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댄스스포츠 참여의 자율의사 여부에 따른 학습효과 연구 : 초등학생 중심으로

        최미영 목원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at scientifically evaluating the different learning effects of two group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volved in an After School Dance Sports Programme. One group of students were involved in the programme in a voluntary capacity, while the other group in a non-voluntary capacity. One hundr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two separate schools in the Daejeon and Yusung area. The students were chosen using an intentional,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 A questionnaire was used as a research method tool. It was consisted of two items for general traits and nineteen items for learning effects, the reliability of which was analysed by a frequency with voluntary participation and grades. These were general traits, and verified by Cronbach's =0.960, sub-variable of learning effect. The program SPSSWIN 12.0 was used for this study, and technical statistic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find out the average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satisfaction, concentration, and interest which are sub-domain of learning effect. A T-TEST was performed to snow the differences between voluntary and non-voluntary participation. The actual proof analysis was verified at the significance level p <.05 all together. Firstly, in the difference of satisfaction of learning effect on voluntary participation in learning dance sport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voluntary participation showed intense satisfaction as a m=4.33, while non-voluntary participation as a m=3.37. (P<0.001) Secondly, the concentration showed high in voluntary participation as m=4.36, while in non-voluntary participation as m=3.18. (P<0.001) Thirdly, the interest showed high in voluntary participation as m=4.54, while in non-voluntary participation as m=3.41. (P<0.001) Fourthly, the difference of satisfaction showed high in high grade students as m=4.25, while in low grade as m=4.00, which was measured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ir grades. Fifthly, the difference of concentration showed higher in the high grades as m=4.26 than in the low grades as m=3.96 Sixthly, the difference of interest showed higher in the high grades m=4.44 than in the low grades m=4.16. Consequently, there were higher results in the students levels of satisfaction, concentration, and interest in the voluntary participation. The higher grade students also showed better results in their levels of satisfaction, concentration, and interest than the low grade students. 본 연구 목적은 초등학생 댄스스포츠 참여의 자율의사여부에 따른 학습효과를 규명하고자 대전,유성지역2개학교 댄스스포츠를 참여하는 100명을대상으로 신뢰도가검증된설문지를 이용하여 만족도,집중도,흥미도를 조사하였고, 자율의사와 타율의사 차이점을 살펴보기위하여 T-TEST를 실시한결과 자율의사가 타율의사보다 만족도,집중도,흥미도가다 높게나타났고,고학년이 저학년보다 만족도,집중도,흥미도가 전부 높게 나타났다.

      • 그리스 건축양식의 조형미를 응용한 장신구 디자인 연구

        최미영 慶星大學校 멀티미디어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Accessories, worn on a human body or garments, not only represent ornamental effects, but they, as such, may also be regarded as small-scale formative objects to inspire the viewers. The writer set up a design motif from Greek architecture seen as a gigantic sculpture, though it is an edifice, in order to create small-scale but structural accessories with profound implications, and attempted to apply to modern accessories the Greek idea of a design that the geometric proportion is the supreme, ideal harmony in architecture and tiny patterns as well. Particularly, the writer reorganized and imaged the unique features and characteristic forms of pillar patterns seen as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s of Greek architecture, and not only placed emphasis on verticality characteristic of pillars through moderation and simplification of lines, but also tried to implicitly represent architectural images through proportional division and repetition of lines and planes. In addition, the writer pursued formativeness with solid beauty and delicacy and also emphasized ornamental effects using various jewels in harmony with the designs. This study put significance on seeking and reorganizing characteristic factors appropriate to formative accessories, not on simply imitating external forms of architecture. Greek architecture helped to develop a variety of designs in that its features provide an infinite possibility of development and profound inspiration. The unique Greek architecture was inspiring enough to create up-to-date designs, even though it was not easy to incorporate architectural features in accessories as part of a human body. Approaching to architecture in terms of formativeness was rather familiar in that architecture is also a field of art with propriety of purpose to consider both function and form. Greek architecture, old as it is, is not just ancient, but it provided an rewarding opportunity to reconstruct it in the fashion of up-to-date images.

      • 한국과 미국의 일반 물리학 실험의 비교 연구 : 서울대와 University of Illinois

        최미영 淑明女子大學校 1997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과 미국의 대학교 1학년 과정에서 배우는 일반 물리학 실험 내용을 서로 비교 분석하여 두 나라 실험 실습의 특징과 차이점 그리고 우리가 개선해야 할 부분에 대해 살펴 보았다. 첫째, 한국은 실험에 필요한 배경 이론이 자세히 소개되어 있으며 학생들이 실험 결과를 정리하는데 매우 긴요한 예비 Report와 결과 Report가 실험 서에 같이 수록되어 있다는 점이 특징이며, 미국은 실험 장치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있으며 항상 그래프를 사용하여 측정 값을 나타낸다는 점이 특징이다. 둘째, 한국은 실험 장치나 방법들이 간단히 기술되어 있는 반면 미국은 구체적으로 기술되어 있으며, 한국은 측정오차의 표시에도 미흡한 점을 보이나 미국은 측정 값의 오차(표준편차)를 항상 고려하여 기록한다는 점이 차이점이다. 셋째, 한국의 실험서는 자세한 이론을 바탕으로 실험 실습이 이루어지도록 하고는 있으나 다양한 기자재의 소개와 실험에의 이용과 활용이 부족하며, 실험 장치와 방법 그리고 측정 값과 오차를 처리하는 부분에 있어서 미흡한 점을 보이며 이를 개선하고 보완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atively analyze the testing procedures for General Physics in freshmen course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nd identify their features and differences to suggest the reform measures for our testing procedu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Korean testing procedures may be characterized by the introduction of necessary background theories as well as the simultaneous inclusion of preliminary reports and resultant report (essential for students to conclude the results of test) in the documentation for the test, while the US ones mat be characterized by detailed debriefing in test apparatuses and graphic representation of measurements. Second, while the Korean procedures descried them in derails. Moreover, the Korean students tent to indicate the errors of measurement poorly, while the US counterparts record the measurements in consideration of their errors (standard deviations). Third, the Korean test guidebooks aim at the tests based on the detailed theories, but they seem to be poor at the introduction of apparatuses and their applications or uses for the test. All in all, Korean students are not fully educated on test apparatuses and their uses as well as treatment of measurements and their errors, which should be reformed.

      • 중학교 역사교육과 연계된 박물관 체험 교재 연구 : 김홍도의 『풍속도첩』을 중심으로

        최미영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다양한 역사교육의 형태와 방법이 연구되면서 박물관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주목받고 있다. 이는 2009 교육과정 개정에 추가된 창의적 체험활동 권장과 체험학습을 선호하는 사회적 흐름을 반영한 결과이다. 하지만, 박물관의 교육담당자들은 박물관과 학교교육의 연계에 대해 강조하면서도 학교교육의 동향이나 교과서분석 등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는 미미하다. 그렇기에 본 논문에서는 실질적으로 중학교 역사과와 박물관교육을 연계한 연구의 필요성에 입각해 국립중앙박물관에 전시된 『풍속도첩』을 주된 학습자료로 활용해 박물관에서 수행할 수 있는 체험교재를 제작했다. 김홍도의 『풍속도첩』을 주된 학습 자료로 선정한 이유는 조선 후기의 변화양상을 다양한 측면에서 잘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기존 역사의 주인공이었던 지배계층의 모습이 아닌 서민들의 생활모습을 사실적이고 구체적으로 표현했으며, 익살스럽고 생동감있게 표현했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역사주체의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고, 다양한 시각에서 그 시대를 조명해볼 수 있다. 또한, 학습자에게 친숙한 소재를 학습 자료로 활용해 역사학습에 흥미를 높여줄 수 있다. 박물관은 학습자에게 학교 수업을 통해 습득한 역사적 지식을 재구성할 수 있게 해주며, 다양한 사고를 수행할 수 있게 해주는 교육기관으로 구체적인 전시물을 기반으로 학습이 이루어지며 학습자가 자율적이고 주체적으로 학습활동을 구축해나갈 수 있는 환경적 특성을 갖고 있다. 특히, 역사라는 교과와 박물관이라는 학습공간이 연계되었을 때, 교육적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활용되는 체험 학습 교재는 학교수업과 연계된 학습을 하기에는 여러 가지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기존의 교재는 학습대상과 학습목표 그리고 학습내용을 명확하게 설정하지 않아 불특정 관람객이 수행할 수 있는 단순한 전시관람 위주의 학습활동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본 연구에서 제작한 체험교재는 학습대상과 교육과정에서 명시한 학습목표를 제시하고 있으며, 이를 구체화시킨 다양한 학습활동을 통해 현장 박물관에서 효과적인 역사학습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박물관에 전시된 『풍속도첩』을 활용한 박물관 체험교재는 학교수업과 차별화된 교육적 유용성을 갖고 있다. 이를 요약해보면, 첫째, 학습의 몰입도를 높여준다. 의도된 전시물의 내용을 극대화시켜 학습자가 작품 속 인물에 감정이입할 수 있게 도와준다. 둘째, 뛰어난 작품성을 직접 경험할 수 있다. 당시 시대상을 사실적으로 보여주는 작품을 직접 보면서 오감을 통해 역사적인 가치와 문화유산의 소중함을 느낄 수 있다. 셋째, 다른 전시물과 실시간으로 상호작용이 가능하다. 비슷한 시기의 다른 유물과 미술작품을 살펴보며 조선 후기의 모습을 통합적으로 고찰해볼 수 있다. 이처럼 체험교재를 통해 박물관에 전시된 작품과 해당 시기의 유물들을 통합적으로 살펴보고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학습에 의미를 부여하며, 새롭게 역사를 구성해 볼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 해당 시기의 역사의 흐름을 맥락화할 수 있는 능력과 역사적 상상력을 함양할 수 있다. 본 논문의 연구사례는 중등 역사과와 박물관을 보다 적극적으로 연계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으며, 현장 박물관의 역사학습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역사 수업 방안이다. With an increase in the studies of a wide range of history education types and methods,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museum are increasing, reflecting the social trend that recommends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added to 2009 curriculum revision and prefers filed education. Nevertheless, although the museum educators emphasize the linkage between museum and school education, there are seldom studies of school education trend and textbooks. Thus in this study the author developed a teaching material for museum using Gim-Hongdo’s Paintings on the basis of the fact the necessity of linkage between middle school history curriculum ad museum education is increasing. Gim-Hongdo’s Paintings was adopted as main teaching material because it reflects the aspects of transition in the late Chosun dynasty from different angles. It expresses the lifestyle of ordinary people rather than the ruling class that is the protagonist of history, graphically, specifically, humorously and lively. Through this learners are able to scale up the range of historical subjects and illuminate that age from various angles. In addition, leaners use the material that they are familiar with as learning materials, which motivates the leaners to have interests in learning. Museum assists learners reconstructing the historical knowledge acquired through school education and thining in different ways. Thus it allows learners to be able to learn though the exhibit and conduct learning activities autonomously by taking initiatives. In particular, the linkage between curriculum and museum is able to generate an educational synergy. The current learning materials for experience used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has the limitations in linking the experience learning with school education. In the conventional learning materials, the subjects, objectives and contents of learning are not clearly established, focusing on the viewing activities as by many and unspecified visitors, whereas the learning materials for field education made in this study has the advantage of allowing for effective history education through a wide range of specified learning activities. The materials for museum experience using Gim-Hongdo’s Paintings exhibited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has the educational usefulness differentiated from ordinary school education. To put it briefly, first, it enhances the immersive learning, helping learners have the empathy with the figures in the works by maximizing the intended contents of displays. Second, leaners can experience works directly. Learners can feel the historic value and the importance of cultural heritages through five senses watching the works that express the image of the corresponding times. Third, learners can interact with other displays in real time. Learners can ponder upon the aspects of the late Chosun dynasty integrally by examining the relics and artworks around the same tim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examining the displays and relics in the corresponding times at museum through the materials for field education will add new meanings to learning in an proactive manner and set conditions for the reconstruction of history, thereby enhancing the ability of contextualizing the flow of history and historical imagination. The study cases in this paper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linking middle school history curriculum and museum, thereby increasing the use of museum for history education.

      • 한국무용이 지적장애 여성의 신체구성성분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최미영 대구가톨릭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신체활동이 부족한 지적장애 여성들에게 신체활동에 기회를 주어 장애인의 건강 증진을 위한 지속적인 운동참여와 효과 측면에서 8주간 한국무용 프로그램 참여를 통하여 지적장애인의 신체조성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A시에 소재하고 있는 복지관 지적장애 여성을 대상으로 한국무용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실험집단(10명)과 비교집단(10명) 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강강술래 등 4가지 한국무용 프로그램에 8주간 참여하게 한 후 시기간, 집단간에 신체조성 및 혈중지질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체지방률의 변화는 8주간의 한국무용 참여후 시기간, 집단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2) WHR의 변화는 한국무용 참여후 집단간에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3) 체수분의 변화는 한국무용 참여후 시기간에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4) 중성지방은 한국무용 참여후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5) HDL-C의 경우에도 한국무용 참여후 집단간에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볼 때 지적장애 여성들에게 적용한 8주간의 한국무용 프로그램은 신체조성과 혈중지질성분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ffects of Korean dance on body composition and blood lipids in middle-aged female with mental retardation. 20 middle aged female(30-50yr) subjects were took part in study, and devide two groups as exercise group(10) and comparison group(10). Four days in a week, four korean dance programs(basical dance, ganggangsullea, small drum dance, dance work) was performed for 80 minutes a day during eight weeks. Before and after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and blood lipids was analyzed between exercise group and comparison group. The results are as follows. Exercise group's %fat was decreased significantly before and after exercise. Comparison group's WHR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exercise group on before and after exercise. Exercise group's body water was increased significantly before and after exercise. Exercise group's TG was decreased significantly before and after exercise. Exercise group's HDL-C was increased significantly before and after exercise. As above this results, we knew that 8 weeks Korean dance programs has positive effects on body composition and blood lipids in middle-aged female with mental retardation.

      • 너서리 라임(nursery rhyme)을 활용한 수업이 초등학생의 영어 발음에 미치는 영향

        최미영 서울교육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서울에 있는 M초등학교의 5학년 두 학급 학생 6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실험에 앞서 연구 집단들을 대상으로 사전 설문 조사와 사전 발음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험반 학생들에게 너서리 라임을 활용한 발음 수업을, 비교반 학생들에게는 챈트를 활용한 발음 수업을 실시한 후 실험반 학생들의 발음 능력 성취도의 변화를 학생들의 수준별로 알아보기 위해 사후 발음 평가를 두 집단에 실시하고 그 결과를 독립표본 t검증과 대응표본 t검증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정의적 영역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사전과 사후 설문 내용을 대응표본 t검증으로 분석하였고, 학습자 수준별로 학습일지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너서리 라임을 활용한 발음 수업 후, 실험반 하위권 학생들의 발음 정확성이 통계적으로 p<0.05 수준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실험반의 중위권과 하위권 학생들의 발음 유창성이 통계적으로 p<0.05 수준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사전과 사후 설문 내용을 분석하고, 학습일지를 분석한 결과 학습자들의 영어 발음에 대한 흥미, 자신감이 높아졌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위와 같은 연구 너서리 라임을 활용한 발음 수업을 통해 중위권과 하위권 학생들의 발음 능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너서리 라임을 활용한 발음을 통해 영어 발음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이 향상되어 정의적 영역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음을 알 수 있었다.

      •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 수업(TETE)이 학습자의 언어 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최미영 한국교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영어 사용 수업이 학습자의 언어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향후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 수업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여 효과적인 영어 사용 수업 지도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대전시 소재 N중학교 2학년 여학생 74명으로 총 28차시의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 수업을 3개월간 실시하였다. 언어 기능별로 영어 사용 수업 운영 결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영역에서 사전·사후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에 따라 학생들을 상위·중위·하위 그룹으로 분류하여 영어 사용 수업에 대한 수준별 효과도 함께 알아보았다. 또한 정의적 영역에서 영어 사용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 수업 후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듣기, 말하기, 쓰기 능력이 향상되었으며 읽기 능력은 저하되었다. 학습자의 언어 능력 수준에 따른 효과를 보면 상위 그룹은 듣기, 말하기, 쓰기 능력에서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읽기 능력은 저하되었다. 읽기 능력 저하의 결과를 가져온 데에는 읽기 평가 도구 및 학생들의 심리적인 변화와 관련하여 약간의 문제가 있었음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 중위 그룹은 듣기와 말하기 능력이 향상되었으나 읽기와 쓰기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하위 그룹의 경우 읽기 능력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듣기, 말하기, 쓰기 능력이 향상되었다. 둘째,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영어 사용 수업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이었으며 상위 그룹으로 갈수록 흥미도가 높아지고 있으나 하위 그룹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시키지는 못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과반수 이상의 학생들이 영어 사용 수업에 어렵지만 계속 도전해보고 싶다는 반응을 보임으로써 학생들의 동기 유발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다. 위의 결과를 볼 때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 수업은 중위, 하위 그룹 학생들의 듣기, 말하기 능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읽기 능력에서의 부정적 결과는 평가 도구에 약간의 문제가 있었으므로 읽기 능력과 관련하여 좀 더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평가 도구 선택에 신중한 고려가 필요하다. 영어 사용 수업을 통한 하위 그룹 학생들의 언어 능력 향상과 관련해서 볼 때, 특히 쓰기 능력의 향상은 학생들이 지속적인 영어 입력에 노출되면서 자연스럽게 영어 수업 분위기에 익숙해졌고 이는 하위 그룹 학생들의 영어 의사소통의 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쓰기 능력 향상은 수업 중 교사의 영어 사용에 의한 효과라기 보다 수업 전반에 걸쳐 쓰기 활동이 다른 언어 기능과 연계하여 많이 이루어진 결과로 보인다. 그러나 영어 사용 수업을 통해 하위 그룹의 언어 능력 향상만큼 정의적인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반응을 얻기 위해서는 수준별 학습 자료 제시 및 학습 활동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상위 그룹 학생들 역시 영어로 진행하는 수업에 대한 관심이 큰 만큼 영어수업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려는 모습을 보였으나 평가 분석 결과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오지는 않았다. 상위 그룹으로부터 좀 더 의미 있는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평가 도구 성취 기준의 상향 조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서 볼 때,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 수업이 학생들의 언어 능력과 정의적인 측면에서 모두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수업 형태에 맞는 적절한 교수·학습 방법의 선택이 매우 중요하며 이와 함께 다양한 보조 자료 및 수업 매체를 활용하여 학습자의 수준에 맞게 제시해주어야 한다. 무엇보다도 수업에서 교사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다고 하겠다. 교사는 자신감 있게 수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자신의 언어 구사 능력 향상을 위해 꾸준히 노력해야 할 것이며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시도를 통해 수업 진행 능력을 향상시켜 나가야 한다. This study is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ETE on the students who have different levels of English proficiency in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skills and to suggest an effective way of applying TETE in school. For this purpose, teaching English through English(TETE) was conducted on 74 students of middle school in Dae-jeon for 3months in 2007. To investigate how TETE affects students' four skills, pre-tests and post-tests were performed on listening, speaking, reading, writing. Stud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upper, middle, lower) based on their test results. In addition, a survey about TETE was conducted after the experiment to find out students' responses in the affective domain.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listening, speaking, writing skills improved through TETE but there was a negative effect on students' reading skill. In relation to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level, the upper group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listening, speaking or writing skills but their reading skills were lowered. In the middle group, students' listening and speaking skills changed positively but there were no meaningful change in their reading and writing skills. In the case of the lower group, TETE had positive effects on the students' listening, speaking and writing skills but it did not bring any meaningful result from them.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 survey on the affective domain, students were positive about TETE on the whole. The upper group showed more interest than the low group in TETE. However, most of the students wanted to join TETE again even though they felt it difficult. From the result of the study, it was proved that TETE had positive effects on the low group and middle group's listening and speaking skills. As for the reading test, careful preparation is needed to draw more accurate result because there were some problems in the reading test. The most outstanding result of this study was the big progress on the low group's writing skill. This could be interpreted as the result of the students' exposure to the consistent language input and their being accustomed to the natural atmosphere through TETE, which facilitated the low group's new trial for communication. Another possible explanation could be that the improvement of the low group's writing skills contributed to the performance of various kinds of writing activities in class. However, to attain positive responses from the low group about TETE in the affective domain as well, language materials reorganized for the lower group should be presented in class and th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should be studied further. Meanwhile, the upper group showed a lot of interest in TETE and they participated in TETE more actively, but such a big interest did not bring any meaningful differences. To get more meaningful results from this group, it is necessary to modify on the writing test. In conclusion, both the students' level and the teacher's role comes first on the list of things to consider. The teacher should present the language materials which is appropriate for the students's level when applying TETE so as not to alienate the lower group. In addition, teachers have to do their best to improve their English and to develop more efficient teaching methods for TETE.

      • 도시 하천 체험환경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과 그 효과에 관한 연구 : 수원천을 중심으로

        최미영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사회와 교육 현장에서 체험환경교육에 대한 높은 관심에도 불구하고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체험환경교육프로그램이 부족하고 프로그램 적용 대상지 설정에 있어서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접근이 되고 있는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교육 현장의 이러한 현실적 요구에 부응함과 동시에 효율적으로 환경교육 목표에 도달할 수 있는 도시 하천 체험환경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체험환경교육 목표를 교육 현장에서 주체적인 체험 학습과정을 통해 학습자들간의 이해와 협력을 도모하고, 인간을 둘러싼 자연 및 인공환경에 대한 긍정적인 사고와 애정을 습득하게 하여 현재와 미래에 접하게 되는 환경문제 및 해결방법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실천하는 친환경적 인간육성으로 설정하였다. 이에 하천을 배경으로 한 기존 체험환경교육프로그램들의 사례 분석을 통한 하천 체험환경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하여, 이를 기초로 하천체험환경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목표를 설정하였다. 한편, 체험환경교육, 도시하천, 그리고 수업 설계 등에 대한 이론적 고찰 연구가 동시에 병행되었다. 도시 하천체험환경교육프로그램 모델은 하천 체험환경교육프로그램 개발 목표와 이론적 고찰을 근거로 3단계로 개발되었다. 첫 번째 단계는 학생들 자치협의를 통해 활동 목표와 학생들의 역할 분담이 설정되고, 학생들에게 전문적인 지식을 제공하기 위한 특별 수업 등이 제공되는 것으로 환경 탐구 활동 현장 교육 전 단계이다. 두 번째 단계는 도시 하천의 수질 및 생태 조사와 환경탐구 활동 후 제작하게 될 환경해설 Guide Book 제작을 위한 설문 조사, 그리고 탐구 활동 보고를 위한 인터넷 홈페이지가 운영되는 환경 탐구 활동 실시 단계이다. 마지막 단계는 환경 탐구 활동에 대한 성취감을 고취시키고, 이후 수원천을 방문하는 시민 및 학생들에게 스스로 학습하며 체험할 수 있는 환경교육 매체로서 제공될 수원천 환경해설 Guide Book 제작과, 이를 위한 특별 수업이 선수 학습되는 환경 탐구 활동 후 단계이다. 도시 하천 체험환경교육프로그램의 사례 연구 대상지는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연무동 일대를 흐르는 수원천이었으며,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은 경기도 수원시 수성여자중학교 환경 탐구반 40명이었다. 사례 연구 기간은 2000년 3월부터 12월까지였다. 도시 하천 체험환경교육프로그램 효과 분석을 위하여 학생 개인별 환경 탐구 활동 전과 후의 환경에 대한 "행동", "지식", "성향" 정도를 살펴보기 위한 설문조사가 환경 탐구 활동 전인 2000년 3월 11일과 환경 탐구 활동 후인 2000년 12월 22일 2회에 걸쳐 실시되었다. 설문 통계 분석 결과는 환경 탐구 활동 후의 환경에 대한 행동 과 지식 정도가 현저한 증가를 보였으나, 환경에 대한 성향 정도는 환경 탐구 활동 전과 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설문 내용을 근거로 총 문항을 하천에 관련된 문항과 하천에 관련되지 않은 문항으로 비교 분석할 경우 하천에 관련된 환경에 대한 "행동", "지식", "성향"의 모든 항목들이 하천에 관련되지 않은 문항에 비하여 환경 탐구 활동 후 신뢰성 있는 통계학적 유의미 값과 높은 설문 항목 평균값 증가를 나타내었다. 이는 환경 탐구 활동 후 성취된 피교육자의 친환경적으로의 변화 중에서도 환경 탐구 활동 내용이 포함하고 있는 특정 환경분야- 수질 - 가 높은 변화 정도를 나타내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살펴볼 때 환경 분야별로 전문화된 체험환경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이 장기적인 계획 속에서 실시되어야 하며, 교육 현장의 제한조건으로 단기간 수업을 할 경우에도 장기적인 계획 속에 각각의 단기간 수업들이 연계되어질 때 보다 효과적인 환경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자신이 지도해야 하는 학생들을 위한 전문 프로그램을 계획하여 운영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체험환경교육 전문 환경 교사 양성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그리고, 체험환경교육프로그램의 특별 수업 및 일반 수업에 도우미교사를 지원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이 지역사회와 학교 또는 교육청 공동의 체계(가칭; 도우미교사 은행) 속에 시급히 구축되어야 할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체험환경교육프로그램은 학생들에게 책임감과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하며, 인터넷 홈페이지 및 활동 결과물 제작 등이 그 예가 될 수 있다. Currently, environmental education is conducted with theory oriented classes or indoor education classes in Korea. The Experience and Learn Environmental Education has become as a new environmental education trend against the just theory oriented classes. This study is designed and developed for building the new interest and realistic view on the environmental education with emphasis on the city creek environmental education. With the city creek environmental activities, students are able to develop the under standing and cooperation among them through the Experience and Learn Environmental Education. The students can realize the co existence and co reaction between human beings and the environment and with those lessons they can build the possible and positive solutions regarding the current and future environmental problems. The study has confirmed the necessity of development for the Experience and Learn Environmental Education based on current programs with activities analysis. The goal of the development for the Experience and Learn Environmental Education has been established and at the same time the observation for the activities and class curriculum has been conducted. The study analyzes the activity with three steps of observation that is before, during, and after the environmental activity. For the preparation stage, the students identify their goals and establish their individuals role. The informative class is provided to the student s for the specific knowledge. During the activity, the water quality analysis, the aquatic life observation, the survey for the guidebook, and also the student activity Internet home page report are prepared and conducted by student s and instructors. For the last stage, the students accomplish the guidebook and bring the community awareness of environmental education tool for Su-Won Creek with it.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as 40 junior high school students from Su- Sung Girls junior high school environmental activity class, Su-Won City, Kyung-Kee providence, in South Korea from March to December of 2000 based on Su-Won Creek. The survey was conducted before the activity on March 11 and after the activity on December 22. According to SPSS/PC 8.0 Program, the environmental behavior and knowledge were outstandingly improved as part of the activity result. On the other h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attitude toward environment before and after activity in general analysis section but in specific analysis regarding creek environment there was not much difference compared to the improved interest in non-creek environmental issues. In the specific analysis of environmental behavior and knowledge, the result was showing that it was more interesting to students just like the attitude section. This study has brought four suggestions in environmental education learn and experience program. First, the long term planned environmental learn and experience education program is needed with the structured observation. If it is the short-term activity, it requires a step by step class and the classes have to be related each other with long-term plan. Second, the professional environmental instructors have to be provided for the student s with professional environmental point of views. Third, the community and also the governmental education department should be able to support activities with the substitute teachers designated for environmental programs. Fourth, the environmental program should be designed for the students who can acquire the accomplishment and also responsibility. The Internet homepage can be a supportive education tool to inform the publ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