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기법송에 대한 고찰 - 석장사지 연기법송의 유입

        최복희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2016 新羅文化 Vol.47 No.-

        Pratityasamutpadagatha(緣起法頌), which is Dharma‐Sarira of Upaya‐Sarira, is recorded in numerous sutras. However, Pratityasamutpadagatha in Yul‐jang and particularly those in Dharmaguptakas Vinaya(『四分律』) and Mahisasakas Vinaya(『五分律』) are prose in style. It is Mahaprajnaparmita‐sastra(『大智度論』) where such prose was transformed into the form of four‐line gatha. From that time one, most of Korean‐version sutra transmitted in the form of four‐line gatha. However the translations of Pratityasamutpadagatha are varied among sutras. These translations were collected and classified into four groups: Group 1 – ‘Sibeopyeongeupjin (是法緣及盡)’; Group 2 – ‘Sidaesamunseol (是大沙門說)’; Group 3 – ‘Iljeoljebeopbon (一切諸法本)’; and Group 4 – Others. Group 1 is related to Mahisasakas Vinaya, and inherits the translations of Mahaprajnaparmita‐sastra. It was handed down by Gil‐jang and Ji‐eui in the 6th century, Dam‐yeon by 9th century, and Ji‐won in the 11th century. Group 2 is related to Dharmaguptakas Vinaya. The reason that Sidaesamunseol was take as the representative term is that ‘Jebeopjongyeongi (諸法從緣起)’ and ‘Jebeopinyeonsaeng (諸法因緣生)’ appear together in the first line, and ‘Jebeopinyeonsaeng’ also appears in Group 1 and this may cause controversies. Group 2 is deeply related to Yi‐jing’s writings, and particularly it was confirmed that Pratityasamutpadagatha in the SukJangsa ruins and the Bowonsa ruins in Seosan belong to this. The first line of Group 3 is ‘Iljeoljebeopbon,’ which is totally different from Group 1 or Group 2, and in Group 4 Pratityasamutpadagatha of 2 lines or 8 lines is observed. There are three theories explaining how Pratityasamutpadagatha was imported to Korea, which argue that it was imported in the 7th, 7th~8th, and 8th century, respectively. However, each of these theories has a problem. The ground for the theory of 7th‐century import is Yi‐jing’s Namhaekigwinaebubjeon(『南海寄歸內法傳』), but we cannot exclude Vinayavastu(『根本說一切有部毘奈耶出家事』). The theory that Pratityasamutpadagatha in the SukJangsa ruins was imported, namely, the theory of 8th‐century import should include not only Yi‐jing’s writings but also Il‐haeng’s Maha‐vairocana Sutra(『大毘盧遮那成佛經疏』) as a material supporting the theory. Lastly, the authority of Pratityasamutpadagatha in Hwangryongsa is rested on Caityapradakṣiṇagāthā(『佛說造塔功德經』), but Pratityasamutpadagatha in Group 4 confirms that it is related to Fayuan Zhulin(『法苑珠林』).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성리학의 ‘감성’ 개념에 대한 고찰

        최복희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20 철학논집 Vol.63 No.-

        The ‘sensibility’ covered in this paper is a term not commonly used in Neo-Confucianism. Although it is not a major category, I would like to introduce an explanation of how the senses and acceptance of the outside world are achieved when explaining the actions of the mind in Neo-Confucianism. I pointed out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explanation of the min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Neo-Confucian scholars' studies. For Zhu Xi, who was in the period of debate about inner and outer culture, Mind theory was an important basis for the theory of internal discipline and practical discipline. He fused static and dynamic discipline into something consistent and unified through Jing. Lee Hwang argued for a cult to strengthen the practical influence of moral nature. So, He tried to prove the manifestation of active and active nature. For him, the realistic mind is governed by moral nature, and the discipline that makes it manifest itself well has practical effect. Strictly speaking, Lee Hwang saw the bal(發) of nature as expression and the bal(發) of temperament as triggering. Unlike Lee Hwang, who argued for "expression" in the sense of bal(發), Lee Yi saw all the actions of the mind as trigger in which Gi(氣) reacts to contact with the outside world. Since the purpose of his studies was the realization of morality in accordance with the realistic forms of existence of the world and human beings, he took an empirical approach to the exploration of the mind not limited to its moral nature. The views of the Neo-Confucianists we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ir studies, but in the process, the exploration of the mind was all an important key, and revealed an important difference in how to interpret the sensibility, in the search of the mind. Thus, although sensibility was not a category that was noted in Neo-Confucianism, I evaluates that the corresponding concepts and interpretations have formed the core of their ideas. 본 논문에서 다루는 ‘감성’은 성리학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용어이다. 주요한 범주는 아니지만, 성리학에서 마음의 작용에 대해 설명할 때 외부세계에 대한 감각과 수용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해명한 내용을 정리해서 소개하고자한다. 필자는 성리학자들의 학문의 목적에 따라 마음에 대한 설명에 차이가 있다는 점을지적하였다. 마음의 내면과 외면 수양에 대한 논쟁의 시기에 있었던 주희에게 있어서 마음 이론은 근본에 대한 내면 수양과 실천에 관련된 일상적 마음 수양을 융합적으로 보아야 한다는 수양론을 설명하는 중요한 기반이었다. 그는 마음의 미발과이발 수양은 상호보완적인 것이고 상호영향을 주는 것이므로, 정적 수양과 동적 수양을 경(敬)의 마음가짐을 통해 일관적이고 통일적인 것으로 융합시켰다. 이황은 도덕적 본성의 실질적 영향력을 강화하고자 하는 수양론을 목적으로 했기때문에,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본성의 발현을 논증하려 했다. 그에게 있어서 현실적인 마음은 도덕적 본성의 지배를 받는다는 것, 본성을 잘 발현하도록 하는 수양이실제적인 효과가 있다는 것을 밝히려고 하였다. 엄밀히 말하면 이황은 본성의 발(發)은 발현, 기질의 발(發)은 촉발로 보았다고 할 수 있다. 발(發)의 의미에서 ‘발현’을 논증했던 이황과 달리, 이이는 모든 마음의 작용을 기(氣)가 외부세계와의 접촉에 반응하는 ‘촉발’로 보았다. 그의 학문의 목적은 세계와인간의 현실적 존재양태에 따른 도덕의 실현이었기 때문에, 도덕적 본성에 국한되지 않은 마음의 탐구를 경험론적으로 접근하였다. 성리학자들의 견해는 그들의 학문의 목적에 따라 전개되었지만, 그 과정에서 모두마음에 대한 탐구가 중요한 관건이었고, 마음의 탐구에 있어서 발(發), 즉 감성을어떻게 해석하는가에서 중요한 차이를 드러냈다. 이에, 감성은 성리학에서 주목했던 범주가 아니었지만, 필자는 그에 상응하는 개념과 해석이 그들 사상의 핵심을 이루었다고 평가한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戴震의 善」에 대한 논평문

        최복희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05 철학논집 Vol.9 No.-

        이호영 박사는 논문에서 대진의 철학을 "중국철학의 원천인 경전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통해 윤리학을 중심으로 체계적으로 세워진 형이상학"이라고 정의하면서, 대진 철학의 목적은 바로 성인, 즉 종래의 성리학에서 말하는 리(理)의 담지자로서의 성인과는 다른 형식의 새로운 도덕적 주체로서의 인간상을 제시하려는 것이었다고 하였다. 이러한 관점으로부터 천도와 인도의연관성을 밝히고, 인간은 신체, 혈기(血氣), 심지(心知)라는 세가지 성질을 공통적으로 지니는 유적 존재로서 다른 동물과는 달리 도덕행위의 주체임을 지적하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