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저산소성 허혈성 뇌손상을 유발시킨 어린 백서에서 Myeloperoxidase 측정 검사

        양혜정(Hae Joung Yang),피대훈(Dae Hun Pee),임지혜(Ji Hye Lim),최병민(Byung Min Choi),이기형(Kee Hyoung Lee),은백린(Baik-Lin Eun) 대한소아신경학회 2002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0 No.2

        목 적 : 예전에는 뇌경색 부위에서 발견되는 백혈구를 단지 뇌손상에 뒤따르는 생리적인 반응으로만 생각하였으나 최근 10년 사이 재관류 손상에서도 백혈구에 의한 염증 작용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지면서 이들의 역할에 대한 연구가 새롭게 이루어지고 있다. PML의 존재는 세포질내 과립에서 분비되는 MPO를 생화학적으로 측정함으로서 증명할 수 있는데 저자들은 미성숙 뇌에서 저산소성 허혈증에 의한 뇌손상이 발생할 때 백혈구가 침윤되는 과정을 MPO 측정 검사를 통하여 관찰하였고, P와 L-selectin 억제제인 Fucoidin을 투여한 후 MPO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방 법 : 생후 7일된 어린 흰쥐를 사용하여 우측총 경동맥을 전기 응고시켜 자르고 8% 산소에 노출시켰다. 저산소 노출 후 회복 시간에 따라 동물을 희생시키고 뇌를 추출하여 뇌조직 1 g당 10mL의 20 mM potassium Phosphate buffer(pH 7.4)를 첨가하여 50초간 분쇄하였다. 각각의 균질회된 조직 샘플들은 4℃에서 20분 동안 원심 분리하여 상층액을 제거한 후, 침전물은 처음 조직량에 따라 조직 1 g당 10 mL의 0.5% cetylditrimethylethyl ammonium bromide(wt/vol)가 첨가된 50 mM potassium phosphate buffer(pH 6.0)를 첨가하였다. Vortex를 이용하여 buffer와 침전물을 잘 섞고 60℃수조에서 120분 동안 방치하였다. 그 후 각 조직 샘플들을 4 watts에서 음파처리하고 4℃에서 15분 동안 원심 분리를 시행하여 상층액을 새로운 tube에 옮겼다. MPO 측정검사를 위한 MPO reaction buffer는 50 mM potassium phosphate buffer(pH 6.0) 100 mL에 0.53 mM odianisidine edihydrochlorde와 0.0005% HO를 섞어 만들었다. MPO reaction solution 2.9 mL에 각각의 MPO sample 0.1 mL을 첨가하여 460 nm의 파장에서 5분 동안 MPO에 다른 흡광도 차이를 관찰하였다. 결 과 : 조직내 백혈구 침윤의 지표로 측정한 MPO 활성도는 대조군에서는 미미하였으나 총 경동백을 절단한 우측 대뇌군에서는 허혈 및 저산소증 유발 후 8시간째부터 현저히 증가되기 시작하여 24시간 경과 후 발현이 가장 높았으며, Fucoidin 50 mg/kg으로 전처치한 약물 실험군에서는 MPO 활성도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결 론 : 백혈구는 미성숙 뇌의 저산소성 허혈증에 의한 뇌손상에서 중요한 매개체 역할을 하며, 백혈구의 생화학적 활성도를 나타내는 MPO 활성도는 저산소성 허혈성 뇌손상의 정도를 측정하는 지표로 이용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Purpose : Neutrophils found around an infarcted area in the brain was once considered as only the physiologic response following the brain injury, but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inflammatory responses by neutrophil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reperfusion injury. The presence of ploymorphonuclear leukocytes(PML) is proven by biochemical assay of myeloperoxidase(MPO) Secreted in the cytoplasmic granules. We observed the process of PML infiltration on hypoxic-ischemic brain injury of immature rats by the assay of MPO activity and changes of the MPO activity after the administration of fucoidin, inhibitor of P- and L-selectin. Methods : We used a well characterized model of the brains of 7 day-old-rats, which had unilateral hypoxic and ischemic injuries(HI). Those injuries were induced by unilateral carotid artery ligation followed by timed exposure to hypoxic inspiratory gas mixture(8% O). MPO activity was measured in the brain tissue homogenates of HI rats(n=18) at 0, 2, 8, 24 and 48 hrs and in rats that received fucoidin immediately before and again after hypoxia(50 mg/kg, n=6) at 8 and 24 hrs. Controls(n=2) were rats with neither hypoxia nor ischemia. The brain samples were homogenized in 20 mM potassium phosphate buffer(pH 7.4) for 50 secs. The homogenate was centrifuged at 14,000 g at 4℃ for 15 mins and the supernatant was discarded. The tissue was pulverized, weighed, and suspended in 1 mL of 50 mM potassium phosphate buffer solution(pH 6.0) contatining 0.5% cetylditrimethylammonium bromide(wt/vol). The tissue was sonicated and centrifuged at 10,000 g for 15 mins. 200 µL of the supernatant was mixed with 1 mL of 50 mM potassium phosphate buffer solution(pH 6.0) containing 10 μL of 1.325 mM o-dianisidine hydrochloride and 170 µL of 3% hydrogen peroxide(vol/vol). Changes in absorbance at 460 nm were measured for 5 mins by using microplate reader. One unit of MPO activity was defined as that degrading 1 µmol peroxide/min at 25℃, and the result was expressed as units of MPO/100 gm tissue. Results : In HI rats, MPO activity increased at 2 hrs after HI and peaked at 24 hrs in the right hemisphere. In rats with fucoidin treatment immediately before and again after hypoxia, the MPO activity significantly decreased in both hemispheres compared with HI rats(P<0.05). MPO activity in the tissue of control rats was insignificant. Conclusion : The dynamic changes of the MPO activity suggest the important role of PMN on hypoxic-ischemic brain injuries in immature rats. MPO activity could be used as an index of the severity of injuries of hypoxic-ischemic brains.

      • KCI등재

        임상 ; 적절한 산전 관리를 받지 않은 임산부와 신생아의 주산기 합병증

        최병민 ( Byung Min Choi ),송영우 ( Young Wooh Song ),신정희 ( Jeong Hee Shin ),윤영선 ( Young Sun Yoon ),정현철 ( Hyun Chul Jeong ),임형은 ( Hyung Eun Yim ),이정화 ( Jung Hwa Lee ),김해중 ( Hai Joong Kim ),홍영숙 ( Young Sook H 대한주산의학회 2010 Perinatology Vol.21 No.4

        목적: 산전 관리는 임산부와 신생아의 건강 증진을 위해 중요한 것으로 우리 나라의 사회 경제적 여건이 개선 되면서 대부분의 임부가 산전 관리를 받고 있지만 아직도 경기도 일부 지역에서는 적절한 산전 관리를 받지 않은 임산부와 신생아가 있으나 이들에 대한 국내의 보고는 없는 실정이어서 이들의 주산기 합병증에 대하여 조 사하였다. 방법: 2004년 1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고려대학교 부속 안산 병원 신생아 중환자실 및 신생아실에 입원한 신 생아의 어머니 중 산전 관리를 3회 이하로 받은 임산부를 대상으로 하여 후향적으로 의무 기록을 분석하였다. 대상 임산부는 106명, 대상 신생아는 107명으로 재태 연령이 부정확한 경우는 새로운 발라드 법을 이용하여 재 태 기간을 추정하였다. 이들에 대하여 임산부의 분만력과 주산기 합병증을 조사하였고 신생아의 인구역학적 특징과 주산기 합병증, 선천성 기형 및 사망률을 조사하였으며 본원 의료 사회사업팀에서 연계한 의료 지원에 대 하여 알아보았다. 결과: 대상 임산부는 2004년도에 12명이었고 2005년도에 14명, 2006년도에 9명, 2007년도에 15명, 2008 년도에 28명, 2009년도에 28명으로 최근에 적절히 산전 관리를 받지 못하는 임산부와 신생아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를 보였다. 임산부의 주산기 합병증으로는 조산이 35명(33.0%), 빈혈 20명(22.9%), 조기 양막 파수 15 명(17.2%), 융모양막염 14명(16%), 태반 조기 박리 6명(6.8%), 다발성 질벽 열상 6명(6.8%), 전자간증 4명 (4.5%)이 있었다. 신생아의 주산기 합병증으로 미숙아가 44명(41.1%)이었으며 이중 재태 기간 28주 미만의 미 숙아는 7명(6.5%)이었다. 저체중 출생아는 44명(41.1%)으로 극소 저체중 출생아 17명(15.8%),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 7명(6.5%)이었다. 대상 신생아 중 재태 연령 34주 미만의 미숙아 26명에 대하여 같은 기간 동안 적절히 산전 관리를 받았던 임산부에게서 출생한 재태 연령 34주 미만의 미숙아 52명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여 이들의 주산기 합병증에 대하여 비교한 결과, 적절한 산전 관리를 받았던 임산부에게서 태어난 미숙아에 비해 대상 미 숙아들의 호흡곤란 증후군의 발생이 더 많았고(P =0.044), 부당 경량아가 더 많이 태어났으며(P =0.038), 3단계 이상의 뇌출혈 또한 유의하게 더 많이 발생하였다(P =0.040). 또한 선천성 기형아와 사망아의 비율도 높았으며 특히 전전뇌증(holoprosencephaly)이나 Beare-Stevenson 증후군과 같이 생존율이 매우 낮은 기형아의 출생 도 있었다. 대상 환아 중 37명(34.5%)이 입양 기관으로 이송되었고, 1명은 아동보호시설로 퇴원하였으며, 13명 (12.1%)은 보호자의 경제적 사정으로 보건소, 재단, 교우회, 시청 등에서 진료비 지원을 받았다. 결론: 본 연구에서 적절한 산전 관리를 받지 않는 경우 임산부와 신생아의 주산기 합병증의 이환율이 증가하고 임산부의 사회경제적인 여건으로 인하여 사회적 부담도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이들은 대부분 저소득층 및 미 성년자와 같은 소외 계층으로 국가에서 운영하는 보건소의 무료 산전 관리 프로그램의 혜택을 받지 못했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야간 및 주말에도 산전 관리 진료를 운영하는 등의 실질적인 국가 정책의 활성화와 소외 계층 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홍보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된다. Objective: With improvement in the social and economic states of Korea, most of the pregnancies have been appropriately examined but there are a few mothers and newborns who have not received proper prenatal ca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bstetrical and neonatal complications resulting from inadequate prenatal care.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107 neonates who had received prenatal care lesser than 3 visits and admitt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of Korea University Ansan Hospital from January 2004 to December 2009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Obstetrical complications, neonatal gestational age, birth weight, neonatal complications were analyzed. We compared neonatal complications of the inadequate prenatal care group and those of the adequate prenatal care group lesser than 34 weeks` gestational age neonates. Results: In obstetrical complications, there were twenty women with anemia, fifteen cases with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and fourteen chorioamnionitis. In neonatal complications, there were forth-four premature infants, and forty-four low birth weight infants.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small for gestational age, severe intraventricular hemorrhage were more common in the inadequate prenatal care group than the adequate prenatal care group. Thirty-seven infants (34.5%) were sent to the adoption agency. Fifty infants (46.6%) received medical expense support by the social service. Conclusions: Obstetrical and neonatal complications and social burden were increasing when the pregnancies had not received adequate prenatal care. To reduce perinatal complications of mothers and neonates in low socioeconomic classes, practical nation`s policies and social supports for adequate prenatal care should be provided.

      • KCI등재후보

        경기도 안산 지역 중·고등학생의 두통에 관한 연구

        최병민(Byung Min choi),김영준(Young Jun Kim),은백린(Baik Lin Eun),박상희(Sang Hee Park),독고 영창(Young Chang Tockgo) 대한소아신경학회 1995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2 No.2

        연구 배경 : 두통은 인간이 일상 생활에서 흔히 경험하는 증세 중의 하나이다. 최근 미국에서 실시된 역학 조사 결과 인구의 90%이상이 두통을 경험하였으며, 외래나 응급실로 내원한 환자의 1%이상이 단지 두통을 주소로 내원하는 것으로 나타나 두통은 의사들이 흔히 경험하는 증상 중의 하나이지만 그 감별 진단이 어려워 두통이야 말로 의사들의 두통거리의 하나이다. 우리나라 청소년들에 있어서도 두통은 흔한 증세 중의 하나이지만 아직도 이에 대한 체계적인 정보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경기도 안산 지역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두통에 관한 역학조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경기도 안산 지역 중·고등학생 3575명(12-18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편두통을 포함한 두통의유병율, 두통의 양상(빈도, 발현, 기간, 특징, 위치, 심한 정도), 발현 시기, 동반된 증상, 치료 유무, 심한 정도), 발현 시기, 동반된 증상, 치료 유무, 두통으로 인한 생활 장애, 그리고 가족력 등을 조사하였다. 결 과 : 1) 한번이라도 두통을 경험한 학생은 80.7%였고 남학생의 77.5%, 여학생의 83.7%로 여학생이 더 많았다. 지난 1년간의 두통 유병율과 최근 4주간의 두통 유병율은 각각 61.7%, 42.2%였고, 어학생에서 유병율이 높았으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유병율이 증가하였다. 2)두통 경험의 반도는 1달에 한번 이상 경험하는 학생이 44.1%, 일주일에 한번 이상에서 더 많았다. 매일 두통을 경험하는 학생은 23.7%였으며 모두 여학생에서 더 많았다. 매일 두통을 경험하는 학생은 1.9%였다. 3)두통의 지속 시간은 30분 이내가 44.0%로 가장 많았고 1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는 34.9%, 12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는 2.0%였다. 남녀별 두통 지속시간의 차이는 업었으나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두통의 지속 시간은 길었다. 두통을 주관적으로 자각하는 정도는 남녀 차이가 없었으나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두통의 정도가 심하였다. 두통으로 인해 무기력해지는 객관적인 지표를 보면 두통을 경험한 학생중 14.5%가 두통으로 인해 결석 혹은 지각이나 조퇴를 한 경험이 있었고 남학생에서 더 많았으나 연령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4)두통으로 인해 한번이라도 병원을 방문하여 진찰이나 검사를 받은 경험이 있는 학생은 두통을 경험한 학생의 10.6%였고, 지난 1년 간 두통으로 인해 병원을 방문한 학생은 2.9%, 최근 4주간은 1.8%로 소수에 불과하였다. 보통 두통이 있을 때 77.1%가 약을 복용하지 않고 참고 견딘다고 하였으며 약물을 복용하는 학생은 22.9%였다. 약물을 복용하는 학생 중 57.3%가 자기 자신이 선택한 진통제를 복용하였고 약국에서 약사의 처방을 받은 학생은 36.6%, 병원에서 의사의 처방을 받은 학생은 1.4%에 불과하였다. 두통으로 약물을 복용하는 경우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다. 5)편두통의 증세를 보인 학생은 총 280명(7.8%)이었고 남학생의 6.1%, 여학생은 9.4%로 여학생이 더 많았다. 최근 4주간의 편두통 유병율은 6.1%였고 역시 여학생의 유병율이 높았으며 연령이 증가함에 따른 유병율의 차이는 없었다. 편두통의 증세를 보인 학생 중 복통이 있는 학생이 57.5%였으며 여학생에서 더 많았다. 오심 구토가 있는 학생은 58.6%, 박동성 두통은 37.1%, 일측성 두통은 61.8%, 잠을 자고 나면 회복되는 양상은 62.5%, 가족력이 있는 경우는 45.0%, 그리고 시각, 지각, 혹은 운동성 전구증상이 있는 학생은 59.6%였다. 결 론 : 저자들은 이번 조사를 통하여 청소년기의 많은 학생들이 두통을 경험하고 있으며 대개 나이가 듦에 따라 그리고 여자에서 그 비율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당수에서 편두통의 증세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외에도 두통에 관한 여러 가지 자료를 분석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이번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청소년들의 두통에 대해 보다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더욱 더 체계화 된 연구가 조사가 계속 되길 바란다. Background : Headache remains one of the most common medical complains in human life. In recent epidemiologic study. 80%-90% of Americans have headaches and of all visits to physicians' offices and emergency rooms, slightly more than 1% are primarily for headache. Although headache is a common medical complaints in adolescence in our country, there is little information about the prevalence and distribution of headache in high school students. Method : In cross-sectional study, 3575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12-18 years old) in Ansan, Kyungki-do, Korea were investigated for prevalence of serious headaches(including migraine), characterizing of pain(frequency, onset, duration, character, location, severity), time of onset, associated symptoms, medical care utilization, associated disability due to headache, and relation to family history by questionnaire. Result : 1. A lifetime history of one or more headaches was reported by 80.7% of all students. 61.7% and 42.2% of students reported that their most recent headache occurred within the previous 1 years and the previous 4 weeks, respectively. Within each age group, female students reported a higher prevalence of headaches than male students for shorter and for longer intervals. 2. frequency of headaches which was one or more a month was reported by 44.1% of students. Frequency of headaches which was one or more a week was reported by 23.7% of students. 3. The proportion of students whose headache lasted 30 minutes or less was 44.0%. The proportions of students whose headache lasted 1 hour or more and 24 hours or more were 34.9% and 2.0%, respectively. Duration increased directly with increasing age in each male and female group. Mean estimated intensity of pain for the subject's most recent headache did not vary by sex, but increased with increasing age. School absence(used as an objective measure of disability) that resulted from a subject's headache was 14.5% of students. Reported disability was pronounced among the male students. 4. Among the students who reported one or more headaches. 89.4% had never consulted a physician for a headache-related problem but only 10.6% had consulted. 1.8% had consulted a physician within previous 4 weeks. The proportion of students who sought medication for headache is 22.9%. Only 38.0% of students who sought medication use for headache was prescribed medicine by physician and pharmacist. The proportion of medication use decreased with age. 5. Using the definition described previously herein for migraine, prevalence was 6.1% in males and 9.4% in females. 4 weeks prevalence was 6.1% of all students. Female students reported a higher prevalence of headaches than male students. Symptoms or associated findings of migraine were abdominal pain(57.5%). nausea or vomiting(58.6%). throbbing headache(37.1%). unilateral headache(61.8). relief following sleep(62.5%). positive family history(45.0%), and associated aura(59.6%). Conclusion : In a survey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we found that many students had experienced headache. The prevalence of headache is higher in female students than male students and increased with increasing age of the student. More population based prevalence studies must be necessary to proper management of headache in adolescents.

      • KCI등재후보

        천연물 유래 Th2 케모카인 억제제 발굴에 의한 새로운 아토피 피부염 치료기술 개발 : 아토피 피부염 모델 NC/Nga 마우스에서 고삼 추출액의 억제 효과

        정승일,최병민,윤용갑,이장원,장선일,Jeong, Seung-Il,Choi, Byung-Min,Yun, Young-Gab,Lee, Jang-Won,Jang, Seon-Il 대한한의학방제학회 2009 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 Vol.17 No.1

        We investigated the inhibitory effect of an oral administration of a Sophora flavescens Aiton ethanol extract (SFE) on the development of atopic dermatitis (AD) by using NC/Nga model mice. The induction of atopic dermatitis-like lesion was conducted by the removal of the back hairs and topical application of a mite antigen (Dermatophagoides farinae, Df) on to the back skin twice a week for 8 weeks. SFE was orally administered at a different doses (100-400 mg/kg). Atopic dermatitis-like skin lesions were evaluated by dermatitis scores, skin histology and immunological parameters (serum levels of IgE, TARC/CCL17, MDC/CCL22, and CTACK/CCL27). Oral administration of SFE significantly inhibited the clinical sign of Df-induced atopic dermatitis, including dermatitis score and leukocyte infiltration. Moreover, SFE suppressed significantly the serum IgE and Th2 chemokine (TARC/CCL17, MDC/CCL22, and CTACK/CCL27) levels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oral administration of SFE could reduce significantly the clinical signs and Th2 chemokines in Df-induced atopic dermatitis model mice. Therefore, SFE may be effective substances for the management of AD in human.

      • KCI등재후보

        The Diagnostic Value of Clinical and Radiologic Findings in Children after the First Episode of Acute Pyelonephritis

        김지혜,김미정,최병민,유기환,홍영숙,이주원,Kim Ji Hae,Kim Mi Jung,Choi Byung Min,Yoo Kee Hwan,Hong Young Sook,Lee Joo Won Korean Society of Pediatric Nephrology 2005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9 No.2

        목 적 : 본 연구에서는 급성 신우신염으로 진단 받은 환아에서 여러 임상 증상 및 검사 결과와 방사선학적 검사에서 확인된 신실질 손상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DMSA 신 스캔, 신장 초음파, IVP, VCUG 등의 방사선학적 검사의 유용성과 방사선학적 검사의 결과에 따른 환아들의 임상 증상 및 검사 소견을 비교 분석하였다. 방 법 : 1998년 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열성요로 감염으로 처음 진단되어 입원 치료받았던 환아 115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들은 DMSA 신 스캔, 신장 초음파, IVP, VCUG를 포함한 방사선학적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각 검사의 양성률을 통하여 그 유용성을 비교하였다. 또한, 환아들의 연령, 성별, 발열 기간, 원인 균, 혈액학적 소견(백혈구 수, CRP, ESR)을 방사선학적 검사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연령에 따라 1군(1세 미만)과 2군(1세 이상)으로 분류하였으며, 각 군간의 검사 양성률 비교를 위해 chi-square test를 이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결 과 : 방사선학적 검사 중 DMSA 신 스캔이 가장 높은 양성률을 보였다(DMSA 신 스캔 46$\%$, 신장 초음파 32$\%$, IVP 28$\%$, VCUG 22$\%$, P<0.05). 환아의 발열 기간, 백혈구 수, 원인균은 방사선학적 검사 결과와 관련이 없었으나 CRP, ESR이 DMSA 신 스캔의 양성률과 밀접한 관계를 보였다. 연령별로 비교했을 때 1군에 비해 2군에서 DMSA 신 스캔 양성률이 증가하였으며 (1군 40$\%$, 2군 79$\%$, P<0.05), VCUG 역시 2군에서 녹은 양성률을 보였다(1군 16$\%$, 2군 50$\%$, P<0.05). 그러나 신장 초음파와 IVP는 각 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성별로 비교했을 때 남아에 비하여 여아에서 DMSA 신 스캔 및 VCUG의 양성률이 높았으나(DMSA; 남아 39$\%$, 여아 67$\%$, VCUG; 남아 15$\%$, 여아 43$\%$, P<0.05) 신장 초음파와 IVP는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 급성 요로 감염에 이환된 환아는 신손상 여부의 확인을 위하여 DMSA 신 스캔을 시행하는 것이 가장 도움이 되며, DMSA 신 스캔과 VCUG의 이상은 여아와 2세 이상에서 양성률이 높으므로, 이와 같은 경우에는 이 두 가지 검사를 반드시 시행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Acute pyelonephritis is one of the most common causes of unexplained fever in children. It may lead to the development of progressive renal damage. However, the deteclion of acute pyelonephritis can be difficult, especially in infant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agnostic value of various lab tests and imaging studies for acute renal parenchymal changes in children with APN. We correlated the clinical and laboratory manifestations of acute pyelonephritis with the Imaging studies. Methods : We reviewed the records of 115 children (85 males and 30 females) who were hospitalized Outing the period of January 1998 to December 2002 with initial clinical symptoms suggestive of pyelonephritis. The patients' age, sex, duration of fever, laboratory findings, and causative organisms were compared with the findings of imaging studies (Technetium-99m dimercaptosuccinic acid renal scan, renal ultrasonography, intravenous pyelography, voiding cystourethrography). Results : No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febrile days, leukocyte count, causative organism, and the renal abnormalities in the imaging studies were observed. On the other hand, both C-reactive protein and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levels were significantly elevated in children with positive dimercaptosuccinic acid renal scan. Furthermore, females and children older than 1 year presented with significantly higher rate of abnormal dimercaptosuccinic acid renal scan findings and vesicoureteral reflux presented by voiding cystourethrography. Conclusion : We recommend females and children older than 1 year who are suspected of acute pyelonephritis be evaluated carefully for renal involvement by performing imaging studies including dimercaptosuccinic acid renal scan and voiding cystourethrography. (J Koroan Soc Pediatr Nephrol 2005;9:201-21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