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논문 : 바타이유의 비정형성 이론에 의한 크라우스의 포스트모더니즘 조각 비평

        최병길 ( Byung Kil Choi ) 한국동서철학회 2011 동서철학연구 Vol.59 No.-

        바타이유는 초현실주의 운동에 가담했지만, 관념론 미학과 단절하고 유물론을 옹호했다. 그는 자신의 이론을 니체에게서 출발했으며, 뒤르켐과 드 사드의 사상도 수용했다. 또한 그는 변증법적 유물론에 반발하고 저급한 유물론을 주창했다. 바타이유의 이론은 비정형성 개념에서 만개하는데, 그 개념으로써 포스트모더니즘 미술의 정의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 것이다. 크라우스는 이러한 바타이유의 비정형성 이론을 포스트모더니즘 미술에 적용하여 그린버그의 모더니즘과 형식주의 이론의 한계를 극복했다. 그리고 그 대안으로 수평성 개념, 저급한 유물론 개념, 박동 개념, 엔트로피 개념을 제시했다. 결과적으로 크라우스의 포스트모더니즘 조각비평에 있어서 바타이유의 비정형성 개념이 주가 되고 있지만, 그녀는 그것에 만족하지 않았다. 따라서 그녀는 다양한 학자들의 이론도 수렴하여 위의 네 가지 개념으로 정리함으로써 포스트모더니즘 조각의 다양성을 설명하려고 노력하였다. 그녀는 포스트모더니즘 미술이 완료형이 아니라 진행형임을 상기한다. 포스트모던 사회의 제 현상이 상호 복잡하게 뒤엉켜 있으며, 지속적으로 진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 조각비평도 과거처럼 단일의 척도로 접근하는 것은 이미 그 한계에 부딪치고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 That G. Bataille defended materialism in order to be separated from the idealistic aesthetics after joining A. Breton`s Surrealism movement is the starting point of his theory. The origin of a discord between the two was derived from heterology, and he searched for its answer from F. Nietzsche. The concept was to use for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the people who belong to the border area in society. He also introduced E. Durkheim`s element by comparing the supernatural, spiritual life with the worldly one. And he paid attention to the accused share, the other without hope, within the dominant social order, discussing de Sade`s use value. And then Bataille advocated base materialism, reacting against dialectical materialism. It has a dualistic character, which is defined as a waste like spittle. Bataille`s theory is in full bloom in the concept of the informe. From the standpoint of this theory, he rearranged the art history ranging from the prehistoric art to the modern art. In particular, dilating on upon the concept of the informe in Documents that he founded, he suggested a new direction on the definition of the Postmodernism art. R. Krauss, applied Bataille`s theory of the informe to the contemporary art and developed a systematic theory, overcame the limitation of C. Greenberg`s Modernism and Formalism. She, escaping from the standpoint of interpreting the surrealistic artworks with S. Freud`s theory, used the psychoanalytical understanding of impulse and unconsciousness more and more through Structuralism theory, Bataille`s theory, etc. In effect, she became to suggest the concepts of horizontality, base materialism, pulse, and entropy. In conclusion, in logical development of a big theme, Krauss`s critique of Postmodernism sculpture, Bataille`s theory of the informe is central. But it is not enough to explain the varieties of Postmodernism sculpture only with his theory, for the expression subject or content in art, especially in sculpture, are also persistently varied more than the past, just as most of the phenomena in the postmodern society are intermingled with each other. If so, to approach with a single measure like the past in case of the critique of Postmodernism sculpture is seen as bumped against a limitation. And so Krauss`s attempt to develop her own theory with adding the above three concepts to Bataille`s concept is very noteworthy.

      • KCI등재

        푸코의 현대미술 비평: 근대성 개념과 마네의 회화

        최병길 ( Byung Kil Choi ) 한국동서철학회 2012 동서철학연구 Vol.63 No.-

        푸코는 프랑스의 철학자로서 정신의학에 흥미를 가지면서 합리적 이성의 독단적 논리성을 비판하고 소외된 비이성적 사고, 즉 광기의 진정한 의미와 역사적 관계를 해부했다. 그는 보들레르의 근대성 개념을 수용하면서도 태도라는 용어로 현재 시점을 예리하게 파악하는 의지를 강조했다. 그것은 칸트의 계몽 개념과 맞선 것이었다. 푸코는 또한 보들레르가 승인했던 예술의 배타적 특권을 거부함으로써 예술 공간을 좀 더 완전한 역사적 존재론 내로 끌어들이고자 원했다. 그 기준점은 근대성 개념 아래서 궁극적으로 사물의 외관을 초월하여 절대를 바라보는 안목으로서 그것을 근대인의 태도에서 찾으려 했다. 하지만 그에게 근대인은 부정적인 존재였다. 따라서 고고학을 끌어들여 언어적 연구와 혼동될 수 없는 진정한 표현형식을 찾고자 했다. 그는 재현을 15세기 미술, 고전미술과 다각도로 대조하여 마네의 회화가 실재를 분열했다고 보았다. 그럼으로써 근대 이전의 관습이었던 창조성과 광기 사이의 밀접한 관계에 맞서려 했다. 고고학의 관점에서 광기가 창조성으로 향하는 길은 아니라고 파악했기 때문이다. 푸코의 이러한 방법론은 판정의 미학에서 해석의 미학으로의 전환이었다. 따라서 니체의 계보학으로 서구미술을 조망하면서 근대성이 재현과 양립할 수 없으며, 그 가치와 분포의 치환이 일어나야 한다고 판단했다. 한편, 마네는 재현 방식을 수정했던 인상주의의 선구자로 거론되지만, 푸코는 그것보다는 20세기 회화에 미쳤던 그의 영향을 고찰했다. 앞선 2세기 동안의 기독교 미술의 주제를 연구하면서 당대의 주제를 설정하려는 의도에서였다. 그는 플로베르와 마네가 공통 인식한 19세기의 새로운 상상력이 풍부한 공간에 주목했다. 이 과정에서 그는 철학의 개념들을 비이상화하려 했으며, 그 방법론의 하나는 문서보관소 개념의 연구를 통한 것이라 보았다. 이러한 관점에서 푸코는 마네가 재현의 조건들을 타블로 그림에 병합시킴으로써 서구의 회화 관습을 변화시켰다고 판단했다. 따라서 그림의 물성을 피할 수 없는 감상의 대상으로 전환시키면서 그림의 구조를 하나의 사물로 간주하도록 요청했다. 또한 마네가 허구적인 조명을 캔버스의 외부로부터 나오는 실제 광선으로 대체했던 15세기의 방식에도 주의하도록 요청했다. 끝으로 푸코의 문서보관소 개념에 의하면 마네의 <풀밭 위의 점심식사>와 <올랭피아>가 훌륭한 계보를 갖고 있다. 앞선 걸작들의 왜곡에도 불구하고 불멸성이 인정되며, 역사적인 보물로 인식될 수 있다. 또한 그것들도 수 세기가 지나면 기억될만한 가치가 있다. As a French philosopher, M. Foucault, later with an interested in psychiatry, criticized the dogmatic logic of rational reason, and dissected the isolated irrational thinking, i. e. the mania`s real meaning, with his historical relationship. He, although accepted the concept of modernity by C.-p.Baudelaire, accentuated a will to sharply grasp the present with a term attitude. It was against the concept of enlightenment by I. Kant. Foucault, by also refusing the exclusive privilege of art granted by C.-p.Baudelaire, wished to induce the artistic space into a more complete historical ontology. The datum point was a discerning eye ultimately to see the absolute beyond the object`s appearance under the concept of modernity, which he attempted to find out from the modern man`s attitude. But the modern man, for him, was a negative being. Thus he wanted to discover a true expression form which is not confused with linguistic research with an introduction of archaeology. He, by a multi-pronged comparison of representation with the 15th century art and classical art, saw that E. Manet`s paintings split the reality. By doing so, he wished to stand against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and mania, a custom before the modern times. For he saw that mania does not lead to creativity from the standpoint of archaeology. Foucault`s methodology as such was a transfer from the aesthetics of taste to that of interpretation. Thus he, reviewing the western art with Nietzsche`s genealogy, judged that modernity cannot be compatible with representation, and the replacement in its value and distribution must be taken place. One hand, E. Manet is said as a forerunner of Impressionism who modified the representational method, but rather Foucault studied his influence upon the 20th century painting. He had an aim to establish the contemporary theme in the course of studying the theme of Christian art during the previous two centuries. He focused his eyes upon a new imaginative space of 19th century commonly cognized by G. Flaubert and E. Manet. In this process, he tried to unidealize the concepts of philosophy, one of whose methodologies was seen through a research of the concept of archive. From this viewpoint, Foucault saw that E. Manet changed the custom of western paintings by merging the conditions of representation with tableau paintings. Thus he, transforming the materiality of paintings into an unescapable object of appreciation, requested to regard a painting`s frame as an object. And he also demanded to be attentive to the 15th century style that E. Manet substituted the fictional light for the real light flowing from the outer space of canvas. In closing, the concept of archive by M. Foucault will lead us to say that E. Manet`s Le Dejeuner sur l`Herbe and Olympia have an excellent genealogy. In spite of their transformation of previous masterpieces, their immortality is approved, and can be recognized as a historical treasure. And the imitated artworks as such would be valuable of memory after several centuries.

      • KCI등재

        슈비터스의 콜라주에 나타난 색채이론의 활용에 관한 연구

        최병길(Choi, Byung Kil) 서양미술사학회 2021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55 No.-

        본 논문은 슈비터스의 콜라주에 나타난 색채이론의 활용에 관한 연구이다. 그는 하노버 출신의 화가로서 1909-1914년 시기에 드레스덴의 왕립미술아카데미를 졸업한 후 1948년에 타계할 때까지 30여 년 동안 콜라주 등의 매체로 다양한 창작활동을 전개했다. 본 논문에서는 그의 콜라주에 나타난 색채이론의 활용에 관한 연구를 잠재기(1915-1917), 예비기(1917-1920)와 만개기(1920-1948)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다. 잠재기에 그는 표현주의 화풍으로 많은 풍경화를 제작했다. 그는 초기에 당시 독일 인상주의의 스케치 중심 표현방식을 활용했지만, 후기에는 표현주의의 주관적 표현방식으로 전환하였다. 여기서 그가 관심을 보였던 점은 물감의 물성, 붓 터치, 색상의 변주, 촉감, 강도 등 화면구성에 필수적인 요소들과 기법에 관한 것이었다. 그는 왕립미술아카데미 학생 시절부터 1917년 입체주의, 미래주의에 이르는 추상으로 전환하기 전까지 색채의 여러 속성에 관한 이론, 실기 연구를 수행했다. 예비기는 베를린 소재 데어 스튜름 화랑과의 유대를 바탕으로 그의 독창적인 다다 콜라주로서 메르츠 예술을 차츰 정착해가는 시기였다. 그는 그 재료를 현대 산업사회에서 배출되는 쓰레기, 폐품 등에서 찾았으며, 파괴예술에서 창작예술로 반전시키는 메르츠 미학을 확립했다. 그리고 그는 메르츠 미학에 단색조의 채색기법을 활용하면서 낭만주의 이념을 이식하였다. 만개기의 초기에는 입체주의, 그리고 구성주의와 데 스틸의 채색기법을 수용했다. 특히 후자에서는 색채 환원주의가 주된 관심사였는데, 그는 수용과 거부를 반복하면서 색채 대조 등의 채색기법으로 자신만의 독특한 화면구성을 확립하려고 노력하였다. 그 후 노르웨이와 영국으로 망명하게 된 1930년대 이후로 그는 물감과 붓을 활용하면서 자유로운 분위기의 콜라주를 제작하였다. The paper is to study the utilization of color theories in Schwitters’ collages. He developed various creative activities with medium of collage, etc. for over 30 years after graduated from Royal Academy of Art, Dresden, from 1909-1914 to his death at 1948. I studied it by diving into Latency Period (1915-1917), Reserve Period (1917-1920), and Full Bloom Period (1920-1948). In Latency Period, he produced many Expressionistic landscapes with sketch-centered technique of German Impressionism, but, later transferred to the subjective method of Expressionism. He keenly attended to the elements and techniques-physicality of paint, brush strokes, color’s variation, tactility, intensity, etc. In Reserve Period, he gradually settled down Merz art as creative Dada collage tied with a trend at Der Sturm Gallery. He searched for that material from modern society’s trash, and established Merz aesthetics to reverse from destruction to creation. In Full Bloom Period, he firstly accepted coloring techniques of Cubism, and later, Constructivism and De Stijl. Especially, in the latter, he repeated to accept and refuse the popularized reductivism of colors, and finally he endeavored to establish his own composition with color contrast. Then taking asylum in Norway and England after the 1930s, he freely made collages with pigment and brush.

      • KCI등재

        사진작가 버긴의 초기작업(1967-76년): 그 이론적 근거에 대한 비평

        최병길(교수) ( Byung Kil Choi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3

        영국의 개념미술 사진작가인 버긴은 1960년대 후반부터 미니멀리즘과 개념미술의 영향을 받아 문자를 기반으로 1971-76년 사이에는‘사진-텍스트’로서 복잡한 사회기호학적 구조를 가진 사진예술을 선보였다. 그 작업에서는 작업의 제작과정과 지시사항을 기록하는 등 사진과 문학을 동시에 표현영역으로 활용해나갔으며, 특히 관람자의 심미적 대상들의 지각이라는 현상학적인 문제를 집중적으로 연구했다. 그것은 자본주의 대중문화의 이미지와 문자가 유통시키는 주류 이데올로기의 제시와 재현에 주목한 결과였다. 그 이후로는 사회주의 리얼리즘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러시아 형식주의의 수용으로 나아갔다. 왜냐하면 그는 그 사조에서 소쉬르의 언어구조를 문화적 재현의 형성과 기능에 연관시켰던 점에 주목하면서 미술작품의 형식과 내용을 공히 고려하는 이론을 전개해나갔기 때문이었다. 그것은‘심리학적 구조로서의 사진예술’의 영역으로 전개되었다. 이러한 버긴의 사진예술 이론은 미술작품의 목적이 콘텍스트나 관람자와는 무관하게 그 자체의 텍스트나 매체를 자율적으로 반영한다는 그린버그의 모더니즘론을 반대한 것이다. 그는 일상의 다양한 이미지들과 텍스트 안에 숨겨진 이데올로기, 즉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암호와 실천을 재현하는 사진예술을 창작해낸 것이다. 그러한 그의 사진예술 이론은 개념미술과 사진예술의 간극을 좁혔으며, 사진예술을 단순한 재현 수단이 아닌 현대사회의 다양한 이미지들을 표현하는 중요한 매체로도 인식하게 만드는데 크게 기여했다. An English conceptual photographic artist, Victor Burgin(1941- ), established his practice and theory of Conceptualism in opposition with Clement Greenberg(1909-94)’s theory of Modernism. The initial stage of his work as such was formed on the basis of letters that were influenced by Minimalism and Conceptualism which were begun from the era of the 1960s. Practice and theory during that period were‘Photography as socio-semiotic structure’, in which Burgin simultaneously used photography and literature through a writing of the processes and indexes of the work. In this period, he zealously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work and the spectator, influenced by Morris’s Minimalism, that is, the phenomenological problem such as the spectator’s recognition of aesthetic objects, and theorized it in his Situational Aesthetics. He paid attention to the correlation of the artwork with the spectator, in opposition with the concept of autonomy, etc. from Greenbergian Modernism. And, the work between the year of 1971 and 76 showed photography having a complicated socio-semiotic structure as‘photo-text’. It implies attention to presentation and representation of dominant ideology that images and letters of the mass culture circulate. And he suggested in his Photography Practice and Art Theory the methodology to attempt a systematically semiotic approach to criticize the disease of capitalism. Then, through a book such as Thinking Photography, he transferred to the perspective that his photography became a system of social sign so that his theory of photography became part of universal theory on representation. He put stress on the art’s function, and emphasized that any artistic activity can be isolated from the code and work of a society which contains it. He became to pay attention to Social Realism in the debate over Russian avant-garde that took place in winter 1971, which resulted in the acceptance of Russian Formalism. Attending to have connected Saussure’s linguistic structure with forming and function of cultural representation in that art style, he developed a theory considering both the form and the content of an artwork. In conclusion, Burgin’s theory of photography was different from Greenberg’s theory of Modernism that the purpose of artwork autonomously reflects upon its own text or medium regardless of context or spectator. Namely, he various images and ideology hidden within the text of the daily life, namely, he led his work of photography to the direction to represent the political, the economical, the social, the cultural code and practice. And at the same time, by systematizing the theories adequate to that works, he eliminated the distance between modern art and photography, and also he greatly served for transforming photography into an important medium which makes it possible for the expression of various images, not as a means of mere representation.

      • KCI등재
      • KCI등재

        연구논문 : 포스트모던 미술의 정체성을 위한 마네의 <올랭피아> 해석

        최병길 ( Byung Kil Choi ) 한국동서철학회 2011 동서철학연구 Vol.61 No.-

        마네의 <올랭피아>는 졸라나 보들레르에 의하여 그 형식적, 기법적 특성들이 열거되었고, 근대성이라는 대명제 아래서 관람자의 태도 변화나 자각이 요청되었다. 졸라는 또한 그 작품의 특성을 예술가의 측면에서 비전의 정확성과 처리의 단순성으로 요약했으며, 예술가적 기질이 탄생시킨 명암 법칙의 섬세한 관계성과 정확한 관찰, 건조하지만 매력적인 우아한 표현에 찬사를 보냈다. 그런가 하면 보들레르는 당대 예술가의 임무를 논하면서 마네처럼 중산층의 취미를 반영해야 한다고 피력했다. 끝으로 졸라는 형식주의자 노선의 근본 가설로 시각적인 대상의 자율성을 거론하면서 물감의 물질적인 사실성을 강조했다. 반면에 드니는 시각적 자율성, 그리고 물질적 현존성, 희화적 관습과 표현의 자기충족성을 주장했다. 그러한 형식주의 계보는 30년대 이후부터 바를 거쳐 그린버그와 프리드에게서 절정에 이르렀는데, 모더니스트 회화에서 환영주의를 배제하면서 회화의 본질로 회귀하는 것을 그 근본목표로 설정했다. 그것은 형식주의 미학이 구상에서 추상으로의 전이과정에서 하나의 비평방법론으로 제시된 것을 의미한다. 그런가 하면 80년대 이후에는 포스트모던 미술에서도 마네의 작품에 대한 재평가가 시도되고 있다. 그것은 모던 미술이 과거의 전통에서 벗어났던 방법론을 포스트모던 미술이 하나의 방법론으로 활용하려는 의도로 비쳐진다. 결과적으로 모던 미술에서 유래한 형식주의 미학은 미술사를 점진적인 발전으로 용인하는 가운데 포스트모던 미술에서 새롭게 조명되는 전기를 가져왔다.

      • KCI등재

        아동의 융합적 창의성 향상을 위한 "문학-미술-과학"

        최병길 ( Byung Kil Choi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학문화전시디자인연구소 2014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5 No.-

        본 연구의 전반부에서는 ‘문학-미술-과학’의 쌍방적 관계성을 논했으며, 후반부에서는 ‘문학-미술-과학’통합교육 프로그램의 이론적 방안을 모색하였다. 전반부의 경우, 문학과 미술은 공히 자연모방, 실재재현을 지향하면서도 ‘시는 그림처럼’이라는 명제처럼 상대방의 특성을 자신 발전의 방편으로 활용했다. 따라서 감성적, 심미적 측면을 강조하는 양자에게서 상상력의 역할은 매우 중요했다. 문학과 과학의 관계성을 보자면, 문학적인 상상력이 과학자의 과학적 태도, 자연 현상에 대한 과정론적 인식에 영향을 미쳤던 반면에, 과학적인 지식은 문학가의 예지에 영향을 미쳤다. 미술과 과학도 감성과 이성처럼 대립적 관계에 있지만, 상호 특성을 교환하면서 공통적으로 실재의 본질을 탐구했다. 피카소의 입체주의가 뢴트겐의 X선투시에서, 그리고 달리의 초현실주의가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에서 영감을 받은 것은 좋은 예이다. 후반부의 경우 이러한 문학, 미술과 과학의 쌍방적 특질을 토대로 ‘문학-미술-과학’ 통합교육과 창의성이라는 맥락을 고찰한다. 첫째, ‘문학-미술-과학’ 통합교육의 의미에서는 도구주의 개념의 도입과 함께 창의적 사고를 생성할 수있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기존의 좌뇌 중심의 교육방식이 우뇌 계발의 소홀과 더불어 창의력 증진의 장애요인이 되었다. 따라서 통합교육으로 인간의 심의능력을 조화롭게 발전시키는 것이 모름지기 전인교육임을 알았다. 둘째, ‘문학-미술-과학’ 통합교육의 목표에서는 그교육의 실현을 위하여 흥미 위주의 낭만주의적 관점에서 벗어나 학습자의 일상과 관련시킨 교육, 즉 수리, 과학, 언어, 사회, 미술 등의 교육내용을 통합적으로 다루는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을 선택했다. 셋째, ‘문학-미술-과학’ 통합교육의 방안에서는 프로그램에 아동이 스토리텔링 기법의 문학적 자료로부터 얻는 자유로운 상상력으로 미술 기법들을 활용하면서 조형작업을 진행해나가는 과정의 장점을 설명하였다. 그 과정은 첫째, 우뇌 중심의 시각훈련을 통하여 직관이나 정서를 단계적으로 학습한다는 것이며, 둘째, 좌뇌와 우뇌의 균형 잡힌 개발의 하나로서 좌뇌로부터 우뇌로의 전이를 왕성하게 지원하는 창의적 미술교육을 시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창작과정은 결국 드로잉을 통한 우뇌 활동을 왕성하게 해주는 과정으로서 심미적 상상력과 창의성을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낳을 수 있다고 확신한다. In the first part of main subject, I discussed the respective mutual relationships among literature, art and science, and in the second one, I endeavored to find the theoretical method of Literature-Art- Science Integrated Education Programs. As for the first, both literature and art not only direct towards the imitation of nature, representation of reality, but also utilized the partner`s character as a method for its own development like a thesis, Ut picture poesis. Thus the role of imagination was very significant for the two laying stress upon the emotional, aesthetic aspect. Literature and science affected reciprocally. For example, literary imagination affected a scientist`s scientific attitude and processional cognition toward the nature`s phenomenon, and on the contrary the scientific knowledge did a writer`s sagacity. Art and science are in a confronting relationship like emotion vs reason, but they mutually exploited the essence of reality, exchanging individual each other. It is a good example that Picasso`s Cubism was influenced by Rontgen`s projection of X-ray or Dali`s Surrealism by Einstein`s theory of relativity. And both the artist like Lichtenstein and the physicist like Newton investigated the essence of nature. As for the second one, one of Literature-Art- Science Integrated Education Programs, I studied the methods for generating the creative thinking with an introduction of a concept of instrumentalism. And the existing educational style centering upon the left side of the brain resulted in a careless illumination of the right side of the brain, which was discovered as a preventing factor from creativity advancement. Thus, I realized that to develop properly human-being`s deliberative capacities with integrated education is nothing but an all-round education. I selected Reggio Emillia approach as a method for realizing such an education, which is deviated from the interest-oriented Romanticistic approach, and syntagmatically dealt with the education related to the student`s daily life, which contain the contents of arithmetic, science, language, society, art, etc. In closing, children are supposed to proceed with their plastic workings, using the artistic techniques with free imagination obtained from the literary data of storytelling technique in Literature-Art- Science Integrated Education Programs. Firstly, this process implies to learn intuition or emotion step by step through a right brain-centered visual training. Secondly, it implies to endeavor a creative art education actively supporting a transition from left brain to right brain as one of balanced development between left brain and right brain. In brief, this creative process is to activate the activity of right brain by drawings, and it is certain to evoke an effect that can maximize the aesthetic imagination and creativity.

      • KCI등재

        벨팅의 예술종언론과 현대미술의 기술 방법

        최병길 ( Byung Kil Choi ) 한국동서철학회 2010 동서철학연구 Vol.58 No.-

        19-20세기로의 전환기 예술가들은 창작의 목표를 대상의 모방적 정확성에 두었지만,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이것은 예술사의 본성에 의문을 제기함과 동시에 재현적인 정확성의 목표도 포기하도록 이끌었다. 그 상황을 반영하는 학설들은 제들마이어의 근대예술비판론, 그리고 벨팅, 후쿠야마, 단토, 모건, 쿠스피트로 이어지는 예술종언론이었다. 벨팅은 자신의 『예술종언론?』 후반부에서 바자리의 『예술가열전』을 분석하면서 예술의 역사적 발전, 그리고 추후의 예술사 저술의 발전에 미친 영향을 시험했다. 예술이 르네상스로부터 지속된 전통적인 예술사학자들이 수행한 규범적 판단의 문맥 속에서 시험되기보다는 차라리 현재에 유행하고 있는 태도들의 문맥 속에서 시험되어야만 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가 당시에는 결정적인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다가 2000년 이후에야 현대미술의 전개를 당대의 다양한 문화사적, 인종사적, 더 나아가서는 인류학적 맥락에서 기술되어야 한다는 주장으로 전환하고 있다. 그는 새로운 전형을 제안하기보다는 차라리 개별적인 작품들에 대해 관심을 늘릴 것을 권유한다. 그가 고민 끝에 제시한 예술사 방법론은 이미지 이론과 형상인류학이었다. 결론적으로 그는 지구촌의 시대에 부응하여 인류학을 예술사학에 끌어들임으로써 그 학문의 지평을 전 세계적으로 확장하고 있는 것이다. Hans Belting, through an examination of Vasari`s Lives of the Artists in the second-half of his The End of the History of Art?, inspected the influence upo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art, and the development of subsequent writings of art history. It implies that any kind of art history which does not take into consideration the contemporary art practice, function and experience is ultimately inadequate. For art must be considered not from the canonical judgment persistently pursued by traditional art historians in the Renaissance period, but from the attitude in vogue recently. Various art movements produced since the modern times were a worldwide trend beyond the limits of race or region. Thus it would be compulsory to avoid a method to discuss an art form that belonged to a country or cultural network like the Renaissance period. The pivotal theme of his The End of the History of Art? was to attempt to discover a method for overcoming the separation of modern art history from the contemporary art practice and experience. What is meant by his book is not an end of that discipline, but that of a special concept such as art-historical development as a continuity of meaningful and developing history. It was to grope at a methodology to write about an art form after modernism, proceeding in a pattern quit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past. Well, Belting advises us to increase our concern on individual artworks rather than to propose a new type. For he saw the unprecedented variety of modern art. His final methodology of art history was image theory and Bildanthropologie. For instance, the images that he suggested with Video art were real and fictional ones, that is, which speaks for the phenomenon of modern culture. He grasped a methodical motif for writing about modern art by establishing a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Belting is endeavoring to write about modern art with Video art, just as Danto`s attempt to write about modern art with Pop art, who argued the end of art in a voice as same as him. Additionally, he is expanding the horizon of that discipline worldwide, by inducing anthropology into the realm of art history in accordance with globalization. From that sense, his innovative art history could be called a broad-sense art history or image art history or anthropological art history.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