method for metacognition was sought, and suggestions were discussed.

      • 다양성영화 상영 공간 특성 연구 : 멀티플렉스 극장 사례를 중심으로

        최서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Film industry, which is an important part of cultural content industries has been crucial with annually increasing number of the audiences. The number of audiences was over 190 million in 2012 and the year-end profit hit the highest since 2002 up to 13%. In contrast with the growth of film industry, ‘Diversity Film’ such as art films, independent films, documentary films is overlooked as a consequence of comparably small amount of profit. Ignorance of diversity in the film industry, however, may uniform the film industry itself and trigger to threat to cultural diversity. ‘Diversity Film’ has been issued since 2002. Korean Film Council began to name various genres of films such as art films, independent films and documentary films excluding the commercial films in one word as ‘Diversity Film’ to show cultural diversity and uniformity since 2007. There are few theaters to perform the diversity films in Seoul, Incheon and some other areas, but some people who are specially interested in are the audiences. In other words, accessibility and the awareness is not as good as other commercial films. In this situation, two big multiplex theaters guarantee the diversity film screening by running a specialized theater. For example, CJ CGV runs ‘Movie Collage’ and Lotte Cinema owns ‘Arte.’ Screening the diversity films in those big multiplex theaters has huge advantages to increases audiences’ interest into the diversity films, and the audiences approach it comfortably. Thus, screening the diversity films in the multiplex theaters above has significant meaning for the Korean movies. This article is to examine how the diversity films appear in multiplex and what the characteristics are by questionnaire-survey and researching on multiplex theaters’ diversity film screening case-analysis, and to anticipate development in the Korean Film Industry. 문화콘텐츠 산업의 핵심에서 많은 역할을 차지하고 있는 영화는 우리나라에서 해마다 관객 기록을 갱신하며 그 규모를 늘려가고 있다. 지난 2012년에는 전체 관객 수가 1억 9000만을 넘어 섰고, 당해 투자 수익률은 13%로 2002년 이후 최고를 기록했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과는 반대로 다양성영화 즉, 예술영화나 독립영화, 다큐멘터리 등 소위 말하는 작은 규모의 영화는 수익률이 높지 않기 때문에 외면 받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영화에서 다양성이 무시되면 영화의 획일화를 가져올 수 있고, 이는 곧 문화 다양성까지 위협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다양성영화에 대해서는 200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논의가 되기 시작했다. 영화진흥위원회에서는 상업영화를 제외한 나머지 영화들을 지칭할 때 예술영화, 독립영화, 다큐멘터리 영화 등을 각기 하나로 부르기 보다는 문화의 다양성과 통일성을 주기 위해 2007년부터 이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다양성영화를 전문적으로 상영하는 공간은 서울, 인천 등 전국 몇 곳에 있지만 장소의 특성상 관심 있는 사람들만 직접 찾아가서 보는 곳이기 때문에 접근성이 좋지 않을뿐더러 일반 대중들에게는 인지도가 떨어진다. 이러한 상황에서 관객 점유율 1, 2위를 다투고 있는 멀티플렉스 극장인 CJ CGV와 롯데시네마에서는 다양성영화 전문 브랜드인 무비꼴라쥬, 아르떼를 만들어 이러한 영화의 상영을 보장하고 있다. 이렇게 멀티플렉스에서 다양성영화의 상영은 이에 대한 관심을 높여줄 뿐만 아니라 좀 더 쉽고 친근하게 영화에 다가갈 수 있게 해주는 장점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위와 같은 멀티플렉스 극장에서의 다양성영화 상영은 앞으로도 한국 영화에서 매우 유의미 하다고 할 수 있겠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멀티플렉스 극장의 다양성영화 상영 공간의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설문조사와 문헌 사료 조사를 실시하고 직접 극장을 방문함으로써, 기존 상영 공간을 포함하여 다양성영화 상영 공간이 어떠한 특성을 나타내는지 연구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다양성영화는 물론 한국의 영화 발전을 기대해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