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 대기업의 해외직접투자가 산업내무역에 미치는 영향

        최남석(Namsuk Choi) 한국경제연구원 2011 한국경제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1 No.9

        "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해외직접투자의 국내실물경기에 대한 긍정적 파급효과 분석 필요성 대두 - 해외직접투자는 국부를 해외로 유출하여 제조업 생산과 고용을 위축시키고 경기침체를 초래한다는 인식 확대 ○ 2000년대 이후 각종 무역자유화 확대와 한국 대기업 해외직접투자 증가 ○ 무역자유화 확대와 글로벌 시장 불확실성 증가로 국내생산과 고용 변화 예상 - 대기업 해외직접투자가 국내 제조업 기업들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필요 ○ 해외직접투자는 국가간ㆍ산업간ㆍ기업간 경제적 특성 차이 극복을 위해 국제통상 진화과정에서 나타나는 필연적 형태 ○ 해외현지법인과 국내기업의 생산분업 이득과 유기적 협력관계를 통한 동일 산업 안에서의 기업내무역과 기업간무역 증가 예상 ○ 해외직접투자가 이루어지는 산업에 속한 국내기업들의 수출과 수입이 대기업 해외직접투자로 인해 어떤 영향을 받는지 실증분석할 필요 □ 본 연구는 한국 대기업의 해외직접투자가 산업내무역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해 그 관계와 정도를 추정 - 전기ㆍ전자ㆍ자동차 산업을 중심으로 제조업 분야에서 미국과 중국에 대한 한국 대기업의 해외직접투자가 산업내무역에 미치는 영향 분석 - 2001~2009년 미국과 중국에 대한 해외직접투자와 산업내무역자료 사용 ○ 2009년 말 기준으로 투자잔액 100만 달러를 초과하는 미국과 중국 소재 현지법인 매출액 및 고용 자료 ○ 30대 대기업을 포함한 한국 대기업들의 해외직접투자 제2장 한국 대기업의 해외직접투자와 산업내무역 변화에 대한 정형화된 사실들 □ 2001~2009년 제조업 부문 한국 대기업 해외직접투자와 산업내무역 간에 양의 상관관계 존재 - 시장규모, 요소부존도, 기술집약도, 투자환경, 교역비용 등 국가별ㆍ산업별ㆍ기업별 특성의 차이에 따라 해외직접투자와 산업내무역 간에 다양한 상관관계 존재 ○ 전기ㆍ전자ㆍ자동차, 대미 자동차, 대중 전기ㆍ전자 산업부문에서 각각 산업내무역과 해외직접투자 간 양의 상관관계 존재 ○ 시장규모는 크고 교역비용은 작은 대미ㆍ대중 교역의 경우 기술집약도가 높으며 투자환경이 좋은 전기ㆍ전자ㆍ자동차 부문에서 해외직접투자와 산업내무역 간 양의 상관관계 제3장 다국적기업 이론에 근거한 해외투자와 무역의 관계 □ 이론적으로 해외직접투자와 무역은 보완관계 또는 대체관계 모두 가능 - 해외직접투자와 무역은 해외현지법인과 국내기업간 생산분업 관계와 유기적 상호협력 관계가 강화될수록 보완관계를 보임. ○ 마커슨의 다국적기업이론에 의하면 기업은 요소부존도 및 경제규모 차이, 교역비용 크기에 따라 국내기업 또는 수직적 혹은 수평적 해외투자를 하는 다국적기업 형태로 진화 ○ 반면, 특정 산업내 기업들이 모두 순전한 수직적 해외투자만 하거나 그와 반대로 순전한 수평적 해외투자만 하는 경우는 거의 없음. ○ 해외현지법인과 국내기업간 생산분업 관계와 유기적 상호협력 관계에 따라 해외직접투자와 무역은 보완관계 - 생산성 격차에 따라 해외직접투자와 무역은 대체관계 가능 ○ 산업 부문 내에서 기업의 이질성에 의한 생산성 격차가 해외투자와 수출 결정 ○ 산업내 기업의 생산성 및 대체탄력성 분산이 증가할수록 기업의 국내매출과 이윤의 변동폭 증가 ○ 생산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기업이 수출기업이 되고 그중 생산성이 가장 뛰어난 기업들이 수출을 해외직접투자로 대체 - 실증적으로 한국 총량수준, 산업수준, 기업수준 자료 분석결과 해외직접투자와 무역은 상호보완관계 ○ 한국의 거시ㆍ산업ㆍ기업 수준별 1988~2007년, 1992~2003년, 2001~2005년 자료를 실증분석한 결과 해외투자와 무역은 보완관계 ○ 1999~2004년 해외현지 자회사 자료 분석결과 자회사가 위치한 투자국이 선진국인가 후진국인가에 따라 해외직접투자와 수출은 보완관계 가능 □ 실증연구결과 해외직접투자의 현지 선진기술 이전 효과로 국내기업의 생산성 향상 - 해외직접투자가 증가할수록 현지 기술을 습득하여 본국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여 국내기업 생산성에 긍정적 파급효과를 미침. ○ 영국 다국적기업의 미국 내 연구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뤄지는 고기술 분야에 대한 해외투자가 증가할수록 영국 국내기업의 생산성 증가 ○ 다국적기업이 해외현지기술을 본사와 관련 기업들에 전달 ○ 따라서 해외직접투자의 기술이전 효과로 인해 고부가가치 상품의 차별화가 발생할 경우 산업내무역이 증가할 수도 있음. □ R&D 지출이 높은 산업에서 해외직접투자는 산업내무역을 증가시키고, 국가간ㆍ산업간 특성 차이는 산업내무역과 해외직접투자에 영향을 미침. - 아시아 22개국 횡단면분석결과 R&D 지출이 증가할수록 산업내무역 증 "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impact of Korean multinational enterprise(MNE)s’ out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FDI) on intra-industry trade at the various levels of aggregations, such as intra-industry trade at the Korean Industrial Standard Classification(KSIC) middle level, and at the KSIC low level. Using firm-level panel data covering Korean MNEs’ FDI to US and China during the period between 2001 and 2009, this study finds a positive and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intra-industry trade and FDI at the KSIC middle level, even after controlling for intra-industry firm heterogeneity, the role of factor and skill endowments at the industry level, and home and host country trade costs. In particular, the size of Korean MNE’s outward FDI accounts for about 32% of intra-industry trade in Korean manufacturing between 2004 and 2009. The impact of FDI on intra-industry trade is stronger at the high-technology sectors such as electricity, electronics and motor vehicles than at the other manufacturing sectors. The complementarity between intra-industry trade and outward FDI suggests that Korean MNEs’ outward FDI enhances the cooperative production relationship between its foreign affiliates and Korean domestic firms. Moreover, the positive impact of Korean MNEs’ FDI on intra-industry trade may lead the increase of small and medium size domestic firm’s production and employment associated with the greater volume of trade. What are the impact of out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to domestic firms? Does MNE’s outward FDI bring positive effects on the intra-industry trade between home country and its trading partners? While the structural changes of industrial organization in Korea are expected along with the impending approval of Korea-US free trade agreement, the volume of Korean MNE’s outward FDI has risen rapidly for the past decade. Economists argue that outward FDI may substitute domestic production and foreign exports, and home country rather increases reversely imports from foreign affiliates located in its long-standing trading partners. In contrast, the empirical evid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utward FDI and intra-industry trade is thin. Thus,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the extent to which Korean MNE’s outward FDI affects intra-industry trade in manufacturing sector and more specifically at the high-technology sector such as electricity, electronics and motor vehicles.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is based upon two strands of economic literature. On the one hand, economists explain the determinants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Multinational firms’ decision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is related to three factors: product fragmentation, jointness of knowledge capital, and knowledge intensity. Depending on factor/knowledge endowment and trade and investment costs, multinational firms decide to where to build or acquire a foreign plant and where to sell its products. According to the new trade and investment theory, the role of country and industry characteristics such as market size, knowledge endowment, home and host country trade costs are crucial to understand the variations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On the other hand, intra-industry trade within/between firms across countries are affected by plant-level fixed costs, capital intensity, market share, R&D intensity, and intra-industry firm heterogeneity. Since international trade and investment are affected by similar country-, industry-, and firm-level characteristics, there may exist complementarity between intra-industry trade and out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This study combines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intra-industry trade and out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empirically examines how outward FDI affects intra-industry trade.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