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SF 웹툰에서의 ‘비인간’ 청소년 연구--<하우스키퍼>, <나노리스트>, <캉타우>, <숲속의 담>을 중심으로-

        최배은 사단법인 방정환연구소 2022 방정환연구 Vol.8 No.-

        This paper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roles of non-human youth characters in SF webtoons and interpreted their meanings, focusing on Naver webtoons, <HouseKeeper> <Nanolist>, <Kantau> and <Dam in the Forest>, which are stories enjoyed voluntarily by children and juvenile readers. With regar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racters, special attention was paid to the appearance effectively reproduced in webtoons to analyze their identity, psychologic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by paying attention to the conflict of the central event, the desires and roles of juvenile characters were analyzed in depth, and the symbols and their socio-cultural meanings were interpreted. In “HouseKeeper” and “Nanolist”, the main character AI has a female body. It confronts older human generations obsessed with immoral and pathological desires in solidarity with other AIs and new human generations to protect families (young boys and youths) whose life is threatened by them. In “Kangtau”, Kang Hyun, the main character, is a teenage boy, and he is mutated into an alien cyborg as a result of the choice of Okta, the younger generation group. After becoming an alien warrior and gaining overwhelming strength, Kang Hyun protects the Earth against the invasion of Spelta, the older generation group. In “Dam in the Forest”, Dam, the main character, is a youth with divine ability, lives an isolated life from people and forms a new family community with teenagers abandoned by adults, eliminating the enemies of the 투고일(2022년 8월 7일), 심사일(2022년 8월 25일), 게재확정일(2022년 9월 1일) 255 최배은 | SF 웹툰에서의 ‘비인간’ 청소년 연구older generation and accepting his fate to save the planet. In SF webtoons, it is ironical that non-human juveniles grow up to be heroes and value human lives and save the world by confronting unfair violence by the older generation. This symbolizes the oppression of the older generation on the younger generation in our society, reflects positive perceptions and expectations of science and technology, especially AI, and represents the hope that the younger generation will solve problems that the older generation has not solved. However, though these works aim for new things and affirm them, they have the llimit of being both anthropocentric and androcentric.

      • 근대 청소년소설의 담론 연구

        최배은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08 한국어와 문화 Vol.4 No.-

        The juvenile novels in the modern ages of Korea started as part of juvenile literary movement, and the young people who were once leaders of juvenile movement, became active as a writer. As a result, the relationship between a writer and a reader was established as that of a benefactor and a beneficiary. Because there were a lot of illiterates in Korea in 1920s, literary works were distributed in the form of giving a reading in the gatherings for fairy tales. In this way the oral and authorizable discourse in the early juvenile novels was formed. In the late-1920s, realistic style as novel technique was put an emphasis on, and then by 1930s, with a remarkable decrease in the number of illiterates partly due to the passion for education, silent reading as a way of accepting literary works became very common and novel discourse was formed. In the mid-1930s, the reflective study of the discourse upon the children's mind and juvenile was raised, forming the discourse upon the teenagers growing through mental conflict in daily lives. As well, the description of teenagers' psychology and personality became more prominent in the novels in which teenagers were major characters.

      • KCI등재

        한국 웹소설의 서술형식 연구

        최배은 대중서사학회 2017 대중서사연구 Vol.23 No.1

        인터넷 매체 및 모바일 기기의 등장으로 문학의 소통 방식이 통신매체로 확장되면서 문학의 개념 및 범주에 대한 여러 균열이 야기되고 있으나 그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이 논문은 그에 대한 단초를 마련하기 위한 것으로, 웹소설의 생산 ‧ 유통 ‧ 소비 체계 및 서술 형식을 검토하여 인터넷 매체와 모바일 기기가 소설에 미친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매체의 변화에 따른 문학의 변화는 앞으로 더 가속화될 전망이므로 이 연구는 미래적 관점에서 문학의 가치와 기능을 살펴보는 의의가 있다. 웹소설은 기존의 인터넷소설과 장르소설에 기반하고 있지만 체계적인 웹 플랫폼 시장 기구에서 생산 ‧ 유통 ‧ 소비됨으로써 작가와 독자층이 확대되어 여러 변형을 보이고 있을 뿐 아니라 계속 변화하고 있는 불안정한 갈래이다. 그것은 창작 ‧ 중개 ‧ 수용의 동시성과 직접성으로 말미암아 무한경쟁과 시장논리가 노골화되며 작품성보다 상품성을 추구한다. 따라서 그 서술은 흥미와 가독성(가해성)을 제일의 기준으로 삼아 장르소설의 관습에 따르되 모바일 기기에 적합한 양식을 취한다. 플롯은 작품 전체의 유기성보다 매 연재분의 흥미와 긴장감에 좌우되고, 문단은 파괴된다. 인물은 주로 아이콘이나 삽화, 대화 장면을 활용하여 시청각적 이미지로 재현된다. 주로 시간이나 공간 묘사는 생략되고 인물 초점에서 인물의 행동 중심으로 사건이 서술된다. 이와 같이 웹소설은 전통적인 소설의 가치와 형식을 파괴하고 있다. 소설의 효용은 성찰과 각성의 매개체에서 흥미와 쾌감의 소비재로 이동하고 있고, 그것의 가치도 인식적인 측면보다 정서적인 측면에서 우위를 지니게 되었다. 그에 따라 소설의 형식도 잘 짜인 구조와 언어 기능의 심화 및 극대화를 추구하던 전통적인 서술 미학에서 벗어나 다양한 콘텐츠와 결합된 새로운 서술 형식으로 변모하고 있다.

      • KCI등재

        2000년대 이후 한국 아동‧청소년 과학소설의 디스토피아 연구

        최배은 대중서사학회 2020 대중서사연구 Vol.26 No.1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dystopia in Korean juvenile science fiction, this study aims to search for the principles of juvenile literature responding to the contradictions of scientific technologism in collusion with state capitalism, and to consider its limitations and significance. This study focuses on the juvenile science fiction in which children or teenagers fight against system dystopia functioning as a setting of the story. System dystopia consists of ‘fake utopia’ and ‘concentration camps’ holding those excluded from this ‘fake utopia’. Young people whose right to life are violated under the system dystopia escape from concentration camps and fight against political power. We don’t have many novels that have focused on environmental dystopia, but a nomadic subject is found in works set on Earth after environmental pollution or nuclear explosion. In short, juvenile dystopia science fiction deepens the contradictions of the hierarchical society based on scientific technologism, criticizing the repressive, material-oriented and differential educational realities of our society. They hope that children or teenagers will act as a resistance that sees through the deception and hypocrisy of the social system. These works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expose the biopolitics strategy of political power in collusion with industrial capitalism and induce us to reflect on it. However, it seems to be the limit of humanism to equate human life with nature and to warn of dangers of technology, machinery, and material civilization as the counterpart. This paper has the significance of taking a general survey of juvenile dystopia science fiction since the 2000s, and revealing the writers’ perception of scientific technologism and its limitations.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아동·청소년 과학소설의 디스토피아 연구 – 우주 시대부터 인공지능 시대까지

        최배은 한국문학연구학회 2022 현대문학의 연구 Vol.- No.76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dystopia in Korean juvenile science fiction diachronically, which was created from the 1950s to the 2010s. In the era of space competi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under the Cold War system, a longing and a fantasy for science and technology were great, but most of works were created to "warn" the danger of the nuclear war due to the fear of nuclear explosion. In the semiconductor era, which was a period of rapid growth, though expectations and confidence in science and technology grew bigger, they were written to be wary of the seriousness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the uniformity of automation. On the other hand, the optimistic view that science and technology could solve the problems as long as they abandoned greed was dominant. I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even if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has had a great achievement, the risk of biopolitics resulting in employment instability and abnormal climate, etc, was exposed, and adolescents were suggested as alternative forces against it. As a result, during this period, the belief that science and technology could solve social problems grew weak. In short, the dystopia in Korean juvenile science fiction has served to expose social contradictions of the time, be wary of technological utopia, and criticize the harmful effects of scientificism and developmentism. 이 연구는 아동·청소년 과학소설의 초기부터 최근까지 디스토피아 소설이 창작되어왔음을 입증하고 과학기술 및 아동·청소년을 억압하는 사회 현실에 대한 아동·청소년 문학의 대응을 검토하기 위해 195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 창작된 한국 아동·청소년 과학소설을 대상으로 디스토피아의 특징과 의미를 통시적으로 고찰하였다. 냉전 체제 하의 미·소 우주경쟁 시대(1950년대-1970년대)에는 과학기술에 대한 동경과 환상이 컸으나, 핵폭발에 대한 공포로 핵전쟁을 ‘경고’하는 의미의 작품들이 창작되었다. 고도 성장기인 반도체 시대(1980년대-1990년대)에는 과학기술에 대한 기대와 확신이 커졌으나, 환경오염의 심각성과 자동화의 획일성을 경계하는 작품이 창작되었다. 하지만 탐욕을 버리면 과학기술로 그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는 낙관적 전망이 우세했다. 과학기술의 선진화를 이룬 인공지능 시대(2000대-2010년대)에는 고용불안정, 이상기후, 저출산 고령화 등의 위기를 맞아 과학기술이 생명정치의 도구로 전락하고, 그러한 체제에 저항하는 청소년들을 대안으로 제시하는 작품이 창작되었다. 이 시기는 과학기술이 사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믿음이 약해졌다. 요컨대 한국 아동·청소년 과학소설의 디스토피아는 당대 사회 모순을 폭로하고, 기술 유토피아를 경계하며 과학주의와 개발주의의 폐해를 비판하는 기능을 해왔다. 이 연구는 아동·청소년 과학소설의 역사에서 중요한 한 축인 디스토피아 소설을 총체적으로 검토하고 그 사회 비판 기능을 고찰하여 아동·청소년 과학소설의 역할과 가능성을 확장시킨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토지』의 “순수한 여행” 연구

        최배은 한국문학연구학회 2022 현대문학의 연구 Vol.- No.78

        『토지』에선 특정한 목적이나 일 없이, 유람 등을 위해 하는 여행을 “순수한 여행”이라고 한다. 근대의 힘겨운 민족적, 민중적 현실에 주목한 『토지』에서 순수한 여행 비중은 낮지만 주요 인물의 중심서사로 자리하고, 작품의 주제 형성에 이바지하고 있다. 따라서 본고는 임명희, 오가타 지로의 여행을 대상으로 삼아 『토지』에서 “순수한 여행”의 계기와 여정, 그리고 그 의미와 기능을 분석하였다. “순수한 여행”의 주체는 시간과 경비를 자유롭게 쓸 수 있는 근대 부르주아 계급이자, 풍경의 관람을 취미로 삼을 수 있는 내면을 가진 지식인으로 구성되었다. 임명희는 중인계급에서 친일귀족과 결혼하여 신분 상승을 한 부르주아이고, 오가타 지로는 코스모폴리탄을 자처하는 지식인이다. 임명희는 가부장적 폭력에 의한 트라우마로부터 도피하기 위한 여행을 감행하고, 오가타 지로는 전쟁 발발에 대한 불안으로부터 사랑하는 대상에 대한 갈망이 촉발되어 여행을 떠난다. 임명희는 여행지에서 자살했다가 구조받고 난 후, 생명의 창조적 능력을 깨달으며 재생한다. 오가타 지로는 여행지에서 갈망하는 여성을 발견하고, 또 다른 갈망의 대상인 아들과 긴 시간을 여행하며 ‘아버지’로 거듭난다. 요컨대 순수한 여행의 주체는 여행지에서 운명적이고 극적인 사건을 통해 ‘자기 정화(淨化)’를 체험하며 다른 존재로 거듭난다. 한편 임명희와 오가타 지로의 여행 서사는 생명사상 및 세계주의자의 시선과 갈등을 탐구하고 있어서 작품 전체의 주제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다.

      • KCI등재

        『별건곤』 게재 ‘탐사 기사’의 ‘재미’를 창출하는 서술 방식 연구

        최배은 대중서사학회 2014 대중서사연구 Vol.20 No.1

        『별건곤』은 대중의 취미 진작을 표방한 최초의 잡지로서 대중문화의 근대적 기원을 밝히는 데 있어서 주요한 자료이다. 『별건곤』 편집진은 대중적 호응을 얻기 위해 무엇보다 ‘재미’를 염두에 두고 다양한 시도를 하였다. 그 중 ‘탐사 기사’는 독특한 서술 전략으로 독자들의 흥미를 끌고, 1930년대 탐정소설의 서술에도 영향을 미쳐 주목을 요한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별건곤』 게재 ‘탐사 기사’를 대상으로 ‘재미’를 창출하는 서술 방식을 연구하여 『별건곤』의 대중적 글쓰기 방식의 일단을 밝혀 보았다. 『별건곤』의 탐사 기사는 기자들이 편집국장의 명령을 받고 제한된 시간 동안 특정 공간을 조사한 뒤, 그에 대해 보고하는 기사이다. 서술자인 기자들은 곧 탐사자로서 탐사의 기획에서부터 준비, 진행, 후속 작업 및 기록에 이르기까지 많은 역할을 수행한다. 탐사 대상은 주로 ‘경성’으로서 특정 시간대의 거리나 범죄 소굴, 색주가, 하숙촌, 가정집과 같은 내밀한 공간이다. 기자들은 탐정처럼 대상 공간으로 잠입하여 조사한 내용을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서술하며 독자들의 호기심을 해소하고 여러 재미를 불러일으킨다. 탐사 과정을 상세히 기술하고 대상을 생생히 묘사하며 현장에서의 인터뷰를 직접 인용함으로써 현장감을 준다. 기자들의 변장과 잠입취재를 활용한 모험서사는 긴장감을 더하며 흥미를 높인다. 빈번한 기자의 내면 고백은 탐사 주체와 상황에 대한 독자의 이해와 공감을 높인다. 또 대상의 비리를 폭로하고 세태를 비평함으로써 쾌감을 준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별건곤』 게재 ‘탐사 기사’는 근대 도시의 이면을 엿보는 입체적인 서술 방식을 창출한 의의가 있다. 즉 독자들이 보고 싶지만 보기 힘든 ‘사적 공간’을 기자들을 통해 체험하게 함으로써 독자들에게 대리만족을 준 것으로 보인다. 이 논문은 그동안 주요하게 다뤄지지 않았던 『별건곤』 게재 ‘탐사 기사’를 대상으로 그 서술 방식을 분석하여 『별건곤』에서 재미가 창출되는 방식의 일단을 살펴 본 의의가 있다. 하지만 『별건곤』에 게재된 다른 기사와 동시대의 다른 잡지에 게재된 탐사 기사의 서술 방식도 분석하여 종합적으로 고찰해야 『별건곤』의 대중적 서술 전략을 온전히 밝힐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문화산업 시대 ‘청소년 이야기’의 확장과 변모

        최배은 한국문학연구학회 2021 현대문학의 연구 Vol.- No.74

        This study raised the question of understanding ‘juvenile stories’ in a cultural industry era, where the story environment varies but the categories of ‘juvenile stories’ are limited to ‘juvenile literature’, and examined the aspects of ‘juvenile literature’, ‘juvenile plays’, and ‘juvenile stories’ in ‘web platform narratives’ formed since 2000s to raise the awareness of ‘juvenile stories’. ‘Juvenile literature’ could be formed by publishing capital, ‘juvenile plays’ by state support, ‘juvenile web narratives’ by ‘platform capital’. ‘Juvenile literature’ and ‘juvenile plays’ have many teenagers as implied readers and expose and criticize the reality of suppressing teenagers. In particular, there are various attempts to expose the taboo issues such as family dissolution, pregnancy and abortion, single mothers, homosexuality, domestic violence, and sexual violence, and explore them from the perspective of youth subject. Web narratives free from an educational perspective are content voluntarily enjoyed by teenagers. Above all, in webtoons, more and more works are delicately reproducing the lives and desires of youth readers with them a high proportion of teenage main characters and various subject matters. Web novels and web dramas are still dominated by strong genre works. In addition, genre negotiations are taking place as novels, plays, movies, webtoons, web novels, and web dramas are actively adapted. In short, the lives and conflicts of teenagers reproduced in the “Juvenile Stories” look similar, but the ways of solving the problems are different. Juvenile literature and Juvenile plays seek the value of recognition while juvenile web narratives seek emotional pleasure. Currently, “juvenile stories” do not create a characteristic youth character in common. It seems to be due to the fixed notions of “juvenile”. Namely, that is because ‘juvenile literature’ and ‘juvenile plays’ are tied to the ideal view of juvenile and “juvenile web narratives” are tied to genre customs. 이 연구는 이야기 환경이 다채롭게 변화하는 문화산업 시대에 ‘청소년 이야기’에 대한 이해가 ‘청소년문학’에 머물러 있음에 문제를 제기하고, ‘청소년 이야기’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기 위하여 2000년대 이후 형성된 ‘청소년문학’과 ‘청소년극’, 그리고 웹 플랫폼 서사에서의 ‘청소년 이야기’의 양상을 검토해 보았다. ‘청소년문학’은 출판자본, ‘청소년극’은 국가적 지원, ‘청소년 웹 서사’는 웹 플랫폼 자본에 힘입어 형성될 수 있었다. ‘청소년문학’과 ‘청소년극’은 청소년을 내포독자로 삼아 청소년들을 억압하는 현실에 대해 폭로하고 비판하는 이야기가 많다. 특히 가족해체, 임신 및 낙태, 미혼모, LGBT, 가정폭력, 성폭력 등 그동안 금기시되던 문제를 다양하게 드러내고 청소년 주체의 관점에서 탐구하려는 시도들이 있다. 교육적 관점으로부터 자유로운 웹 서사는 청소년이 자발적으로 향유하는 콘텐츠이다. 특히 웹툰에서는 청소년 주인공 이야기의 비중이 높고 그 제재도 다양하여 청소년 독자의 삶과 욕망을 섬세하게 재현한 작품이 늘고 있다. 웹소설과 웹드라마는 아직 장르성이 강한 작품들이 지배적이다. 또 소설, 연극, 영화, 웹툰, 웹소설, 웹드라마 등이 서로 활발히 각색되면서 장르 간 교섭이 이루어지고 있다. 요컨대, ‘청소년 이야기’에서 재현하는 청소년의 삶과 갈등은 유사하지만 갈래에 따라 그 갈등을 해결하는 방식과 지향이 다르다. 청소년문학과 청소년극은 깨달음을 통한 정신적 성장을 추구하는 반면, 청소년 웹 서사는 대리만족을 통한 정서적 쾌감을 추구한다. 현재 ‘청소년 이야기’는 공통적으로 개성적인 청소년 캐릭터 창출이 부족하다. 그것은 ‘청소년’에 대한 어떤 고정된 관념, 즉 ‘청소년문학’과 ‘청소년극’은 청소년에 대한 이상적 관점, ‘청소년 웹 서사’는 장르 관습에 매어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최근 청소년 SF의 자기돌봄 서사 연구 - 다중우주적 상상을 중심으로

        최배은 대중서사학회 2024 대중서사연구 Vol.30 No.1

        이 연구는 최근 청소년 SF에서 다중우주적 상상에 기반한 자기돌봄 서사가 증가함에 주목하여 그 양상을 살피고 그 의의와 한계를 고찰하였다. 대상 작품들은 자기를 괴롭히는 생각들에 사로잡힌 여성 청소년을 주인공으로 하여, 그들이 또 다른 ‘나’를 만나며 겪는 자기돌봄 사건을 다루고 있다. 자기돌봄 과정에 이르는 여정은 비슷하지만 ‘나’와 맺는 관계의 양상은 다르다. <다꾸의 날>과 <붉은 실 끝의 아이들>은 ‘부정적 자아’와의 대결을 통해 자기를 통찰하게 되고, <너의 우주는 곧 나의 우주>와 <사실은, 단 한 사람이면 되었다>는 ‘미래의 나’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그와 협력하며 ‘현재의 나’를 포용할 용기를 갖게 된다. 최근 청소년 소설에서 자기돌봄 서사가 증가하는 이유는 일상의 스몰 트라우마가 청소년들을 압박하며 청소년들이 부정적 자아를 갖게 되는 현실과 관련 있어 보인다. 이때 SF의 다중우주적 상상은 ‘나’와 ‘나의 세계’를 내면에 가두지 않고, 다른 개체와 우주로 형상화하여 정적이고 관념적으로 전개될 수 있는 자기돌봄 사건을 흥미진진하고 역동적으로 만드는 데 기여한다. 또 ‘나’를 보다 입체적이고 객관적으로 통찰할 수 있는 상상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작품들은 SF가 기술문명의 발달에 따른 새로운 세계관의 탐구나 미래 사회를 상징하는 장치로서뿐 아니라 보다 다양한 스토리텔링 기법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하지만 청소년들이 겪는 문제가 피상적으로 재현되고, 과학적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상황을 환상적 모티프로 해결하여 다중우주적 상상을 과학보다 환상적인 것으로 좁히는 한계가 있다. 이 연구는 최근 청소년 SF를 자기돌봄 서사라는 새로운 관점에서 해석하며, SF를 기능적 측면에서 고찰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increase in self-care narratives based on multiverse imagination in children & young adult SF, examining the pattern and considering its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The target works deal with self-care events that they go through while meeting 'themselves' in another universe, featuring female adolescents who are obsessed with thoughts that bother them. The journey to the self-care process is similar, but the aspect of the relationship with themselves is different. In Day of Daku and Children at the End of Red Thread they recognize themselves through a confrontation with "I" that bothers myself', and they have the courage to embrace themselves based on their confidence in themselves in the future, as you can see from the expressions like Your universe is my universe and In fact, only one person was enough. The reason for the increase in self-care narratives in recent children & young adult novels seems to be related to the reality that everyday small trauma pressures adolescents and makes them have negative egos. In this situation, SF's multiverse imagination does not lock "me" and "my world" inside, but rather contributes to making self-care events exciting and dynamic by embodying another individual and universe, otherwise, they could be made static and ideological. It also provides the imagination enabling a more three-dimensional and objective insight into "I". These works suggest that SF can be used as a more diverse storytelling technique as well as a device that symbolizes a future society.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that they represent the problems with teenagers superficially, and narrow the multiverse imagination to something more fantastic than scientific by solving situations difficult to explain scientifically with fantastic motif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